KR20220001514A -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514A
KR20220001514A KR1020217035122A KR20217035122A KR20220001514A KR 20220001514 A KR20220001514 A KR 20220001514A KR 1020217035122 A KR1020217035122 A KR 1020217035122A KR 20217035122 A KR20217035122 A KR 20217035122A KR 20220001514 A KR20220001514 A KR 20220001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nformation
unit
amount
suppor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로 무나카타
사토시 타노
노보루 에비사와
히데키 쇼지
Original Assignee
도요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1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배터리의 용도를 결정하여 배터리의 재이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은, 배터리의 열화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배터리의 열화 상태에 따른 상기 배터리의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용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배터리의 열화 상태와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용도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결정부의 결정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
본 발명은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 등의 전자 디바이스를 리사이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문헌 1의 시스템에 의하면, 휴대전화 등의 전자 디바이스의 소유자가 전자 키오스크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재판매 또는 리사이클을 위해 매도함으로써 현금 등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 특허 제2017-188124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검색 장치를 배터리의 재이용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방전을 반복함으로써 서서히 그 성능이 열화되어 가는 것이다. 열화 상태가 진행되면 현재의 용도로 계속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배터리에는 다양한 용도가 있고, 용도에 따라 배터리에 요구되는 성능의 요건은 크게 다르다. 따라서, 열화 상태가 진행되어 현재의 용도에서 계속 사용할 수 없게 되어도 다른 용도에서는 재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시스템은 단순히 판정 대상이 재판매 대상인지의 여부(즉 현재의 용도에서 계속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나, 다른 용도에서 재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까지는 고려되지 않았다.
이때문에 특허문헌 1의 시스템에서는 다른 용도에서 재이용 가능한 배터리일지라도, 재판매 대상이 아니면 리사이클의 대상으로 판정되어 다른 용도에서 재이용 가능한 배터리가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배터리의 용도를 결정하여 배터리의 재이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은,
배터리의 열화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배터리의 열화 상태에 따른 상기 배터리의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용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인식부가 인식한 상기 배터리의 열화 상태와 상기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용도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부의 결정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의 열화 상태에 따른 상기 배터리의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용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은, 배터리의 열화 상태를 인식하고, 배터리의 열화 상태와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용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이용자는 배터리의 열화 상태라는 객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를 현재의 용도에서 계속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와 더불어, 다른 용도에서 재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배터리를 배터리의 열화 상태에 따른 적절한 용도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의 열화 상태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용도를 결정하여 배터리의 재이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배터리를 상기 용도로 이용하기 위해 매도했을 때에 얻어지는 대가인 매도액을 상기 배터리의 상기 열화 상태에 따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은, 결정된 용도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를 매도했을 때의 대가인 매도액을 상기 배터리의 열화 상태에 따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을 예를 들어 중고 배터리의 거래 사업자가 이용하는 것이 상정된다.
본 구성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에 의하면, 중고 배터리의 거래 사업자 등의 시스템 이용자는 배터리의 열화 상태라는 객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용도와 더불어, 상기 용도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를 매도했을 때의 대가의 금액을 함께 알 수 있으므로 배터리를 안심하고 가격을 정하여 매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의 열화 상태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용도와 매도액을 결정하여 배터리의 재이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매도액에 기초하여 시스템 이용자가 시스템 제공자에게 지불해야 할 대가인 이용료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이용료를 결제하는 결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은 배터리의 매도액에 기초하여 시스템 이용자가 시스템 제공자에게 지불해야 할 대가인 이용료를 산출하여 결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경우, 시스템 제공자는 시스템의 운용, 용도 정보의 갱신 등에 드는 비용을 부담하고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이 비용들의 부담을 모두 시스템 제공자가 자비로 부담하게 되면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제공을 계속하기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본 구성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에 의하면, 배터리의 매도액에 기초하여 이용료가 산출되어 시스템 이용자로부터 시스템 제공자에게 상기 요금이 지불된다.
이에 의해, 시스템 이용료에 의해 시스템 제공자의 비용 부담이 경감되므로, 시스템 제공자가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제공을 계속하기가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 제공자의 비용 부담을 경감시키면서, 배터리의 열화 상태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용도를 결정하여 배터리의 재이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용도의 배터리의 매입을 희망하는 자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배터리의 매입 희망액을 포함하는 매입 조건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매입 조건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매입 희망액에 기초하여 상기 매도액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매입 조건 정보와 상기 결정부가 결정한 용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소유자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매입을 희망하는 자에게 상기 배터리를 매도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매도액을 포함하는 매도 정보를 생성하는 매매부와,
상기 매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매도액에 기초하여 시스템 이용자가 시스템 제공자에게 지불해야 할 대가인 이용료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은 소정 용도의 배터리의 매입을 희망하는 자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배터리의 매입 희망액을 포함하는 매입 조건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은 매입 조건 정보에 포함되는 매입 희망액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매도액을 결정한다.
그리고,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은 매입 조건 정보와 용도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소유자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매입을 희망하는 자에게 상기 배터리를 매도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매도액을 포함하는 매도 정보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매도액에 기초하여 이용료를 산출한다.
이에 의해, 중고 배터리의 거래 사업자 등의 시스템 이용자는 효율적으로 배터리의 매입 희망자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매입 희망액에 기초하여 결정된 배터리의 매도액에 기초하여 시스템의 이용료가 산출되므로 시스템 이용자는 더욱 매매의 실정에 준거한 시스템 이용료를 지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스템 이용자는 배터리를 더욱 안심하고 매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 이용자가 더욱 안심하고 배터리를 매매할 수 있는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A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이 처리에 이용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2B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이 처리에 이용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2C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이 처리에 이용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2D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이 처리에 이용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2E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이 처리에 이용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2F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이 처리에 이용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일련의 처리의 타임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A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처리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4B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처리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4C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처리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4D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처리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5A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출력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이미지도이고,
도 5B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출력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은 서버(1)와 이용자 단말(2)를 구비하고 있다. 서버(1)와 이용자 단말(2)은 네트워크(3)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는 네트워크(3)를 통해 서버(1)와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된 매입 희망자 단말(4)을 구비할 수도 있다.
서버(1)는 제어부(10) 및 저장부(20)를 구비한 컴퓨터이다.
이용자 단말(2)은 예를 들어 취득부(30) 및 출력부(40)를 구비한 디바이스로서, 전용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 등의 범용적인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용자 단말(2)의 이용자(U)로서는 중고 배터리의 거래 사업자, 중고차 사업자, 자동차 수리 사업자가 상정된다. 또는 배터리의 소유자(O) 자신도 이용자(U)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서,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인터넷 통신망이다.
매입 희망자 단말(4)은, 배터리의 매입 희망자(B)가 후술하는 매입 조건 정보(202)를 입력하고, 서버(1)의 저장부(20)에 저장시키는 입력부(60)를 구비한 디바이스로서, 전용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 등의 범용적인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입력부(60)는 매입 희망자(B)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받는 입력장치로서,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널 기타의 포인팅 디바이스이다.
서버(1)의 제어부(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 처리 장치, 메모리, 및 I/O(Input/Output) 디바이스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0)는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상호 통신 가능한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0)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인식부(101), 결정부(102), 산출부(103), 결제부(104) 및 매매부(105)로서 기능한다.
인식부(101)는 취득부(30)가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50)의 열화 상태를 인식한다.
결정부(102)는 인식부(101)가 인식한 배터리(50)의 열화 상태와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용도 정보(201)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50)의 용도를 결정한다.
또한 결정부(102)는 배터리(50)를 상기 용도로 이용하기 위해 매도했을 때에 얻어지는 대가인 매도액을 상기 배터리(50)의 열화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결정부(102)는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매입 조건 정보(202)에 포함되는 매입 희망액에 기초하여 매도액을 결정할 수도 있고(예를 들어 각 용도에 있어서의 매입 희망액의 최고액을 매도액으로 결정하는 등),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가격 사이트 등으로부터 배터리의 거래 가격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거래 가격으로부터 매도액을 결정할 수도 있다.
산출부(103)는 결정부(102)가 결정한 배터리(50)의 매도액에 기초하여 시스템 이용자(U)가 시스템 제공자(P)에게 지불해야 할 대가인 이용료를 산출한다.
결제부(104)는 시스템 이용자(U)가 시스템 제공자(P)에게 지불해야 할 대가인 이용료를 결제한다.
매매부(105)는 매입 조건 정보(202)와 결정부(102)가 결정한 배터리(50)의 용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50)의 소유자(O)로부터 배터리(50)의 매입을 희망하는 자에게 상기 배터리를 매도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매도액을 포함하는 매도 정보(203)를 생성한다.
저장부(20)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HDD(Hard Disk Drive) 등의 저장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용도 정보(201), 매입 조건 정보(202), 매도 정보(203) 및 제어부(10)에 의한 처리 결과를 저장하고 있다.
용도 정보(201)는 배터리의 열화 상태에 따른 상기 배터리의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용도 ID, 용도 명칭, 열화 레벨, 매도액, 및 매도 단위를 포함하고 있다.
용도 ID는 예를 들어 배터리의 매도처의 명칭 및 용도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알파벳, 숫자 및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용도 명칭은 용도 ID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용도의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열이다. 용도 명칭은,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용으로 리유즈”, “정치용 축전지(ESS)로 리유즈”, “리사이클” 등의 대략적인 용도일 수도 있고, 또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A사 전기자동차 01”, “G사 리빌드 전기자동차용(모듈)”, “H사 리사이클(셀)” 등의 보다 자세한 용도일 수도 있다.
열화 레벨은 예를 들어 배터리의 열화 상태의 레벨을 나타내는 식별자로서, 알파벳 및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열화 레벨은 예를 들어 “S+”가 미사용 상태를 포함하는 가장 양호한 상태이고, A, B, C···가 됨에 따라 열화 상태가 진행된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배터리의 열화 레벨의 결정 기준은 예를 들어 배터리의 전류값, 전압값, 주변 온도이다. 각 열화 레벨에 대응하는 전압 조건, 전류 조건, 및 온도 조건의 값은 예를 들어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 값들은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화 레벨의 결정 기준으로서 배터리(50)의 전압 조건, 전류 조건, 및 온도 조건을 이용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후술하는 충방전 이력이 취득 가능하면 충방전 이력이 열화 레벨의 결정 기준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테이블에는 전압 조건, 전류 조건, 및 온도 조건의 값에 추가하여 또는 대신하여 충방전 이력에 관한 값이 저장되게 된다.
또는 배터리의 열화 상태는 배터리의 충전 용량의 감소 정도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용도 정보(201)는 열화 레벨에 대신하여 또는 추가하여 배터리의 충전 용량의 감소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배터리의 충전 용량의 감소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미사용 상태의 충전 용량을 100%로 한 경우의 “80% 이상”, “80% 미만 ~ 0% 이상”, “0% 미만” 등의 값이다.
매도액은 배터리(50)를 각 용도로 이용하기 위해 매도했을 때에 얻어지는 대가의 금액이다. 매도 단위는 각 용도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매도의 단위로서, 예를 들어 셀이거나, 셀의 집합체인 모듈이거나 또는 모듈의 집합체인 팩이다.
매입 조건 정보(202)는 소정 용도의 배터리의 매입을 희망하는 자에 관한 정보로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용도 ID, 매입 희망자 ID, 및 매입 희망액을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매입 조건 정보(202)에서는, 동일한 용도에 대해, 상이한 매입 희망자(B) 각각의 매입 희망액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용도에 대해, 동일한 매입 희망자(B)의 상이한 매입 희망액이 저장될 수 있다.
매입 희망자 ID는 각 용도의 배터리(50)의 매입을 희망하는 자인 매입 희망자(B)를 식별하는 정보로서, 알파벳, 숫자 및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매입 희망액은 각 용도의 배터리(50)를 각 매입 희망자(B)가 매입한다고 한 경우의 희망 금액이다.
매도 정보(203)는 배터리(50)의 소유자(O)로부터 배터리(50)의 매입을 희망하는 자에게 상기 배터리(50)를 매도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 ID, 소유자 정보, 매입 희망자 ID 및 매도액을 포함하고 있다.
소유자 정보는 배터리의 소유자(O)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배터리의 소유자(O)의 이름, 명칭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알파벳, 숫자 및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취득부(30)는 배터리(50)의 열화 상태에 관련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전압 센서, 전류 센서 및 온도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또는 이것들에 추가하여 또는 대신하여, 배터리(50)의 충방전 이력이 취득 가능하면 충방전 이력을 취득하는 취득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충방전 이력이란 예를 들어 충방전의 회수, 각 충방전시에 몇 퍼센트의 충전 상태에서 몇 퍼센트의 충전 상태까지 충방전했는지, 각 충방전시의 전압 또는 전류의 값, 각 충방전에 걸린 시간 등의 정보이다.
아울러 취득부(30)는 센서 또는 취득 장치 등의, 배터리(50)로부터 자동적으로 정보를 취득하는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취득부(30)는 시스템 이용자(U)에 의한 배터리(50)의 열화 상태에 관련하는 정보의 입력을 받는 입력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취득부(30)와 이용자 단말(2)은 예를 들어 케이블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는 취득부(30)와 이용자 단말(2)은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인터넷 통신망 등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혹은 취득부(30)는 이용자 단말(2)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출력부(40)는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이 이용자에게 출력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이다.
배터리(50)는 전기자동차용의 차재 배터리, 가정용 축전지 전용의 배터리, 전동의 수송용 기기(카트, 포크리프트 등),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 등의 용도에 대응한 다양한 배터리로서, 예를 들어 납 축전지, 니카드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배터리, 또는 연료 전지이다. 아울러 배터리(50)의 전해질이 액체이든 고체이든 무방하다.
이어서, 도 3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일련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은 배터리(50)의 용도의 결정 혹은 배터리의 매매를 수행하기 위한 준비로서 매입 조건 입력 처리(도 3/P10)와 용도 정보 갱신 처리(도 3/P20)를 실행한다. 아울러 각 처리 내용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매입 조건 입력 처리(도 3/P10)에 있어서, 매입 희망자 단말(4)은 배터리(50)의 매입을 희망하는 매입 희망자(B)에 의한 매입 조건 정보(202)의 입력을 받아 서버(1)로 송신한다. 매입 희망자 단말(4)은 매입 희망자(B)로부터의 매입 조건 정보(202)의 입력을 임의의 타이밍에서 반복적으로 받을 수 있다.
용도 정보 갱신 처리(도 3/P20)에 있어서, 서버(1)는 매입 희망자 단말(4)로부터 수신한 매입 조건 정보(202)에 기초하여 용도 정보(201)을 갱신한다. 서버(1)는 매입 희망자 단말(4)로부터 매입 조건 정보(202)를 수신할 때 마다 또는 임의의 타이밍에서 반복적으로 용도 정보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은 임의의 타이밍에서 이용자(U)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결정 처리(도 3/P301) 및 산출 처리(도 3/P302)를 포함하는 결정·산출 처리(도 3/P30)를 수시로 실행한다.
(매입 조건 입력 처리)
도 4A를 참조하여 매입 조건 입력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매입 조건 입력 처리를 시작하면, 먼저 매입 희망자 단말(4)의 입력부(60)는 매입 희망자(B)에 의한,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용도 ID)와 매입 희망액의 입력을 받는다(도 4A/STEP101).
그리고 입력부(60)는, 입력된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와 매입 희망액, 및 매입 희망자(B)를 나타내는 정보(매입 희망자 ID)를 서버(1)로 송신한다(도 4A/STEP102).
그리고 서버(1)는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와, 매입 희망액과, 매입 희망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매입 희망자 단말(4)로부터 수신하고, 저장부(20)에 저장하여(도 4A/STEP111) 처리를 종료한다.
(용도 정보 갱신 처리)
도 4B를 참조하여 용도 정보 갱신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용도 정보 갱신 처리를 시작하면, 먼저 서버(1)는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매입 조건 정보(202)를 취득하고, 각 용도별 가장 비싼 매입 희망액을 추출한다(도 4B/STEP201).
이어서 서버(1)는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용도 정보(201)를 취득한다(도 4B/STEP202).
그리고 서버(1)는 용도 정보(201)에 포함되어 있는 각 용도에 대해, STEP201에서 추출된 각 용도별 가장 비싼 매입 희망액으로 매도액을 갱신하고, 저장하여(도 4B/STEP203)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서버(1)는 용도 정보(201)에 포함되어 있는 각 용도 중, 대응하는 용도의 매입 희망액이 없는(즉, 상기 용도의 배터리(50)의 매입을 희망하고 있는 매입 희망자(B)가 존재하지 않는) 용도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매입 희망액을 “없음”으로 저장한다.
이어서 도 4C를 참조하여 결정·산출 처리에 포함되는 결정 처리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결정 처리)
결정 처리를 시작하면, 먼저 이용자 단말(2)의 취득부(30)는 이용자(U)의 조작에 따라 배터리(50)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취득하여 서버(1)로 송신한다(도 4C/STEP301).
이때 취득부(30)는 배터리(50)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배터리(50)가 그 전력 공급의 대상인 전기자동차, 가정용 축전지, 전동의 수송용 기기,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 등의 장치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취득할 수도 있고, 그 장치들에 장착되어 또는 접속된 상태인 채로 취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1)의 인식부(101)는 배터리(50)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이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한다(도 4C/STEP311). 이어서 인식부(101)는 수신한 배터리(50)의 전압, 전류 및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50)의 열화 상태를 인식한다(도 4C/STEP312).
전압, 전류 및 온도에 기초하는 배터리(50)의 열화 상태의 인식 기법으로서는 다양한 기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터리(50)의 전압, 전류 및 온도와 열화 레벨을 대응시킨 테이블을 미리 저장부(20)에 저장시켜 두고, 인식부(101)가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수신한 배터리(50)의 전압, 전류 및 온도에 대응하는 열화 레벨을 인식한다.
이어서, 서버(1)의 결정부(102)는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용도 정보(201)를 참조하고, STEP312에서 인식한 배터리(50)의 열화 상태에 기초하여 배터리(50)의 용도 및 용도에 대응하는 매도액을 결정한다(도 4C/STEP313).
즉 예를 들어 STEP312에서 인식부(101)가 인식한 배터리(50)의 열화 상태(열화 레벨)가 “S+”였을 경우, 용도 정보(201) 내에 저장되어 있는 용도 중 열화 레벨이 “S+”인 것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A001-P”의 “A사 전기자동차 01”이므로, 상기 배터리(50)의 용도는 “A사 전기자동차 01”이고, 대응하는 매도액은 “1,200,000엔”이라고 결정하고, 이 정보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결정 결과로서 이용자 단말(2)로 송신한다.
또는 STEP312에서 인식부(101)가 인식한 배터리(50)의 열화 상태(열화 레벨)가 “S+”였을 경우, 용도 정보(201) 내에 저장되어 있는 용도 중, 열화 레벨이 “S+” 이하인 용도이고 매도액의 값이 있는 용도를 추출하고, 이 모든 용도들을 상기 배터리(50)의 용도로서 결정하고, 이 모든 용도들에 관한 정보를 결정 결과로서 이용자 단말(2)로 송신하도록 결정부(102)가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취득부(30)가 STEP301에서 취득하여 서버(1)로 송신하는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 용량의 감소 정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의 결정부(102)는 예를 들어 수신한 배터리의 충전 용량의 감소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용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결정부(102)는 STEP313에서의 결정 결과를 이용자 단말(2)로 송신한다(도 4C/STEP314).
그리고, 이용자 단말(2)은 서버(1)로부터 결정 결과를 수신하고, 출력부(40)로 출력하여(도 4C/STEP321) 처리를 종료한다.
출력부(40)가 출력하는 내용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 도 6A이다. 도 6A에서는, 용도 정보(201) 내에 저장되어 있는 용도 중, 열화 레벨이 “S+”인 “A001-P”의 “A사 전기자동차 01”에 관한 정보만이 출력되고 있다.
출력부(40)로의 출력 내용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화 레벨(301), 이용 가능 용도(302), 매도 금액(303) 및 매도 단위(304)와, 이용자(U)가 희망하는 다음 조작의 지시를 받기 위한 버튼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 조작의 지시를 받기 위한 버튼의 아이콘으로서 “매도를 희망”(305)과 “매도를 희망하지 않음”(306)이 표시되어 있다.
“매도를 희망”(305)이 눌린 경우에는, 이용자 단말(2)은 매도를 희망하는 경우의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는 정보를 서버(1)로 송신할 수 있고, “매도를 희망하지 않음”(306)이 눌린 경우에는 이용자 단말(2)은 매도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의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는 정보를 서버(1)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STEP312에서 인식부(101)가 인식한 배터리(50)의 열화 상태(열화 레벨)가 이하인 용도이고 매도액의 값이 있는 용도를 추출하고, 이 모든 용도들이 상기 배터리(50)의 용도라고 결정하고, 이 모든 용도들에 관한 정보를 결정 결과로서 이용자 단말(2)로 송신하도록 결정부(102)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출력부(40)가 출력하는 내용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 도 6B이다.
도 6B에서는 용도 정보(201) 내에 저장되어 있는 용도 중, 열화 레벨이 “S+” 이하인 용도이고 매도액의 값이 있는 용도에 관련하는 정보가 일람으로서 출력되어 있다. 그리고 이용자(U)가 어느 용도에 대해서 매도를 희망하는지의 지정을 받기 위한 체크 박스(307)가 함께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이용자(U)는 배터리(50)의 열화 상태라는 객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50)를 현재의 용도로 계속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와 더불어 다른 용도에서 재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이용자(U) 또는 배터리(50)의 소유자(O)는 배터리(50)를 배터리(50)의 열화 상태에 따른 적절한 용도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의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에 의하면, 중고 배터리의 거래 사업자 등의 시스템 이용자(U)는 배터리(50)의 열화 상태라는 객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50)의 용도와 더불어, 상기 용도로 이용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50)를 매도했을 때의 대가의 금액을 함께 알 수 있으므로, 배터리를 안심하고 가격을 정하여 매매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D를 참조하여 결정·산출 처리에 포함되는 산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산출 처리)
산출 처리를 시작하면, 먼저 이용자 단말(2)은 이용자가 희망하는 다음 조작의 지시를 받아 서버(1)로 송신한다(도 4D/STEP331).
그리고, 이용자가 희망하는 다음 조작의 지시를 수신한 서버(1)의 산출부(103)는 배터리(50)의 매도 지시를 받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4D/STEP341).
상기 판정이 부정적인 경우(도 4D/STEP341:NO)에 산출부(103)는 용도 정보(201)에 포함되는 매도액에 기초하여 시스템 이용자(U)가 시스템 제공자(P)에게 지불해야 할 이용료를 산출(도 4D/STEP342)한 후 STEP345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상기 판정이 긍정적인 경우(도 4D/STEP341:YES) 매매부(105)는 배터리(50)의 소유자(O)로부터 매입 희망자(B)에게 상기 배터리(50)를 매도하는 것을 나타내는 매도 정보(203)을 생성하고, 저장부(20)에 저장한다(도 4D/STEP343).
나아가 산출부(103)는 STEP343에서 생성한 매도 정보(203)에 포함되는 매도액에 기초하여 시스템 이용자(U)가 시스템 제공자(P)에게 지불해야 할 이용료를 산출(도 4D/STEP344)한 후 STEP345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산출부(103)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흐름으로 시스템 이용자(U)가 시스템 제공자(P)에게 지불해야 할 이용료를 산출한다.
먼저, 산출부(103)는 용도 정보(201) 또는 매도 정보(203)에 포함되는 매도액을 인식한다. 이어서, 도 2E 또는 도 2F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매도액과 이용료의 대응표를 참조하여 매도액에 대응하는 이용료를 취득하고 이 이용료를 시스템 이용자(U)가 시스템 제공자(P)에게 지불해야 할 이용료로 한다.
이용료의 산출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산출부(103)는 예를 들어 도 2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용자 ID 마다 정해진 이용료율에 기초하여 이용료를 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금번 이용자(U)의 이용자 ID가 AA001이고, 매도액이 1,200,000엔인 경우, 대응하는 이용료인 1.0%를 매도액에 곱한 액수인 12,000엔이 이용료로서 우선 산출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 ID가 AA001인 이용자(U)에 대응하는 이용료의 상한이 11,000엔으로 정해져 있다. 상기한 산출 결과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고 있으므로 금번 이용료는 11,000엔으로 산출된다. 아울러 이용료의 하한이 500엔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매도액에 이용료율을 곱한 액수가 500엔 미만인 경우에는 이용료는 500엔으로 산출된다.
혹은 산출부(103)는 예를 들어 도 2F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매도액과 이용료의 대응표를 참조하여 시스템 이용자(U)가 시스템 제공자(P)에게 지불해야 할 이용료를 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매도액이 1,200,000엔이라면, 적용 범위의 상한이 1,499,999엔이고 하한이 750,000엔인 경우에 적용되고, 대응하는 이용료가 7,500엔이므로 금번 이용료는 7,500엔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결제부(104)는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이용료에 기초하여 이용료를 결제한다(도 4D/STEP345).
또는 결제부(104)는 STEP343에서 매매부(105)가 생성한 매도 정보(203)에 기초하여, 매도액에 대해서도 함께 결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어서 서버(1)는 STEP341 ~ STEP345의 처리 결과를 이용자 단말(2)로 송신한다(도 4D/STEP346).
그리고 이용자 단말(2)은 서버(1)로부터 처리 결과를 수신하고, 출력부로 출력하고(도 4D/STEP351)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50)의 매도액에 기초하여 이용료가 산출되어 시스템 이용자(U)로부터 시스템 제공자(P)로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이용료가 지불됨으로써, 시스템 이용료에 의해 시스템 제공자(P)의 비용 부담이 경감되어 시스템 제공자(P)가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의 제공을 계속하기가 용이해진다.
나아가 중고 배터리의 거래 사업자 등의 시스템 이용자(U)는 효율적으로 배터리의 매입 희망자(B)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매입 희망액에 기초하여 결정된 배터리의 매도액에 기초하여 시스템의 이용료가 산출되므로 시스템 이용자(U)는 더욱 매매의 실정에 준거한 시스템 이용료를 지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스템 이용자(U)는 배터리를 더욱 안심하고 매매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50)의 용도를 결정하여 배터리(50)의 재이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용자 단말(2)은 취득부(30)에 의해 취득한 배터리(50)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USB 메모리나 CD-ROM 등의 외부 저장 매체를 통해 서버(1)에 주고 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에서의 처리 결과는 서버(1)의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결정부(102)는 배터리(50)의 열화 레벨의 결정시에 도 2B와 같은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취득부(30)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이나 평가식을 이용하여 배터리(50)의 열화 레벨을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는 결정부(102)는 배터리(50)의 열화 상태를 열화 레벨이 아니라, 취득부(30)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이나 평가식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100점 ~ 0점 등의 점수를 산출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서버(1)는 용도 정보 갱신 처리에 있어서,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매입 조건 정보(202)를 취득하여 각 용도별 가장 비싼 매입 희망액과 가장 싼 매입 희망액을 추출하고, 용도 정보(201)에 포함되어 있는 각 용도에 대해, 추출된 각 용도별 가장 비싼 매입 희망액과 가장 싼 매입 희망액으로 “엔~△엔”과 같이 매입 희망액의 폭을 나타내는 형식으로 매도액을 갱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결정부(102)는 배터리의 열화 상태에 따른 매도액에 대신하여 또는 추가하여, 배터리의 열화 상태에 따른 “월액 0엔”, “연액 0엔” 등의 렌탈료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1…서버, 2…이용자 단말, 3…네트워크, 4…매입 희망자 단말, 20…저장부, 30…취득부, 40…출력부, 50…배터리, 101…인식부, 102…결정부, 103…산출부, 104…결제부, 105…매매부, B…매입 희망자, O…소유자, P…시스템 제공자, U…시스템 이용자

Claims (4)

  1. 배터리의 열화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배터리의 열화 상태에 따른 상기 배터리의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용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인식부가 인식한 상기 배터리의 열화 상태와 상기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용도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부의 결정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배터리를 상기 용도로 이용하기 위해 매도했을 때에 얻어지는 대가인 매도액을 상기 배터리의 상기 열화 상태에 따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도액에 기초하여 시스템 이용자가 시스템 제공자에게 지불해야 할 대가인 이용료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이용료를 결제하는 결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용도의 배터리의 매입을 희망하는 자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배터리의 매입 희망액을 포함하는 매입 조건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매입 조건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매입 희망액에 기초하여 상기 매도액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매입 조건 정보와 상기 결정부가 결정한 용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소유자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매입을 희망하는 자에게 상기 배터리를 매도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매도액을 포함하는 매도 정보를 생성하는 매매부와,
    상기 매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매도액에 기초하여 시스템 이용자가 시스템 제공자에게 지불해야 할 대가인 이용료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
KR1020217035122A 2020-01-31 2020-01-31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 KR20220001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03699 WO2021152826A1 (ja) 2020-01-31 2020-01-31 バッテリー再利用支援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14A true KR20220001514A (ko) 2022-01-05

Family

ID=7707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5122A KR20220001514A (ko) 2020-01-31 2020-01-31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58551A1 (ko)
EP (1) EP3937291A4 (ko)
KR (1) KR20220001514A (ko)
CN (1) CN113812029A (ko)
CA (1) CA3137522A1 (ko)
WO (1) WO20211528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16988A (ja) * 2022-07-27 2024-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売買取引支援装置及び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8124A (ja) 2008-10-02 2017-10-12 エコ・エーティーエ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ecoATM, Inc. デバイスに対する二次市場およびベンディング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6942B2 (ja) * 1989-07-10 1998-03-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2次電池の自動販売機とその管理方法
JP2002063246A (ja) * 2000-08-23 2002-02-28 Tokyo Gas Co Ltd 消耗品の取引方法および取引システム
JP2002259735A (ja) * 2001-03-02 2002-09-13 Tsubasa System Co Ltd 物流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4126669A (ja) * 2002-09-30 2004-04-22 Yuasa Corp リサイクル支援システムおよびリースシステム
JP2003248764A (ja) * 2002-12-20 2003-09-05 Tokyo Gas Co Ltd 消耗品の取引方法および取引システム
US8355965B2 (en) * 2005-02-22 2013-01-15 Sharp Kabushiki Kaisha Battery exchange service system and charging method therefor, and portable device
JP2006350610A (ja) * 2005-06-15 2006-12-28 Daikin Ind Ltd 設備機器の価格算出システムおよび設備機器の価格算出方法
JP5181508B2 (ja) * 2007-03-28 2013-04-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管理システム
CN103081213B (zh) * 2010-06-24 2015-02-1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池管理系统、电池管理装置、电池的再利用方法以及信息通信终端设备
US20140106185A1 (en) * 2012-10-16 2014-04-17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Rechargeable battery recycling
JP6240901B2 (ja) * 2014-02-13 2017-12-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池パックおよび充電装置
JP6106800B2 (ja) * 2014-02-28 2017-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池管理システムおよび蓄電池管理方法
JP7271207B2 (ja) * 2019-02-01 2023-05-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22955B1 (ja) * 2019-04-02 2020-07-15 東洋システム株式会社 バッテリー残存価値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8124A (ja) 2008-10-02 2017-10-12 エコ・エーティーエ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ecoATM, Inc. デバイスに対する二次市場およびベンディング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58551A1 (en) 2022-11-10
WO2021152826A1 (ja) 2021-08-05
EP3937291A4 (en) 2022-10-12
CN113812029A (zh) 2021-12-17
CA3137522A1 (en) 2021-08-05
EP3937291A1 (en) 202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4859B2 (ja) バッテリー再利用支援システム
JP5492451B2 (ja) 蓄電池充放電装置及び蓄電池充放電方法
CN111439156B (zh) 供受电管理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271207B2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004897A1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18190249A (ja) 管理方法、サービス管理装置、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01514A (ko) 배터리 재이용 지원 시스템
CN113228447A (zh) 送受电管理装置和程序
TWI772742B (zh) 電池再利用支援系統
JP6788296B1 (ja) 車両販売システム
CN113401004A (zh) 用于电动车辆的电力交易系统以及充放电设备
JP7023043B2 (ja) 査定先設定装置、査定先設定システム、及び査定先設定方法
JP2021124982A (ja) 中古二次電池再利用システム
JP7352311B1 (ja) 二次電池の情報出力システム
JP2021140527A (ja) 情報提供装置
JP2010244820A (ja) 燃料電池価格算出装置、燃料電池価格算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913917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100213A (ja) 発電用燃料価格の決定支援方法および装置
JP6851561B2 (ja) 携帯装置、車載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9251718A (ja) 使用料を後から徴収する料金徴収サーバ及びシステム
JP5088183B2 (ja) 書籍販売額決定装置、書籍販売額決定プログラムおよび書籍販売額決定方法
CN116127758A (zh) 区域电能量市场交易组织方法、装置及设备
EP37579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3421380A (zh) 计量仪表无线通讯预付费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5149077A (ja) 中古太陽電池の中古価格算出プログラム、中古価格算出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中古太陽電池取引プログラム、中古太陽電池取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