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255A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255A
KR20220001255A KR1020200079402A KR20200079402A KR20220001255A KR 20220001255 A KR20220001255 A KR 20220001255A KR 1020200079402 A KR1020200079402 A KR 1020200079402A KR 20200079402 A KR20200079402 A KR 20200079402A KR 20220001255 A KR20220001255 A KR 20220001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astic member
disposed
pattern par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준
강성원
박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9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255A/ko
Priority to CN202180051875.2A priority patent/CN115968491A/zh
Priority to JP2022580482A priority patent/JP7478856B2/ja
Priority to PCT/KR2021/007688 priority patent/WO2022005070A1/ko
Priority to EP21831605.7A priority patent/EP4174972A1/en
Priority to US18/013,315 priority patent/US20230301043A1/en
Publication of KR2022000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제 1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층은 상기 제 2 층의 상기 제 2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층의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복수의 홀 또는 홈을 포함하는 패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층의 두께보다 크다.

Description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ELASTICITY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시 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휴대나 보관시에는 접거나 일부를 벤딩한 형태로 있다가, 영상을 표시할 때는 디스플레이를 펼친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영역을 늘리는 동시에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거나 구부린 후, 이를 다시 펼치는 원복 공정 등이 반복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이 반복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은 일정한 강도 및 탄성이 요구되며, 이러한 폴딩 및 원복시 기재에 크랙 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한편,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 상에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을 배치하여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탄성 부재로 전달되고, 이러한 열이 탄성 부재 내에서 빠르게 방출되지 않아 잔류하는 열에 의해 탄성 부재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에 의해 탄성 부재의 강도 및 탄성이 변형될 수 있고, 탄성 부재 또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의 열 방출 특성을 확보할 수 있고, 탄성 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탄성 부재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향상된 열 방출 효과를 가지고, 두께를 감소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제 1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층은 상기 제 2 층의 상기 제 2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층의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복수의 홀 또는 홈을 포함하는 패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층의 두께보다 크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탄성 부재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층의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복수의 홀 또는 홈을 포함하는 패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층의 열전도도는 상기 제 2 층의 열전도도보다 크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열전도도가 높은 층과 강도가 높은 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 탄성 부재의 폴딩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방열 역할을 하는층의 두께를 상기 탄성 부재의 두께보다 작게 하여 탄성 부재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효과적으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 따른 탄성 부재는 향상된 폴딩 신뢰성 및 방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들 따른 탄성 부재는 열전도가 높은 제 1 층(및/또는 제 3 층)의 두께를 제 2 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탄성 부재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및/또는 제 3 층)에 패턴부를 형성하여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인가되는 압축 응력을 감소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탄성 부재를 용이하게 폴딩할 수 있다.
또한, 항복 강도가 높은 제 2 층에는 별도의 패턴부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제 2 층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변형률이 높은 상기 제 2 층에 의해 폴딩 또는 원복 중 발생하는 탄성 부재의 소성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향상된 폴딩 신뢰성을 가질 수 있고, 향상된 방열 특성을 가지므로, 별도의 방열층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탄성 부재 또는 탄성 부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폴딩 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제 2,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폴딩 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폴딩 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폴딩 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1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2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1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2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1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2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7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사시도 및 폴딩 전 후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금속, 금속 합금, 플라스틱, 복합 재료(예컨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자성 또는 전도성 재료, 유리 섬유 강화 재료 등), 세라믹, 사파이어, 유리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100) 및 제 2 층(12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1 층(1100) 상에 배치되는 제 2 층(1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는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는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층(1100)은 상기 제 2 층(1200)의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층(1100)은 상기 제 2 층(1200)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영역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100), 제 2 층(1200) 및 제 3 층(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100), 상기 제 1 층(1100) 상에 배치되는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2 층(1200) 상에 배치되는 제 3 층(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열전도도가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항복강도가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의 형상, 물질 및 특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플렉서블 하거나 또는 폴더블 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벤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방향(1D) 및 상기 제 1 방향(1D)과 다른 방향인 제 2 방향(2D)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방향(1D)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1D) 및 상기 제 2 방향(2D)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폭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방향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방향을 상기 폴딩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을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폭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방향을 상기 탄성 부재(10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폴딩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A)은 언폴딩 영역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면(1S) 및 상기 제 1 면(1S)과 반대되는 제 2 면(2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1 면(1S) 또는 상기 제 2 면(2S)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면(1S)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때, 표시 패널 등과 마주보는 면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면(2S)은 상기 제 1 면(1S)과 반대되는 면으로 정의한다.
상기 탄성 부재(1000)의 구부러지는 방향은 상기 제 1 면(1S) 및 상기 제 2 면(2S)에 잔류하는 응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1 면(1S) 및 상기 제 2 면(2S) 중 잔류 응력이 작은 면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를 상기 제 1 면(1S) 또는 제 2 면(2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 정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폴딩되는 영역(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과 폴딩 되지 않는 영역(언폴딩 영역)인 제 2 영역(2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탄성 부재(1000)가 구부러지는 영역인 제 1 영역(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는 구부러지지 않고, 상기 제 1 영역(1A)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구부러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역(1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2 영역(2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탄성 부재(10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하나의 탄성 부재(10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상기 제 1 영역(1A)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4는 상기 탄성부재가 폴딩 된 후를 도시한 탄성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폴딩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폴딩 될 수 있다. 자세하게, 폴딩 축을 따라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에는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언폴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폴딩되어, 언폴딩 영역, 폴딩 영역, 언폴딩 영역의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폴딩할 때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하고, 응력을 분산하기 위해 복수의 패턴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들에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 5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2 면(2S)들이 마주보도록 폴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제 1 면(1S) 및 상기 제 2 면(2S)에 잔류하는 응력의 크기에 따라 구부러지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자세하게,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에 형성되는 패턴부의 형성 위치에 따라 탄성 부재가 폴딩되는 면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패턴부들이 형성되는 면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1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2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면(1S)에는 복수의 패턴부(PA)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의 제 1 면(1S)은 상기 탄성 부재의 층 들 중 제 2 층(1200)의 일면일 수 있다. 즉,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2 층(1200)에 형성되는 복수의 패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에는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영역(2A)에는 제 2 패턴부(PA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제 1 패턴부(PA1)만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2A)에는 패턴부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는 상기 폴딩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용이하게 폴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에서 폴딩되는 제 1 영역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발생하는 응력 발생 영역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의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에서 압축 응력과 비례하는 탄성 부재의 두께를 감소시켜,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는 영역에서 탄성 부재(1000)의 두께가 감소되고, 이에 의해 압축 응력이 감소되므로, 폴딩 응력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되는 상기 제 1 영역(1A)과의 열에 의한 변형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에 열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모두 패턴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에서 열에 의한 변형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1000)가 탄성 부재가 휘거나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응력 불균일을 완화하여 탄성 부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 상에 접착층을 통해 패널 등을 접착할 때, 접착 물질이 제 2 영역(2A)의 제 1 패턴부(PA1)과 제 2 영역(2A)의 제 2 패턴부(PA2) 내부를 함께 메우면서 배치되므로, 접착층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 서로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2 영역(2A)에 상기 제 2 패턴부(PA2)가 형성되어도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에 홀 또는 홈 등의 패턴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잔류시킴으로써, 이에 의해 패턴부가 형성되지 않은 탄성 부재의 면적을 일정 면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패널 등을 지지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면(2S)에는 패턴부들이 배치되거나 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의 제 2 면(2S)은 상기 탄성 부재(100)의 제 1 층(1100) 및 제 2 층(1200)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영역(2A)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면(2S)은 상기 제 1 영역(1A)에서는 제 2 층(1200)의 일면일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2A)에서는 상기 제 1 층(1100)의 일면일 수 있다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패턴부(PA1)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면(1S)에는 형성되고, 상기 제 2 면(2S)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하게,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패턴부(PA1)는 상기 제 2 층(1200)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면(2S)에는 패턴부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패턴부(PA1)는 상기 제 2 층(12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면(2S)에는 복수의 패턴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는 타원 형상, 반구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의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돌출부(P1)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돌출부(P1)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돌출부(P1)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P1)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조 공정 중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돌출부(P1)는 복수의 탄성 부재(1000)를 제조할 때 각각의 탄성 부재(1000)를 제조하는 공정 중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대면적의 금속기판에 복수의 탄성 부재를 서로 이격하여 형성하고, 각각의 탄성 부재를 절단하여 하나의 탄성 부재를 제조할 때, 상기 탄성 부재의 절단면에서 상기 제 1 돌출부(P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P1)는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P1)는 상기 탄성 부재의 언폴딩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P1)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영역(2A)을 둘러싸는 탄성 부재(1000)의 측면(LS)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P1)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측면(LS)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돌출부(P1)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측면(LS)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하며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돌출부(P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2 돌출부(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부(P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측면(LS)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돌출부(P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방향(1D)의 양 측면 및 제 2 방향(2D)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부(P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P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폭이 변화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돌출부(P2)의 폭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측면(LS)에서 멀어지면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부(P2)의 크기는 상기 제 1 돌출부(P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부(P2)에는 앞서 설명한 제 1 돌출부(P1)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돌출부(P2)와 상기 제 1 돌출부(P1)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돌출부(P2)가 형성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측면에서는 상기 제 2 돌출부(P2)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만 제 1 돌출부(P1)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돌출부(P2)가 상기 제 1 돌출부(P1)에 의해 강도가 저하되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부(P2)는 상기 탄성 부재(1000) 상에 패널 또는 회로 기판 등을 배치할 때, 패널 또는 회로기판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거나 또는 이들과의 얼라인을 맞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돌출부(P2)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 상에 패널 등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얼라인의 틀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층(1100) 및 제 1 층(1100) 상의 제 2 층(1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의 면적은 상기 제 2 층(120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층(1100)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일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이 폴딩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거나, 일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상기 제 1 영역(1A)에서 두께 증가에 따른 응력 증가를 방지할 수 있어, 탄성 부재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 사이에는 접착층(100)이 배치되고, 상기 접착층(100)을 통해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접착층(100)이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이 중첩되는 위치 즉, 제 2 영역(2A)에만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접착층(100)은 상기 제 1 영역(1A) 상기 제 2 영역(2A)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접착층(100)은 감압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100) 내부에는 금속 입자가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속 입자에 의해 상기 접착층(100)의 열전도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탄성 부재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는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는 90㎛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는 90㎛ 내지 20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는 120㎛ 내지 170㎛일 수 있다.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가 90㎛ 미만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지지 강도가 저하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0)가 다른 패널 등을 지지하기 어려울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폴딩할 때,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가 20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응력으로 인해 탄성 부재의 폴딩할 때 소성 변형이 발생하는 등 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탄성 부재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에는 앞서 설명한 패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층(1200)에는 복수의 패턴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층(12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층(1200)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에는 상기 제 2 층(1200)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 1 패턴부(PA1) 및 제 2 패턴부(PA2)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층(1200)의 제 1 영역(1A)에만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2A)에는 패턴부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은 서로 다른 열전도도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의 열전도도는 상기 제 2 층(1200)의 열전도도보다 클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은 약 20W/mk 이상의 열전도도를 가지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층(1100)은 상기 제 2 층(1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0) 내부로 유입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층(11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에서 방열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는 10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는 30㎛ 내지 10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는 45㎛ 내지 85㎛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가 10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층의 두께에 의해 탄성 부재의 전체적인 응력이 증가되어 탄성 부재의 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가 30㎛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층이 충분한 열전도 효과를 가질 수 없어, 탄성 부재가 열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열전도도가 높은 제 1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층에 의해 탄성 부재의 전체적인 열전도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 탄성 부재의 폴딩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11 및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1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2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는 복수의 패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다르게 탄성 부재의 층 들 중 제 1 층(1100)에 복수의 패턴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의 제 1 면(1S)은 상기 탄성 부재의 층 들 중 제 2 층(1200)의 일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층(1200)에는 패턴부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의 제 2 면(2S)은 상기 탄성 부재의 층 들 중 제 1 층(1100)의 일면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에는 패턴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층(1100)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 2 면(2S)에는 복수의 패턴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층(1100)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 2 면(2S)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층(1100)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 2 면(2S)에는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제 1 패턴부(PA1) 및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제 2 패턴부(P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는 상기 제 1 층(1100)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는 상기 제 1 층(1100)에 형성되는 홀 또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크기, 위치 등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설명과 동일 유사하므로 이하의 설‘m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100) 및 제 2 층(12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1 층(11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층(1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은 서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층(1100)의 상부면과 상기 제 2 층(1200)의 하부면은 서로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은 서로 직접 접촉하도록 클래드(Clad)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클래드(Clad) 접합이란, 접착재를 이용하여 접착하지 않고 용접, 압연, 주조, 압출 등의 방식으로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을 접합하는 방식으로서 각 층의 상호 조직을 파괴하여 조직간 침투를 통해 각층의 접합을 안정화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뛰어난 접합력을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연을 통해 서로 다른 층의 층 경계면에서 이종 재료 간의 원자 확산을 유도하여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클래드 접합은 접착재를 이용한 접착과는 달리 곡면가공이 가능하고 접착재를 이용한 접착 보다 원자 확산 접합을 이용하므로 오랜 시간 접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은 열전도도가 좋은 층을 사용하여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제 2 층(1200)은 항복강도가 좋은 층을 사용하여 폴딩 후 원래 상태인 언폴딩 상태로 잘 회복될 수 있는 2가지 층을 접착재 없이 접합하여 두께 감소 및 접합 강도를 향상할 수 있고, 전체적인 폴딩 신뢰성도 향상시키며,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은 직접 접촉하며,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의 경계면에는 두 층의 원소가 확산된 확산부(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의 열전도도와 상기 제 2 층(1200)의 열전도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의 열전도도는 상기 제 2 층(1200)의 열전도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층(1100)은 상기 제 2 층(1200)에 비해 향상된 방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은 약 20W/mk 이상의 열전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층(1100)은 20W/mk 이상의 열전도를 가지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1200)은 20W/mk 미만의 열전도를 가지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10)은 30W/mk 내지 200W/mk의 열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10)은 50W/mk 내지 160W/mk의 열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10)은 80W/mk 내지 120W/mk의 열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의 열전도도가 20W/mk 미만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의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에 방출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의 열전도도가 200W/mk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층(1100)의 열전도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층(1110)의 두께가 증가될 수 있고, 열전도도 증가에 따른 열 방출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의 항복강도와 상기 제 2 층(1200)의 항복강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1200)의 항복강도는 상기 제 1 층(1100)의 항복강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층(1200)의 변형율은 상기 제 1 층(1100)의 변형율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2 층(1200)의 항복 강도는 약 0.7㎬ 이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층(1200)은 약 0.7㎬ 이상의 항복 강도를 가지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은 약 0.7㎬ 미만의 항복 강도를 가지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1200)의 항복 강도는 0.8㎬ 이상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1200)의 항복 강도는 0.9㎬ 이상일 수 있다. 더 자세해게, 상기 제 2 층(1200)의 항복 강도는 1.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 2 층(1200)의 항복 강도가 0.7㎬ 이하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상기 탄성 부재의 강도가 감소되고, 이에 의해 폴딩 및 원복과정에서 상기 탄성 부재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은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층(1200)은 SUS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은 상기 열전도도 및 상기 항복 강도를 만족하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는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T1+T2)에 대해 60% 내지 90%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는 15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는 80㎛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에 대해 60%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적인 방열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에 대해 9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의 전체적인 항복강도가 감소하여 탄성 부재를 폴딩 또는 이를 원복하는 공정에서 탄성 부재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에 대해 10% 내지 40%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는 5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는 1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에 대해 10%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의 전체적인 항복강도가 감소하여 탄성 부재를 폴딩 또는 이를 원복하는 공정에서 탄성 부재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에 대해 4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적인 방열 특성이 저하되고,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때, 추가적인 방열층이 요구될 수 있고, 열에 의한 탄성 부재(1000)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는 앞서 설명한 복수의 홀 또는 홈을 포함하는 제 1 패턴부(PA1) 및 제 2 패턴부(PA2)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는 상기 제 1 층(110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과 대응되는 상기 제 1 층(1100)에는 상기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상기 제 1 층(1100)에는 상기 제 2 패턴부(PA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0)를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면(1S)에서 개구되어, 상기 제 2 면(2S)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층(1100)에서 개구되어, 상기 제 2 층(1200)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층(1100)을 부분적으로 식각하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바닥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바닥면은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의 경계면과 일정한 거리(d)만큼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가 상기 제 1 층(1100)에 형성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향상된 방열 특성 및 폴딩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층(1200)보다 상대적으로 항복 강도가 작은 제 1 층(1100)에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가 형성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항복 강도가 큰 상기 제 2 층(1200)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의 소성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1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상기 제 1 층(1100)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제 1 층(1200)에 배치되는 제 1 패턴부 및 제 2 패턴부에 의해 탄성 부재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탄성 부재를 용이하게 폴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 상에 별도의 패널을 배치 또는 접착할 때, 상기 패널이 패턴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 2 층 상에 배치되므로, 별도의 평탄화층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탄성 부재와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층(1100)을 전체적으로 식각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층(1100)을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의 경계면까지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내측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내측면과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바닥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바닥면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내측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내측면은 상기 제 1 층(11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바닥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바닥면은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 2 층(12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을 식각하며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층(1100)을 전체적으로 식각하고, 상기 제 2 층(1200)을 부분적으로 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층(1100)에서는 상기 제 1 층(1100)을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층(1200)에서는 상기 제 2 층(1200)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바닥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바닥면은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 2 층(1200)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내측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내측면은 깊이에 따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내측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내측면의 일부분은 상기 제 1 층(11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내측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내측면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 2 층(12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내측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내측면과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바닥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바닥면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내측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내측면의 일 부분은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바닥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바닥면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내측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내측면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바닥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바닥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강도 및 열전도도 특성이 서로 다른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의 패턴부는 두께 및 열전도도가 상대적으로 큰 제 1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열전도도가 큰 제 1 층에 의해 탄성 부재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부들에 의해 탄성 부재의 압축 응력을 감소시켜, 탄성 부재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턴부를 제 1 층에 배치하고, 제 2 층에는 별도의 패턴부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상대적으로 강도가 큰 제 2 층에 의해 탄성 부재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층 및 제 2 층을 직접 접촉하여 클래드 방식으로 접착함에 따라, 탄성 부재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 1 층 및 제 2 층의 접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향상된 방열 특성, 강도, 폴딩 특성 및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접착층(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을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00)의 두께(T4)는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 및 상기 제 2 층의 두께(T2)와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접착층(100)의 두께(T4)는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100)의 두께(T4)는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상기 접착층(100)은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게 접착층(100)은 금속을 포함하는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접착층(100)은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100)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00)이 금속 입자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의 열 방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는 금속 입자에 의해 접착층의 열전도도를 증가시켜, 상기 접착층을 통해서도 열 방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100)에 의해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 사이에 접착층(1000)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의 접착을 용이하게할 수 있다.
또한, 고온 공정 등이 진행될 때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제 2 층의 물질이 상기 제 1 층의 물질 내부로 이동하여 합금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 층의 방열 특성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2,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 2,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18 및 도 19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1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2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는 복수의 패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는 앞서 설명한 제 2,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다르게 탄성 부재의 층 들 중 제 1 층(1100) 및 제 3 층(1300)에 복수의 패턴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층(1100), 상기 제 1 층(1100) 상의 제 2 층(1200) 및 제 2 층(1200) 상의 제 3 층(1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복수의 패턴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층(1100)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 2 면(2S)에는 복수의 패턴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3 층(1300)의 일면을 정의되는 상기 제 1 면(1S)에도 복수의 패턴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층(1100)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 2 면(2S)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층(1100)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 2 면(2S)에는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제 1-1 패턴부(PA1-1) 및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제 2-1 패턴부(PA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3 층(1300)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 1 면(1S)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3 층(1300)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 1 면(1S)에는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제 1-2 패턴부(PA1-2) 및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제 2-2 패턴부(PA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다르게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면(1S) 및 제 2 면(2S)에 모두 패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의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1-2 패턴부(PA1-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1-2 패턴부(PA1-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1-2 패턴부(PA1-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영역(1A)의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1-2 패턴부(PA1-2)는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의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1-2 패턴부(PA1-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1A)의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1-2 패턴부(PA1-2)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1-2 패턴부(PA1-2)의 개구 영역의 크기 및/또는 내부 영역의 크기 및/또는 깊이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3 층(1300)의 응력 불균일을 최소화하여, 탄성 부재(1000)를 폴딩할 때 응력에 따른 소성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1-2 패턴부(PA1-2)는 서로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1-2 패턴부(PA1-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에 배치되는 홈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1-2 패턴부(PA1-2)는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1-2 패턴부(PA1-2)는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층(1200)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A)의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층(1300)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영역(2A)의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의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의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의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개구 영역의 크기 및/또는 내부 영역의 크기 및/또는 깊이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3 층(1300)의 응력 불균일을 최소화하여, 탄성 부재(1000)를 폴딩할 때 응력에 따른 소성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서로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에 배치되는 홈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1-2 패턴부(PA1-2)는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층(1200)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100), 제 2 층(1200) 및 제 3 층(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1 층(1100) 상에 배치되는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2 층(1200) 상에 배치되는 제 3 층(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앞서 설명한 클래드 방식에 의해 별도의 접착제 없이 접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서로 직접 접촉하며 접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접착제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 사이 및 상기 제 2 층(1200)과 상기 제 3 층(130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는 접착층이 배치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르게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2 층 상에 배치되는 제 3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은 서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층(1100)의 상부면과 상기 제 2 층(1200)의 하부면은 서로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1200)과 상기 제 3 층(1300)은 서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층(1200)의 상부면과 상기 제 3 층(1300)의 하부면은 서로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층(1200)은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3 층(13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다른 층과 다른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3 층(1300)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3 층(1300)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화학적/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의 열전도도와 상기 제 3 층(1300)의 열전도도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의 항복 강도와 상기 제 3 층(1300)의 항복 강도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상기 제 2 층(1200)과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상기 제 2 층(1200)과 서로 다른 화학적/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의 열전도도 및 상기 제 3 층(1300)의 열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의 열전도도는 상기 제 2 층(1200)의 열전도도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상기 제 2 층(1200)에 비해 향상된 방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의 항복강도 및 상기 제 3 층(1300)의 항복강도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의 항복강도는 상기 제 2 층(1200)의 항복강도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층(1200)의 변형율은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의 변형율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층(1200)과 상기 제 3 층(1300)의 열전도도 및 항복 강도의 범위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의 열전도도 및 항복 강도의 범위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층(1200)은 SU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 및 상기 제 3 층(1300)의 두께(T3)는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T1+T2+T3)에 대해 30% 내지 40%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층(1300)의 두께(T3)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T1+T2+T3)에 대해 30% 내지 40%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 및 상기 제 3 층(1300)의 두께(T3)는 75㎛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 및 상기 제 3 층(1300)의 두께(T3)는 40㎛ 내지 75㎛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 및 상기 제 3 층(1300)의 두께(T3)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에 대해 30%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적인 방열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의 두께(T1) 및 상기 제 3 층(1300)의 두께(T3)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에 대해 4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의 전체적인 항복강도가 감소하여 탄성 부재를 폴딩 또는 이를 원복하는 공정에서 탄성 부재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에 대해 10% 내지 20%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는 5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는 1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에 대해 10%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의 전체적인 항복강도가 감소하여 탄성 부재를 폴딩 또는 이를 원복하는 공정에서 탄성 부재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1200)의 두께(T2)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에 대해 2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적인 방열 특성이 저하되고,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때, 추가적인 방열층이 요구될 수 있고, 열에 의한 탄성 부재(1000)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는 앞서 설명한 패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과 대응되는 상기 제 1 층(1100)에는 상기 제 1-1 패턴부(PA1-1)가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과 대응되는 상기 제 3 층(1300)에는 상기 제 1-2 패턴부(PA1-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상기 제 1 층(1100)에는 상기 제 2-1 패턴부(PA2-1)가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상기 제 3 층(1300)에는 상기 제 2-2 패턴부(PA2-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 1-1 패턴부(PA1-1), 상기 제 1-2 패턴부(PA1-2),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상기 탄성 부재(1000)를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바닥면은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의 경계면과 일정한 거리 만큼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바닥면은 상기 제 2 층 및 상기 제 3 층의 경계면과 일정한 거리 만큼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면(1S)에서 개구되어, 상기 제 2 면(2S)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2 면(2S)에서 개구되어, 상기 제 1 면(1S)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는 상기 제 1 층(1100)을 부분적으로 식각하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바닥면은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의 경계면과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상기 제 3 층(1300)을 부분적으로 식각하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바닥면은 상기 제 3 층(1300)과 상기 제 2 층(1200)의 경계면과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1 패턴부(PA1-1)와 상기 제 1-2 패턴부(PA1-2), 상기 제 2-1 패턴부(PA2-1)와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서로 연통되지 않고, 각각 제 1 층(1100) 및 제 3 층(13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들이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형성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향상된 방열 특성 및 폴딩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항복 강도가 작은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상기 패턴부들이 형성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항복 강도가 큰 상기 제 2 층(1200)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의 소성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상기 제 2 층(1200)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에 배치되는 패턴부들에 의해 탄성 부재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탄성 부재를 용이하게 폴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면(1S) 및 상기 제 2 면(2S)에 모두 패턴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면(1S) 및 상기 제 2 면(2S)의 응력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 부재를 제 1 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구부리거나 제 2 면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릴 때 유사한 폴딩 신뢰성을 가질 수 있어, 폴딩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1 패턴부(PA1-1), 상기 제 1-2 패턴부(PA1-2),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을 전체적으로 식각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는 상기 제 1 층(1100)을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상기 제 3 층(1300)을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는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의 경계면까지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상기 제 3 층(1300) 및 상기 제 2 층(1200)의 경계면까지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내측면과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바닥면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내측면은 상기 제 1 층(11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바닥면은 상기 제 2 층(12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내측면과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바닥면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내측면은 상기 제 3 층(13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바닥면은 상기 제 2 층(12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1 패턴부(PA1-1), 상기 제 1-2 패턴부(PA1-2),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제 3 층(1300)을 식각하며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패턴부(PA1-1), 상기 제 1-2 패턴부(PA1-2), 상기 제 2-1 패턴부(PA2-1)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을 전체적으로 시각하고, 상기 제 2 층(1200)을 부분적으로 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는 상기 제 1 층(1100)에서는 상기 제 1 층(1100)을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층(1200)에서는 상기 제 2 층(1200)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바닥면은 상기 제 2 층(1200)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내측면은 깊이에 따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내측면의 일부분은 상기 제 1 층(11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내측면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 2 층(12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내측면과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바닥면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내측면의 일 부분은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바닥면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1 패턴부(PA1-1) 및 상기 제 2-1 패턴부(PA2-1)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바닥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바닥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는 상기 제 3 층(1300)에서는 상기 제 3 층(1300)을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층(1200)에서는 상기 제 2 층(1200)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바닥면은 상기 제 2 층(1200)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내측면은 깊이에 따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내측면의 일부분은 상기 제 3 층(13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내측면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 2 층(12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내측면과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바닥면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내측면의 일 부분은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바닥면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내측면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 1-2 패턴부(PA1-2) 및 상기 제 2-2 패턴부(PA2-2)의 바닥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향상된 폴딩 신뢰성 및 방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열전도가 높은 제 1 층 및 제 3 층의 두께를 제 2 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탄성 부재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 및 제 3 층에 패턴부를 형성하여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인가되는 압축 응력을 감소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탄성 부재를 용이하게 폴딩할 수 있다.
또한, 항복 강도가 높은 제 2 층에는 별도의 패턴부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제 2 층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변형률이 높은 상기 제 2 층에 의해 폴딩 또는 원복 중 발생하는 탄성 부재의 소성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향상된 폴딩 신뢰성을 가질 수 있고, 향상된 방열 특성을 가지므로, 별도의 방열층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탄성 부재 또는 탄성 부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 상에는 패널(20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패널(2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패널(2000)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100, 110, 120)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층(1200) 또는 제 3 층(1300) 상에는 상기 패널(20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2000)은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축전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는 복 수개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고, 저전력, 높은 휘도 등의 이유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과, 게이트 라인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화소 회로를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터치 기능 없이 단순히 영상만을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터치 패널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은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에 의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되는 입력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의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널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터치 전극을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호층(3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탄성 부재(1000)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층(3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0)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0)은 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3000)은 블랙계열의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0)은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3000)은 구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층(3000)의 열전도도를 향상시켜, 상기 보호층(300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3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호층(3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3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을 합한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3000)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을 합한 면적에 대해 80% 내지 90%의 면적의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3000)의 두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층(3000)의 두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층 및 제 2 층의 두께 합 또는 상기 제 1 층, 상기 제 2 층 및 상기 제 3 층의 두께 합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도 23 및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탄화층(4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패턴부가 홀 형상인 경우, 또는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제 1 층, 제 2 층 및 제 3 층을 포함하고, 제 1 층 및 제 3 층에 패턴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패널과 접착되는 상기 제 3 층의 접착면을 평탄화하기 위해, 상기 탄성 부재 상에 평탄화층(40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평탄화층(4000) 사이에 제 1 접착층(110)이 배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평탄화층(4000)이 접착되고, 상기 평탄화층(4000)과 상기 패널(2000) 사이에 제 2 접착층(120)이 배치되어 상기 평탄화층(4000)과 상기 패널(2000)이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표시 패널(2000) 사이에 접착층을 배치할 때, 상기 패턴부들에 의해 영역마다 접착층의 두께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불균일한 접착층의 두께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표시 패널(2000)의 접착력 저하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살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패널의 상면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폴딩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대 방향으로 휘어질수도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보호층의 하면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폴딩될수도 있다.
도 28은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가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는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는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반복적으로 폴딩 또는 원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제 1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층은 상기 제 2 층의 상기 제 2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층의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복수의 홀 또는 홈을 포함하는 패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층의 두께보다 큰 탄성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 사이에는 접착층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층의 두께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 이상인 탄성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열전도도는 상기 제 2 층의 열전도도보다 큰 탄성 부재.
  4.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탄성 부재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층의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복수의 홀 또는 홈을 포함하는 패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층의 열전도도는 상기 제 2 층의 열전도도보다 큰 탄성 부재.
  5. 상기 제 2 층의 항복 강도는 상기 제 1 층의 항복 강도보다 큰 탄성 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열전도도는 20W/mk 이상이고,
    상기 제 2 층의 항복 강도는 0.7㎬ 이상인 탄성 부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층의 두께보다 큰 탄성 부재.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은 직접 접촉하는 탄성 부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의 계면에는 확산부가 배치되고,
    상기 확산부는 상기 제 1 층의 물질 및 상기 제 2 층의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 사이에는 접착층이 배치되는 탄성 부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층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 2 층의 두께 이상인 탄성 부재.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탄성 부재.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 상에 배치되는 제 3 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층의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복수의 홀 또는 홈을 포함하는 패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층의 항복 강도는 상기 제 3 층의 항복 강도보다 크고,
    상기 제 3 층의 열전도도는 상기 제 2 층의 열전도도보다 큰 탄성 부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 및 상기 제 3 층은 서로 직접 접촉하는 탄성 부재.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층의 두께보다 큰 탄성 부재.
  16. 제 1 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의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 상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하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의 면적은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면적의 합보다 작고,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상기 탄성 부재의 두께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패널과 마주보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제 2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79402A 2020-06-29 2020-06-29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01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402A KR20220001255A (ko) 2020-06-29 2020-06-29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02180051875.2A CN115968491A (zh) 2020-06-29 2021-06-18 弹性构件和包括该弹性构件的显示设备
JP2022580482A JP7478856B2 (ja) 2020-06-29 2021-06-18 弾性部材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PCT/KR2021/007688 WO2022005070A1 (ko) 2020-06-29 2021-06-18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21831605.7A EP4174972A1 (en) 2020-06-29 2021-06-18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18/013,315 US20230301043A1 (en) 2020-06-29 2021-06-18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402A KR20220001255A (ko) 2020-06-29 2020-06-29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55A true KR20220001255A (ko) 2022-01-05

Family

ID=7931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402A KR20220001255A (ko) 2020-06-29 2020-06-29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01043A1 (ko)
EP (1) EP4174972A1 (ko)
JP (1) JP7478856B2 (ko)
KR (1) KR20220001255A (ko)
CN (1) CN115968491A (ko)
WO (1) WO20220050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4677A (zh) * 2020-05-25 2020-08-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EP4336980A1 (en) * 2021-07-20 202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163B1 (ko) 2008-05-16 2015-07-28 신닛테츠스미킹 마테리알즈 가부시키가이샤 가요성 디스플레이용 스테인리스 강박
KR101181573B1 (ko) * 2010-12-27 2012-09-10 율촌화학 주식회사 방열 시트
KR101419426B1 (ko) * 2012-03-16 2014-07-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방열시트
KR102615978B1 (ko) * 2016-09-30 2023-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207381404U (zh) 2017-08-31 2018-05-1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器件
CN109699151B (zh) * 2017-10-20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膜状散热构件、可折弯显示装置以及终端设备
KR102498621B1 (ko) 2017-12-29 2023-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46713B1 (ko) 2018-04-26 2023-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JP2019219545A (ja) 2018-06-21 2019-12-26 彰 平井 高硬度フレキシブル積層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102587879B1 (ko) 2018-11-23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96955B (zh) 2019-11-13 2021-12-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屏和电子设备
CN110853520B (zh) 2019-11-28 2022-0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折叠支撑件、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2493A (ja) 2023-07-28
JP7478856B2 (ja) 2024-05-07
US20230301043A1 (en) 2023-09-21
CN115968491A (zh) 2023-04-14
WO2022005070A1 (ko) 2022-01-06
EP4174972A1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340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841746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JP6313408B2 (ja) 曲面表示装置
EP4174972A1 (en)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N114730534B (zh) 显示器用基板
KR1024558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32813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28830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9839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1014301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42999A (ko) 탄성 부재
CN116097335A (zh) 弹性构件及包括其的显示装置
KR2022009858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182433A1 (en) Elastic member
KR2023005721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2579A (ko) 탄성 부재
CN113963632B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230031732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34798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48734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36010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59097A (ko)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
KR202200454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5968460A (zh) 弹性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