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839A - 디스플레이용 기판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839A
KR20210019839A KR1020190098960A KR20190098960A KR20210019839A KR 20210019839 A KR20210019839 A KR 20210019839A KR 1020190098960 A KR1020190098960 A KR 1020190098960A KR 20190098960 A KR20190098960 A KR 20190098960A KR 20210019839 A KR20210019839 A KR 20210019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ubstrate
region
display substrat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훈
김해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9839A/ko
Priority to US17/635,058 priority patent/US20220293870A1/en
Priority to PCT/KR2020/009877 priority patent/WO2021029568A1/ko
Publication of KR2021001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제 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일면에서 상기 타면 방향으로 제 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타면에는 상기 타면에서 상기 일면 방향으로 제 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기판{SUBSTRATE FOR DISPLAY}
실시예는 웨이브니스(waveness)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시 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휴대나 보관시에는 접거나 일부를 벤딩한 형태로 있다가, 영상을 표시할 때는 디스플레이를 펼친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영역을 늘리는 동시에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거나 구부린 후, 이를 다시 펼치는 원복 공정 등이 반복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이 반복되므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은 일정한 강도 및 탄성이 요구되며, 이러한 폴딩 및 원복시 기재에 크랙 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한편,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반적으로 금속 기판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금속 기판에는 폴딩에 따른 응력의 분산을 위해, 금속 기판의 폴딩 영역 또는 언폴딩 영역에 홀 또는 홈 등의 응력완화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 기판의 경우, 패턴 형성 전 냉간 압연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금속 기판의 표면에는 랜덤한 웨이브니스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웨이브니스는 금속 기판의 표면에 변형을 야기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신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금속 기판의 표면 웨이브니스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요구된다.
실시예는 기판 표면의 웨이브니스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기판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제 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일면에서 상기 타면 방향으로 제 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타면에는 상기 타면에서 상기 일면 방향으로 제 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응력을 완화하는 홀 및 응력을 제어하는 제 1 홈 및 제 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에 복수의 제 1 홀들이 형성됨으로써, 폴딩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폴딩에 의해 디스플레이용 기판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에 복수의 제 1 홈 및 제 2 홈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두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로 형성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에 인위적인 웨이브니스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서로 교대로 형성되는 제 1 홈 및 제 2 홈에 의해 전체적으로 물결 형상으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용 기판에 형성되는 웨이브니스를 특정 영역에 형성되도록 응력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폴딩 후 원복할 때,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형상 유지력을 확보하면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판을 폴딩할 때는 관통홀에 의해 응력을 분산시켜,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폴딩 후 원복할 때는, 홈에 의해 응력을 제어하여, 형상유지력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폴딩 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폴딩 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타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타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B-B'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기판(100) 및 상기 기판(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상기 표시 패널(2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은 상기 표시 패널(200)을 지지하는 지지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금속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금속, 금속 합금, 플라스틱, 복합 재료(예컨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자성 또는 전도성 재료, 유리 섬유 강화 재료 등), 세라믹, 사파이어,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플렉서블하거나 폴더블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은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벤딩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적어도 2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기판(100)이 폴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폴딩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기판(100)이 폴딩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언폴딩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기판(100)은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상기 표시 패널(200) 등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효 영역(AA)은 표시패널 장착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표시 패널(200) 등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상기 유효 영역(AA)을 둘러싸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베젤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약 1000㎛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약 30㎛ 내지 10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두께가 약 1000㎛를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폴딩할 때, 상기 기판(100)의 두께에 의해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기판(100)의 두께가 약 30㎛ 미만인 경우, 상기 기판(100)의 강도가 저하되어, 지지기판으로서의 역할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은 상기 기판(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표시 패널(200)은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축전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는 복 수개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고, 저전력, 높은 휘도 등의 이유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은 기재, 기재 상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과, 게이트 라인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200)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화소 회로를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터치 패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은 상기 표시 패널(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터치 패널(300)은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터치 기능 없이 단순히 영상만을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터치 패널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은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에 의해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되는 입력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의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널(300)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터치 전극을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터치 패널(300)의 상부 또는 상기 표시 패널(200)의 상부(터치 패널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100), 상기 표시 패널(2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은 접착층 등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100)과 상기 표시 패널(200)을 접착할 때, 상기 기판(100)의 제 1 영역 즉, 폴딩 영역에는 접착층이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 2 영역 즉, 언폴딩 영역에만 접착층이 배치되어 서로 접착되거나, 또는 1, 2 영역의 전면에 접착층을 배치하여 접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은 일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일면(1S) 및 상기 일면(1S)과 반대되는 타면(2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일면(1S)은 상기 표시 패널(200)과 마주보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기판(100)의 타면(2S)은 상기 일면(1S)과 과 반대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 패널(200)은 상기 기판(100)의 일면(1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상기 일면(1S) 또는 타면(2S)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과 같이 상기 기판(100)에서 상기 일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기판(100)은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기판(100)을 상기 일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 정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기판(100)은 폴딩이 되는 영역(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과 폴딩되지 않는 영역(언폴딩 영역)인 제 2 영역(2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은 상기 기판(100)이 구부러지는 영역인 제 1 영역(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구부러지지 않고, 상기 제 1 영역(1A)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기판(100)이 구부러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역(1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1A)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2 영역(2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기판(1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하나의 기판(100) 에서 분리되지 않고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상기 제 1 영역(1A)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A)이 기판(1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기판(1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가 비대칭이 되도록 상기 기판(1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기판이 폴딩된 후를 도시한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은 폴딩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자세하게, 폴딩축을 따라 상기 일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상기 기판(1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에는 상기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언폴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은 일방향으로 폴딩되어, 언폴딩 영역, 폴딩 영역, 언폴딩 영역의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기판(100)을 폴딩할 때 발생하는 응력의 제어 및 분산을 위해 복수의 홈 및 복수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에 형성되는 홀 및 홈 등의 패턴을 설명한다.
먼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세하게, 도 6은 상기 기판(100)이 폴딩될 때, 폴딩 내측면인 기판의 일면(1S)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기판(100)이 폴딩될 때, 폴딩 외측면인 기판의 타면(2S)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6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을 관통하는 복수의 홀들 및 복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상기 제 1 영역(1A)에는 제 1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폴딩 영역에는 복수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제 1 영역(1A)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홀(H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의 폴딩 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홀(H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1 영역(1A)에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A)에 형성되는 행 방향으로 3개, 열 방향으로 5개의 제 1 홀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상기 제 1 영역(1A)에는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제 1 홀들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이하의 단면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1 영역이 폴딩될 때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켜, 디스플레이용 기판에 인가되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홀(H1)은 응력완화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이 폴딩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에 의해 상기 기판의 제 1 영역(1A)에서는 응력에 따른 변형,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영역(1A)에 복수의 제 1 홀(H1)들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영역(1A)의 특정 영역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0)이 폴딩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에 의해서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1 영역(1A)에서 규칙적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1 영역(1A)에서 불규칙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은 곡면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홀(H1)은 타원 형상, 반구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의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홀(H1)은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에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1S)에는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형성되는 제 1 홈(G1)들이 형성될 수 있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타면(2S)에는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형성되는 제 2 홈(G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1 영역(1A) 상에서 상기 제 1 홀(H1)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에 잔류하는 응력을 제어하는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은 응력제어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이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 및 타면은 일면과 타면의 응력 차이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고, 실시에는 상기 휘어지는 영역의 방향을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에 의해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웨이브니스(waveness)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형상의 웨이브니스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웨이브니스에 의해 폴딩 후 원복할 때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형상 유지력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1S)에서 상기 타면 (2S)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홈(G1)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1S)을 관통하고, 상기 타면(2S)은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타면(2S)에서 상기 일면(1S)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홈(G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타면(2S)을 관통하고, 상기 일면(1S)은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들은 상기 폴딩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홈(G1)들은 상기 폴딩축과 수평한 방향의 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홈(G2)들은 상기 폴딩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홈(G2)들은 상기 폴딩축과 수평한 방향의 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제 2 홈(G2)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 방향(Y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홈(G1)은 상기 제 2 홈(G2)이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타면(2S)과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1S)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1 홈(G1)이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1S)과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타면(2S)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 방향과 수직인 방향(X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1S)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타면(2S)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홈(G2)의 간격(S)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은 약 30㎛ 내지 1000㎛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1S)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타면(2S)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T)보다 큰 거리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제 2 홈(G2)의 간격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제 2 홈(G2)의 간격이 너무 작아져서, 공정 중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제 2 홈(G2)이 중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응력을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G1)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홈(G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홈(G1)들 사이에는 하나의 제 2 홈(G2)만이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제 2 홈(G2)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홈(G2)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G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홈(G2)들 사이에는 하나의 제 1 홈(G1)만이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제 1 홈(G1)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G1)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T)의 50% 이하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T)의 50% 이하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의 깊이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T)의 50%를 초과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에서의 응력 차이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형상 변형이 심화되어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평탄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힌지부의 형성 유무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폴딩 영역과 언폴딩 영역은 상기 힌지부의 형성 유무로 구분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에는 복수의 힌지부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2A)에는 힌지부들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폴딩 영역은 힌지부(HN)가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기판(100)에서 폴딩이 시작되는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은 복수의 힌지부들 중 양 끝단의 힌지부에서부터 폴딩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기판(100)의 폴딩 형상에 따라 복수의 힌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기판(100)의 폭 방향의 단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홀(H)이 형성되는 열 방향과 중첩되는 기판(100)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부(HN)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을 폴딩할 때. 상기 폴딩 영역을 용이하게 폴딩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기판(100)의 끝단 영역 중 단방향 영역의 일면 및 타면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기판(100)의 끝단 영역 중 상기 단방향의 양 끝단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의 형상은 상기 제 1 홀(H1)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힌지부(HN)는 곡면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힌지부(HN)는 타원 형상, 반구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의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힌지부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제 2 홀(H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제 2 영역(2A)에 형성되는 제 2 홀(H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 2 영역(2A)에는 제 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전 영역에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A)에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2 홀(H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기판(100)의 일면(1S) 및 타면(2S)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홀(H2)은 폴딩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일면(1S)과 폴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타면(2S)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1 홀(H1)이 형성되는 제 1 영역(1A)과의 열에 의한 변형 차이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모두 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영역(1A)의 열에 의한 변형과 상기 제 2 영역(1A)의 열에 의한 변형의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휘거나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응력 차이를 완화하여 응력 차이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홀(H2)들은 상기 제 2 영역(2A)에서 규칙적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홀(H2)들은 상기 제 2 영역(2A)에서 불규칙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H2)은 곡면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홀(H2)은 타원 형상, 반구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의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2 홀(H2)은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홀(H1)과 상기 제 2 홀(H2)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홀(H1)과 상기 제 2 홀(H2)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에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1S)에는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형성되는 제 1 홈(G1)들이 형성될 수 있고,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타면(2S)에는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형성되는 제 2 홈(G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홈(G1)은 상기 제 1 영역(1A)에서 상기 제 1 홀(H1)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2 영역(2A)에서 상기 제 2 홀(H2)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에 잔류하는 응력을 제어하는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은 응력제어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이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 및 타면은 일면과 타면의 응력 차이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고, 실시에는 상기 휘어지는 영역의 방향을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에 의해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웨이브니스(waveness)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형상의 웨이브니스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웨이브니스에 의해 폴딩 후 원복할 때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형상 유지력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1S)을 관통하고, 상기 타면(2S)은 관통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제 2홈(G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타면(2S)을 관통하고, 상기 일면(1S)은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들은 상기 폴딩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홈(G1)들은 상기 폴딩축과 수평한 방향의 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홈(G2)들은 상기 폴딩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홈(G2)들은 상기 폴딩축과 수평한 방향의 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제 2 홈(G2)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홈(G1)은 상기 제 2 홈(G2)이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타면(2S)과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1S)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1 홈(G1)이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1S)과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타면(2S)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1S)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타면(2S)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홈(G2)의 간격(S)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은 약 30㎛ 내지 1000㎛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일면(1S)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타면(2S)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T)보다 큰 거리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제 2 홈(G2)의 간격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제 2 홈(G2)의 간격이 너무 작아져서, 공정 중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제 2 홈(G2)이 중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응력을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G1)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홈(G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홈(G1)들 사이에는 하나의 제 2 홈(G2)만이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제 2 홈(G2)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홈(G2)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G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홈(G2)들 사이에는 하나의 제 1 홈(G1)만이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제 1 홈(G1)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G1)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T)의 50% 이하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T)의 50% 이하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의 깊이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두께(T)의 50%를 초과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에서의 응력 차이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형상 변형이 심화되어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평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응력을 완화하는 홀 및 응력을 제어하는 제 1 홈 및 제 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에 복수의 제 1 홀들이 형성됨으로써, 폴딩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폴딩에 의해 디스플레이용 기판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에 복수의 제 1 홈 및 제 2 홈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두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로 형성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에 인위적인 웨이브니스를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에 의해 영역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을 기준으로, 제 2-1 영역(2-1A) 및 제 2-3 영역(2-3A)은 상기 기판의 타면(2S)에 제 2 홈이 형성된 영역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제 2 홈이 형성된 타면이 함몰되어 상기 일면(1S)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2 영역(2-2A)은 상기 기판의 일면(2S)에 제 1 홈이 형성된 영역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제 1 홈이 형성된 일면이 함몰되어 상기 타면(2S)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일면(1S)에서는 상기 제 1 홈이 형성되는 일면과 상기 제 1 홈이 형성되지 않는 일면의 거리(d)가 약 1㎜ 이하만큼 차이나도록 휘어질 수 있고, 상기 타면(2S)에서는 상기 제 2 홈이 형성되는 일면과 상기 제 2 홈이 형성되지 않는 일면은 약 1㎜ 이하 만큼 차이나도록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은 서로 교대로 형성되는 제 1 홈 및 제 2 홈에 의해 전체적으로 물결 형상으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에 형성되는 웨이브니스를 특정 영역에 형성되도록 응력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폴딩 후 원복할 때,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의 형상 유지력을 확보하면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은 기판을 폴딩할 때는 관통홀에 의해 응력을 분산시켜,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폴딩 후 원복할 때는, 홈에 의해 응력을 제어하여, 형상유지력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반복적으로 폴딩 또는 원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제 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일면에서 상기 타면 방향으로 제 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타면에는 상기 타면에서 상기 일면 방향으로 제 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폴딩축과 수직한 방향의 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의 간격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두께 방향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두께보다 큰 디스플레이용 기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및 상기 2 홈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두께의 50% 이하의 깊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홀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들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이 형성되는 일면과 상기 제 1 홈이 형성되지 않는 일면의 거리 및 상기 제 2 홈이 형성되는 타면과 상기 제 1 홈이 형성되지 않는 타면의 거리는 각각 1㎜ 이하인 디스플레이용 기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1 홀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홀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 및 제 2 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 상에서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2 홀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홀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 및 제 2 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9.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1 영역; 및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제 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일면에서 상기 타면 방향으로 제 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타면에는 상기 타면에서 상기 일면 방향으로 제 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의 간격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두께 방향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두께보다 큰 디스플레이용 기판.
    상기 제 1 홈 및 상기 2 홈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두께의 50% 이하의 깊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098960A 2019-08-13 2019-08-13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10019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960A KR20210019839A (ko) 2019-08-13 2019-08-13 디스플레이용 기판
US17/635,058 US20220293870A1 (en) 2019-08-13 2020-07-27 Substrate for display
PCT/KR2020/009877 WO2021029568A1 (ko) 2019-08-13 2020-07-27 디스플레이용 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960A KR20210019839A (ko) 2019-08-13 2019-08-13 디스플레이용 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839A true KR20210019839A (ko) 2021-02-23

Family

ID=7468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960A KR20210019839A (ko) 2019-08-13 2019-08-13 디스플레이용 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98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7061A (zh) * 2022-05-23 2022-08-1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盖板的制作方法以及柔性盖板
CN115116322A (zh) * 2021-03-17 2022-09-27 达运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金属背板及使用该背板的可折叠显示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6322A (zh) * 2021-03-17 2022-09-27 达运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金属背板及使用该背板的可折叠显示设备
CN114927061A (zh) * 2022-05-23 2022-08-1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盖板的制作方法以及柔性盖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9060B2 (en) Electronic device
US10014490B2 (en) Flexible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1841746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012198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554304B1 (ko) 보강된 부분을 갖는 배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TWI614593B (zh) 折疊式顯示裝置
US20220293870A1 (en) Substrate for display
US9927935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30018777A1 (en) Elastic member
KR20210148189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CN208766968U (zh) 一种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KR20210061604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10019839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CN109270759A (zh) 阵列基板和显示面板
KR20210028830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9803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10013867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977414B2 (en) Elastic member
KR2021014301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454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2579A (ko) 탄성 부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