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867A -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867A
KR20210013867A KR1020190091609A KR20190091609A KR20210013867A KR 20210013867 A KR20210013867 A KR 20210013867A KR 1020190091609 A KR1020190091609 A KR 1020190091609A KR 20190091609 A KR20190091609 A KR 20190091609A KR 20210013867 A KR20210013867 A KR 20210013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rea
display
region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훈
김해식
백지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3867A/ko
Priority to CN202410186496.XA priority patent/CN118015925A/zh
Priority to CN202080054681.3A priority patent/CN114207697B/zh
Priority to PCT/KR2020/009587 priority patent/WO2021020793A1/ko
Priority to US17/629,458 priority patent/US20220223074A1/en
Publication of KR20210013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용 기판은, 표시패널 장착영역 및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1 영역 및;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의 표시패널 장착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의 베젤 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요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SUBSTRATE FOR DISPLAY AND DISPLAY APPLICATION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시 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휴대나 보관시에는 접거나 일부를 벤딩한 형태로 있다가, 영상을 표시할 때는 디스플레이를 펼친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영역을 늘리는 동시에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거나 구부린 후, 이를 다시 펼치는 원복 공정 등이 반복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이 반복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은 일정한 강도 및 탄성이 요구되며, 이러한 폴딩 및 원복시 기재에 크랙 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반적으로 금속 기판을 사용한다. 이러한 금속 기판은 제조시 압연 공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때 압연 공정에 의해, 기판의 표면에 불규칙한 웨이브니스(waviness)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웨이브니스는 기판의 표면 조도를 증가시켜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이 반복되면서, 기판의 일 영역에 들뜸 현상(curl)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폴딩 영역에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기판을 폴딩할 때, 폴딩 영역이 평탄화되지 못해 폴딩 영역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폴딩 불량이 발생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에서 폴딩 영역의 웨이브니스 및 들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요구된다.
실시예는 신뢰성 및 시인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용 기판은, 표시패널 장착영역 및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1 영역 및;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의 표시패널 장착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의 베젤 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요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판의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과 중첩되는 기판의 영역 상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지 않는 기판의 영역 상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과 중첩되는 기판의 영역에는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기판 면에는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만 홈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기판이 폴딩될 때 응력이 분산되는 효과와 함께 표시 패널과 기판이 접착할 때, 홈 패턴에 의한 얼룩 등의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는 홀 패턴을 형성하여, 기판이 폴딩될 때 응력이 분산되는 효과와 함께 기판의 상하부의 응력 차이에 따른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휨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패턴에 따른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폴딩 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폴딩 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B-B'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C-C'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D-D'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E-E'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F-F'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기판(100) 및 상기 기판(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상기 표시 패널(2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은 상기 표시 패널(200)을 지지하는 지지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금속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금속, 금속 합금, 플라스틱, 복합 재료(예컨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자성 또는 전도성 재료, 유리 섬유 강화 재료 등), 세라믹, 사파이어,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은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벤딩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적어도 2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기판(100)이 폴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폴딩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기판(100)이 폴딩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언폴딩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기판(100)은 표시패널 장착영역(AA) 및 베젤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 장착영역(AA)은 상기 표시 패널(200) 등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베젤 영역(UA)은 상기 표시 패널(200) 등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상기 표시패널 장착영역(AA)을 둘러싸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약 0.2㎜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약 0.05㎜ 내지 0.2㎜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두께가 약 0.2㎜를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폴딩할 때, 상기 기판(100)의 두께에 의해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기판(100)의 두께가 약 0.05㎜ 미만인 경우, 상기 기판(100)의 강도가 저하되어, 지지기판으로서의 역할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은 상기 기판(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표시 패널(200)은 상기 기판(100)의 표시패널 장착영역(A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축전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는 복 수개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고, 저전력, 높은 휘도 등의 이유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은 기재, 기재 상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과, 게이트 라인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200)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화소 회로를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터치 패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은 상기 표시 패널(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터치 패널(300)은 상기 기판(100)의 표시패널 장착영역(AA)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터치 기능 없이 단순히 영상만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터치 패널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은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되는 입력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의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널(300)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터치 전극을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터치 패널(300)의 상부 또는 상기 표시 패널(200)의 상부(터치 패널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100), 상기 표시 패널(2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은 접착층 등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100)과 상기 표시 패널(200)을 접착할 때, 상기 기판(100)의 제 1 영역 즉, 폴딩 영역에는 접착층이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 2 영역 즉, 언폴딩 영역에만 접착층이 배치되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폴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딩 영역의 표면 평탄도가 낮아지고, 폴딩 영역의 곡률 즉, 평탄도가 커지는 경우, 폴딩 중 폴딩 영역이 손상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100)과 상기 표시 패널(200)을 접착할 때, 상기 기판(100)에 형성되는 패턴들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의 점등 불균일 및/또는 패턴에 따른 얼룩 등이 발생하여 외부에서 바라보는 사용자에게 있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100)은 이러한 기판의 패턴에 따른 상기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것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은 일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일면(1S) 및 상기 일면(1S)과 반대되는 타면(2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일면(1S)은 상기 표시 패널(200)과 마주보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기판(100)의 타면(2S)은 상기 일면(1S)과 과 반대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 패널(200)은 상기 기판(100)의 일면(1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상기 일면(1S) 또는 타면(2S)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과 같이 상기 기판(100)에서 상기 일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기판(100)은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기판(100)을 상기 일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 정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기판(100)은 폴딩이 되는 영역(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과 폴딩되지 않는 영역(언폴딩 영역)인 제 2 영역(2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은 상기 기판(100)이 구부러지는 영역인 제 1 영역(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구부러지지 않고, 상기 제 1 영역(1A)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기판(100)이 구부러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역(1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1A)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2 영역(2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기판(1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하나의 기판(100) 에서 분리되지 않고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상기 제 1 영역(1A)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A)이 기판(1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기판(1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가 비대칭이 되도록 상기 기판(1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기판이 폴딩된 후를 도시한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은 폴딩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자세하게, 폴딩축을 따라 상기 일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상기 기판(1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에는 상기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언폴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은 일방향으로 폴딩되어, 언폴딩 영역, 폴딩 영역, 언폴딩 영역의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기판(100)을 폴딩할 때 발생하는 응력의 분산을 위해 복수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에 형성되는 홀 및 홈을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6은 상기 기판(100)이 폴딩될 때, 폴딩 내측면인 기판의 일면(1S)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을 관통하는 복수의 홈(G)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에 형성되는 홀(H)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의 제 1 영역(1A)에는 상기 기판(100)을 관통하는 복수의 홈(G)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에 형성되는 홀(H)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의 폴딩 영역에는 상기 기판(100)을 관통하는 복수의 홈(G)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에 형성되는 홀(H)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A)에 형성되는 행 방향으로 4개, 열 방향으로 9개의 홈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상기 제 1 영역(1A)에는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홈들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이하의 단면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G) 또는 홀(H)들은 상기 제 1 영역이 폴딩될 때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이 폴딩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에 의해 상기 기판의 제 1 영역(1A)에서는 응력에 따른 변형,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영역(1A)에 복수의 홈(G) 또는 홀(H)들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영역(1A)의 특정 영역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0)이 폴딩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에 의해서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홈(G) 또는 홀(H)들은 상기 제 1 영역(1A)에서 규칙적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홈(G) 또는 홀(H)들은 상기 제 1 영역(1A)에서 불규칙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G) 또는 홀(H)은 곡면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홈(G) 또는 홀(H)은 타원 형상, 반구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의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홈(G) 또는 홀(H)은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힌지부의 형성 유무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폴딩 영역과 언폴딩 영역은 상기 힌지부의 형성 유무로 구분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에는 복수의 힌지부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2A)에는 힌지부들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폴딩 영역은 힌지부(HN)가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기판(100)에서 폴딩이 시작되는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은 복수의 힌지부들 중 양 끝단의 힌지부에서부터 폴딩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기판(100)의 폴딩 형상에 따라 복수의 힌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기판(100)의 폭 방향의 단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홈(G) 또는 홀(H)이 형성되는 열 방향과 중첩되는 기판(100)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부(HN)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00)을 폴딩할 때. 상기 폴딩 영역을 용이하게 폴딩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기판(100)의 끝단 영역 중 단방향 영역의 일면 및 타면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기판(100)의 끝단 영역 중 상기 단방향의 양 끝단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의 형상은 상기 홈(G) 또는 홀(H)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힌지부(HN)는 곡면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힌지부(HN)는 타원 형상, 반구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의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힌지부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기판(100)은 영역에 따라 형성되는 패턴 형상이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의 표시패널 장착영역(AA)에는 홈(G)들이 형성되고, 상기 베젤 영역(UA)에는 홀(H)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 장착영역(AA)에는 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표시패널 장착영역(AA)에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홈(G)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G)은 상기 기판(100)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홈(G)은 상기 기판(100)의 일면(1S) 또는 타면(2S)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홈(G)은 상기 기판(100)의 타면(2S)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홈(G)은 상기 기판(100)과 상기 표시 패널이 마주보는 일면(1S)이 아닌 상기 기판(100)과 상기 표시 패널이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인 타면(2S)을 관통하여 상기 일면(1S)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홈(G)들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100)은 상기 표시 패널(200)과 마주보는 일면(1S)에는 홀 또는 홈 등의 패턴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기판의 타면(2S)에만 홈 형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100)과 상기 표시 패널(200)의 접촉 영역에 패턴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패턴에 따른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표시 패널(200)과 상기 기판(100)이 접하는 면에서 상기 기판(100)에 홀 또는 홈 등의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패턴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에서 출사되는 광의 불균일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에서 광의 불균일에 따라 얼룩으로 시인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기판(100)의 타면(2S)에만 홈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100)의 일면(1S) 즉, 상기 표시 패널(200)과 접촉하는 면에는 패턴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폴딩에 따른 응력 완화 효과와 함께 표시 패널에서 출사되는 광의 불균일 분포를 방지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 및 시인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의 표시패널 장착영역(AA)에 형성되는 상기 홈(G)은 일정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홈(G)은 상기 기판의 두께에 대해 0.5배 이하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G)의 깊이가 상기 기판의 두께에 대해 0.5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홈의 깊이로 인해 상기 기판(100)의 일면(1S)에서 상기 홈을 패턴으로 인식하여, 표시 패널에서 출사되는 광의 균일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기판의 전체적인 강도를 저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표면처리 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홀 또는 홈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기판(100)의 일면(1S) 및 타면(2S)을 표면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은 홀 또는 홈을 형성하기 전에 슬리밍(slimming) 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100)의 일면(1S) 및 타면(2S)을 일정 두께 만큼 식각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표면과 내부의 응력이 상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철(Fe), 니켈(Ni) 및 크롬(Cr)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스테인리스(ST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0)은 강성을 위해 냉간 압연 공정을 거치며, 냉간 압연 공정에 의해 상기 기판(100)의 표면 응력이 상기 기판(100)의 내부 응력보다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을 표면처리하지 않고, 상기 표시패널 장착영역에서 상기 기판의 어느 하나의 면에만 홈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일면과 타면의 응력 차이가 발생되어, 상기 기판이 홈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0)에 홈 또는 홀 등의 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기판(100)의 일면 및 타면을 식각 또는 열을 이용한 슬리밍 공정을 통해 일정 두께 이상 식각하여, 상기 기판(100)의 표면과 내부의 응력 차이를 완화하여, 상기 표시패널 장착영역에서 상기 기판의 어느 하나의 면에만 홈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발생되는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의 베젤 영역(UA)에는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홀(H)들은 상기 표시 패널(20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베젤 영역(UA)에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홀(H)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H)은 상기 기판(10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홀(H)은 상기 기판(100)의 일면(1S) 및 타면(2S)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H)은 폴딩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일면(1S)과 폴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타면(2S)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영역(UA)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들은 상기 제 1 영역이 폴딩될 때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이 폴딩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에 의해 상기 기판의 제 1 영역(1A)에서는 응력에 따른 변형,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젤 영역(UA)에 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영역(1A)의 특정 영역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0)이 폴딩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에 의해서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홀(H)들은 상기 베젤 영역(UA)에서 규칙적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홀(H)들은 상기 베젤 영역(UA)에서 불규칙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H)은 곡면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홀(H)은 타원 형상, 반구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의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홀(H)은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판의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과 중첩되는 기판의 영역 상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지 않는 기판의 영역 상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과 중첩되는 기판의 영역에는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기판 면에는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만 홈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기판이 폴딩될 때 응력이 분산되는 효과와 함께 표시 패널과 기판이 접착할 때, 홈 패턴에 의한 얼룩 등의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는 홀 패턴을 형성하여, 기판이 폴딩될 때 응력이 분산되는 효과와 함께 기판의 상하부의 응력 차이에 따른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휨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패턴에 따른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언폴딩 영역에도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재(100)의 제 2 영역에도 홈 및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재(1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도 홈 및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에 형성되는 홈 및 홀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앞서 도 6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홈 및홀은 이하의 도 10 내지 도 13과 같이 다른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A)에는 서로 이격하는 복수 개의 홈 및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영역(2A) 중 상기 기판의 표시패널 장착영역(AA)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2A) 중 상기 기판의 베젤 영역(UA)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0 내지 도 1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구부러지는 영역 이외에 구부러지지 않는 영역에도 홈 및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재의 전 영역에 홈 및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의 열에 의한 변형과 상기 제 2 영역의 열에 의한 변형의 차이를 완화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휘거나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서 열에 따른 변형의 차이가 너무 크게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휘거나 뒤틀림이 생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영역과 2 영역의 경계 영역에서 기재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제 2 영역에도 홀을 형성하여 열 변형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반복적으로 폴딩 또는 원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표시패널 장착영역 및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일면 영역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1 영역 및;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의 표시패널 장착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의 베젤 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에는 표시 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홈은 상기 타면을 관통하여, 상기 일면 방향으로 연장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 두께의 0.5배 이하의 깊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에는 표시 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 장착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는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베젤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의 표시패널 장착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의 베젤 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에는 표시 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홈은 상기 타면을 관통하여, 상기 일면 방향으로 연장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에는 표시 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 장착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는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베젤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기재의 끝단 영역이 개구(open)되는 홀이 형성된 힌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9.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는 표시패널 장착영역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지 않는 베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일면 영역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1 영역 및;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의 표시패널 장착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의 베젤 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의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의 표시패널 장착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의 베젤 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091609A 2019-07-29 2019-07-29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3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09A KR20210013867A (ko) 2019-07-29 2019-07-29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02410186496.XA CN118015925A (zh) 2019-07-29 2020-07-21 显示基板及包括该显示基板的显示装置
CN202080054681.3A CN114207697B (zh) 2019-07-29 2020-07-21 显示基板及包括该显示基板的显示装置
PCT/KR2020/009587 WO2021020793A1 (ko) 2019-07-29 2020-07-21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7/629,458 US20220223074A1 (en) 2019-07-29 2020-07-21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09A KR20210013867A (ko) 2019-07-29 2019-07-29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867A true KR20210013867A (ko) 2021-02-08

Family

ID=7456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609A KR20210013867A (ko) 2019-07-29 2019-07-29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38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1330B2 (en) 2021-05-31 2023-06-20 Samsung Display Co., Ltd. Supporting member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WO2024076093A1 (ko) * 2022-10-07 2024-04-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1330B2 (en) 2021-05-31 2023-06-20 Samsung Display Co., Ltd. Supporting member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WO2024076093A1 (ko) * 2022-10-07 2024-04-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9060B2 (en) Electronic device
US11380856B2 (en) Flexible element,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30035622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20220293870A1 (en) Substrate for display
US11349088B2 (en)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distributed holes
US20180138448A1 (en) Flexible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20230018777A1 (en) Elastic member
US20220223074A1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20220206537A1 (en) Substrate for display
KR2017005791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399521A1 (en) Substrate for display
US9335587B2 (en) Liquid crysta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13867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105840A (ja) バックカバー及びこれを備える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10028830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9839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10019803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20032813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23536175A (ja) 弾性部材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elasticity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977414B2 (en) Elastic member
KR20210132579A (ko) 탄성 부재
KR202200454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182433A1 (en) Elastic member
KR20240048734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31732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