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732A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732A
KR20230031732A KR1020210114286A KR20210114286A KR20230031732A KR 20230031732 A KR20230031732 A KR 20230031732A KR 1020210114286 A KR1020210114286 A KR 1020210114286A KR 20210114286 A KR20210114286 A KR 20210114286A KR 20230031732 A KR20230031732 A KR 20230031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layer
region
area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준
강성원
곽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4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1732A/ko
Priority to TW111131755A priority patent/TW202324335A/zh
Priority to PCT/KR2022/012824 priority patent/WO2023027552A1/ko
Priority to CN202280058521.5A priority patent/CN117897755A/zh
Publication of KR2023003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pring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의 폭은 상기 제 2 영역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 1 영역의 폭은 15㎜ 이상이다.

Description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ELASTICITY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시 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휴대나 보관시에는 접거나 일부를 벤딩한 형태로 있다가, 영상을 표시할 때는 디스플레이를 펼친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영역을 늘리는 동시에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거나 구부린 후, 이를 다시 펼치는 원복 공정 등이 반복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이 반복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은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평탄도가 저하될 수 있다.
자세하게,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 영역은 반복적으로 접고 펴는 과정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영역으로서, 언폴딩 영역에 비해 평탄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영역에서 크랙이 발생하거나, 외부에서 시인되는 주름이 발생하여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이 감소하고,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탄성 부재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반복적인 폴딩 및 원복 공정에서도 낮은 평탄도를 가질 수 있는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의 폭은 상기 제 2 영역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 1 영역의 폭은 15㎜ 이상이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탄성 부재가 폴딩되는 폴딩 영역의 폭을 설정된 크기로 형성하여, 평탄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복되는 폴딩 및 원복 공정에도 폴딩 영역의 형상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평탄도 증가에 의해 폴딩 영역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폴딩 영역의 폭을 15㎜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딩 영역에서 폴딩 및 원복에 따라 발생되는 압축 응력과 인장 응력이 보다 넓은 면적에서 분산될 수 있으므로, 특정 영역에서 응력이 집중되거나, 폴딩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응력을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력의 크기 증가에 의해 함께 증가될 수 있는 평탄도 크기를 감소할 수 있으므로, 탄성 부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고, 폴딩 영역의 변형에 따른 폴딩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폴딩 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폴딩 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평탄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평탄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7 및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9 내지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지지체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1 내지 도 22는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지지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 이를 포함하는 폴딩 지지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탄성 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탄성 부재(1000), 상기 탄성 부재(1000)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2000) 및 터치 패널(3000)을 포함하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표시 패널(20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표시 패널(20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0)을 지지하는 지지기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패널(3000)은 상기 표시 패널(20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패널(3000)은 온셀(On-Cell) 또는 인셀(In-Cell) 방식으로 상기 표시 패널(20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금속 물질 및 비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층은 금속 물질 및 비금속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금속, 금속 합금, 플라스틱, 복합 재료(예컨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자성 또는 전도성 재료, 유리 섬유 강화 재료 등), 세라믹, 사파이어,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플렉서블 하거나 또는 폴더블 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벤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방향(1D) 및 상기 제 1 방향(1D)과 다른 방향인 제 2 방향(2D)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방향은(1D)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1D) 및 상기 제 2 방향(2D)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폭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방향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방향을 상기 폴딩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을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폭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방향을 상기 탄성 부재(10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탄성 부재(1000) 및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폴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폴딩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 및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폴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언폴딩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축전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는 복 수개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고, 저전력, 높은 휘도 등의 이유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과, 게이트 라인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2000)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화소 회로를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0)은 상기 표시 패널(20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0)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터치 기능 없이 영상만을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터치 패널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0)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은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에 의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되는 입력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0)의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널(3000)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터치 전극을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패널(3000)이 상기 표시 패널(20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3000)의 기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기재 또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터치 패널(3000)과 상기 표시 패널(2000)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은 표시 패널(2000) 면적의 90% 이상 내지 11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은 표시 패널(2000) 면적의 95% 이상 내지 105%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은 표시 패널(2000) 면적의 97% 이상 내지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이 표시 패널(2000) 면적의 90% 미만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상기 표시 패널(2000) 또는 상기 터치 패널(300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저하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언폴딩 영역에서 들뜸(curl)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화면 영역을 시인할 때,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고, 터치를 구동할 때, 들뜸 영역에 의해 터치 영역의 화면이 불완전하여 터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이 상기 표시 패널(2000) 면적의 110% 초과하여 커지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0)에 의해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력은 확보될 수 있으나, 상기 탄성 부재,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유효한 화면 영역을 넓게 가져갈 수 없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에 불편을 가져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터치 패널(3000)의 상부 또는 상기 표시 패널(2000)의 상부(터치 패널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0), 상기 표시 패널(20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0)은 접착층 등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탄성 부재(10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면(1S) 및 상기 제 1 면(1S)과 반대되는 제 2 면(2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1 면(1S) 또는 상기 제 2 면(2S)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상기 패널들이 배치되는 면이 마주보도록 구부러지거나 또는 상기 패널들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이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면 및 제 1 면이 교대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다수의 제 1 영역과 다수의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1000)에서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를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 정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폴딩이 되는 영역(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 및 폴딩되지 않는 영역(언폴딩 영역)인 제 2 영역(2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탄성 부재(1000)가 구부러지는 영역인 제 1 영역(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는 구부러지지 않고, 상기 제 1 영역(1A)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구부러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역(1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2 영역(2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2 영역(2A)의 외측에는 상기 제 1 영역(1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탄성 부재(10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하나의 탄성 부재(10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상기 제 1 영역(1A)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은 상기 탄성 부재(1000) 전체 면적의 1% 이상 내지 3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은 상기 탄성 부재(1000) 전체 면적의 5% 이상 내지 2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은 상기 탄성 부재(1000) 전체 면적의 10% 이상 내지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이 상기 탄성 부재(1000) 전체 면적의 1% 미만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 및 복원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폴딩 영역과 언폴딩 영역의 경계면에서 크랙이 발생하여,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이 상기 탄성 부재(1000) 전체 면적의 3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상기 표시 패널(2000)의 폴딩 영역에서 들뜸(curl)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화면 영역을 시인할 때,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고, 터치를 구동할 때, 들뜸 영역에 의해 터치 영역의 화면이 불완전하여 터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A)이 탄성 부재(10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1 영역(1A)의 크기가 비대칭이 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탄성부재가 폴딩 된 후를 도시한 탄성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폴딩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폴딩 될 수 있다. 자세하게, 폴딩 축을 따라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에는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언폴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폴딩되어, 언폴딩 영역, 폴딩 영역, 언폴딩 영역의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폴딩할 때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하고, 응력을 분산하기 위해 복수의 패턴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들에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 4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2 면(2S)들이 마주보도록 폴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축의 중심에서 연장하면서 곡률이 감소(곡률 반경 증가)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폴딩축의 중심에서 연장하면서 곡률이 감소 또는 증가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폴딩축의 중심에서 연장하면서 곡률이 감소하다가 증가하거나, 곡률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 형상은 U자형 형상 뿐만 아니라 다양한 폴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는 폴딩 및 원복을 반복하면서, 폴딩 영역에서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000)는 폴딩 및 원복을 반복하면서, 폴딩 영역의 평탄도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탄성 부재(1000)의 폴딩 영역 주름이 시인될 수 있고, 폴딩 영역에서 크랙이 발생하여 탄성 부재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탄성 부재 폴딩 영역의 크기, 폴딩 영역에 형성되는 패턴 등을 제어하여, 탄성 부재를 폴딩 및 원복할 때 폴딩 영역에서 평탄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과 언폴딩 영역인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으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폭은 상기 제 2 영역(2A)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은 설정된 크기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방향(2D)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1 영역(1A)의 폭(W)은 설정된 크기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폭(W)은 15㎜ 이상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폭(W)은 18㎜ 이상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폭(W)은 20㎜ 이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영역(1A)의 폭(W)은 15㎜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의 폭(W)이 15㎜ 미만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평탄도 크기가 증가하여 탄성 부재(1000)의 폴딩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1A)의 폭(W)이 20㎜ 초과인 경우 상기 제 1 영역(1A)의 폭의 증가로 전체적인 탄성 부재의 크기가 함께 증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복수의 패턴부(PA)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제 1 패턴부(PA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은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폴딩 및 다시 원복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 및 인장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면(1S) 및 상기 제 1 면(1S)과 반대되는 제 2 면(2S)을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상기 제 1 패턴부(PA)는 상기 제 1 면(1S) 또는 상기 제 2 면(2S)에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는 영역인 상기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패턴부(PA1)는 상기 탄성 부재(1000)를 용이하게 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는 영역에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두께가 감소되고, 이에 의해 압축 응력이 감소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1000)를 용이하게 폴딩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2 패턴부(PA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제 2 패턴부(PA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패턴부(PA)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면(1S) 및 상기 제 2 면(2S)을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패턴부(PA)는 상기 제 1 면(1S) 또는 상기 제 2 면(2S)에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지 않는 영역인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물리적 특성을 유사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되는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에서 열에 의한 변형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모두 패턴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1000)에 열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에서 열에 의한 변형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변형 차이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휘어지거나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응력 불균일을 완화하여 탄성 부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패턴부(PA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장방향 및 단방향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패턴부(PA1)의 장방향과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장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단방향과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단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힌지부(HN)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에는 복수의 힌지부(HN)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을 위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끝단 영역을 개구한 영역으로서, 상기 제 1 영역(1A)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탄성 부재(1000)에서 폴딩이 시작되는 지점으로서 상기 힌지부의 형성 유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크기 및 간격은 설정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1)는 제 1 방향(1D)의 제 1 간격(d1), 제 2 방향(2D)의 제 2 간격(d2), 제 1 방향의 높이(H), 제 2 방향의 폭(w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간격(d1)은 설정된 범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간격(d1)은 1㎜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간격(d1)은 0.1㎜ 내지 1㎜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간격(d1)은 0.5㎜ 내지 1㎜일 수 있다.
상기 제 1 간격(d1)이 1㎜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패턴부(PA1)들의 간격이 증가되어,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1 패턴부(PA1)가 형성되지 않는 면적이 증가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1A)에서 발생하는 응력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간격(d2)은 설정된 범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간격(d2)은 0.17㎜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간격(d2)은 0.1㎜ 내지 0.17㎜일 수 있다.
상기 제 2 간격(d2)이 0.17㎜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1 패턴부(PA1)들의 간격이 증가되어, 상기 제 1 패턴부(PA1)가 형성되지 않는 면적이 증가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1A)에서 발생하는 응력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높이(H)는 설정된 범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높이(H)는 10㎜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높이(H)는 1㎜ 내지 1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높이(H)는 5㎜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높이(H)가 1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1 패턴부(PA1)들이 형성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제 1 패턴부(PA1)가 형성되는 면적이 증가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1A)의 탄성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폭(w1)은 설정된 범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폭(w1)은 0.22㎜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폭(w1)은 0.1㎜ 내지 0.22㎜일 수 있다.
상기 폭(w1)이 0.22㎜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1 패턴부(PA1)들이 형성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제 1 패턴부(PA1)가 형성되는 면적이 증가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1A)의 탄성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평탄도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평탄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면(1S) 및 제 2 면(2S)에서 연장하는 기준선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1 면(1S)에서 연장하는 제 1 기준선과 상기 제 2 면(2S)에서 연장하는 제 2 기준선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선은 상기 제 1 면(1S)의 제 2 영역에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기준선은 상기 제 2 면(2S)의 제 2 영역에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폴딩 및 원복을 반복하면서,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과 언폴딩 영역인 제 2 영역(2A) 중 상기 제 1 영역(1A)과 인접한 영역에서 평탄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의 평탄도는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면(1S)은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서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폴딩 영역의 시작점과 높이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2 영역(2A)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높이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제 1 면(1S)은 제 1 기준선 또는 폴딩 영역의 시작점의 하부 부분에서 가장 큰 높이를 가지는 제 1 높이와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폴딩 영역의 시작점의 상부 부분에서 가장 큰 높이를 가지는 제 2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기준선을 0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 1 면(1S)은 상기 제 1 기준선에 대해 음의 최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 1 높이(h1)와 상기 제 1 기준선에 대해 양의 최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 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의 시작점(P1, P2)을 0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 1 면(1S)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시작점(P1, P2)에 대해 음의 최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 1 높이(h1', h1'')와 상기 제 1 영역(1A)의 시작점(P1, P2)에 대해 양의 최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 2 높이(h2', h2'')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평탄도는 상기 제 1 높이(h1, h1' h1'')와 상기 제 2 높이(h2, h2', h2'')의 합(h1+h2, h1'+h2', h1''+h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평탄도는 제 1 기준선 또는 제 1 영역(1A)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음의 최대값 높이와 양의 최대값 높이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면(2S)은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서 상기 제 2 기준선 또는 폴딩 영역의 시작점과 높이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2 영역(2A)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높이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제 2 면(2S)은 제 2 기준선 또는 폴딩 영역의 시작점의 상부 부분에서 가장 큰 높이를 가지는 제 3 높이(h3)와 상기 제 2 기준선 또는 폴딩 영역의 시작점의 하부 부분에서 가장 큰 높이를 가지는 제 4 높이(h4)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기준선을 0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 2 면(2S)은 상기 제 2 기준선에 대해 양의 최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 3 높이(h3)와 상기 제 2 기준선에 대해 음의 최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 4 높이(h4)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의 시작점(P1, P2)을 0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 2 면(2S)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시작점(P1, P2)에 대해 양의 최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 3 높이(h3', h3'')와 상기 제 1 영역(1A)의 시작점(P1, P2)에 대해 음의 최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 4 높이(h4', h4'')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평탄도는 상기 제 3 높이(h3, h3' h3'')와 상기 제 4 높이(h4, h4', h4'')의 합(h3+h4, h3'+h4', h3''+h4'')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평탄도는 제 2 기준선 또는 제 1 영역(1A)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음의 최대값 높이와 양의 최대값 높이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는 앞서 설명한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의 폭을 설정된 크기로 형성하여, 평탄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복되는 폴딩 및 원복 공정에도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의 형상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평탄도 증가에 의해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는 제 1 영역(1A)의 폭을 15㎜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서 폴딩 및 원복에 따라 발생되는 압축 응력과 인장 응력이 보다 넓은 면적에서 분산될 수 있으므로, 특정 영역에서 응력이 집중되거나, 폴딩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응력을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력의 크기 증가에 의해 함께 증가될 수 있는 평탄도 크기를 감소할 수 있으므로, 탄성 부재(1000)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고, 폴딩 영역의 변형에 따른 폴딩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방열 부재 및 방열 부재의 열적 특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sus 기판과 폴리이미드(PI) 기재를 접착층을 통해 접착한 탄성 부재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때, 샘플의 크기는 60㎜*130㎜ 이었고, 폴딩 영역의 폭은 15㎜이었다.
이어서, 상온(25℃)의 온도에서 1.5R의 곡률반경(㎜)으로 탄성 부재 샘플을 20만회 폴딩 후 다시 펴는 원복 공정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탄성 부재 샘플의 중앙 영역에서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30㎜ 길이를 Alpha-step 장비로 측정하여 표면 높이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폴딩 영역의 폭이 10㎜이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탄성 부재 샘플의 중앙 영역에서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30㎜ 길이를 Alpha-step 장비로 측정하여 표면 높이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측정하였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의 표면 높이 차이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3은 비교예에 따른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의 표면 높이 차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높이 차이인 평탄도의 크기가 약 118㎛인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13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높이 차이인 평탄도의 크기가 약 136㎛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의 폭을 비교예에 따른 탄성 부재에 비해 더 크게 하고, 폴딩 영역에서의 응력 분산을 효율적으로 함으로써, 폴딩 영역에서의 평탄도 크기를 감소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폴딩 영역에서 발생되는 단위 면적 당 응력 크기를 비교예에 따른 탄성 부재보다 작게 하여 폴딩 영역에서의 평탄도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탄성 부재의 층 구조를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00), 제 2 층(200) 및 제 3 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00), 상기 제 1 층(100) 상의 제 2 층(200) 및 상기 제 1 층(100)과 상기 제 2 층(200) 사이의 제 3 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00)은 금속 및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 SUS 또는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층(100)은 구리(Cu)와 함께 니켈(Ni), 크롬(Cr), 철(Fe), 티타늄(Ti), 망간(Mn), 몰리브덴(Mo), 은(Ag), 아연(Zn), 질소(N),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은 상기 제 1 층(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은 상기 제 1 층(1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층(100)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제 1 층(100)에는 홀 또는 홈 형상의 복수의 패턴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들에 의해 상기 제 1 층(100)의 표면은 평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층(100) 상에 직접 패널 등을 접착하는 경우, 상기 제 1 층(100)의 표면 특성에 의해 패널과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1 층(100) 상에 상기 제 2 층(200)을 배치하여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상기 패널과 접착되는 접착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층(1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평탄화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은 금속 또는 비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20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특성 중 폴딩 특성 및 강도 중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특성에 따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층(200)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층(200)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 3 층(300)은 상기 제 1 층(100)과 상기 제 2 층(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층(300)은 상기 제 1 층(100)과 상기 제 2 층(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층(100)과 상기 제 2 층(200)을 접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층(3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에서 접착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층(100)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층(100)은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1 층(110) 상의 제 1-2 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서로 다른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열전도도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층(110)은 상기 제 1-2 층(120)보다 열전도도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항복 강도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2 층(120)은 상기 제 1-1 층(110)보다 항복 강도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층(110)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2 층(120)은 SUS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상기 열전도도 및 상기 항복 강도를 만족하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클래드(Clad)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클래드(Clad) 접합이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지 않고 용접, 압연, 주조, 압출 등의 방식으로 상기 제 1-1 층(110)과 상기 제 1-2 층(120)을 접합하는 방식으로서 각 층의 상호 조직을 파괴하여 조직간 침투를 통해 각층의 접합을 안정화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뛰어난 접합력을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연을 통해 서로 다른 층의 층 경계면에서 이종 재료 간의 원자 확산을 유도하여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클래드 접합은 접착재를 이용한 접착과는 달리 곡면가공이 가능하고 접착재를 이용한 접착 보다 원자 확산 접합을 이용하므로 오랜 시간 접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1 층(110)의 두께를 상기 제 1-2 층(120)의 두께보다 더 크게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2 층(120)의 두께를 상기 제 1-1 층(110)의 두께보다 더 크게 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층(110)의 두께 및 상기 제 1-2 층(120)의 두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층(100)은 제 1-1 층(110), 상기 제 1-1 층(110) 상의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2 층(120) 상의 제 1-3 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1 층(110), 상기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층(110), 상기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동일하거나 다른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2 층(120)은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과 상기 제 1-2 층(120)은 열전도도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상기 제 1-2 층(120)보다 열전도도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과 상기 제 1-2 층(120)은 항복 강도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2 층(120)은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보다 항복 강도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2 층(120)은 SUS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제 1-1 층(110), 상기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상기 열전도도 및 상기 항복 강도를 만족하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층(110), 상기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층(110), 상기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앞서 설명한 클래드(Clad)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1-1 층(110), 상기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1 층(110)의 두께 및 상기 제 1-3 층(130)의 두께를 상기 제 1-2 층(120)의 두께보다 더 크게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2 층(120)의 두께를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의 두께보다 더 크게 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층(110)의 두께, 상기 제 1-2 층(120)의 두께 및 상기 제 1-3 층(130)의 두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층은 제 1-1 층, 제 1-2 층 및 제 1-3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상기 제 3 층(300)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 3 층(300)은 상기 제 1 층(10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00) 상에 상기 제 3 층(300)을 배치하고, 상기 제 3 층(300) 상에 상기 제 2 층(200)을 배치한 후, 상기 제 2 층(200) 상에서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 1 층(100) 및 상기 제 2 층(200)을 상기 제 3 층(300)을 통해 접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층(300)은 상기 제 1 층(100)에 형성되는 제 1 패턴부(PA1) 및 제 2 패턴부(PA2)의 내부에는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 1 층(100)의 상면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의 패턴부들 내부에 상기 제 3 층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상기 탄성 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때, 상기 제 3 층에 따른 광의 굴절 및 전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광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 3 층(300)은 상기 제 1 층(10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층(300)은 상기 제 1 층(100)의 제 1 패턴부(PA1) 및 제 2 패턴부(PA2)의 내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층(300)은 도 12와 같이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내부를 모두 채우면서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채우면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00) 상에 상기 제 3 층(300)을 배치하고, 상기 제 3 층(300) 상에 상기 제 2 층(200)을 배치한 후, 상기 제 2 층(200) 상에서 압력을 인가하면서 상기 제 3 층(300)은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내부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메우면서 상기 제 1 층(100) 및 상기 제 2 층(200)을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의 패턴부들 내부에 상기 제 3 층이 배치되므로, 상기 제 3 층을 통해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을 접착할 때, 상기 제 1 층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의 압력이 인가되는 면적을 균일하게 하여 접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의 패턴부들을 통해 불순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폴딩 지지체를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폴딩 지지체는 탄성 부재 및 보호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상기 제 3 층이 상기 제 1 층의 패턴부 내부에 배치되지 않는 폴딩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상기 제 3 층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층이 상기 제 1 층의 패턴부 내부에 배치되는 폴딩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폴딩 지지체는 앞서 설명한 탄성 부재(1000) 및 상기 탄성 부재(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층(100) 또는 제 1-1 층(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보호층(400)과 상기 제 1 층(100) 사이 또는 상기 보호층(400)과 상기 제 1-1 층(110) 사이에는 접착층이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보호층(400)을 상기 접착층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400)은 블랙계열의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400)은 구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층(400)의 열전도도를 향상시켜, 상기 보호층(40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을 합한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을 합한 면적에 대해 80% 내지 90%의 면적의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400)의 두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층(400)의 두께는 상기 탄성 부재(400)의 제 1 층, 제 2 층 및 제 3 층의 두께 합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하,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 지지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폴딩 지지체 및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상기 탄성 부재의 제 3 층이 상기 제 1 층의 패턴부 내부에 배치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3 층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층이 상기 제 1 층의 패턴부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폴딩 지지체 및 상기 폴딩 지지체 상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 및/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층(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지지체는 앞서 설명한 제 1 층(100), 제 2 층(200) 및 상기 제3 층(300)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1000) 및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층(100) 또는 제 1-1 층(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패널층(600) 사이에는 접착층(500)이 배치되고, 상기 접착층(500)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패널층(600)이 접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2 층(200)에 의해 탄성 부재의 접착면을 평탄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패널층은 단차 영향 없이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패널층(600) 사이의 접착층(5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3 층(300)과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접착층(500)은 상기 제 3 층(300)보다 두께가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500)의 두께는 5㎛ 내지 1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500)은 상기 제 3 층(300)보다 접착 특성이 작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접착층(500)의 접착력은 40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500)과 상기 제 3 층(300)은 탄성율이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접착층(500)은 상기 제 3 층과 같은 저장 탄성율, 크리프 회복 및 탄젠트 델타 값을 가지는 탄성율이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접착층(500)은 접착 특성 이외 탄성 특성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도 23은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가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는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는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반복적으로 폴딩 또는 원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의 폭은 상기 제 2 영역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 1 영역의 폭은 15㎜ 이상인 탄성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폭은 15㎜ 내지 20㎜인 탄성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탄성 부재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턴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의 높이 및 제 2 방향의 폭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패턴부의 폭은 0.1㎜ 내지 0.22㎜이고,
    상기 제 1 패턴부의 높이는 5㎜ 내지 10㎜인 탄성 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의 제 1 간격 및 제 2 방향의 제 2 간격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패턴부의 제 1 간격은 0.1㎜ 내지 0.17㎜
    상기 제 1 패턴부의 제 2 간격은 0.5㎜ 내지 1㎜이고,인 탄성 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시작점에서 양의 높이를 가지는 탄성 부재 표면의 제 1 높이와 상기 제 1 영역의 시작점에서 음의 높이를 가지는 탄성 부재 표면의 제 2 높이의 합(제 1 높이+제 2 높이)으로 정의되는 평탄도가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의 평탄도 크기는 100㎛ 내지 130㎛인 탄성 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면의 상기 제 2 영역에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기준선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기준선을 0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 1 기준선에 대해 음의 최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 1 높이와 상기 제 1 기준선에 대해 양의 최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 2 높이의 합(제 1 높이+제 2 높이)으로 정의되는 평탄도가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의 평탄도 크기는 100㎛ 내지 130㎛인 탄성 부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2 면의 상기 제 2 영역에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기준선이 정의되고,
    상기 제 2 기준선을 0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 2 기준선에 대해 양의 최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 1 높이와 상기 제 2 기준선에 대해 음의 최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 2 높이의 합(제 1 높이+제 2 높이)으로 정의되는 평탄도가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의 평탄도 크기는 100㎛ 내지 130㎛인 탄성 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폴딩 지지체.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 하부의 보호층;
    상기 탄성 부재 상의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의 패널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층은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14286A 2021-08-27 2021-08-27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31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286A KR20230031732A (ko) 2021-08-27 2021-08-27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111131755A TW202324335A (zh) 2021-08-27 2022-08-23 彈性部件及具有該彈性部件之顯示裝置
PCT/KR2022/012824 WO2023027552A1 (ko) 2021-08-27 2022-08-26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02280058521.5A CN117897755A (zh) 2021-08-27 2022-08-26 弹性构件和包括该弹性构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286A KR20230031732A (ko) 2021-08-27 2021-08-27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732A true KR20230031732A (ko) 2023-03-07

Family

ID=8532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286A KR20230031732A (ko) 2021-08-27 2021-08-27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30031732A (ko)
CN (1) CN117897755A (ko)
TW (1) TW202324335A (ko)
WO (1) WO20230275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279B1 (ko) * 2017-12-28 2024-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EP3737074B1 (en) * 2019-03-11 2022-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KR20210028772A (ko) * 2019-09-04 2021-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085145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5131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24335A (zh) 2023-06-16
CN117897755A (zh) 2024-04-16
WO2023027552A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10001B (zh) 柔性显示器和包括该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CN104793783B (zh) 触摸窗
JP6490925B2 (ja) タッチウィンドウ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デバイス
US10037114B2 (en) Touch window
EP3144768A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20160066411A1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41746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JP2015103254A (ja) タッチウィンドウ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デバイス
CN114730534B (zh) 显示器用基板
TW201913332A (zh) 觸控顯示裝置
US20240012453A1 (en)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2015026370A (ja) タッチウィンドウ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デバイス
EP4174972A1 (en)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230031732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93187A (ko) 탄성 부재
KR2023005721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4019B1 (ko) 터치 윈도우
KR102275889B1 (ko) 터치 윈도우
US20240017526A1 (en)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N116097335A (zh) 弹性构件及包括其的显示装置
KR20230034798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405972A1 (en)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240048734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69417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59097A (ko)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