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813A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813A
KR20220032813A KR1020200114589A KR20200114589A KR20220032813A KR 20220032813 A KR20220032813 A KR 20220032813A KR 1020200114589 A KR1020200114589 A KR 1020200114589A KR 20200114589 A KR20200114589 A KR 20200114589A KR 20220032813 A KR20220032813 A KR 20220032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region
elastic member
area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민
고상준
박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4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813A/ko
Priority to PCT/KR2021/011944 priority patent/WO2022055185A1/ko
Priority to CN202180061722.6A priority patent/CN116097336A/zh
Priority to US18/025,217 priority patent/US20240012453A1/en
Publication of KR2022003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은 폴딩축에 가까운 제 1-1 영역 및 상기 제 1-1 영역보다 상기 폴딩축에서 먼 제 1-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패턴부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브리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영역의 상기 브리지부의 수는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1-2 영역의 브리지수의 50% 이하이다.

Description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ELASTICITY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시 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휴대나 보관시에는 접거나 일부를 벤딩한 형태로 있다가, 영상을 표시할 때는 디스플레이를 펼친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영역을 늘리는 동시에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거나 구부린 후, 이를 다시 펼치는 원복 공정 등이 반복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이 반복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은 일정한 강도 및 탄성이 요구되며, 이러한 폴딩 및 원복시 기재에 크랙 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한편,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 상에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을 배치하여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폴딩하거나 언폴딩할 때는 인장 응력 및 압축 응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응력에 의해 탄성 부재의 폴딩 영역에서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탄성 부재의 폴딩 영역은 폴딩 영역의 중앙 영역이 폴딩 영역의 외곽 영역보다 응력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폴딩하거나 언폴딩할 때 폴딩 영역의 중앙 영역에서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폴딩 또는 원복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폴딩 후 폴딩 영역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탄성 부재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향상된 폴딩 특성을 가지는 탄성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은 폴딩축에 가까운 제 1-1 영역 및 상기 제 1-1 영역보다 상기 폴딩축에서 먼 제 1-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패턴부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브리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영역의 상기 브리지부의 수는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1-2 영역의 브리지수의 50% 이하이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영역보다 폴딩축에 가까운 제 1-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영역에는 상기 제 1 층을 관통하는 제 1 패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패턴부는 서로 이격하는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턴 및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의 양 끝단까지 연장한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영역보다 폴딩축에 가까운 제 1-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영역에는 상기 제 1 층을 관통하는 제 1 패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패턴부는 서로 이격하는 제 1 패턴, 제 2 패턴 제 3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턴과 상기 제 2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턴과 상기 제 3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의 양 끝단 사이에는 제 1 연결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와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의 양 끝단 사이에는 제 2 연결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패턴, 상기 제 2 패턴 및 상기 제 3 패턴 상기 제 1 연결 패턴 및 상기 제 2 연결 패턴에 의해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폴딩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패턴부의 크기 및 힌지부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폴딩축과 가까운 폴딩 영역에서의 제 1 패턴부의 크기, 면적을 폴딩축과 먼 폴딩 영역의 제1 패턴부보다 더 크게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상대적으로 압축 응력이 더 큰 폴딩축과 가까운 영역에서 폴딩을 용이하게 하고, 인장 응력에 따른 소성 변형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폴딩축과 가까운 폴딩 영역에서의 힌지부의 크기, 면적을 폴딩축과 먼 폴딩 영역의 힌지부보다 더 크게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상대적으로 압축 응력이 더 큰 폴딩축과 가까운 영역에서 폴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폴딩축과 가까운 폴딩 영역에서의 힌지부들의 간격을 폴딩축과 먼 폴딩 영역의 힌지부들의 간격보다 더 작게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상대적으로 압축 응력이 더 큰 폴딩축과 가까운 영역에서 폴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탄성 부재를 용이하게 폴딩할 수 있고, 복원시 인장응력에 따른 소성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폴딩축과 가까운 폴딩 영역의 패턴부를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상대적으로 압축 응력이 더 큰 폴딩축과 가까운 영역에서의 폴딩을 용이하게 하고, 인장 응력에 따른 소성 변형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축과 가까운 영역 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지지부를 배치함에 따라, 지지부의 크기를 제어하여 패턴부의 크기에 의해 탄성 부재 상이 패널 등이 패턴부를 통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패턴부들을 서로 연결하여 패턴부에 따른 응력 감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패턴부들에 의해 응력의 이동을 억제하여 특정 영역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폴딩 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폴딩 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1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2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1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2 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9의 B 영역의 다양한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도, 도 2 및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폴딩 전 및 폴딩 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플렉서블 하거나 또는 폴더블 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벤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금속, 금속 합금, 플라스틱, 복합 재료(예컨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자성 또는 전도성 재료, 유리 섬유 강화 재료 등), 세라믹, 사파이어,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 부재(1000)는 SU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방향(1D) 및 상기 제 1 방향(1D)과 다른 방향인 제 2 방향(2D)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방향(1D)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1D) 및 상기 제 2 방향(2D)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폭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방향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방향을 상기 폴딩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을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폭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방향을 상기 탄성 부재(10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폴딩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언폴딩 영역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면(1S) 및 상기 제 1 면(1S)과 반대되는 제 2 면(2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지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2 면(2S)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상기 제 1 면(1S) 또는 제 2 면(2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 정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폴딩되는 영역(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과 폴딩 되지 않는 영역(언폴딩 영역)인 제 2 영역(2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면(1S)을 상기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 등의 패널과 마주보는 면으로 정의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탄성 부재(1000)가 구부러지는 영역인 제 1 영역(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는 구부러지지 않고, 상기 제 1 영역(1A)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구부러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역(1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2 영역(2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탄성 부재(10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하나의 탄성 부재(10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상기 제 1 영역(1A)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폴딩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폴딩 될 수 있다. 자세하게, 폴딩 축을 따라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에는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언폴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폴딩되면서 언폴딩 영역, 폴딩 영역, 언폴딩 영역의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폴딩할 때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하고, 응력을 분산하기 위해 복수의 패턴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들에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에는 복수의 패턴부(PA)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에는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영역(2A)에는 제 2 패턴부(PA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영역(1A)에만 상기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2A)에는 제 2 패턴부(PA2)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에만 패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복수의 패턴들의 집합체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면(1S) 및 제 2 면(2S)을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0)를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 중 어느 하나의 패턴부는 제 1 면(1S) 또는 제 2 면(2S)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패턴부(PA1)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는 상기 폴딩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용이하게 폴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에서 폴딩되는 제 1 영역(1A)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1A)에서 두께를 가지는 면적을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폴딩할 때 발생하는 응력 발생 영역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의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에서 압축 응력과 비례하는 탄성 부재의 두께 면적을 감소시켜,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는 영역에서 탄성 부재(1000)의 두께 면적이 감소되고, 이에 의해 압축 응력이 감소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1000)를 용이하게 폴딩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되는 상기 제 1 영역(1A)과의 열에 의한 변형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에 열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모두 패턴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에서 열에 의한 변형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1000)가 탄성 부재가 휘거나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응력 불균일을 완화하여 탄성 부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 상에 접착층을 통해 패널 등을 접착할 때, 접착 물질이 제 1 영역(1A)의 제 1 패턴부(PA1)과 제 2 영역(2A)의 제 2 패턴부(PA2) 내부를 함께 메우면서 배치되므로, 접착층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 서로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2 영역(2A)에 상기 제 2 패턴부(PA2)가 형성되어도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에 홀 또는 홈 등의 패턴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잔류시킴으로써, 이에 의해 패턴부가 형성되지 않은 탄성 부재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패널 등을 지지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A 영역의 확대도로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 즉, 폴딩 영역의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영역(1A)은 복수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은 제 1-1 영역(1-1A), 제 1-2 영역(1-2A) 및 제 1-3 영역(1-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1 영역(1-1A)은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외곽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은 상기 폴딩축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은 상기 폴딩축과 상대적으로 먼 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영역(1-1A)은 상기 제 1 영역(1A)의 다른 영역보다 폴딩축에 가까운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영역(1-1A)의 폭(W1)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전체 폭에 대해 약 25% 내지 35%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서,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위치마다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할 때, 상기 제 1 영역(1A)의 중앙 영역인 상기 제 1-1 영역(1-1A)은 외곽 영역인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보다 더 많이 휘어지므로 더 큰 압축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1 영역(1-1A)은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에 비해 폴딩이 용이하지 않고, 폴딩 및 원복 과정에서 압축 응력 및 인장 응력에 의해 소성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제 1 패턴부의 크기, 형상 등을 변경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상기 제 1 패턴부(PA1)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브리지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1D)으로 연장하는 제 1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부(BA)는 상기 제 1 패턴부(PA1)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제 1 패턴(P1), 제 2 패턴(P2) 및 제 3 패턴(P3)을 포함하는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상기 폴딩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1 영역(1-1A)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1-1 영역(1-1A)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P1)은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P1)은 상기 제 1-1 영역(1-1A)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은 상기 제 1-1 영역(1-1A)의 외곽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P1)은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보다 폴딩축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은 상기 제 1-1 영역(1-1A)의 각 영역에서 하나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은 각각 복수의 브리지부(BA)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의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은 상기 제 1-1 영역(1-1A) 내에서 양 끝단이 폐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에 형성되는 패턴(P)들도 복수의 브리지부(BA)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1 영역(1-1A)의 브리지부(BA)의 수와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의 브지지부(BA)의 수는 다를 수 잇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의 브리지부(BA)의 수는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의 브지지부(BA)의 수보다 작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의 브리지부(BA)의 수는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의 브지지부(BA)의 수의 50%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의 브리지부(BA)의 수는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의 브지지부(BA)의 수의 40%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의 브리지부(BA)의 수는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의 브지지부(BA)의 수의 30%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의 브리지부(BA)의 수는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의 브지지부(BA)의 수의 20%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의 브리지부(BA)의 수는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의 브지지부(BA)의 수의 1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영역(1-1A)의 브리지부(BA)의 수는 10개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의 브리지부(BA)의 수는 8개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1 영역(1-1A)의 브리지부(BA)의 수는 5개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1 영역(1-1A)의 브리지부(BA)의 수는 3개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1 영역(1-1A)의 브리지부(BA)의 수는 2개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는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보다 패턴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패턴들이 아닌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패턴을 홀 형상으로 형성하므로, 상기 제 1-1 영역(1-1A)에 형성되는 패턴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는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보다 브리지부(BA)의 수가 작으므로, 패턴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폴딩할 때,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압축 응력이 크게 발생하는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의 응력 크기를 완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의 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의 폭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방향(2D)의 폭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P1)의 폭(W2-1)은 상기 제 2 패턴(P2)의 폭(W2-2) 및 상기 제 3 패턴(P3)의 폭(W2-3)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영역(1-1A)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패턴(P1)의 폭(W2-1)이 상기 제 1-1 영역(1-1A)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패턴(P2)의 폭(W2-2) 및 상기 제 3 패턴(P3)의 폭(W2-3)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패턴(P1)의 폭(W2-1), 상기 제 2 패턴(P2)의 폭(W2-2) 및 상기 제 3 패턴(P3)의 폭(W2-3)은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의 간격(S)보다는 크고, 상기 제 1 영역의 폭(W1)보다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패턴(P1)의 폭(W2-1)은 0.75㎜ 초과 내지 0.9㎜ 일 수 있고, 상기 제 2 패턴(P2)의 폭(W2-2) 및 상기 제 3 패턴(P3)의 폭(W2-3)은 0.75㎜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영역(1A)는 복수의 힌지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을 위해, 상기 탄성 부재의 끝단 영역을 개구한 영역으로서, 상기 제 1 영역(1A)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부는 상기 탄성 부재(1000)에서 폴딩이 시작되는 지점으로서 상기 힌지부의 형성 유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이 구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1 영역(1-1A),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에는 힌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제 1 힌지부(HN1)가 배치되고, 상기 제 1-2 영역(1-2A)에는 제 2 힌지부(HN2)가 배치되고, 상기 제 1-3 영역(1-3A)에는 제 3 힌지부(HN3)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상기 제 1 패턴(P1)과 상기 제 1 방향(1D)으로 이격하는 제 1-1 힌지부(HN1-1), 상기 제 2 패턴(P2)과 상기 제 1 방향(1D)으로 이격하는 제 1-2 힌지부(HN1-2) 및 상기 제 3 패턴(P3)과 상기 제 1 방향(1D)으로 이격하는 제 1-3 힌지부(HN1-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영역(1-1A)의 힌지부들은 상기 패턴들과 상기 브리지부(BA)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1 힌지부(HN1-1), 상기 제 1-2 힌지부(HN1-2) 및 상기 제 1-3 힌지부(HN1-3) 중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는 상기 제 2 힌지부(HN2) 및 상기 제 3 힌지부(HN3)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힌지부(HN1-1), 상기 제 1-2 힌지부(HN1-2) 및 상기 제 1-3 힌지부(HN1-3) 중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의 면적은 상기 제 2 힌지부(HN2)의 면적 및 상기 제 3 힌지부(HN3)의 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의 면적은 상기 힌지부의 길이 및 폭의 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힌지부(HN1-1)의 길이, 상기 제 1-2 힌지부(HN1-2)의 길이 및 상기 제 1-3 힌지부(HN1-3)의 길이는 상기 제 2 힌지부(HN2)의 길이 및 상기 제 3 힌지부(HN3)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1 힌지부(HN1-1)의 폭, 상기 제 1-2 힌지부(HN1-2)의 폭 및 상기 제 1-3 힌지부(HN1-3)의 폭은 상기 제 2 힌지부(HN2)의 폭 및 상기 제 3 힌지부(HN3)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폴딩할 때, 다른 영역에 비해 압축 응력이 큰 상기 제 1-1 영역(1-1A)의 힌지부 면적을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의 힌지부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의 폴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힌지부(HN1-1), 상기 제 1-2 힌지부(HN1-2) 및 상기 제 1-3 힌지부(HN1-3)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힌지부(HN1-1)의 크기는 상기 제 1-2 힌지부(HN1-2)의 크기 및 상기 제 1-3 힌지부(HN1-3)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힌지부(HN1-1)의 면적은 상기 제 1-2 힌지부(HN1-2)의 면적 및 상기 제 1-3 힌지부(HN1-3)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힌지부(HN1-1)의 길이는 상기 제 1-2 힌지부(HN1-2)의 길이 및 상기 제 1-3 힌지부(HN1-3)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1 힌지부(HN1-1)의 폭은 상기 제 1-2 힌지부(HN1-2)의 폭 및 상기 제 1-3 힌지부(HN1-3)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폴딩할 때, 폴딩축과 가까운 상기 제 1-1 힌지부(HN1-1)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폴딩축과 먼 상기 제 1-2 힌지부(HN1-2)의 면적 및 상기 제 1-3 힌지부(HN1-3)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압축 응력이 큰 상기 제 1-1 영역(1-1A)의 중앙 영역에서의 폴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영역(1-1A)에 배치되는 힌지부들의 간격은 상기 제 1-2 영역(1-2A)에 배치되는 힌지부들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제 1-1 영역(1-1A)에 배치되는 힌지부들의 간격은 상기 제 1-3 영역(1-3A)에 배치되는 힌지부들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에 배치되는 상기 제 1-1 힌지부(HN1-1), 상기 제 1-2 힌지부(HN1-2) 및 상기 제 1-3 힌지부(HN1-3)의 간격(S1)은 상기 제 1-2 영역(1-2A)에 배치되는 제 2 힌지부들의 간격(S2) 및 상기 제 1-3 영역(1-3A)에 배치되는 제 3 힌지부들의 간격(S3)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는 제 1 힌지부(HN1)들을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에 배치되는 제 2 힌지부(HN2) 및 제 3 힌지부(HN3)보다 더 촘촘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1 영역(1-1A)에 배치되는 제 1 힌지부(HN1)의 단위면적당 면적을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에 배치되는 제 2 힌지부(HN2) 및 제 3 힌지부(HN3)의 단위면적당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폴딩할 때, 다른 영역에 비해 압축 응력이 큰 상기 제 1-1 영역(1-1A)의 힌지부의 단위면적당 면적을 상기 제 1-2 영역(1-2A) 및 상기 제 1-3 영역(1-3A)의 힌지부의 단위면적당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의 폴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폴딩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패턴부의 크기 및 힌지부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폴딩축과 가까운 폴딩 영역에서의 제 1 패턴부의 크기, 면적을 폴딩축과 먼 폴딩 영역의 제1 패턴부보다 더 크게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상대적으로 압축 응력이 더 큰 폴딩축과 가까운 영역에서 폴딩을 용이하게 하고, 인장 응력에 따른 소성 변형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폴딩축과 가까운 폴딩 영역에서의 힌지부의 크기, 면적을 폴딩축과 먼 폴딩 영역의 힌지부보다 더 크게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상대적으로 압축 응력이 더 큰 폴딩축과 가까운 영역에서 폴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폴딩축과 가까운 폴딩 영역에서의 힌지부들의 간격을 폴딩축과 먼 폴딩 영역의 힌지부들의 간격보다 더 작게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상대적으로 압축 응력이 더 큰 폴딩축과 가까운 영역에서 폴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탄성 부재를 용이하게 폴딩할 수 있고, 복원시 인장응력에 따른 소성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동일 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복수의 패턴부(PA)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에는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영역(2A)에는 제 2 패턴부(PA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0)를 부분적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면(2S)을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에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가 배치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를 통해 상기 제 2 층(1200)이 노출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1층(1100) 상의 제 2 층(1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은 서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층(1100)의 상부면과 상기 제 2 층(1200)의 하부면은 서로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은 서로 직접 접촉하도록 클래드(Clad)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클래드(Clad) 접합이란, 접착재를 이용하여 접착하지 않고 용접, 압연, 주조, 압출 등의 방식으로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2 층(1200)을 접합하는 방식으로서 각 층의 상호 조직을 파괴하여 조직간 침투를 통해 각층의 접합을 안정화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뛰어난 접합력을 보여줄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11과 같이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 사이에는 접착층(1500)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은 상기 접착층(1500)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의 열전도도와 상기 제 2 층(1200)의 열전도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100)의 열전도도는 상기 제 2 층(1200)의 열전도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층(1100)은 상기 제 2 층(1200)에 비해 향상된 방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의 항복강도와 상기 제 2 층(1200)의 항복강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1200)의 항복강도는 상기 제 1 층(1100)의 항복강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층(1200)의 변형율은 상기 제 1 층(1100)의 변형율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은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층(1200)은 SUS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2 층(1200)은 상기 열전도도 및 상기 항복 강도를 만족하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도 9의 B 영역의 확대도로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면의 제 1 영역(1A) 즉, 폴딩 영역의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영역(1A)은 복수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은 제 1-1 영역(1-1A), 제 1-2 영역(1-2A) 및 제 1-3 영역(1-3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제 1 패턴(P1) 및 제 2 패턴(P2)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은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다르게 힌지부와 패턴이 서로 이격하지 않고, 힌지부와 패턴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은 상기 제 1 층(1100)의 제 1 방향(1D)의 양 끝단 까지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은 상기 제 1-1 영역(1-1A) 내에서 양 끝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과 함께 별도의 힌지부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이 힌지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이 상기 제 1 층(1100)의 제 1 방향(1D)의 양 끝단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패턴과 힌지부를 분리하던 브리지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이 상기 제 1-1 영역(1-1A) 내에서 양 끝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상기 제 1 층(1100) 상의 제 2 층(1200)이 상기 제 1 층(1100)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층(1100)은 상기 패턴 들이 형성되어도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폴딩할 때,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압축 응력이 크게 발생하는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의 두께 면적을 보다 더 감소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 발생하는 응력 크기를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 사이에는 상기 제 1 층(1100)이 잔류되어 형성되는 지지부(S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SA)는 상기 제 1 층(1100)과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SA)는 상기 제 1 층(1100)과 일체로 형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SA)는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의 크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SA)의 제 1 방향(1D)의 폭의 크기를 변화시켜,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의 제 1 방향(1D)의 폭의 크기를 가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의 폭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 상에 배치되는 패널의 일부분이 상기 패턴의 내부로 내려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의 폭이 너무 큰 경우, 상기 제 1 층(11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네 2 층(1200)이 상기 패턴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상기 패턴 내부로 가라앉거나, 또는, 상기 탄성 부재(1000) 상에 배치되는 패널이 상기 패턴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상기 패턴 내부로 가라앉아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실시에에 따른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의 크기를 제어하는 지지부(SA)를 배치하여 이에 따른 제 2 층 또는 패널의 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9의 B 영역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는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SA)의 길이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1D)의 양 끝단 사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SA)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1D)의 양 끝단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SA)의 끝단과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1D)의 끝단 사이에는 연결 패턴(CP)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패턴(CP)을 통해 상기 제 1 패턴(P1) 및 상기 제 2 패턴(P2)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 패턴의 크기를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제 1 패턴(P1), 제 2 패턴(P2) 및 제 3 패턴(P3)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복수의 지지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제 1 지지부(SA1) 및 제 2 지지부(SA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SA1) 및 상기 제 2 지지부(SA2)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SA1) 및 상기 제 2 지지부(SA2)에 의해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의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SA1)의 길이 및 상기 제 2 지지부(SA2)의 길이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1D)의 양 끝단 사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지지부(SA1)의 길이 및 상기 제 2 지지부(SA2)의 길이는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지지부(SA1) 및 상기 제 2 지지부(SA2)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1D)의 양 끝단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SA1)의 끝단과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1D)의 끝단 사이에는 제 1 연결 패턴(CP1)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지지부(SA2)의 끝단과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1D)의 끝단 사이에는 제 2 연결 패턴(CP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패턴(CP1) 및 상기 제 2 연결 패턴(CP2)을 통해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및 상기 제 3 패턴(P3)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 패턴의 크기를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제 1 패턴(P1), 제 2 패턴(P2), 제 3 패턴(P3) 및 제 4 패턴(P4)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상기 제 3 패턴(P3) 및 상기 제 4 패턴(P4)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복수의 지지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영역(1-1A)에는 제 1 지지부(SA1), 제 2 지지부(SA2) 및 제 3 지지부(SA3)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지지부(SA1)는 복수의 제 1 서브 제 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부(SA2)는 복수의 제 1 서브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지지부(SA3)는 복수의 제 1 서브 제 3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SA1), 상기 제 2 지지부(SA2) 및 상기 제 3 지지부(SA3)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SA1), 상기 제 2 지지부(SA2) 및상기 제 3 지지부(SA3)에 의해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상기 제 3 패턴(P3) 및 상기 제 4 패턴(P4)의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SA1)의 길이, 상기 제 2 지지부(SA2)의 길이 및 상기 제 3 지지부(SA3)의 길이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1D)의 양 끝단 사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지지부(SA1)의 길이, 상기 제 2 지지부(SA2)의 길이 및 상기 제 3 지지부(SA3)의 길이는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상기 제 3 패턴(P3) 및 상기 제 4 패턴(P4)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SA1)의 끝단과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1D)의 끝단 사이에는 제 1 연결 패턴(CP1)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지지부(SA2)의 끝단과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1D)의 끝단 사이에는 제 2 연결 패턴(CP2)이 배치되고, 상기 제 3 지지부(SA3)의 끝단과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1D)의 끝단 사이에는 제 3 연결 패턴(CP3)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지지부들 사이에는 제 4 연결 패턴(CP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패턴(CP1), 상기 제 2 연결 패턴(CP2) 및 상기 제 3 연결 패턴(CP3) 및 상기 제 4 연결 패턴(CP4)을 통해 상기 제 1 패턴(P1), 상기 제 2 패턴(P2), 상기 제 3 패턴(P3), 상기 제 4 패턴(P4)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 패턴의 크기를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SA1), 상기 제 2 지지부(SA2) 및 상기 제 3 지지부(SA3)는 서로 엇갈려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서브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서브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2 방향(2D)으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1 서브 제 3 지지부는 상기 제 2 방향(2D)으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지지부(SA1), 상기 제 2 지지부(SA2) 및 상기 제 3 지지부(SA3)는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1 영역(1-1A)에서 응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이 상기 제 1 지지부(SA1)에서 상기 제 3 지지부(SA3)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2 지지부(SA2)에 의해 응력이 상기 제 3 패턴(P3) 및 상기 제 4 패턴(P4) 까지 연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응력의 집중에 따른 탄성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폴딩축과 가까운 폴딩 영역의 패턴부를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상대적으로 압축 응력이 더 큰 폴딩축과 가까운 영역에서의 폴딩을 용이하게 하고, 인장 응력에 따른 소성 변형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축과 가까운 영역 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지지부를 배치함에 따라, 지지부의 크기를 제어하여 패턴부의 크기에 의해 탄성 부재 상이 패널 등이 패턴부를 통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패턴부들을 서로 연결하여 패턴부에 따른 응력 감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패턴부들에 의해 응력의 이동을 억제하여 특정 영역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는 제 3 층(1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100), 제 2 층(1200) 및 제 3 층(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100), 상기 제 1 층(1100) 상에 배치되는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2 층(1200) 상에 배치되는 제 3 층(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은 동일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1100)과 상기 제 3 층(1300)은 상기 제 2 층(1200)과 다른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열전도도가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1100), 상기 제 2 층(1200) 및 상기 제 3 층(1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항복강도가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면(1S) 및 제 2 면(2S)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층(1100) 및 상기 제 3 층(1300)을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 상에는 패널(20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패널(2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패널(2000)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100, 110, 120)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층(1200) 또는 제 3 층(1300) 상에는 상기 패널(20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2000)은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축전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는 복 수개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고, 저전력, 높은 휘도 등의 이유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과, 게이트 라인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화소 회로를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터치 기능 없이 단순히 영상만을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터치 패널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은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에 의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되는 입력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의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널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터치 전극을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패널(2000)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은 패널(2000) 면적의 90% 이상 내지 11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은 패널(200) 면적의 95% 이상 내지 105%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은 패널(2000) 면적의 97% 이상 내지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이 패널(200) 면적의 90% 미만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상기 패널(100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저하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언폴딩 영역에서 들뜸(curl)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화면 영역을 시인할 때,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고, 터치를 구동할 때, 들뜸 영역에 의해 터치 영역의 화면이 불완전하여 터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이 상기 패널(2000) 면적의 110% 초과하여 커지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0)에 의해 패널(2000)을 지지하는 지지력은 확보될 수 있으나, 상기 탄성 부재,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유효한 화면 영역을 넓게 가져갈 수 없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에 불편을 가져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패널(2000)의 상부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열층(1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가 단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하부에 방열층(1800)을 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중 발생하는 열을 상기 방열층(1800)을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잇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호층(3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탄성 부재(1000)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층(3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0)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0)은 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3000)은 블랙계열의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0)은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3000)은 구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층(3000)의 열전도도를 향상시켜, 상기 보호층(300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3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호층(3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3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을 합한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3000)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을 합한 면적에 대해 80% 내지 90%의 면적의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3000)의 두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층(3000)의 두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층 및 제 2 층의 두께 합 또는 상기 제 1 층, 상기 제 2 층 및 상기 제 3 층의 두께 합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도 17 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탄화층(4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패턴부가 홀 형상인 경우, 또는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제 1 층, 제 2 층 및 제 3 층을 포함하고, 제 1 층 및 제 3 층에 패턴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패널과 접착되는 상기 제 3 층의 접착면을 평탄화하기 위해, 상기 탄성 부재 상에 평탄화층(40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평탄화층(4000) 사이에 제 1 접착층(1510)이 배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평탄화층(4000)이 접착되고, 상기 평탄화층(4000)과 상기 패널(2000) 사이에 제 2 접착층(1520)이 배치되어 상기 평탄화층(4000)과 상기 패널(2000)이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표시 패널(2000) 사이에 접착층을 배치할 때, 상기 패턴부들에 의해 영역마다 접착층의 두께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불균일한 접착층의 두께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표시 패널(2000)의 접착력 저하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살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패널의 상면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폴딩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대 방향으로 휘어질수도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보호층의 하면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폴딩될수도 있다.
도 22는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가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는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는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반복적으로 폴딩 또는 원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

Claims (12)

  1.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은 폴딩축에 가까운 제 1-1 영역 및 상기 제 1-1 영역보다 상기 폴딩축에서 먼 제 1-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패턴부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브리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영역의 상기 브리지부의 수는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1-2 영역의 브리지수의 50% 이하인 탄성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부는
    상기 제 1-1 영역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패턴; 및 상기 제 1-1 영역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패턴 및 제 3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턴, 상기 제 2 패턴 및 상기 제 3 패턴은 서로 이격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제 2 방향의 폭은 상기 제 2 패턴 및 상기 제 3 패턴의 제 2 방향의 폭보다 큰 탄성 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영역에는 제 1 힌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힌지부는 상기 제 1 패턴과 이격하는 제 1-1 힌지부; 상기 제 2 패턴과 이격하는 제 1-2 힌지부; 및 상기 제 3 패턴과 이격하는 제 1-3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힌지부의 면적은 상기 제 1-2 힌지부 및 상기 제 1-3 힌지부의 면적보다 큰 탄성 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1 영역보다 상기 폴딩축에서 먼 제 1-2 영역 및 제 1-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2 영역에는 제 2 힌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3 영역에는 제 3 힌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1 힌지부, 상기 제 1-2 힌지부 및 상기 제 1-3 힌지부의 면적은 상기 제 2 힌지부 및 상기 제 3 힌지부의 면적보다 큰 탄성 부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1 영역보다 상기 폴딩축에서 먼 제 1-2 영역 및 제 1-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2 영역에는 제 2 힌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3 영역에는 제 3 힌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힌지부의 간격은 상기 제 2 힌지부 및 상기 제 3 힌지부의 간격보다 작은 탄성 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부의 단위 면적당 면적은 상기 제 2 힌지부 및 상기 제 3 힌지부의 단위 면적 당 면적보다 큰 탄성 부재.
  7.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영역보다 폴딩축에 가까운 제 1-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영역에는 상기 제 1 층을 관통하는 제 1 패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패턴부는 서로 이격하는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턴 및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의 양 끝단까지 연장하는 탄성 부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과 상기 제 2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 층과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 부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의 양 끝단 사이와 이격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의 양 끝단 사이에는 연결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패턴과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연결 패턴에 의해 연결되는 탄성 부재.
  10.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영역보다 폴딩축에 가까운 제 1-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영역에는 상기 제 1 층을 관통하는 제 1 패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패턴부는 서로 이격하는 제 1 패턴, 제 2 패턴 제 3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턴과 상기 제 2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턴과 상기 제 3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의 양 끝단 사이에는 제 1 연결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와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방향의 양 끝단 사이에는 제 2 연결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패턴, 상기 제 2 패턴 및 상기 제 3 패턴 은 상기 제 1 연결 패턴 및 상기 제 2 연결 패턴에 의해 연결되는 탄성 부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부는 제 4 패턴; 및 상기 제 3 패턴과 상기 제 4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부, 상기 제 2 지지부 및 상기 제 3 지지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2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탄성 부재.
  12. 제 1 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 상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14589A 2020-09-08 2020-09-08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32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89A KR20220032813A (ko) 2020-09-08 2020-09-08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1/011944 WO2022055185A1 (ko) 2020-09-08 2021-09-03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02180061722.6A CN116097336A (zh) 2020-09-08 2021-09-03 弹性构件和包括该弹性构件的显示装置
US18/025,217 US20240012453A1 (en) 2020-09-08 2021-09-03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89A KR20220032813A (ko) 2020-09-08 2020-09-08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813A true KR20220032813A (ko) 2022-03-15

Family

ID=8063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589A KR20220032813A (ko) 2020-09-08 2020-09-08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12453A1 (ko)
KR (1) KR20220032813A (ko)
CN (1) CN116097336A (ko)
WO (1) WO20220551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721A1 (ko) * 2022-11-11 2024-05-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145A (ko) * 2020-11-12 2022-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8830010A (zh) * 2023-02-21 2024-10-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631B1 (ko) * 2015-06-08 2023-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612041B1 (ko) * 2016-12-30 2023-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00049925A (ko) * 2018-10-29 2020-05-11 희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87470A (ko) * 2019-01-11 2020-07-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기판
CN210627726U (zh) * 2019-12-24 2020-05-26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721A1 (ko) * 2022-11-11 2024-05-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185A1 (ko) 2022-03-17
CN116097336A (zh) 2023-05-09
US20240012453A1 (en)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2813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520887B (zh) 具有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US20240077909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JP6736379B2 (ja) 表示装置
KR20210085131A (ko) 탄성 부재
KR20210061604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10148189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JP7478856B2 (ja) 弾性部材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CN116097335A (zh) 弹性构件及包括其的显示装置
KR20230093187A (ko) 탄성 부재
KR20210028830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9839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10013867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I846098B (zh) 彈性件及具有彈性件的顯示裝置
US11977414B2 (en) Elastic member
KR2021014301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I856364B (zh) 彈性件及包括該彈性件之顯示裝置
KR20230034798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405972A1 (en)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20230182433A1 (en) Elastic member
TW202324335A (zh) 彈性部件及具有該彈性部件之顯示裝置
US20240370056A1 (en)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KR20210132579A (ko) 탄성 부재
JP2023553044A (ja) 弾性部材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40048734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