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456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5456A KR20220045456A KR1020200128204A KR20200128204A KR20220045456A KR 20220045456 A KR20220045456 A KR 20220045456A KR 1020200128204 A KR1020200128204 A KR 1020200128204A KR 20200128204 A KR20200128204 A KR 20200128204A KR 20220045456 A KR20220045456 A KR 202200454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area
- elastic member
- surface roughness
- cover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8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et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92 metal group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94 sapphi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0 sapph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9 wet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 H01L51/524—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H01L51/0097—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 H01L2251/5338—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기판은,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두께는 상기 제 2 영역의 제 2 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은 상기 제 1 영역의 상부면 또는 상기 제 3 영역의 상부면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제 3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는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보다 작다.
Description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 실시예는 일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폴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시 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휴대나 보관시에는 접거나 일부를 벤딩한 형태로 있다가, 영상을 표시할 때는 디스플레이를 펼친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영역을 늘리는 동시에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거나 구부린 후, 이를 다시 펼치는 원복 공정 등이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상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등을 보호하는 커버 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기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위해 일정 두께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하지만, 두께가 너무 큰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기판의 폴딩영역의 두께만 감소하고, 언폴딩 영역의 두께는 유지하여 커버기판의 내구성 및 폴딩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기판의 폴딩 영역과 언폴딩 영역의 두께 차이가 외부에서 시인되어 사용자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딩 영역은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되므로, 폴딩 영역의 표면과 언폴딩 영역의 표면의 표면 조도 차이가 달라지고, 이에 의해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향상된 시인성, 신뢰성 및 폴딩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기판은,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두께는 상기 제 2 영역의 제 2 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은 상기 제 1 영역의 상부면 또는 상기 제 3 영역의 상부면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제 3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는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보다 작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 상의 패널; 및 상기 패널 상의 커버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기판은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두께는 상기 제 3 영역의 제 2 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은 상기 제 1 영역의 상부면 또는 상기 제 3 영역의 상부면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제 3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는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보다 작다.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커버기판의 제 1 영역에서의 경사각도를 제어하여 외부에서 상기 경사면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 각각 표면조도를 형성하여 상기 표면조도에 의해 광 산란을 유도하고, 이에 의해 광 투과율을 증가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표면조도 차이를 제어하여, 표면조도 차이에 따른 광 투과율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균일도를 향싱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커버기판의 제 1 영역과 탄성 부재의 힌지부와의 위치 관계를 제어하여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기판의 제 1 영역을 탄성 부재의 최외곽 힌지부들 사이에 배치하여 함께 폴딩되는 커버 기판 및 탄성 부재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기판의 제 1 영역 중 측면 영역과 탄성 부재의 언폴딩 영역이 중첩되는 크기를 제어하여 상기 커버 기판과 상기 탄성 부재의 폴딩/언폴딩 영역의 불일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기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에에 따른 탄성 부재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커버기판과 탄성 부재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기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에에 따른 탄성 부재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커버기판과 탄성 부재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탄성 부재(100), 상기 탄성 부재(100)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200), 상기 표시 패널(200)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3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 상에 배치되는 커버 기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제 1 방향(1D) 및 상기 제 1 방향(1D)과 다른 방향인 제 2 방향(2D)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방향(1D)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폴딩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1D) 및 상기 제 2 방향(2D)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폭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방향을 상기 폴딩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을 상기 탄성 부재(100)의 폭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방향을 상기 탄성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폴딩 영역(FA) 및 언폴딩 영역(UF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FA)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폴딩되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UFA)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폴딩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표시 패널(2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표시 패널(2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을 지지하는 지지기판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는 금속, 금속 합금, 플라스틱, 복합 재료(예컨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자성 또는 전도성 재료, 유리 섬유 강화 재료 등), 세라믹, 사파이어,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플렉서블 하거나 또는 폴더블 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벤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은 상기 탄성 부재(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축전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는 복 수개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고, 저전력, 높은 휘도 등의 이유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200)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과, 게이트 라인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200)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화소 회로를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은 상기 표시 패널(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터치 기능 없이 단순히 영상만을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터치 패널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은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에 의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되는 입력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의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널(300)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터치 전극을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표시 패널(200)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의 면적은 표시 패널(200) 면적의 90% 이상 내지 11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의 면적은 표시 패널(200) 면적의 95% 이상 내지 105%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의 면적은 표시 패널(200) 면적의 97% 이상 내지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의 면적이 표시 패널(200) 면적의 90% 이하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가 상기 표시 패널(200) 또는 상기 터치 패널(30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저하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의 언폴딩 영역에서 들뜸(curl)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화면 영역을 시인할 때,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고, 터치를 구동할 때, 들뜸 영역에 의해 터치 영역의 화면이 불완전하여 터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의 면적이 상기 표시 패널(200) 면적의 110%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에 의해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력은 확보될 수 있으나, 상기 탄성 부재,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유효한 화면 영역을 넓게 가져갈 수 없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에 불편을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400)은 상기 터치 패널(300)의 상에 또는 상기 표시 패널(200)의 상(터치 패널이 생략되는 경우)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400)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 기판(400)은 경도와 강도를 가지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기판(400)은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커버 기판(400)은 탄성력 및 복원력을 구현하기 위해 박막 두께를 가지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기판(400)은 울트라씬글래스(Ultra Thin Glass, UTG)를 포함할 수 잇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기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기판(400)은 제 1 영역(1A), 제 2 영역(2A) 및 제 3 영역(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3 영역(3A)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제 1 두께(T1)는 상기 제 3 영역(3A)의 제 2 두께(T2)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1A)의 제 1 두께(T1)는 상기 제 1 영역(1A)의 최소 두께로 정의될 수 잇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폴딩 영역(FA)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 3 영역(3A)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언폴딩 영역(UFA)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커버 기판(400)의 폴딩을 위해 상기 제 3 영역(3A)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3 영역(3A)은 상기 커버 기판(400)의 강도를 위해 상대적으로 큰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두께(T1)는 3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두께(T1)는 10㎛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제 1 두께(T1)가 3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커버 기판(400)의 압축응력이 증가하여 상기 커버 기판(400)을 용이하게 폴딩하기 어렵고, 폴딩 및 복원 중 커버 기판(400)에 소성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두께(T1)를 10㎛ 미만으로 형성하는 것은 공정상 구현이 어려워 공정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제 1 영역(1A)에서의 강도가 너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 2 두께(T2)는 100㎛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두께(T2)는 100㎛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 제 2 두께(T2)가 100㎛ 미만인 경우 상기 커버 기판(400)의 강도 저하로 인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두께(T2)가 20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커버 기판(400)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커버 기판(400)을 습식 에칭(Wet Etching), 폴리싱(Polishing), 레이저 포밍(Laser Forming) 및 마스킹 잉크(Masking Ink)나 DFR(Dry Film photo Resist)등을 사용하는 마스킹(Masking) 공정 중 어느 하나 공정을 통해 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커버 기판(400)에 형성되는 홈(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G)은 상기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서는 상기 홈(G)이 상기 커버 기판(400)의 일면에만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홈(G)은 상기 커버 기판(400)의 양면에 모두 형성될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 기판(400)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 및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은 상기 제 1 영역(2A)의 상부면(TS1) 및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2A)의 상부면(TS1),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 및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은 상기 커버 기판(400)을 식각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에 대해 경사각도(θ)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도(θ)는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의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되 수 있으며, 상기 경사각도(θ)는 예각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각도(θ)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외부에서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이 시인될 수 있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과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의 경사각도(θ)는 제어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경사각도(θ)는 2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과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의 경사각도(θ)가 2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 및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은 서로 다른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의 표면조도는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 및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의 표면조도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기판(400)의 식각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의 표면조도는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 및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의 표면조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의 표면조도 및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의 표면조도는 0.2㎛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의 표면조도 및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의 표면조도는 0.05㎛ 내지 0.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의 표면조도는 2㎛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의 표면조도는 0.3㎛ 내지 2㎛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 및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이 각각 표면 조도를 가지므로, 상기 커버 기판(400)을 통과하는 광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 및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의 표면에 형성되는 표면 조도에 의해 상기 커버 기판(400)을 통과하는 광의 산란을 유도하여 광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 및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이 상기 범위 이상의 표면조도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광 산란에 의해 광 손실이 증가하여 오히려 광 투과율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에 형성되는 표면조도는 규칙적인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에 형성되는 표면조도는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에서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규칙적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에 형성되는 표면조도는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에서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2㎛ 내지 10㎛ 간격으로 반복하는 규칙적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에서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의 표면조도와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의 표면조도는 제 1 표면조도 차이를 가지고,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의 표면조도와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의 표면조도는 제 2 표면조도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표면조도 차이와 상기 제 2 표면조도 차이의 차이는 0.5㎛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표면조도 차이와 상기 제 2 표면조도 차이의 차이는 0.1㎛ 내지 0.5㎛일 수 있다.
상기 제 1 표면조도 차이와 상기 제 2 표면조도 차이의 차이가 0.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표면조도 차이의 차이로 인해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과 상기 제 3 영역(3A)의 상부면(TS3)에서의 광 투과율 차이로 인해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에서의 휘도 균일도가 불균일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커버기판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의 경사각도를 제어하여 외부에서 상기 경사면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 상기 제 2 영역 및 상기 제 3 영역에 각각 표면조도를 형성하여 상기 표면조도에 의해 광 산란을 유도하고, 이에 의해 광 투과율을 증가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 상기 제 2 영역 및 상기 제 3 영역에서의 표면조도 차이를 제어하여, 표면조도 차이에 따른 광 투과율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균일도를 향싱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와 커버기판의 위치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는 제 4 영역(4A) 및 제 5 영역(5A)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탄성 부재(100)가 구부러지는 영역인 제 4 영역(4A) 및 구부러지지 않고, 상기 제 4 영역(4A)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5 영역(5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5 영역(5A)은 상기 탄성 부재(100)가 구부러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4 영역(4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5 영역(5A)은 상기 제 4 영역(4A)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4 영역(4A)은 상기 제 5 영역(5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에는 복수의 패턴부(PA)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의 제 4 영역(4A)에는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100)의 제 5 영역(5A)에는 제 2 패턴부(PA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4 영역(4A)에만 상기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되고, 상기 제 5 영역(5A)에는 제 2 패턴부(PA2)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4 영역(4A)에만 패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복수의 패턴들의 집합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제 1 면(1S) 및 제 2 면(2S)을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를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 중 어느 하나의 패턴부는 제 1 면(1S) 또는 제 2 면(2S)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패턴부(PA1)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 및 상기 제 2 패턴부(PA2)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는 상기 폴딩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는 용이하게 폴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에서 폴딩되는 제 4 영역(4A)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제 4 영역(4A)에서 두께를 가지는 면적을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탄성 부재(100)를 폴딩할 때 발생하는 응력 발생 영역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의 폴딩 영역인 제 4 영역(4A)에서 압축 응력과 비례하는 탄성 부재의 두께 면적을 감소시켜,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가 폴딩되는 영역에서 탄성 부재(1000)의 두께 면적이 감소되고, 이에 의해 압축 응력이 감소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100)를 용이하게 폴딩할 수 있다.
상기 제 5 영역(5A)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5 영역(5A)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되는 상기 제 4 영역(4A)과의 열에 의한 변형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에 열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 4 영역(4A) 및 상기 제 5 영역(5A)에 모두 패턴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4 영역(4A)과 상기 제 5 영역(5A)에서 열에 의한 변형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100)가 탄성 부재가 휘거나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영역(5A)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제 4 영역(4A)과 상기 제 5 영역(5A)의 응력 불균일을 완화하여 탄성 부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영역(5A)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 상에 접착층을 통해 패널 등을 접착할 때, 접착 물질이 제 4 영역(4A)의 제 1 패턴부(PA1)과 제 5 영역(5A)의 제 2 패턴부(PA2) 내부를 함께 메우면서 배치되므로, 접착층이 제 4 영역 및 제 5 영역에서 서로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제 5 영역(5A)에 상기 제 2 패턴부(PA2)가 형성되어도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5 영역(5A)에 홀 또는 홈 등의 패턴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잔류시킴으로써, 이에 의해 패턴부가 형성되지 않은 탄성 부재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패널 등을 지지하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는 힌지부(H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폴딩을 위해, 상기 탄성 부재의 끝단 영역을 개구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는 복수의 힌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힌지부(HN)는 제 1 최외곽 힌지부(HN1) 및 제 2 최외곽 힌지부(HN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HN1)과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HN2) 사이에는 복수의 힌지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HN2)는 상기 제 4 영역(4A)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HN2)는 제 5 영역(5A)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HN2)는 상기 제 4 영역(4A)과 상기 제 5 영역(5A)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HN2)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잇다.
도 5는 상기 커버 기판(400)과 상기 탄성 부재(100)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기판(400)의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의 최외곽 힌지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HN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 및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은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HN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의 폴딩 영역인 제 4 영역(4A)과 상기 커버 기판(400)의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100) 및 상기 커버 기판(400)의 폴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기판(400)의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의 최외곽 힌지부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의 일부 영역은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HN2)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상부면(TS1)은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HN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의 일부는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HN2) 사이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HN2)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은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HN2)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상부면(TS2-1) 및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HN2)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상부면(S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상부면(S2-2)의 폭(w)은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 전체 폭에 대해 1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상부면(S2-2)의 폭(w)은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 전체에 대해 5%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상부면(S2-2)의 폭(w)은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 전체에 대해 1% 이하일 수 있다. 일레로, 상기 제 2 상부면(S2-2)의 폭(w)은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 전체에 대해 1%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면(S2-2)의 폭(w)이 상기 제 2 영역(2A)의 상부면(TS2) 전체에 대해 10%를 초과하는경우, 상기 커버 기판(100)의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과 상기 탄성 부재(400)의 언폴딩 영역인 제 5 영역(5A)이 중첩되는 영역이 증가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와 상기 커버 기판(10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폴딩할 때, 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기판(400)의 폴딩 영역과 상기 탄성 부재(100)의 언폴딩 영역의 중첩 영역이 증가되어, 상기 커버 기판(400)의 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커버기판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과 탄성 부재의 힌지부와의 위치 관계를 제어하여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기판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탄성 부재의 최외곽 힌지부들 사이에 배치하여 함께 폴딩되는 커버 기판 및 탄성 부재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기판의 제 2 영역과 탄성 부재의 언폴딩 영역이 중첩되는 크기를 제어하여 상기 커버 기판과 상기 탄성 부재의 폴딩/언폴딩 영역의 불일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에 적용되어, 반복적으로 폴딩 또는 원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두께는 상기 제 2 영역의 제 2 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은 상기 제 1 영역의 상부면 또는 상기 제 3 영역의 상부면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제 3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는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보다 작은 커버 기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는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보다 작은 커버 기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상부면 및 상기 제 3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는 0.05㎛ 내지 0.2㎛이고,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는 0.3㎛ 내지 2㎛인 커버 기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은 2㎛ 내지 10㎛의 간격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포함하는 커버 기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와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의 차이는 제 1 표면조도 차이로 정의되고,
상기 제 3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와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의 차이는 제 2 표면조도 차이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표면조도 차이와 상기 제 2 표면조도 차이는 0.1㎛ 내지 0.5㎛인 커버 기판. -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 상의 패널; 및
상기 패널 상의 커버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기판은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두께는 상기 제 3 영역의 제 2 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은 상기 제 1 영역의 상부면 또는 상기 제 3 영역의 상부면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제 3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는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의 표면조도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4 영역 및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5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4 영역 및 상기 제 5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제 1 최외곽 힌지부 및 제 2 최외곽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는 상기 제 4 영역 및 상기 제 5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은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상부면; 및 상기 제 1 최외곽 힌지부 및 상기 제 2 최외곽 힌지부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상부면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부면의 폭은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 전체 폭에 대해 10%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8204A KR20220045456A (ko) | 2020-10-05 | 2020-10-05 |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8204A KR20220045456A (ko) | 2020-10-05 | 2020-10-05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5456A true KR20220045456A (ko) | 2022-04-12 |
Family
ID=8118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8204A KR20220045456A (ko) | 2020-10-05 | 2020-10-05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45456A (ko) |
-
2020
- 2020-10-05 KR KR1020200128204A patent/KR2022004545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91175B2 (en) | Flexible display device | |
CN112700719B (zh) | 可折叠显示装置 | |
TWI614593B (zh) | 折疊式顯示裝置 | |
US20240077909A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KR101321373B1 (ko)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220293870A1 (en) | Substrate for display | |
US20220206537A1 (en) | Substrate for display | |
KR20210061604A (ko) | 디스플레이용 기판 | |
CN114902318A (zh) | 弹性构件 | |
KR102658428B1 (ko) | 폴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20032813A (ko)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10019839A (ko) | 디스플레이용 기판 | |
KR20210028830A (ko) |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30093187A (ko) | 탄성 부재 | |
KR20210013867A (ko) |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2004545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220201874A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KR20210143011A (ko)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US11977414B2 (en) | Elastic member | |
US20230182433A1 (en) | Elastic member | |
CN219553168U (zh) | 显示装置 | |
KR20210019803A (ko) | 디스플레이용 기판 | |
JP2019133014A (ja) | 表示装置 | |
KR20210132579A (ko) | 탄성 부재 | |
KR20240048734A (ko)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