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426B1 - 방열시트 - Google Patents

방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426B1
KR101419426B1 KR1020120027090A KR20120027090A KR101419426B1 KR 101419426 B1 KR101419426 B1 KR 101419426B1 KR 1020120027090 A KR1020120027090 A KR 1020120027090A KR 20120027090 A KR20120027090 A KR 20120027090A KR 101419426 B1 KR101419426 B1 KR 101419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sh
thermally conductive
conductive particles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021A (ko
Inventor
서윤희
정다우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7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42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8Meshes, lattice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8Magnetic, paramagne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열전도성 입자와 층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1층; (ii) 열전도성 입자와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인 제2층; 및 (iii)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는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열전달 및 열확산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점착성이 최적화된 점착층을 포함하여 재작업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방열시트{HEAT RADIATING SHEET}
본 발명은 방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열전달 및 열확산 성능이 우수하고 재작업성이 뛰어난 방열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소자는 경박단소 및 다기능화되면서 고집적화되고 있어 열밀도의 증가로 열의 방출 문제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열의 방출이 디바이스의 신뢰성 및 수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다양한 방열 소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방열패드, 방열시트, 방열도료 등의 형태로 시판되어 기존의 방열팬, 방열핀, 히트 파이프 등의 방열기구를 보조하거나 대체하고 있다.
이 중 방열시트는 그라파이트 압축시트, 고분자-세라믹 복합시트, 다층코팅 금속박막시트 등의 형태로 제작되고 있는데, 그라파이트 압축시트는 수평 열전도도가 우수하나 층간 박리가 잘 일어나 재작업성이 좋지 않고, 고분자-세라믹 복합시트는 열전도도에 한계가 있으며, 다층코팅 금속박막시트는 수평 열확산도가 낮은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열전달 및 열확산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재작업성이 우수한 방열시트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열전달 및 열확산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점착성이 최적화된 점착층을 포함하여 재작업성이 우수한 방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i) 열전도성 입자와 층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1층; (ii) 열전도성 입자와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인 제2층; 및 (iii)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는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열전달 및 열확산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점착성이 최적화된 점착층을 포함하여 재작업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방열시트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열시트는 (i) 열전도성 입자와 층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1층; (ii) 열전도성 입자와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인 제2층; 및 (iii)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는 면상의 필름 형태를 갖는 상기 기재의 일면에, 열전도성 입자와 층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1층이 형성되고, 그 타면에 열전도성 입자와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인 제2층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층은 열전도성 입자와 층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데, 상기 층 형성 재료로서,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 또는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층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및 접착제는 점착 또는 접착 이후의 경화 여부에 따라 구별되는데 접착제는 경화가 일어나는 것이고 점착제는 경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서, 그 바람직한 예로서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제2층인 점착층을 이루는 점착제의 예도 이와 같으며, 제1층이 층 형성 재료로서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인 경우, 상기 제1층에 포함되는 점착제와 상기 제2층에 포함되는 점착제는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다.
제1층이 층 형성 재료로서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층인 경우, 수지의 예로서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에폭시계 수지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제1층이 도료층인 경우, 제1층은 상기 수지 이외에도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로서는 유기과산화물계, 이소시아네이트계, 아조계, 아민계, 아미다졸계, 산무수물계, 루이스산계 및 포름알데히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당 분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열전도성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열전도성 입자는 열전도도가 1W/mK 이상인 것으로서, 그 예로서는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카본나노화이버, 그라핀, 금속산화물, 금속질화물, 또는 금속입자를 들 수 있고, 이들 열전도성 입자는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층에 포함되는 열전도성 입자와 상기 제2층에 포함되는 열전도성 입자는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의 예로서는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실리콘, 산화아연 또는 산화지르코늄을 들 수 있고, 상기 금속질화물의 예로서는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또는 질화규소를 들 수 있으며, 상기 금속입자의 예로서는 은, 구리, 알루미늄 또는 아연을 들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입자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카본나노튜브, 산화마그네슘, 또는 질화붕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열전도성 입자로서 카본나노튜브가 사용되는 경우 단일벽 또는 다중벽 구조의 카본나노튜브가 모두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염산, 황산, 질산 등의 무기산이나 구연산, 숙신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으로 표면 개질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입자는 제1층 또는 제2층에서 열전도 매개체로 작용하여 방열시트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의 열전달 및 열확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입자는 제1층 또는 제2층 각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5 내지 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층 및 제2층 각각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입자가 5 중량부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원하는 열전도 효과가 발휘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8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방열시트의 유연성을 저하시켜 절곡시 파단이 발생하거나 부스러지는 현상이 일어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열전도성 입자는 평균 입경 1 내지 3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5μm 내지 15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도성 입자의 평균 입경이 1 μm 미만인 경우 분산 및 열전도 특성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평균 입경이 30 μm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큰 입경으로 인해 균일한 분산성에 문제를 나타낼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열전도성 입자를 층 형성 재료와 혼합한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함으로써 제1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층의 두께는 5 내지 8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층에는 열전도성 입자가 제1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 내지 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층이 층 형성 재료로서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인 경우, 상기 제1층의 노출면에 플라스틱 필름이 추가로 합지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에 플라스틱 필름을 합지하는 경우, 수평 방향의 열확산 기능을 더욱 부여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재료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또는 폴리이미드(PI)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5 내지 20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성 입자를 점착제와 혼합하여 기재 상에 도포함으로써 제2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층의 두께는 5 내지 8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일 수 있다. 상기 제2층에는 열전도성 입자가 제2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 내지 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포 방법의 예로는 다이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콤마 코팅, 롤 코팅, 딥 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라비아 코팅 또는 콤마 코팅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는 금속 박막, 금속 메쉬, 폴리머 메쉬 또는 섬유 메쉬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 박막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박막, 구리 박막 또는 니켈 박막을 들 수 있고, 상기 금속 메쉬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메쉬, 구리 메쉬, 니켈 메쉬, 또는 철 메쉬를 들 수 있고, 상기 폴리머 메쉬로의 예로서는 폴리에스터 메쉬, 폴리프로필렌 메쉬, 또는 폴리우레탄 메쉬를 들 수 있으며, 상기 섬유 메쉬의 예로서는 유리섬유 메쉬, 아크릴섬유 메쉬, 또는 나일론섬유 메쉬를 들 수 있다. 이 중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박막, 구리 박막 또는 유리섬유 메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5 내지 30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는 박막시트의 형태를 가지면서 열전도성 입자를 열전도 매개체로 포함한 제1층 및 제2층을 포함하여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열전달 및 열확산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제2층은 점착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자소자 등에 부착되는 경우 1회 이상 탈부착이 가능하여 재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방열시트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의 바람직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100)는 열전도성 입자와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인 제1층(110), 열전도성 입자와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인 제2층(120), 및 제1층(110)과 제2층(120)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1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200)는 열전도성 입자와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인 제1층(210), 열전도성 입자와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인 제2층(220), 제1층(210)과 제2층(220)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230), 및 제1층(210)에 합지되는 플라스틱 필름(2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착층인 제1층에 플라스틱 필름을 합지하는 경우, 수평 방향의 열확산 기능을 더욱 부여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열전도성 입자로서 입경 10 ㎛의 카본나노튜브 25 중량부, 아크릴계 접착제(WA770, 우인켐텍사제) 65 중량부, 및 에틸아세테이트 10 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두께 100 ㎛의 알루미늄 박막의 한 면에 콤마 코팅 방법을 이용해서 도포하여 제1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두께 12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합지하였다. 그 다음, 상기 알루미늄 박막의 다른 한 면에 입경 10 ㎛의 카본나노튜브 25 중량부, 아크릴계 점착제(TT-1500, TTT 케미칼사제) 65 중량부, 및 에틸아세테이트 10 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콤마 코팅 방법을 이용해서 도포하여 제2층을 형성한 뒤, 그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두께 12 ㎛의 이형필름(MR-G03, SYC사제)을 부착하여 방열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1층의 형성과정에서 아크릴계 접착제 대신, 아크릴계 수지(TT-1550, TTT 케미칼사제)를 포함하는 도료를 이용하여 콤마 코팅 방법으로 도포하고 열경화하여 제1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열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1층의 형성과정에서 아크릴계 접착제 대신, 아크릴계 점착제(TT-1500, TTT 케미칼사제)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열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열전도성 입자로서 카본나노튜브를 대신하여 각각 입경 10 ㎛의 산화마그네슘 25 중량부를 사용하여 제1층 및 제2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열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열전도성 입자로서 카본나노튜브를 대신하여 각각 입경 10 ㎛의 산화마그네슘 25 중량부를 사용하여 제1층 및 제2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방열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열전도성 입자로서 카본나노튜브를 대신하여 각각 입경 10 ㎛의 산화마그네슘 25 중량부를 사용하여 제1층 및 제2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열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1층 및 제2층 형성시 열전도성 입자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열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1층을 형성하지 않고, 제2층 형성시 열전도성 입자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열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제1층 및 제2층 형성시 열전도성 입자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열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방열시트를 각각 200X100 mm2 크기로 자르고, 한쪽 끝에 80 ℃의 열을 발생하는 열원을 부착한 뒤 30분 후 상기 열원의 온도를 온도센서(Thermocouple; DTM-305, TECPEL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시트상에서 열원으로부터 150 mm 떨어진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여 열원과의 온도차(△T)를 기록하였고, 각각의 전기전도성 유무도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열원온도 ( ℃ ) 시트 내
수평방향 △T
전기전도성
초기 80
실시예 1 58 22 절연
실시예 2 55 24 도전
실시예 3 55 23 도전
실시예 4 61 24 절연
실시예 5 57 26 절연
실시예 6 58 26 절연
비교예 1 69 31 절연
비교예 2 64 33 도전
비교예 3 64 33 도전
상기 표 1에서 열원의 온도 하강 폭이 클수록 방열시트의 수직 열전도 및 수평 열확산 성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에서 열원 온도의 하강은 특히 수직 열전도 성능에 영향을 받으므로 열원의 온도 하강 폭이 클수록 수직 열전도 성능이 우수하다는 의미가 있으며, 방열시트의 수평 방향 온도차가 작을수록 수평 방향의 열확산 성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의 방열시트는 비교예 1 내지 3의 방열시트에 비하여 열원의 온도 하강 폭이 크며, 따라서 열전도 성능이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의 방열시트는 비교예 1 내지 3의 방열시트에 비해 수평방향의 온도차가 작으므로 수평방향 열확산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 및 실시예 4는 각각 실시예 2 및 3, 및 실시예 5 및 6에 비해 수평방향 온도차가 작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상부 플라스틱 필름층에 의해 수평방향 열확산 성능이 상승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는 각각의 전기전도 특성이 다르므로, 방열이 필요한 대상 기기에 대하여 도전 타입 또는 절연 타입을 선택하여 적용 가능하다.
100, 200: 방열시트
110, 210: 제1층
120, 220: 제2층
130, 230: 기재
240: 플라스틱 필름

Claims (10)

  1. (i) 열전도성 입자와 접착제를 포함하는 제1층;
    (ii) 열전도성 입자와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인 제2층;
    (iii)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 및
    (iv) 상기 제1층에 합지되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에 포함되는 상기 열전도성 입자가 각각 1 내지 30 μ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두께는 5 내지 80 ㎛이고, 상기 제2층의 두께는 5 내지 80 ㎛이며, 상기 기재의 두께는 5 내지 3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입자는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카본나노화이버, 그라핀, 금속산화물, 금속질화물, 및 금속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에 포함되는 열전도성 입자는 제1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80 중량부 포함되고, 상기 제2층에 포함되는 열전도성 입자는 제2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8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시트.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금속 박막, 금속 메쉬, 폴리머 메쉬 또는 섬유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알루미늄 박막, 구리 박막 또는 니켈 박막이고, 상기 금속 메쉬는 알루미늄 메쉬, 구리 메쉬, 니켈 메쉬, 또는 철 메쉬이고, 상기 폴리머 메쉬는 폴리에스터 메쉬, 폴리프로필렌 메쉬, 또는 폴리우레탄 메쉬이며, 상기 섬유 메쉬는 유리섬유 메쉬, 아크릴섬유 메쉬, 또는 나일론섬유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시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또는 폴리이미드(PI)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시트.
KR1020120027090A 2012-03-16 2012-03-16 방열시트 KR101419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90A KR101419426B1 (ko) 2012-03-16 2012-03-16 방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90A KR101419426B1 (ko) 2012-03-16 2012-03-16 방열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021A KR20130105021A (ko) 2013-09-25
KR101419426B1 true KR101419426B1 (ko) 2014-07-14

Family

ID=4945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090A KR101419426B1 (ko) 2012-03-16 2012-03-16 방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4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678B1 (ko) * 2013-09-26 2020-11-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직 배열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3888B1 (ko) * 2013-12-20 2015-08-11 주식회사 포스코 방열성이 우수한 금속 봉지재,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금속 봉지재로 봉지된 유연전자소자
KR101531630B1 (ko) * 2014-06-25 2015-06-26 최훈석 초박막 방열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열확산 시트
KR101779157B1 (ko) 2015-05-26 2017-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방사 도료 코팅층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KR102155811B1 (ko) * 2018-11-12 2020-09-15 주식회사 대현에스티 방열 점착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방열 테이프
KR102254153B1 (ko) * 2019-12-03 2021-05-21 거림테크 주식회사 결함 시현 현상을 개선한 플라스틱 oled 방열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oled 디스플레이
KR20220001255A (ko) * 2020-06-29 2022-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9208B1 (ko) * 2021-09-02 2023-09-15 (주)동원인텍 방열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953A (ko) * 2001-05-25 2001-08-22 이장우 방열쉬트
KR200422459Y1 (ko) * 2006-05-10 2006-07-26 김재준 방열시트
KR100721462B1 (ko) * 2004-05-31 2007-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방열시트
KR20110094635A (ko) * 2010-02-17 2011-08-24 그린스타 주식회사 열전도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포함하는 방열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953A (ko) * 2001-05-25 2001-08-22 이장우 방열쉬트
KR100721462B1 (ko) * 2004-05-31 2007-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방열시트
KR200422459Y1 (ko) * 2006-05-10 2006-07-26 김재준 방열시트
KR20110094635A (ko) * 2010-02-17 2011-08-24 그린스타 주식회사 열전도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포함하는 방열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021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426B1 (ko) 방열시트
KR101465580B1 (ko) 방열시트
KR101181573B1 (ko) 방열 시트
KR101760324B1 (ko) 층간접착력이 우수한 전자파 차폐 및 방열복합시트용 그라파이트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및 방열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10292309B2 (en) Heat sink
TWI476572B (zh) 散熱帶及其製造方法
US9769964B2 (en) Heat discharging shee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12762B1 (ko) 전자파 차폐 및 방열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39364A1 (ja) 放熱シート
WO2018110255A1 (ja) 転写シート
JP2017092345A (ja) 熱伝導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
KR101993000B1 (ko) 방열 시트
TWI614856B (zh) Cof型半導體封裝及液晶顯示裝置
US10117355B2 (en) Heat dissipation foil and methods of heat dissipation
KR20210071276A (ko) 향상된 수직 열전도도를 갖는 방열시트
KR101983673B1 (ko) 방열 시트
KR102012275B1 (ko) 전자파 차폐 및 방열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2817B1 (ko) 감압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및 방열복합시트
TWI590750B (zh) 絕緣散熱薄片、散熱器及電子機器
KR102068492B1 (ko) 열확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75360B1 (ko) 열확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68493B1 (ko) 열확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66611B1 (ko) 방열 시트
KR20180055014A (ko) 수평열전도가 우수한 방열솔루션용 그라파이트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방열솔루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0313B1 (ko) 층간접착력이 우수한 전자파 차폐 및 방열복합시트용 그라파이트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및 방열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