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010A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010A
KR20230036010A KR1020210118680A KR20210118680A KR20230036010A KR 20230036010 A KR20230036010 A KR 20230036010A KR 1020210118680 A KR1020210118680 A KR 1020210118680A KR 20210118680 A KR20210118680 A KR 20210118680A KR 20230036010 A KR20230036010 A KR 20230036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astic member
area
region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010A/ko
Priority to PCT/KR2022/012212 priority patent/WO2023033411A1/ko
Priority to JP2023534339A priority patent/JP2023553044A/ja
Priority to CN202280013782.5A priority patent/CN116829357A/zh
Priority to US18/038,906 priority patent/US20240017526A1/en
Publication of KR2023003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5Ceram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7Dimensions, e.g. volume or area
    • B32B2307/7375Linear, e.g. length, distance or width
    • B32B2307/7376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충은 모재 및 상기 모내 내부에 배치되는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된다.

Description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ELASTICITY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시 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휴대나 보관시에는 접거나 일부를 벤딩한 형태로 있다가, 영상을 표시할 때는 디스플레이를 펼친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영역을 늘리는 동시에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거나 구부린 후, 이를 다시 펼치는 원복 공정 등이 반복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이 반복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은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평탄도가 저하될 수 있다.
자세하게,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 영역은 반복적으로 접고 펴는 과정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영역으로서, 언폴딩 영역에 비해 평탄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영역에서 크랙이 발생하거나, 외부에서 시인되는 주름이 발생하여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이 감소하고,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탄성 부재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반복적인 폴딩 및 원복 공정에서도 향상된 평탄성을 가질 수 있는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충은 모재 및 상기 모내 내부에 배치되는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탄성 부재를 형성하는 제 2 층의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의 내부에 섬유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2 층의 전체적인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탄성 부재의 폴딩에도 상기 탄성 부재의 제 2 층에서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여, 탄성 부재의 폴딩 신뢰성 및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탄성 부재의 각각의 면에서 발생하는 응력 및 응력의 크기에 따라 층들의 특성을 변화함으로써, 탄성 부재의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층(200)만이 폴딩되므로, 탄성 부재의 곡률 크기를 증가 즉, 곡률반경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제 2 층(200)의 항복 강도 및 인장 강도가 향상되므로, 상기 제 2층(200)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므로, 탄성 부재의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폴딩되는 곡률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향상된 폴딩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폴딩 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폴딩 후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층구조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제 2 층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탄성 부재의 제 2 층의 섬유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 및 도 1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다른 층구조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층구조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층구조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가 폴딩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지지체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지지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7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 이를 포함하는 폴딩 지지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탄성 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탄성 부재(1000), 상기 탄성 부재(1000)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2000) 및 터치 패널(3000)을 포함하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표시 패널(20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표시 패널(20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0)을 지지하는 지지기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패널(3000)은 상기 표시 패널(20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패널(3000)은 온셀(On-Cell) 또는 인셀(In-Cell) 방식으로 상기 표시 패널(20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금속 물질 및 비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층은 금속 물질 및 비금속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금속, 금속 합금, 플라스틱, 복합 재료(예컨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자성 또는 전도성 재료, 유리 섬유 강화 재료 등), 세라믹, 사파이어,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플렉서블 하거나 또는 폴더블 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벤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방향(1D) 및 상기 제 1 방향(1D)과 다른 방향인 제 2 방향(2D)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방향은(1D)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1D) 및 상기 제 2 방향(2D)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폭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방향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방향을 상기 폴딩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을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폭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방향을 상기 탄성 부재(10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탄성 부재(1000) 및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폴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폴딩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 및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폴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언폴딩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축전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는 복 수개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고, 저전력, 높은 휘도 등의 이유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과, 게이트 라인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2000)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화소 회로를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0)은 상기 표시 패널(20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0)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터치 기능 없이 영상만을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터치 패널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0)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은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에 의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되는 입력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0)의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널(3000)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터치 전극을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패널(3000)이 상기 표시 패널(20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3000)의 기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기재 또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터치 패널(3000)과 상기 표시 패널(2000)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은 표시 패널(2000) 면적의 90% 이상 내지 11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은 표시 패널(2000) 면적의 95% 이상 내지 105% 이하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은 표시 패널(2000) 면적의 97% 이상 내지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이 표시 패널(2000) 면적의 90% 미만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상기 표시 패널(2000) 또는 상기 터치 패널(300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저하되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언폴딩 영역에서 들뜸(curl)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화면 영역을 시인할 때,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고, 터치를 구동할 때, 들뜸 영역에 의해 터치 영역의 화면이 불완전하여 터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면적이 상기 표시 패널(2000) 면적의 110% 초과하여 커지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1000)에 의해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력은 확보될 수 있으나, 상기 탄성 부재,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유효한 화면 영역을 넓게 가져갈 수 없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에 불편을 가져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터치 패널(3000)의 상부 또는 상기 표시 패널(2000)의 상부(터치 패널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0), 상기 표시 패널(2000) 및 상기 터치 패널(3000)은 접착층 등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탄성 부재(10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면(1S) 및 상기 제 1 면(1S)과 반대되는 제 2 면(2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1 면(1S) 또는 상기 제 2 면(2S)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상기 패널들이 배치되는 면이 마주보도록 구부러지거나 또는 상기 패널들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이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2 면 및 제 1 면이 교대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다수의 제 1 영역과 다수의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1000)에서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를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 정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폴딩이 되는 영역(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 및 폴딩되지 않는 영역(언폴딩 영역)인 제 2 영역(2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탄성 부재(1000)가 구부러지는 영역인 제 1 영역(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는 구부러지지 않고, 상기 제 1 영역(1A)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탄성 부재(1000)가 구부러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역(1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제 1 영역(1A)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2 영역(2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2 영역(2A)의 외측에는 상기 제 1 영역(1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탄성 부재(10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하나의 탄성 부재(10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상기 제 1 영역(1A)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은 상기 탄성 부재(1000) 전체 면적의 1% 이상 내지 3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은 상기 탄성 부재(1000) 전체 면적의 5% 이상 내지 2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은 상기 탄성 부재(1000) 전체 면적의 10% 이상 내지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이 상기 탄성 부재(1000) 전체 면적의 1% 미만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 및 복원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폴딩 영역과 언폴딩 영역의 경계면에서 크랙이 발생하여,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영역(1A)의 면적이 상기 탄성 부재(1000) 전체 면적의 3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상기 표시 패널(2000)의 폴딩 영역에서 들뜸(curl)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화면 영역을 시인할 때,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고, 터치를 구동할 때, 들뜸 영역에 의해 터치 영역의 화면이 불완전하여 터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A)이 탄성 부재(10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1 영역(1A)의 크기가 비대칭이 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탄성부재가 폴딩 된 후를 도시한 탄성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폴딩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폴딩 될 수 있다. 자세하게, 폴딩 축을 따라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에는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언폴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일 방향으로 폴딩되어, 언폴딩 영역, 폴딩 영역, 언폴딩 영역의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탄성 부재(1000)를 폴딩할 때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하고, 응력을 분산하기 위해 복수의 패턴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들에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 4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상기 제 1 면(1S)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2 면(2S)들이 마주보도록 폴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축의 중심에서 연장하면서 곡률이 감소(곡률 반경 증가)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폴딩축의 중심에서 연장하면서 곡률이 감소 또는 증가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폴딩축의 중심에서 연장하면서 곡률이 감소하다가 증가하거나, 곡률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 형상은 U자형 형상 뿐만 아니라 다양한 폴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탄성 부재의 강도 및 폴딩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항복강도, 연신률, 압축률 등의 특성이 서로 다른 복수의 층이 적층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의 폴딩 영역에서는 폴딩에 따라 발생하는 압축 응력 및 인장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의 층들 중 인장강도가 작은 층은 폴딩 중 발생하는 인장 응력에 의해 층의 표면이 울툴불퉁해지고, 이에 의해 탄성 부재의 전체적인 평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탄성 부재를 폴딩할 때, 탄성 부재를 구성하는 층의 특성을 제어하여, 탄성 부재를 폴딩 및 원복할 때 폴딩 영역에서 평탄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탄성 부재의 층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층 구조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00), 제 2 층(200) 및 제 3 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00), 상기 제 1 층(100) 상의 제 2 층(200) 및 상기 제 1 층(100)과 상기 제 2 층(200) 사이의 제 3 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00)은 금속 및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 SUS 또는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층(100)은 구리(Cu)와 함께 니켈(Ni), 크롬(Cr), 철(Fe), 티타늄(Ti), 망간(Mn), 몰리브덴(Mo), 은(Ag), 아연(Zn), 질소(N),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00)에는 복수의 패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00)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패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는 금속을 포함하는 제 1 층(100)이 폴딩될 때 폴딩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를 감소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제 1 층(100)을 전부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 형상 또는 부분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은 상기 제 1 층(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은 상기 제 1 층(1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층(100)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제 1 층(100)에는 홀 또는 홈 형상의 복수의 패턴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들에 의해 상기 제 1 층(100)의 표면은 평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층(100) 상에 직접 패널 등을 접착하는 경우, 상기 제 1 층(100)의 표면 특성에 의해 패널과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1 층(100) 상에 상기 제 2 층(200)을 배치하여 상기 탄성 부재(1000)가 상기 패널과 접착되는 접착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층(1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평탄화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은 금속 또는 비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20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특성 중 폴딩 특성 및 강도 중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특성에 따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층(200)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은 탄성 및 강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층(200)은 섬유(fiber)를 포함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 3 층(300)은 상기 제 1 층(100)과 상기 제 2 층(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층(300)은 상기 제 1 층(100)과 상기 제 2 층(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층(100)과 상기 제 2 층(200)을 접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층(3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에서 접착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층(300)은 감압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제 2 층(200)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상기 제 2 층(200)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층(200)은 모재(210) 및 상기 모재(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섬유(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재(210)는 상기 제 2 층(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섬유(2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재(210)는 상기 모재(210)의 내부에 상기 섬유(220)를 함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재(210)는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재(210)는 폴리이미드(Polyimid),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페닐렌 술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액정폴리에스테르(Liquid-Crystal Polyester),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세탈(Polyoxymeth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alate),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phehyleneoxide). 에폭시(Epoxy) 및 아크릴레이트(Acrylate)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220)는 설정된 길이와 직경을 가지는 섬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섬유(220)는 0.0001㎜ 내지 0.01㎜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220)의 길이는 상기 제 2 층(200)의 크기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섬유(220)는 상기 모재(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섬유(220)는 상기 모재(210) 수지 물질에 함침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섬유(220)는 높은 탄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섬유(220)는 탄소섬유(carbon fiber), 유리섬유(glass fiber) 및세라믹 섬유(ceramic fiber) 중 적어도 하나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과 대응하는 제 1a 영역(1Aa) 및 제 2 영역(2A)과 대응하는 제 2a 영역(2A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섬유(220)는 상기 제 2 층(200)의 제 1a 영역(1Aa) 및 제 2a 영역(2A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섬유(220)는 상기 제 2 층(200)의 제 1a 영역(1Aa) 및 제 2a 영역(2Aa)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층(200)에서 폴딩 영역인 제 1a 영역(1Aa)과 언폴딩 영역인 제 2a 영역(2Aa)의 특성을 유사하게 하여,상기 제 2 층(200)의 공정 중 특성 차이에 따른 제 2 층(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섬유(220)는 상기 제 2 층(200)의 제 1a 영역(1Aa) 및 제 2a 영역(2Aa)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섬유(220)는 상기 제 2 층(200)의 폴딩 영역인 제 1a 영역(1Aa)에만 배치되거나 또는 언폴딩 영역인 제 2a 영역(2Aa)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섬유(220)가 상기 제 2 층(200)의 폴딩 영역에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층(200)의 폴딩 영역에서 충분한 강도 및 탄성을 확보할 수 있어, 폴딩 중 상기 제 2 층(200)의 변형에 따른 평탄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섬유(220)는 상기 제 2 층(200)의 제 1a 영역(1Aa) 및 제 2a 영역(2Aa)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220)는 상기 제 1a 영역(1Aa)에 더 많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섬유(220)는 상기 제 1a 영역(1Aa)과 중첩되는 영역이 상기 제 2a 영역(2Aa)에 중첩되는 영역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상기 섬유(220)는 상기 제 1a 영역(1Aa)과 중첩되는 영역이 상기 제 2a 영역(2Aa)에 중첩되는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2a 영역(2Aa)의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섬유(220)의 부피%는 상기 제 1a 영역(1Aa)의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섬유(220)의 부피%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섬유(220)를 상기 제 2 층(200)의 폴딩 영역에 더 많은 양으로 배치하여 상기 제 2 층(200)의 폴딩 영역에서 충분한 강도 및 탄성을 확보할 수 있어, 폴딩 중 상기 제 2 층(200)의 변형에 따른 평탄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200)에서 폴딩 영역인 제 1a 영역(1Aa)과 언폴딩 영역인 제 2a 영역(2Aa)의 특성 차이를 감소하여,상기 제 2 층(200)의 공정 중 특성 차이에 따른 제 2 층(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은 설정된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의 두께는 상기 모재(210)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200)의 두께(T)는 15㎛ 이상일 수 잇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200)의 두께(T)는 15㎛ 내지 20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200)의 두께(T)는 3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의 두께(T)를 15㎛ 미만으로 하는 경우, 상기 제 2 층(200)의 내부에 섬유를 배치하기 어려워 공정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200)의 두께(T)를 200㎛ 초과로 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되고, 탄성 부재의 폴딩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00) 및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상기 제 2 층(200)의 상기 섬유(2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폴딩 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200) 및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축은 상기 제 2 층(200)의 길이 방향과 다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200) 및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축은 상기 제 2 층(2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축은 상기 섬유(220)의 평균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상기 제 2 층(200)의 상기 섬유(220)의 다양한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섬유(220)는 상기 모재(210) 내부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섬유(220)는 상기 제 2 층(200)의 길이 방향으로 일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섬유(220)는 상기 제 2 층(200)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틸팅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섬유(220)는 다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섬유(220)는 상기 제 2 층(200)의 길이 방향으로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와 상기 제 2 층(200)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틸팅되어 연장하는 섬유가 혼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섬유는 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층(200)의 길이 방향으로 일 방향 또는 다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층(200)은 상기 폴딩 방향을 확인하기 위한 얼라인 마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층(200)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상기 섬유(220)의 길이 방향을 정의 및 확인할 수 있는 얼라인 마크(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250)는 상기 제 2 층(200)의 제 2a(2Aa)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250)가 폴딩 영역인 아닌 언폴딩 영역인 상기 제 2 층(200)의 제 2a 영역(2Aa) 상에 배치되므로, 폴딩 중 얼라인 마크(250)가 손상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얼라인 마크에 따른 폴딩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250)는 상기 제 2 층(200)의 표면을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얼라인 마크(250)는 상기 제 2 층(200)에 인쇄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층(100)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층(100)은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1 층(110) 상의 제 1-2 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서로 다른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열전도도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층(110)은 상기 제 1-2 층(120)보다 열전도도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항복 강도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2 층(120)은 상기 제 1-1 층(110)보다 항복 강도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층(110)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2 층(120)은 SUS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상기 열전도도 및 상기 항복 강도를 만족하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클래드(Clad)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클래드(Clad) 접합이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지 않고 용접, 압연, 주조, 압출 등의 방식으로 상기 제 1-1 층(110)과 상기 제 1-2 층(120)을 접합하는 방식으로서 각 층의 상호 조직을 파괴하여 조직간 침투를 통해 각층의 접합을 안정화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뛰어난 접합력을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연을 통해 서로 다른 층의 층 경계면에서 이종 재료 간의 원자 확산을 유도하여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클래드 접합은 접착재를 이용한 접착과는 달리 곡면가공이 가능하고 접착재를 이용한 접착 보다 원자 확산 접합을 이용하므로 오랜 시간 접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2 층(120)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1 층(110)의 두께를 상기 제 1-2 층(120)의 두께보다 더 크게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2 층(120)의 두께를 상기 제 1-1 층(110)의 두께보다 더 크게 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층(110)의 두께 및 상기 제 1-2 층(120)의 두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층(100)은 제 1-1 층(110), 상기 제 1-1 층(110) 상의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2 층(120) 상의 제 1-3 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1 층(110), 상기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층(110), 상기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동일하거나 다른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2 층(120)은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과 상기 제 1-2 층(120)은 열전도도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상기 제 1-2 층(120)보다 열전도도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과 상기 제 1-2 층(120)은 항복 강도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2 층(120)은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보다 항복 강도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2 층(120)은 SUS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제 1-1 층(110), 상기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상기 열전도도 및 상기 항복 강도를 만족하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층(110), 상기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1 층(110), 상기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앞서 설명한 클래드(Clad)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1-1 층(110), 상기 제 1-2 층(120) 및 상기 제 1-3 층(130)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1 층(110)의 두께 및 상기 제 1-3 층(130)의 두께를 상기 제 1-2 층(120)의 두께보다 더 크게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2 층(120)의 두께를 상기 제 1-1 층(110) 및 상기 제 1-3 층(130)의 두께보다 더 크게 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1 층(110)의 두께, 상기 제 1-2 층(120)의 두께 및 상기 제 1-3 층(130)의 두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층은 제 1-1 층, 제 1-2 층 및 제 1-3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섬유를 포함하는 제 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제 1 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평탄화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은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 1 층에 비해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가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를 폴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층의 폴딩 영역에서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으로 탄성 부재를 폴딩하는 경우 반복적인 소성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제 2 층의 폴딩 영역의 평탄성이 감소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탄성 부재를 형성하는 제 2 층의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의 내부에 섬유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2 층의 전체적인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탄성 부재의 폴딩에도 상기 탄성 부재의 제 2 층에서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여, 탄성 부재의 폴딩 신뢰성 및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층 구조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동일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2 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2-1 층(201) 및 상기 제 2-1 층(201) 상에 배치되는 제 2-2 층(20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앞서 설명한, 제 1 층과 대응하는 제 2-1 층(201) 및 상기 제 2 층과 대응하는 제 2-2 층(2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1 층(201) 제 1 모재(211) 및 제 1 섬유(2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2 층(202)은 제 2 모재(212) 및 제 2 섬유(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1 층(201)과 상기 제 2-2 층(202)은 동일한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1 층(201)과 상기 제 2-2 층(202)은 다른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재(211)와 상기 제 2 모재(212)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12와 같이 상기 제 1 모재(211)와 상기 제 2 모재(212)는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3과 같이 상기 제 1 모재(211)와 상기 제 2 모재(212) 사이에는 접착층(203)이 배치되고, 상기 접착층(203)을 통해 상기 제 1 모재(211)와 상기 제 2 모재(212)는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재(211)와 상기 제 2 모재(212)는 동일하거나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섬유(221)와 상기 제 2 섬유(222)는 동일하거나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의 폴딩 방향에 따라 탄성 부재는 폴딩 내측면과 외측면이 정의될 수 있다. 탄성 부재의 폴딩 내축면에는 압축 응력이 발생하고, 외측면에는 인장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 1 모재(211)와 상기 제 2 모재(212)가 다른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섬유(221)와 상기 제 2 섬유(222)가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는 일면 및 타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1 층(201)이 폴딩 외측면이 되고, 상기 제 2-2 층(202)이 폴딩 내측면이 되는 경우, 상기 제 2-1 층(201)의 모재 및 섬유는 인장 응력에 따른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2 층(202)의 모재 및 섬유는 압축 응력에 따른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탄성 부재의 각각의 면에서 발생하는 응력 및 응력의 크기에 따라 층들의 특성을 변화함으로써, 탄성 부재의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층 구조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동일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1 층(100), 제 2 층(200) 및 제 3 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층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와 다르게 제 1 층(100) 및 제 3 층(300)에 각각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00)은 제 1 공극(A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3 층(300)은 제 2 공극(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극(A1) 및 상기 제 2 공극(A2)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00)은 상기 제 1 공극(A1)에 의해 2개의 제 1 층으로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제 3 층(300)은 상기 제 2 공극(A2)에 의해 2개의 제 3 층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극(A1)과 상기 제 2 공극(A2)은 서로 다른 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공극(A1)의 폭은 상기 제 2 공극(A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층(100)은 상기 탄성부재가 폴딩되면서 상기 제 1 공극(A1)의 폭이 곡률 크기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므로, 상기 제 1 공극(A1)의 폭을 작게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극(A1) 및 상기 제 2 공극(A2)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에의 폴딩 영역은 상기 제 2 층(200)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층(100)은 상기 제 2 층(200)을 지지하는 역할만 할 뿐,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될 때 폴딩죄지 않을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00)가 폴딩되는 경우, 상기 제 1 층(100) 및 상기 제 3 층(300)은 상기 제 1 공극(A1) 및 상기 제 2 공극(A2)의 폭이 증가될 뿐, 폴딩되지 않고, 상기 제 2 층(200)만 폴딩 영역을 형성하며 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층(200)만이 폴딩되므로, 탄성 부재의 곡률 크기를 증가 즉, 곡률반경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제 2 층(200)의 항복 강도 및 인장 강도가 향상되므로, 상기 제 2층(200)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므로, 탄성 부재의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는 폴딩되는 곡률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향상된 폴딩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탄성 부재의 제 1 층(100)에 형성되는 패턴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은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층(100)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의 제 1 층(100)은 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과 언폴딩 영역인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의 폭은 상기 제 2 영역(2A)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층(100)은 복수의 패턴부(PA)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00)은 상기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제 1 패턴부(PA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은 상기 제 1 층(100)을 폴딩 및 다시 원복할 때 발생하는 압축 응력 및 인장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PA1)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는 상기 제 1 층(100)의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패턴부(PA)는 상기 일면 또는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00)이 폴딩되는 영역인 상기 제 1 영역(1A)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패턴부(PA1)는 상기 제 1 층(100)을 포함하는 상기 탄성 부재(1000)를 용이하게 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PA1)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000)가 폴딩되는 영역에서 상기 탄성 부재(1000)의 두께가 감소되고, 이에 의해 압축 응력이 감소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1000)를 용이하게 폴딩할 수 있다.
또한,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층(100)은 제 2 패턴부(PA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00)은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제 2 패턴부(PA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패턴부(PA)는 상기 제 1 층(100)의 일면 및 상기 타면을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패턴부(PA)는 상기 제 1 층(100)의 일면 또는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100이 폴딩되지 않는 영역인 상기 제 2 영역(2A)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물리적 특성을 유사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제 1 패턴부(PA1)가 배치되는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에서 열에 의한 변형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에 모두 패턴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층(100)에 열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에서 열에 의한 변형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변형 차이에 의해 상기 제 1 층(100ㅇ)dl 휘어지거나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2A)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패턴부(PA2)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응력 불균일을 완화하여 탄성 부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상기 제 1 패턴부(PA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패턴부(PA2)는 장방향 및 단방향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패턴부(PA1)의 장방향과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장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패턴부(PA2)의 단방향과 상기 제 1 패턴부(PA1)의 단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층(100)은 힌지부(HN)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100)의 상기 제 1 영역(1A)에는 복수의 힌지부(HN)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제 1 층(100)의 폴딩을 위해, 상기 제 1 층(100)의 끝단 영역을 개구한 영역으로서, 상기 제 1 영역(1A)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부(HN)는 상기 제 1 층(100)에서 폴딩이 시작되는 지점으로서 상기 힌지부의 형성 유무에 따라, 상기 제 1 층(100)의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이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폴딩 지지체를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폴딩 지지체는 탄성 부재 및 보호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상기 제 3 층이 상기 제 1 층의 패턴부 내부에 배치되지 않는 폴딩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는 상기 제 3 층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층이 상기 제 1 층의 패턴부 내부에 배치되는 폴딩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폴딩 지지체는 앞서 설명한 탄성 부재(1000) 및 상기 탄성 부재(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층(100) 또는 제 1-1 층(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보호층(400)과 상기 제 1 층(100) 사이 또는 상기 보호층(400)과 상기 제 1-1 층(110) 사이에는 접착층이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보호층(400)을 상기 접착층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400)은 블랙계열의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400)은 구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층(400)의 열전도도를 향상시켜, 상기 보호층(40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을 합한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을 합한 면적에 대해 80% 내지 90%의 면적의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400)의 두께는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전체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층(400)의 두께는 상기 탄성 부재(400)의 제 1 층, 제 2 층 및 제 3 층의 두께 합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하,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 지지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폴딩 지지체 및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상기 탄성 부재의 제 3 층이 상기 제 1 층의 패턴부 내부에 배치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상기 탄성 부재의 제 3 층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층이 상기 제 1 층의 패턴부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상기 제 1 층(100)에 형성되는 패턴부(PA1, PA2)는 도 24 및 도 25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폴딩 지지체 및 상기 폴딩 지지체 상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 및/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층(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지지체는 앞서 설명한 제 1 층(100), 제 2 층(200) 및 상기 제3 층(300)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1000) 및 상기 탄성 부재(10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1 층(100) 또는 제 1-1 층(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패널층(600) 사이에는 접착층(500)이 배치되고, 상기 접착층(500)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패널층(600)이 접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탄성 부재(1000)는 제 2 층(200)에 의해 탄성 부재의 접착면을 평탄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패널층은 단차 영향 없이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0)와 상기 패널층(600) 사이의 접착층(500)은 상기 탄성 부재(1000)의 제 3 층(300)과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접착층(500)은 상기 제 3 층(300)보다 두께가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500)의 두께는 5㎛ 내지 1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500)은 상기 제 3 층(300)보다 접착 특성이 작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접착층(500)의 접착력은 40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500)과 상기 제 3 층(300)은 탄성율이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접착층(500)은 상기 제 3 층과 같은 저장 탄성율, 크리프 회복 및 탄젠트 델타 값을 가지는 탄성율이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접착층(500)은 접착 특성 이외 탄성 특성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도 27은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가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는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부재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는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반복적으로 폴딩 또는 원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폴딩 신뢰성을 향상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을 폴딩축으로 하여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충은 모재 및 상기 모내 내부에 배치되는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되는 탄성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탄소섬유(carbon fiber), 유리섬유(glass fiber) 및세라믹 섬유(ceramic fiber) 중 적어도 하나의 섬유를 포함하는 탄성 부재.
  3. 제 1항에 잇어서,
    상기 섬유는 상기 제 2 층의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의 두께는 15㎛ 내지 200㎛인 탄성 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섬유의 길이 방향을 정의하는 얼라인 마크를 더 포함하는 탄성 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금속 또는 비금속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제 1 모재 및 제 1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층은 제 2 모재 및 제 2 섬유를 포함하는 탄성 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탄성 부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제 1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접착층은 제 2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극 및 상기 제 2 공극은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폴딩 지지체.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 하부의 보호층;
    상기 탄성 부재 상의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의 패널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층은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18680A 2021-09-06 2021-09-06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36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680A KR20230036010A (ko) 2021-09-06 2021-09-06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2/012212 WO2023033411A1 (ko) 2021-09-06 2022-08-16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23534339A JP2023553044A (ja) 2021-09-06 2022-08-16 弾性部材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CN202280013782.5A CN116829357A (zh) 2021-09-06 2022-08-16 弹性构件及包括其的显示装置
US18/038,906 US20240017526A1 (en) 2021-09-06 2022-08-16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680A KR20230036010A (ko) 2021-09-06 2021-09-06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010A true KR20230036010A (ko) 2023-03-14

Family

ID=8541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680A KR20230036010A (ko) 2021-09-06 2021-09-06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17526A1 (ko)
JP (1) JP2023553044A (ko)
KR (1) KR20230036010A (ko)
CN (1) CN116829357A (ko)
WO (1) WO202303341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761A1 (ko) * 2012-08-17 2014-02-20 제일모직 주식회사 표시소자용 플렉서블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77584A (ko) * 2012-12-14 2014-06-24 제일모직주식회사 섬유 적층체,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314326A1 (en) * 2012-12-17 2015-11-05 Kolon Glotech,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planarized fabric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KR102195384B1 (ko) * 2019-08-12 2020-12-24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패시베이션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KR20210043029A (ko) * 2019-10-10 2021-04-21 희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기판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53044A (ja) 2023-12-20
CN116829357A (zh) 2023-09-29
US20240017526A1 (en) 2024-01-18
WO2023033411A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52139A1 (en) Display device with a chip on film
KR101321373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10037114B2 (en) Touch window
EP2219169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841746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14730534B (zh) 显示器用基板
CN117153047A (zh) 用于显示器的基板
KR20210106623A (ko) 표시 장치
US20240012453A1 (en)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EP4174972A1 (en)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2011027814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230093187A (ko) 탄성 부재
US7679608B2 (en) Touch panel
KR20230036010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31732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177458B2 (en) Display device having shock absorbing layer
KR2023005721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405972A1 (en) Elastic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240069417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34798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48734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59097A (ko) 탄성 부재 모듈 및 탄성 부재
US20240078934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 support film
CN116030725A (zh) 一种曲面显示模组和显示装置
KR20240065478A (ko)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