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586A -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에 기초한 토너 충전 가이드 - Google Patents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에 기초한 토너 충전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586A
KR20220000586A KR1020200078396A KR20200078396A KR20220000586A KR 20220000586 A KR20220000586 A KR 20220000586A KR 1020200078396 A KR1020200078396 A KR 1020200078396A KR 20200078396 A KR20200078396 A KR 20200078396A KR 20220000586 A KR20220000586 A KR 20220000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image forming
information
refill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태희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07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586A/ko
Priority to US17/913,481 priority patent/US11892792B2/en
Priority to PCT/US2020/066536 priority patent/WO2021262233A1/en
Publication of KR20220000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03G15/502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relat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menu, e.g. pop-up menus, help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5Reproduc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4Measuring, i.e. determining a quantity by comparison with a stand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74Indicating or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74Indicating or reporting
    • H04N1/00076Indicating or repor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7Indicating status, e.g. of a jo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통신 장치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그룹핑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제1 토너량 및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토너 리필 시기, 토너 리필 시점에서 그룹 내의 토너 리필 대상인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 및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제2 토너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에 기초한 토너 충전 가이드{TONER REFILL GUIDE BASED ON THE POSSIBILITY TONER REFILL QUANTITY IN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APPARATUSES}
화상 형성 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일 예에 따른 토너 리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 예에 따른 외부 장치에서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일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일 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일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충전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시퀀스도, 그리고,
도 10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구매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 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 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란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서버, 클라우드, 웹서버, 호스트 장치일 수 있다. 외부 장치가 서버인 경우, 서버의 예로는 결제 서버, 관리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는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제공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물리적 서버를 나눈 가상의 서버(또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란 사용자가 직접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고, 화상 형성 장치 또는 서버 등과 같은 외부 장치에 접속하는 단말 장치를 말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예로는 스마트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는 외부 장치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최신의 레이저 프린팅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 카트리지 내의 토너가 부족해지면,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하여 토너 카트리지 내의 토너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여러 대의 화상 형성 장치를 관리하는 환경에서,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가 고갈되는 시점마다 해당 화상 형성 장치에 적합한 토너 리필 장치를 구매하여 이용하는 경우 작은 용량의 토너 리필 장치를 빈번하게 구매하여 이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를 관리하는 환경에서,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토너 리필 동작이 가능한 경우에 사용자(또는 관리자)에게 토너 리필을 제안할 수 있는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시스템(1000)은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 및 외부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가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와 별개의 장치인 예로 설명한다.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 각각은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 각각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하면, 토너 카트리지 내의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 각각은 토너 카트리지 내의 토너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는 주기적으로 토너량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토너량이 변경되는 경우에 토너량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외부 장치(20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 각각에 대한 장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시리얼 정보, MAC 정보 등), 모델 정보, 이용 가능한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 저장 가능한 토너 최대 용량 정보, 남아 있는 토너 잔량 정보, 충전 가능한 토너 용량 정보, 연결된 네트워크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에 토너 리필을 수행한 토너 리필 장치(3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300)에 대한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시리얼), 모델 정보, 호환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모델 정보, 최초 용량 정보, 남아 있는 토너 잔량, 리필을 수행한 화상 형성 장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 각각에 대한 사용자 계정 정보(관리자 계정 포함)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계정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 관리 정보, 토너 리필 장치 관리 정보, 네트워크 관리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 관리 정보는 계정에 포함된 모든 화상 형성 장치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토너 리필 장치 관리 정보는 계정에 포함된 모든 토너 리필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관리 정보는 계정에 포함된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 각각의 충전 가능 토너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가능 토너량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가능 토너량은 저장 가능한 토너 최대 용량에서 현재 남아 있는 토너 잔량을 뺀 값이고, 기 설정된 값은 토너 리필 장치의 최초 용량에 대응되는 값일 수 있으며, 제조사가 다양한 용량의 토너 리필 장치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값일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200)는 동일한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별로 충전 가능 토너량을 합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 형성 장치 내지 제3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가 동일한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하고, 제4 화상 형성 장치(100-4)가 다른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한다면, 외부 장치(200)는 동일한 토너 리필 장치(300)를 이용하는 장치(또는 그룹)별로 상술한 합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의 토너량이 기준 토너량(또는, 기준 토너 비율) 미만인 경우에만 충전 가능 토너량을 합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가능 토너량으로 1000(1K)매를 인쇄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20대인 경우, 총 합산 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20K가 넘는 경우라면,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를 소진시키기 위하여 20번의 리필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를 회피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8K 이상의 충전 가능 토너량을 갖는 값들만 합산하거나, 토너 잔류량이 예를 들어, 50% 미만인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만을 합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외부 장치(20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 전체의 충전 가능 토너량 및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300)의 토너량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200)는 토너 리필 시기에 대한 정보, 토너 리필 시점에서 그룹 내의 토너 리필 대상인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정보 및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20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 전체의 충전 가능 토너량 및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300)의 토너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가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시기에 대한 정보, 토너 리필 시점에서 그룹 내의 토너 리필 대상인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정보 및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을 식별할 수도 있다.
확인 결과 토너 충전이 가능하면, 외부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또는, 사용자가 로그인 동작을 수행한 화상 형성 장치)로 토너 리필 장치(300)를 이용한 토너 충전이 가능함을 통지할 수 있다. 이때, 이용 가능한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모델(또는 용량)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구매 가능 페이지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는 토너 리필 시기에 대한 정보, 토너 리필 시점에서 그룹 내의 토너 리필 대상인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정보 및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을 포함하는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를 통해 외부 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로 충전 또는 구매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는 토너 리필 장치(300)를 이용한 토너 충전이 가능하다는 통지(토너 충전 가이드 메시지) 또는 구매 제안 통지를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는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 또는 토너 리필이 필요한 화상 형성 장치의 식별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는 장치 모델 명,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판매처에 대한 URL 정보, 가격 정보, 토너 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수신된 토너 충전 가이드 메시지,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 토너 리필이 필요한 화상 형성 장치의 식별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충전 가이드 메시지 및 구매 제안 통지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 및 표시 방법은 후술한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외부 장치(200)에 4대의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만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수십 또는 수백 대의 화상 형성 장치가 연결될 수 있으며, 직접 연결되지 않고 라우터 등을 경유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2대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5, 100-6)만 도시되어 있으나, 수십 또는 수백 대의 사용자 단말 장치가 연결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외부 장치(200)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외부 장치(200)는 복수의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의 외부 장치(200)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하나의 외부 장치(200)는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외부 장치(200)가 전체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의 토너 충전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 및 토너 구매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1 외부 장치는 전체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의 토너 충전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 외부 장치는 토너 구매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는 복수 개의 그룹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및 제2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는 제1 그룹으로 관리되고, 제3 및 제4 화상 형성 장치(100-3, 100-4)는 제2 그룹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외부 장치가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 100-4) 전체를 관리할 수 있다. 또는, 제1 외부 장치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제1 및 제2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를 관리하고, 제2 외부 장치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제3 및 제4 화상 형성 장치(100-3, 100-4)를 관리할 수 있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이력을 관리하는 제1 외부 장치와 토너 리필 장치의 이용이 가능한지를 판단 및 안내하는 제2 외부 장치가 구분될 수도 있다.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는 통신으로 통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예는 일 예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개수, 사용자 단말 장치의 개수 또는 네트워크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시스템(10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외부 장치(200)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예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토너 리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외부 장치(200) 및 토너 리필 장치(300)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의 토너는 토너 리필 장치(300)를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300)는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의 충전 가능 토너량 및 토너 리필 장치(300)의 토너량에 기초하여 1대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를 충전할 수 있다. 또는, 한 대의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는 1개 이상의 토너 리필 장치로 충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토너 리필 장치(300)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의 토너를 충전할 때 사용자는 충전 진행 상항(토너의 충전량)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한만큼 토너 리필 장치(300)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각각은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의 장치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토너 리필 장치(300)도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300)는 단독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토너 리필 장치(300)는 단독으로 토너 리필 장치(300)의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충전을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에 토너 리필 장치(300)가 연결되면,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는 통신 연결된 외부 장치(200)로 토너 리필 장치(300)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 계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및 토너 리필 장치(300)는 기존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외부 장치(200)로 변경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및 토너 리필 장치(300)로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및 토너 리필 장치(300)의 정보를 항상 최신 정보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의 호환 가능한 토너 리필 장치의 모델 정보 또는 토너 리필 장치의 호환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의 모델 정보는 각 장치로부터 수신하거나 온라인을 통해 웹사이트 등으로부터 수신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의 충전 가능 토너량은 저장 가능한 토너 최대 용량과 토너 잔량의 차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가능한 토너 최대 용량이 10K이고 토너 잔량이 6K라면, 충전 가능 토너량은 4K로 산출될 수 있다. 저장 가능한 토너 최대 용량, 토너 잔량, 충전 가능 토너량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토너 잔량, 충전 가능 토너량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외부 장치는 기존 정보를 새로운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화상 형성 장치 포함)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200)에 연결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는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및 토너 리필 장치(300)의 네트워크 정보가 일치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 상태인 경우, 토너 리필 장치(300)의 구매 또는 충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20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를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0)는 동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200)는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의 화상 형성 장치 관리 정보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외부 장치에서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장치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충전 가능 토너량을 확인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주소 정보, 모델 정보, 토너 잔량 정보 또는 이용 가능한 리필 장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토너의 최대 용량과 토너 잔량의 차를 충전 가능 토너량이라고 확인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저장된 토너 잔량 정보 등이 업데이트되면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충전 가능 토너량을 재확인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외부 장치는 상술한 충전 가능 토너량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충전 가능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확인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의 합과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을 비교하여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한 토너 충전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는 동일한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들의 토너 잔량의 합과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을 비교하여 토너 충전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는 확인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 토너 잔량 비율이 기 설정된 기준 비율보다 작은 화상 형성 장치들의 충전 가능 토너량의 합과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을 비교하여 토너 충전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은 토너 리필 장치의 모델 또는 토너 리필 장치의 제조사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는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충전 가능 제1 토너량과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의 최소 용량과 비교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토너량이 최소 용량 이상일 때 그룹 내의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 리필 대상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는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한 토너 충전을 안내하는 가이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S330). 충전을 안내하는 가이드 메시지는 토너 리필 장치의 구매를 가이드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 장치(화상 형성 장치 포함)에 상술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는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를 가이드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는 장치 모델 명,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판매처에 대한 URL 정보, 가격 정보, 토너 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외부 장치가 관리하는 전체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토너 리필이 필요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식별 정보를 가이드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용량의 토너 리필 장치가 있는 경우, 외부 장치는 서로 다른 토너 리필 장치 중 최적의 토너 리필 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장치는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충전 가능 제1 토너량과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의 최소 용량과 비교하여 토너 리필 대상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외부 장치는 최소 용량의 토너량을 포함하는 토너 리필 장치, 최소 용량의 토너량을 포함하는 토너 리필 장치와 호환 가능한 토너 리필 장치 또는 최소 용량보다 크고 제1 토너량보다 작은 용량의 토너량을 포함하고 호환 가능한 토너 리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의 구매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제1 토너량에 기초하여 최선의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구매 가이드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하여 그룹 내의 토너 리필 대상인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가 충전될 수 있다. 충전 관련 정보는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의 잔량이 그룹 내의 제2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보다 작은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는 제2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충전을 가이드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제공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를 충전하는 경우, 사용되는 토너 리필 장치는 충전 가능량의 변화 상태를 외부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의 충전 가능량의 변화 상태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 직접 제공되거나 외부 장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화상 형성 장치는 충전 가능 토너량 및 토너 잔량의 변화 상태를 외부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다양한 방법은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 간의 토너량을 비슷하게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 시점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화상 형성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화상 형성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00)는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00)는 화상 형성 장치들의 토너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들(410), 토너 충전 가능 여부를 식별하는 명령어들(420) 및 토너 충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명령어들(430)을 저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 과정을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가 외부 장치에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충전과 관련된 정보 또는 토너 리필 장치의 구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외부 장치로 수신된 충전 또는 구매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충전과 관련된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토너를 충전할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메시지, 외부 장치가 관리하는 전체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토너 리필이 필요한 화상 형성 장치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린터(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가 충전이 필요하고 토너 리필 장치로 제3 프린터가 충전이 가능한 경우, 외부 장치는 제3 프린터에 대한 충전 가이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수신된 “현재 토너 리필 장치로 프린터 3의 토너 충전이 가능합니다.”와 같은 충전 가이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하여 프린터 3의 토너를 충전하는 경우, 외부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토너 리필 장치에 의한 토너 충전이 수행됨에 따라, 토너 리필 장치의 충전 가능량의 변화 상태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수신된 충전 진행과 관련된 변경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제1 화상 형성 장치 및 제2 화상 형성 장치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관리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또는 토너 리필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화상 형성 장치 및 제2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 리필 장치 A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외부 장치는 토너 리필 장치 A의 토너량이 5K이고,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량이 3K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량이 충전 가능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외부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충전 안내 가이드 메시지와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는 수신된 메시지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장치의 가이드에 따라 토너 리필 장치 A를 이용하여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를 충전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 및 토너 리필 장치 A는 충전에 따른 변화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 형성 장치는 충전 가능량이 3K에서 0K로 변하는 중간 값 또는 최종 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 A는 토너량이 5K에서 2K로 변하는 중간 값 또는 최종 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충전에 따라 변하는 제1 화상 형성 장치 또는 토너 리필 장치의 중간 값 또는 최종 값을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는 토너 리필 장치의 변화된 정보를 토너 리필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화상 장치의 토너가 충전이 완료되면, 제1 화상 형성 장치와 호환되는 토너 리필 장치 A의 토너량은 2K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가 관리하는 제2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량은 2,5K일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제2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량과 토너 리필 장치 A의 토너량일 비교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충전 가능량이 토너량보다 큰 경우, 제2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충전 안내 가이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는 수신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는 토너 리필 장치 A의 충전 가능량이 일정 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로 구매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매와 관련된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는 장치 모델 명, 토너 리필 장치의 판매처에 대한 URL 정보, 가격 정보, 토너 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충전 안내 가이드 메시지와 함께 수신된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URL 정보는 판매처 사이트와 링크되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수신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장치의 판매처 사이트로 바로 접속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화상 형성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외부 장치의 블록도를 설명한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a)는 통신 장치(110), 프로세서(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장치(110)는 토너 리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a)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 또는 토너 리필 장치와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802.11a/b/g/n, NFC, Bluetooth)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 장치(110)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도 있다.
통신 장치(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토너 충전 안내 가이드 메시지, 토너 리필이 필요한 화상 형성 장치의 식별 정보, 토너 리필 장치 구매 관련 메시지,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 토너 리필 장치의 충전 가능량의 변화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장치(110)는 토너 리필 장치로부터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 토너 리필 장치의 충전 가능량의 변화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기초로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토너를 충전할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메시지는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토너를 충전할 것을 안내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외부 장치가 관리하는 전체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토너 리필이 필요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식별 정보, 토너 리필 장치의 충전 가능량 변화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가이드 메시지와 함께 토너 리필 장치 구매 관련 메시지 및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는 장치 모델 명, 토너 리필 정치의 판매처에 대한 URL 정보, 가격 정보, 토너 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20)는 CPU와 같은 단일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클럭 발생 회로, CPU, 그래픽 프로세서 등의 복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 또는 토너 리필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 팝업창 또는 상태 확인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a)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a)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LCD, OLED, 플렉서블 형태의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a)는 수신된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신된 정보 등을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a)는 수신된 충전 또는 구매 관련 메시지 및 각종 장치에 대한 정보 등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고,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a)는 토너 리필 정치의 판매처에 대한 URL 정보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하고, 입력 장치를 통해 표시된 URL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으면, 링크된 판매처 사이트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b)는 통신 장치(110), 프로세서(120), 디스플레이(130) 및 인쇄 엔진(14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와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 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외에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도 1의 토너 리필 장치에 부착된 메모리 칩과 통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10)는 토너 리필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100b)에 연결되는 경우, 토너 리필 장치의 메모리 칩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치(110)는 화상 형성 장치(100b)의 본체에 장착된 복수의 단자를 통하여 토너 리필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RFID 방식으로 토너 리필 장치의 메모리 칩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화상 형성 장치(100b)의 식별 정보, 주소 정보, 모델 정보, 토너 잔량 정보 또는 이용 가능한 토너 리필 장치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10)는 토너 리필 장치에 의해 토너가 충전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 토너 잔량의 변화 상태 정보, 토너 리필 장치의 충전 가능량의 변화 상태 정보 등을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화상 형성 장치(100b)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인쇄 엔진(14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토너 리필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토너 리필 장치의 메모리 칩과의 전기적인 연결 또는 NFC 통신 연결이 확인되면, 토너 리필 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가 연결되면, 프로세서(120)는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토너 리필 장치의 메모리 칩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일 예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 칩에 저장된 정보를 읽고, 메모리 칩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가 적법한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가 인증된 장치이면, 프로세서(120)는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현재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토너 리필을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토너 리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예를 들어, 리필 과정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b)의 전원이 꺼진 경우, 사용자의 실수로 일부 토너만 리필한 경우, 주입구 또는 관로가 일시적으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토너 리필 장치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화상 형성 장치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더라도 저장된 정보가 화상 형성 장치(100b)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즉, 메모리 칩에 저장된 시리얼 코드가 화상 형성 장치(100b)의 시리얼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해당 토너 리필 장치를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프로세서(120)는 도어 부재가 홀을 개방하도록 도어 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토너 리필 과정 중에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토너 주입 중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토너 카트리지(145)에 대한 토너 주입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토너 주입 완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프로세서(120)는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토너 주입 과정 중에 토너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버튼이 선택되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은 실링 커버 근처에 부착되어 토너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입력받는 전용의 버튼일 수도 있으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일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토너 리필 과정 중에 화상 형성 장치(100b)의 본체에 구비된 버튼을 고유의 기능 대신에 에러를 입력받는 기능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토너 리필 과정 중에 본체에 구비된 버튼을 선택하는 동작으로 에러 사실을 프로세서(120)에 알릴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버튼은 전원 버튼, 취소 버튼, 인쇄 버튼 등일 수 있다.
그리고 토너 리필 과정에서 에러가 확인되면, 프로세서(120)는 에러에 대한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145)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145)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토너 리필 장치의 시리얼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145)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에러가 발생한 이력이 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만을 토너 카트리지(145)에 설정하고, 토너 카트리지(145)의 시리얼 정보는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토너 리필이 완료되면, 토너 리필 완료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 칩에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 또는 토너 리필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30)는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사용될 때 상술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인쇄 엔진(140)은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인쇄 엔진(140)은 감광 드럼, 중간 전사 벨트 및 용지 이송 벨트와 같은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 형성 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 엔진(140)은 화상 형성 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다양한 소모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대전 장치, 노광 장치, 현상 장치, 전사 장치, 정착 장치, 각종 롤러, 벨트, OPC 드럼 등이 소모품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그 밖에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현상기와 같이 교체가 요구되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들이 소모품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소모품 장치 중 하나가 토너 카트리지(145)이고, 토너 카트리지(145)는 상술한 현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장치(200)는 통신 장치(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200)는 일반적인 서버뿐만 아니라,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서버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LDAP는 네트워크 상에 어떠한 정보(전화번호, 주소, 조직, 파일, 프린터등 하드웨어 위치, 계정 등)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이다. 그리고 LDAP 서버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를 다른 장치에 손쉽게 제공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를 디렉토리 방식으로 저장 관리하는 서버이다.
통신 장치(210)는 외부 장치(200)를 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및 무선 모듈을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 장치(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계정 정보(관리자 계정 포함)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 관리 정보, 토너 리필 장치 관리 정보, 네트워크 관리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 관리 정보는 계정에 포함된 모든 화상 형성 장치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토너 리필 장치 관리 정보는 계정에 포함된 모든 토너 리필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관리 정보는 계정에 포함된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ID, 사원번호,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와 사용자가 속한 그룹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추가 정보(예를 들어, 국가 정보, 직급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210)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210)는 특정 화상 형성 장치에 속한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해당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통신 장치(210)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그룹에 속한 사용자가 아닌 사용자로부터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는 사실을 통지받을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치(210)는 이에 대한 사실을 관리자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장치(210)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정보는 식별 정보(예를 들어, 시리얼 정보, MAC 정보 등), 모델 정보, 이용 가능한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 저장 가능한 토너 최대 용량 정보, 남아 있는 토너 잔량 정보, 충전 가능한 토너 용량 정보, 연결된 네트워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210)는 화상 형성 장치 또는 토너 리필 장치로부터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시리얼), 모델 정보, 호환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모델 정보, 최초 용량 정보, 남아 있는 토너 잔량, 리필을 수행한 화상 형성 장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사용자 계정 정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정보,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외부 장치(200) 내의 저장 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외부 장치(2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수신된 사용자 계정 정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정보,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토너 충전 여부에 대한 확인 및 토너 리필 장치의 구매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 장치(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충전 가능 토너량을 확인하고, 각각의 충전 가능 토너량을 합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합산된 충전 가능 토너량과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을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충전 가능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30)는 동일한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들의 토너 잔량의 합과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을 비교하여 토너 충전 가능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30)는 확인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 토너 잔량 비율이 기 설정된 기준 비율보다 작은 화상 형성 장치들의 충전 가능 토너량의 합과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을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충전 가능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토너 충전이 가능하다고 확인되고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접속되면, 충전 안내 가이드 메시지를 통신 장치(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30)는 화상 형성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토너 리필 장치의 모델을 결정하고, 결정된 토너 리필 장치의 모델에 대한 정보를 함께 통신 장치(2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고, 해당 화상 형성 장치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잔량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을 재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토너 리필 장치의 구매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 장치(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의 구매와 관련된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는 장치 모델 명, 토너 리필 장치의 판매처에 대한 URL 정보, 가격 정보, 토너 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30)는 구매 가이드 메시지를 통신 장치(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외부 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지금까지 화상 형성 시스템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충전 가이드 메시지 및 구매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충전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b)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910).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정보는 식별 정보(예를 들어, 시리얼 정보, MAC 정보 등), 모델 정보, 이용 가능한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 저장 가능한 토너 최대 용량 정보, 남아 있는 토너 잔량 정보, 충전 가능한 토너 용량 정보, 연결된 네트워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b)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수시로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100b)만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 개의 화상 형성 장치(100b)가 외부 장치(200)에 연결되어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100b)가 자신의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300)는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920).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시리얼), 모델 정보, 호환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모델 정보, 최초 용량 정보, 남아 있는 토너 잔량, 리필을 수행한 화상 형성 장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300)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직접 외부 장치(200)로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토너 리필 장치(300)는 화상 형성 장치(100b)와 연결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b)를 통해 간접적으로 자신의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b)는 충전 가능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S930).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100b)를 사용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b)의 충전 가능 용량은 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화상 형성 장치(100b)는 제1 화상 형성 장치 및 제2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화상 형성 장치는 충전 가능 용량 2K라고 확인하고, 제2 화상 형성 장치는 충전 가능 용량 3K라고 확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b)는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용량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940). 즉, 제1 화상 형성 장치는 충전 가능 용량 2K라는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하고, 제2 화상 형성 장치는 충전 가능 용량 3K라는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b)의 충전 가부를 확인할 수 있다(S950). 외부 장치는 토너 리필 장치(300)로부터 충전 가능량이 6K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는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용량과 제2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용량을 합산한 값 5K보다 토너 리필 장치(300)의 충전 가능량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200)는 토너 리필 장치(300)로 제1 및 제2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를 충전할 수 있다고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a)는 외부 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S960). 도 9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a)의 접속이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부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a)의 외부 장치(200) 접속은 그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외부 장치(200)는 충전 가이드 메시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a)로 전송할 수 있다(S970).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는 모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a)는 수신된 충전 가이드 메시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980-1).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b)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a)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외부 장치(200)는 충전 가이드 메시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100b)로 전송할 수 있다(S970). 화상 형성 장치는(100b)는 수신된 충전 가이드 메시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980-2).
도 10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구매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화상 형성 장치(100b-1)는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하고(S1010-1), 제2 화상 형성 장치(100b-2)는 제2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1010-2). 제1 화상 형성 장치(100b-1)는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용량을 확인하고(S1020-1), 제2 화상 형성 장치(100b-2)는 제2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S1020-2). 그리고, 제1 화상 형성 장치(100b-1)는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용량 정보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하고(S1030-1), 제2 화상 형성 장치(100b-2)는 제2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용량을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1030-2). 외부 장치(200)는 제1 및 제2 화상 형성 장치(100b-1, 100b-2)의 충전 가능 용량을 합산하고, 충전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030-1). 사용자 단말 장치(100a)(또는, 제1 화상 형성 장치)는 외부 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S1050). 상술한 과정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과정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외부 장치(200)는 구매 가이드 메시지 및 구매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a)(또는, 제1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1060). 예를 들어, 구매 가이드 메시지는 충전 가이드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고, 구매 관련 정보는 충전 가이드 메시지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구매 관련 정보는 장치 모델 명,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판매처에 대한 URL 정보, 가격 정보, 토너 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a)는 수신된 구매 가이드 메시지 및 구매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1070-1). 한편, 제1 화상 형성 장치(100b-1)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a)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화상 형성 장치는(100b-1)는 수신된 구매 가이드 메시지 및 구매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1070-2). 사용자 단말 장치(100a)(또는, 제1 화상 형성 장치)는 표시된 URL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토너 리필 판매처의 사이트로 접속하고, 토너 리필 장치의 구매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0: 화상 형성 시스템 100a, 100-5, 100-6: 사용자 단말 장치
100b, 100-1, 100-2, 100-3, 100-4: 화상 형성 장치
110: 통신 장치 120: 프로세서
130: 디스플레이 140: 인쇄 엔진
145: 토너 카트리지
200: 외부 장치 210: 통신 장치
220: 메모리 230: 프로세서
300: 토너 리필 장치

Claims (15)

  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그룹핑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제1 토너량 및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토너 리필 시기, 토너 리필 시점에서 그룹 내의 토너 리필 대상인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제2 토너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가이드 메시지와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는 장치 모델 명,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판매처에 대한 URL 정보, 가격 정보, 토너 용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가 관리하는 전체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토너 리필이 필요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이력 정보를 상기 가이드 메시지와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상기 토너 리필 장치에 의한 토너 충전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충전 가능량의 변화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인 사용자 단말 장치.
  6.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그룹핑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제1 토너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제1 토너량과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에 기초하여 그룹 내의 토너 리필 대상인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한 토너 충전 가능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토너 충전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시기, 토너 리필 시점에서 그룹 내의 토너 리필 대상인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제2 토너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토너량과 상기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의 최소 용량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토너량이 상기 최소 용량 이상일 때 상기 그룹 내의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 리필 대상임을 식별하는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최소 용량의 토너량을 포함하는 토너 리필 장치, 상기 최소 용량의 토너량을 포함하는 토너 리필 장치와 호환 가능한 토너 리필 장치 또는 상기 최소 용량보다 크고 상기 제1 토너량보다 작은 용량의 토너량을 포함하고 호환 가능한 토너 리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의 구매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관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 내의 토너 리필 대상인 제1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를 충전한 후,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의 잔량이 상기 그룹 내의 제2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충전을 가이드하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주소 정보, 모델 정보, 토너 잔량 정보 또는 이용 가능한 토너 리필 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토너 잔량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충전 가능 토너량을 재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화상 형성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계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전송한 화상 형성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에 상기 가이드 메시지를 전송하는 관리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가이드 메시지와 함께 제공하며,
    상기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정보는 장치 모델 명,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판매처에 대한 URL 정보, 가격 정보, 토너 용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외부 장치가 관리하는 전체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토너 리필이 필요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이력 정보를 상기 가이드 메시지와 함께 제공하는 관리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상기 토너 리필 장치에 의한 토너 충전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충전 가능량의 변화 상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15. 그룹핑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제1 토너량을 확인하는 명령어;
    상기 확인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제1 토너량과 하나의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량에 기초하여 그룹 내의 토너 리필 대상인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한 토너 충전 가능 여부를 식별하는 명령어; 및
    상기 식별된 토너 충전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시기, 토너 리필 시점에서 그룹 내의 토너 리필 대상인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제2 토너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200078396A 2020-06-26 2020-06-26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에 기초한 토너 충전 가이드 KR20220000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396A KR20220000586A (ko) 2020-06-26 2020-06-26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에 기초한 토너 충전 가이드
US17/913,481 US11892792B2 (en) 2020-06-26 2020-12-22 Toner refill guide based on the possibility toner refill quantity in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apparatuses
PCT/US2020/066536 WO2021262233A1 (en) 2020-06-26 2020-12-22 Toner refill gu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396A KR20220000586A (ko) 2020-06-26 2020-06-26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에 기초한 토너 충전 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86A true KR20220000586A (ko) 2022-01-04

Family

ID=7928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396A KR20220000586A (ko) 2020-06-26 2020-06-26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에 기초한 토너 충전 가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92792B2 (ko)
KR (1) KR20220000586A (ko)
WO (1) WO2021262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71880A (ja) * 2019-02-28 2022-05-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消耗品発注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9284A1 (en) * 2004-03-29 2005-10-06 Seiko Epson Corporation Refill management system
JP5170182B2 (ja) 2010-07-28 2013-03-2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交換用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管理装置及び同システム、定着制御プログラム、交換用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管理方法並びに管理プログラム
KR20190124555A (ko) * 2018-04-26 2019-11-0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의 리필 동작을 가이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20200004630A (ko) 2018-07-04 2020-01-1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재사용 가능한 리필 장치를 이용한 토너 리필 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2233A1 (en) 2021-12-30
US20230136045A1 (en) 2023-05-04
US11892792B2 (en)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5622B2 (en) Order support system, device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product
JP4969314B2 (ja) 発注支援システム、発注支援装置、機器監視装置、発注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54350B2 (en) Order suppor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an order supporting apparatus, order support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7340501B2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US10116810B2 (en) Image-outputting apparatus for outputting notification image sent from server
JP2012247977A (ja) 情報処理装置、発注システム、発注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US9772807B1 (en) Multi-worker approach for printer data collection in timely situations
US8988708B2 (en) Host device to monitor st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69333B2 (en) SERVER for collecting status information of image forming devices
JP5862096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230137214A1 (en) Printing control apparatus that communicates with cloud print ser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122876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在庫管理システム、在庫管理方法、並びにメモリ媒体
KR20220000586A (ko)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충전 가능 토너량에 기초한 토너 충전 가이드
JP2002132922A (ja) 情報収集・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サーバ装置
CN108292197B (zh) 打印机机队内打印剂墨盒的先前安装的确定
US8587798B2 (en) Replacement component for a printing device
US20220019156A1 (en)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non-genuine toner cartridge
JP202211560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035040A (ja) 提供装置、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11085786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構成部品再利用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2788190A (zh) 复合机的维护系统及存储介质
WO2021206731A1 (en) Determining new remaining usage of cartridge
JP201704496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92714A (ko) 분산 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20205469A (ja) 画像形成装置、管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