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126U - 의료용 드레이프 - Google Patents

의료용 드레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126U
KR20220000126U KR2020200002402U KR20200002402U KR20220000126U KR 20220000126 U KR20220000126 U KR 20220000126U KR 2020200002402 U KR2020200002402 U KR 2020200002402U KR 20200002402 U KR20200002402 U KR 20200002402U KR 20220000126 U KR20220000126 U KR 202200001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rape
guard
medical drap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333Y1 (ko
Inventor
김만용
김명근
Original Assignee
김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용 filed Critical 김만용
Priority to KR2020200002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333Y1/ko
Priority to PCT/KR2020/013958 priority patent/WO2022010040A1/ko
Priority to EP20904297.7A priority patent/EP3957266A4/en
Priority to US17/423,035 priority patent/US11744664B2/en
Publication of KR202200001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3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40Drape material, e.g. laminates; Manufactur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5Splash shields for protection of the surgeon, e.g. splash guards connected to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3/00Means for making patients feel at ease during dental treatment, e.g. dental instruments in the form of to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료용 드레이프에 관한 고안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 치료 중 환자의 입으로부터 발생되는 비말의 확산을 방지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키고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드레이프에 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의료용 드레이프{MEDICAL DRAPE}
본 고안은 의료용 드레이프에 관한 고안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 치료 중 환자의 입으로부터 발생되는 비말의 확산을 방지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키고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드레이프에 관한 고안이다.
의료용 드레이프(Drape)란, 수술 혹은 치료 시, 대상 부위만이 개방되고 그 주변을 덮는 천을 뜻한다. 수술 혹은 치료 시 발생되는 비말, 이물질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감염을 막는 역할을 하며,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의료 용품이다.
도 1은 치과 치료 시에 의료용 드레이프를 사용한 모습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드레이프(10)에는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중공부(11)가 환자의 입(1) 주변에 위치되도록 드레이프(10)를 위치시킨다. 이때, 입(1) 주변에는 코(2)가 위치되고, 환자의 호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코(2) 부분까지 중공부(11)가 위치되도록 드레이프(10)를 위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드레이프(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드레이프(10)를 환자의 입 주변에 얹어 놓고 별도의 고정 장치가 없으므로 치과 치료 도중에 드레이프(10)가 흔들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드레이프(10)의 위치를 다시 설정하기 위해 치료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고, 환자가 불쾌감 및 공포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치과 치료 도중 환자의 입(1)으로부터 발생되는 비말이 발생 되고, 비말을 차단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드레이프에는 부재하므로 입(1)과 인접한 코(2)로 비말이 튀거나, 다른 신체 부위에 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감염 발생으로 인한 위생성 하락, 환자의 불쾌감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드레이프(10)는 일반적으로 천 재질이므로, 비말이 천에 흡수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환자의 피부와 맞닿고 있는 드레이프(10)의 배면 부분에 비말이 흡수된 상태에서 드레이프(10)와 환자의 피부가 지속적으로 맞닿고 있으므로 위생성 하락, 환자의 불쾌감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드레이프(10)의 위생성 및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드레이프의 고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0330106호
본 고안은 의료용 드레이프에 관한 고안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 치료 중 환자의 입으로부터 발생되는 비말의 확산을 방지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키고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드레이프에 관한 고안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이프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일 지점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환자의 입 주변에 위치되는 개구부; 및 상기 시트부의 배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걸이부는 상기 환자의 양쪽 귀에 각각 결착 가능하여 상기 시트부의 고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이프는 상기 시트부의 배면에서 상기 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는 제1 가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드부는 상기 환자의 치과 치료 중 발생되는 비말의 확산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이프는 상기 제1 가드부의 외측면이 라운드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이프의 상기 걸이부는 양 단부가 상기 제1 가드부에 결합된 폐곡선 형태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이프의 상기 시트부의 배면은 방수 재질로 처리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가드부 및 제2 가드부로 인해 치과 치료 중 발생되는 비말의 확산을 전방위적으로 막을 수 있어 감염을 최소화하고 위생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걸이부로 인해, 드레이프의 고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치과 치료 시에 의료용 드레이프를 사용한 모습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이프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1 가드부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비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 가드부가 환자의 코를 덮은 모습을 측면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개구부로 돌출된 제2 가드부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개구부로 돌출된 제2 가드부 부분이 환자의 코를 덮은 모습을 정면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극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는 치과 치료 시 사용되는 의료용 드레이프를 기준으로 고안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이프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이프는 시트부(100), 개구부(200), 제1 가드부(300), 걸이부(400), 제2 가드부(500), 와이어부(600)를 포함한다.
시트부(100)는 환자의 입(1) 및 코(2) 주변을 덮는다. 도 2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표현하였으나,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시트부(100)는 종래의 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치료 부위 외에 비말, 이물질 등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시트부(100)는 배면(110)과 정면(120)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재질이 상이한 2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트부(100)의 배면(110)은 방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부(100)의 배면이 일반적인 소재인 천으로 형성되면, 치료 과정에서 비말, 이물질 등이 시트부(100)에 튀는 경우, 시트부(100)가 비말, 이물질 등을 그래도 흡수한 상태에서 환자의 피부에 밀착되므로 위생성의 하락, 불쾌감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시트부(100)의 배면(110)을 방수 재질로 처리하여, 시트부(100)에 비말, 이물질 등이 흡수되는 것이 아닌 그대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위생성이 향상되며 환자의 불쾌감을 개선할 수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구부(200)는 시트부(100)의 일 지점에 형성된다.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에 환자의 입(1) 및 코(2) 일부가 위치되도록 한다. 일 예로, 비말, 이물질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물방울 형상으로 개구부(2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드부(300)는 시트부(100)의 배면(110)에서 개구부(200)의 주위를 따라 형성된다. 제1 가드부(30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확대도 및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3은 제1 가드부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비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가드부(300)는 시트부(100)의 배면(110)에 결합된다. 일 예로, 시트부(100)의 배면(110)에 봉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가드부(300)는 외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반원형태이다. 또한, 제1 가드부(300)는 배면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으로, 환자의 얼굴을 기준으로 양 단부가 귀 부근의 뺨에서 시작되어 턱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입(2) 내부에 치아 또는 잇몸을 치료하는 치과 치료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말(이하에서는 이물질류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두 비말이라 지칭한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말(3)은 돌출되어 있는 제1 가드부(300)에 의해 제1 가드부(300) 내부에 머무르게 되며, 제1 가드부(300) 외부로 비말(3)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U'자 형상으로 비말(3)이 확산될 수 있는 방향 대부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좌, 우, 하 방향 모두 제1 가드부(300)에 의해 확산이 방지된다. 이때, 상 방향의 경우 후술할 제2 가드부(500)에 의해 확산이 방지되므로 전방위(全方位)적 확산이 방지되어 위생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가드부(300)는 외측면이 라운드(round)지게 형성되어, 환자의 피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환자에게 느껴지는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걸이부(400)는 시트부(100)의 배면(110)에 형성되며, 한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걸이부(400)는 개구부(200)를 중심으로 양 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드레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환자의 귀 부근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걸이부(400)는 제1 가드부(300)와 시트부(110) 사이에서 봉제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걸이부(400)는 고리 형상으로, 양 단부가 제1 가드부(300) 또는 시트부(100)의 배면(110)에 양 단부가 결합된다. 이로 인해,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걸이부(400) 각각은 시트부(100)가 환자의 얼굴에 위치되는 경우, 환자의 양쪽 귀에 각각 결착이 가능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스크(Mask) 형상으로 걸이부(400)가 환자의 귀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드레이프를 환자의 얼굴 위에 얹어놓는 것과는 달리, 걸이부(400)가 환자의 귀에 걸려 있어 드레이프와 환자의 얼굴과의 고정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로 인해, 치료 중 드레이프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발생되는 치료 시간 지연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고, 환자의 얼굴에 드레이프가 밀착되어 비말(3)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걸이부(400)의 다른 실시 예는 조임부(700)가 추가된다. 조임부(700)는 걸이부(400)의 일단과 타단이 동시에 관통되는 것이며, 관통되도록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소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조임부(700)의 위치 조정으로 걸이부(400)에 의해 형성된 폐곡선이 이루는 면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을 기준으로 조임부(70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면적이 좁아지며,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면적이 넓어진다. 여기서 폐곡선이 이루는 면적, 즉 공간은 환자의 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환자의 귀의 크기에 따라 맞춤형으로 면적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적보다 환자의 귀가 많이 작게 되면 드레이프의 고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맞춤형으로 면적을 설정할 수 있어 드레이프의 고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제2 가드부(500)는 시트부(100)의 배면(110)에 형성된다. 또한, 제2 가드부(500) 일부는 개구부(200)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드부(500)는 드레이프가 환자의 얼굴을 덮고 있을 때, 환자의 코(2) 부근과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가드부(500)는 시트부(100)의 배면(110)과 봉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일 예로 도 2에서는 봉제선 'L'을 표현하였다). 이때, 개구부(200)로 돌출된 제2 가드부 부분(도면부호 '520')은 시트부(100)의 배면(110)과 봉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2 가드부(500)는 드레이프가 환자의 얼굴을 덮고 있을 때, 제2 가드부(500)의 일부가 환자의 코(2)를 덮을 수 있게 되어 비말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 가드부(500)가 환자의 코(2)를 덮은 모습을 측면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개구부(200)로 돌출된 제2 가드부 부분(520)을, 도 6은 개구부(200)로 돌출된 제2 가드부 부분(520)이 환자의 코(2)를 덮은 모습을 정면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드레이프가 환자의 얼굴을 덮어 제2 가드부(500) 중 시트부(100)의 배면(110)과 봉제된 부분(510)이 환자의 코(2)를 감싸게 되면, 개구부(200)로 돌출된 제2 가드부 부분(520)의 양 측 부근이 접힘과 동시에 개구부(200)로 돌출된 제2 가드부 부분(520)이 도 4와 같이 환자의 코(2)의 콧구멍 부분을 덮게 된다.
결론적으로, 제1 가드부(300) 및 제2 가드부(500)의 치과 치료 중 발생되는 비말의 전방위적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위생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제2 가드부(500) 중 개구부(200)로 돌출된 제2 가드부 부분(520)은 환자의 코(2)의 콧구멍 부분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얹어져 있는 형태이다. 이는 해당 부분이 봉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자가 숨을 못쉬게 되는 불편감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와이어부(600)는 제2 가드부(500)와 시트부(100)에 동시에 결합된다. 와이어부(600)는 밴딩 가능한 소프트 와이어(soft wire)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드레이프가 환자의 얼굴을 덮는 경우 콧등 부근에 와이어부(6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2 가드부(500)의 고정성이 향상되며, 드레이프 전체가 환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시트부,
200 : 개구부,
300 : 제1 가드부,
400 : 걸이부,
500 : 제2 가드부,
600 : 와이어부.

Claims (5)

  1.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일 지점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환자의 입 주변에 위치되는 개구부; 및
    상기 시트부의 배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걸이부는 상기 환자의 양쪽 귀에 각각 결착 가능하여 상기 시트부의 고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인
    의료용 드레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배면에서 상기 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는 제1 가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드부는 상기 환자의 치과 치료 중 발생되는 비말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인
    의료용 드레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드부의 외측면이 라운드진 것인
    의료용 드레이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양 단부가 상기 제1 가드부에 결합된 폐곡선 형태인 것인
    의료용 드레이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배면은 방수 재질로 처리된 것인
    의료용 드레이프.
KR2020200002402U 2020-07-06 2020-07-06 의료용 드레이프 KR2004953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02U KR200495333Y1 (ko) 2020-07-06 2020-07-06 의료용 드레이프
PCT/KR2020/013958 WO2022010040A1 (ko) 2020-07-06 2020-10-14 의료용 드레이프
EP20904297.7A EP3957266A4 (en) 2020-07-06 2020-10-14 MEDICAL DRAPES
US17/423,035 US11744664B2 (en) 2020-07-06 2020-10-14 Medical dr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02U KR200495333Y1 (ko) 2020-07-06 2020-07-06 의료용 드레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26U true KR20220000126U (ko) 2022-01-13
KR200495333Y1 KR200495333Y1 (ko) 2022-04-29

Family

ID=7934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402U KR200495333Y1 (ko) 2020-07-06 2020-07-06 의료용 드레이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44664B2 (ko)
EP (1) EP3957266A4 (ko)
KR (1) KR200495333Y1 (ko)
WO (1) WO2022010040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0628A (en) * 1987-12-03 1990-01-02 Kimberly-Clark Corporation Surgical drape with means for channeling and collecting fluids
KR910700029A (ko) * 1988-12-16 1991-03-13 원본미기재 양쪽으로 사용 가능한 수술용 드레이프
US6185740B1 (en) * 2000-06-26 2001-02-13 Peter J. Zegarelli Disposable patient facial mask
KR100330106B1 (ko) 1993-04-23 2002-08-21 죤슨 앤드 죤슨 메디칼 인코포레이티드 다중-부재수술용드레이프
KR20090111413A (ko) * 2008-04-22 2009-10-27 서길식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
KR20210099448A (ko) * 2020-02-04 2021-08-12 (주)세종헬스케어 수술용 드레이프
KR20210115496A (ko) *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이앤더블유 (E&W) 치과 수술용 수술포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876A (en) * 1890-02-04 Henry ii
US1604136A (en) * 1924-09-04 1926-10-26 Charles I Stoloff Rubber-dam construction for dental use
US1774285A (en) * 1928-02-01 1930-08-26 Middaugh William Clay Rubber-dam holder
SE313393B (ko) * 1965-06-29 1969-08-11 C Gross
US3406452A (en) * 1966-09-02 1968-10-22 Richard S. Mcconville Dental rubber dam frame
US4512742A (en) * 1977-04-25 1985-04-23 Shanel Kathleen A Holder for rubber dental dam
US4626211A (en) * 1985-09-20 1986-12-02 Cindy Coston Dental shield
US4721564A (en) * 1985-10-22 1988-01-26 Kuraray Co., Ltd. Apparatus for the filtration of plasma from blood
US6079980A (en) * 1999-01-11 2000-06-27 Durand; Cecile M. Dental patient face mask
US6523179B1 (en) 2001-08-13 2003-02-25 Peter J. Zegarelli Disposable patient face mask
JP2004065882A (ja) * 2002-08-02 2004-03-04 Miyako Suzuki 歯科医療用マスク
US20040170945A1 (en) * 2003-02-27 2004-09-02 John Heasley General field isolation rubber dams without operative inserts which isolate the dental alveolar arch for dental treatment
GB2402069B (en) * 2003-05-28 2005-08-24 Kanchan Shanbhag Dental isolation device
JP3110964U (ja) * 2005-03-03 2005-07-07 益子 金澤 歯科用フェイスカバー
TWI516296B (zh) * 2012-09-19 2016-01-11 鄭永柱 口腔醫療用口罩及其使用方法
KR20150046875A (ko) * 2013-10-23 2015-05-04 주식회사 피란트 치과 환자용 위생시트
KR101629952B1 (ko) * 2015-12-15 2016-06-13 정필호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JP3214805U (ja) * 2017-11-07 2018-02-08 株式会社竹虎 歯科用フェイスカバ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0628A (en) * 1987-12-03 1990-01-02 Kimberly-Clark Corporation Surgical drape with means for channeling and collecting fluids
KR910700029A (ko) * 1988-12-16 1991-03-13 원본미기재 양쪽으로 사용 가능한 수술용 드레이프
KR100330106B1 (ko) 1993-04-23 2002-08-21 죤슨 앤드 죤슨 메디칼 인코포레이티드 다중-부재수술용드레이프
US6185740B1 (en) * 2000-06-26 2001-02-13 Peter J. Zegarelli Disposable patient facial mask
KR20090111413A (ko) * 2008-04-22 2009-10-27 서길식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
KR20210099448A (ko) * 2020-02-04 2021-08-12 (주)세종헬스케어 수술용 드레이프
KR20210115496A (ko) *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이앤더블유 (E&W) 치과 수술용 수술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333Y1 (ko) 2022-04-29
EP3957266A1 (en) 2022-02-23
US20220338948A1 (en) 2022-10-27
WO2022010040A1 (ko) 2022-01-13
US11744664B2 (en) 2023-09-05
EP3957266A4 (en)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0905B2 (ja) 鼻を密閉する部分を含むインタフェース
KR102126029B1 (ko) 페이스 쉴드
US4864653A (en) Protective shield and visor supporting same
US5146629A (en) Rinse shield
KR101869654B1 (ko) 방한용 마스크
US20170113076A1 (en) Clothing with built-in respiratory filter
US5099525A (en) Face protecting mask intended to be used in general medicine and more particularly in surgery
KR101297466B1 (ko)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GB2410416A (en) Dentist's apron
US20020108586A1 (en) Fly mask
KR200495333Y1 (ko) 의료용 드레이프
US20110154556A1 (en) Splash guard
JP2001161843A (ja) マスク
JP5466781B1 (ja) マスク
US9168177B2 (en) Slip-over light blocking sleep mask
US7310827B2 (en) Splash guard
JP2010119826A (ja) 耳までカバーするマスク
US2038310A (en) Surgical mask
JP3227739U (ja) マスク
JP5608769B2 (ja) 保湿保温マスク
JP5022011B2 (ja) 歯科用シート
JP4472806B2 (ja) 釣り用フード
JP2022033639A (ja) マスク保型フレーム構造
KR102280127B1 (ko) 퍼머용 헤어밴드
JP2008136754A (ja) 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