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127B1 - 퍼머용 헤어밴드 - Google Patents

퍼머용 헤어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127B1
KR102280127B1 KR1020190109096A KR20190109096A KR102280127B1 KR 102280127 B1 KR102280127 B1 KR 102280127B1 KR 1020190109096 A KR1020190109096 A KR 1020190109096A KR 20190109096 A KR20190109096 A KR 20190109096A KR 102280127 B1 KR102280127 B1 KR 10228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orehead
neck
perm
protr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967A (ko
Inventor
염승선
Original Assignee
염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승선 filed Critical 염승선
Priority to KR102019010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12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8Protecting mantles; Shoulder-shields; Collars; B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12Ear, face, or lip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40Hair-nets; Hair-protecting cap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퍼머용 헤어밴드가 개시된다. 개시된 퍼머용 헤어밴드는 이마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중간밴드부와, 상기 중간밴드부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목 옆면부와 목 뒷면부를 감싸 양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측방밴드부로 구성된 밴드본체; 상기 측방밴드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두께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측방밴드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방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목 옆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측방밴드부와 상기 목 옆면부 사이의 틈새를 메워 퍼머액이 목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해주는 측방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퍼머용 헤어밴드 {hair band for permanent}
본 발명은 퍼머시술시 퍼머약이 얼굴이나 목에 흘러내리지 않도록 이마를 비롯한 머리둘레를 감싸도록 착용하는 퍼머용 헤어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 골격에 맞게 입체적으로 설계되어 이마와 목 옆면 및 뒷면과의 밀착도를 향상시켜 퍼머약이 얼굴 및 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는 퍼머용 헤어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머액은 화학약품인 산화재와 중화재로 이루어지며 특유의 냄새와 성분으로 인해 피부에 닿으면 퍼머시술대상자가 불쾌감을 일으킬 수 있고, 피부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눈에 닿으면 통증을 유발할수 있어 사용 및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퍼머 등의 미용시술시 중화제 등의 퍼머약이나 염색약이 얼굴 및 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마와 목부위를 감싸도록 퍼머용 헤어밴드를 착용한다.
종래의 퍼머용 헤어밴드에 대해 등록실용신안 20-0446307호, 등록실용 20-0391680호, 공개실용신안 20-2013-0006667호, 등록특허 10-1474069호, 등록특허 10-157322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퍼머용 헤어밴드는 단순히 일자형 밴드형태로 이루어져 얼굴의 골격이 잘 맞지 않아, 헤어밴드가 귀부분을 덮어 헤어밴드와 목옆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이 틈새로 퍼머액이 관자놀이, 귀, 목 등으로 흘러 내리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헤어밴드와 목 사이에 휴지, 수건등을 뭉쳐서 끼워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착용자도 대단히 큰 불편함을 많이 느꼈다.
특히, 헤어밴드와 목 사이에 휴지나 수건 등을 끼워놓게 되면 이마, 관자놀이, 귀, 목 사이로 흐르는 중화제가 휴지나 수건에 흡수되어 젖어 버리고 이에 따라 축축한 상태의 휴지나 수건이 그대로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매우 불쾌감을 느낀 상태로 소정시간을 버텨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 헤어밴드는 양 쪽 귀의 가운데 부분을 강하게 압박하는 형태로 착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여서 귀에 통증을 유발하고 매우 답답하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기존의 헤어밴드는 착용시 이마 양쪽 구석진 부분은 제대로 커버하지 못하여 이마 양쪽 구석진 부분에는 퍼머액이 흘러내려 묻을 수 밖에 없었다.
또한, 기존 헤어밴드는 밴드 위에 걸쳐진 롯드로부터 떨어지는 중화제등의 퍼머액은 차단하기 힘든 구조여서, 롯드에서 떨어진 퍼머액이 이마로 직접 떨어지거나 눈으로 튀어서 부작용이 발생하며 헤어라인 쪽으로 떨어지는 퍼머액으로부터 얼굴과 목을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기존의 헤어밴드는 단순히 헤어밴드가 이마와 목을 감싸는 일자형 밴드로서 퍼머액이 귀에 묻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했으며, 여러 제품 중에는 헤어밴드에 귀마개가 달려 있는 제품이 있기는 하나 사용자 마다 귀의 위치가 달라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많았다.
등록실용신안 20-0446307호 공개실용신안 20-2013-0006667호 등록특허 10-1474069호 등록특허 10-157322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얼굴 골격에 맞게 입체적으로 설계되어 이마와 목 옆면 및 뒷면과의 밀착도를 향상시켜 퍼머약이 얼굴 및 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퍼머용 헤어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헤어밴드의 중간부 양측에 이마 양측의 구석진 부분과 밀착되는 이마모서리 커버부가 연장형성되어, 퍼머액이 이마 양측의 구석진 부분에 묻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한 퍼머용 헤어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퍼머용 헤어밴드는 이마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중간밴드부와, 상기 중간밴드부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목 옆면부와 목 뒷면부를 감싸 양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측방밴드부로 구성된 밴드본체; 상기 측방밴드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두께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측방밴드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방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목 옆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측방밴드부와 상기 목 옆면부 사이의 틈새를 메워 퍼머액이 목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해주는 측방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밴드부의 양측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형성되고, 상단이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이마 양측의 구석진 부분을 밀착되게 커버하는 이마모서리 커버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밴드부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되, 폭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다층구조로 돌출형성되어, 퍼머롯드에서 떨어지는 퍼머액이 상기 중간밴드부를 넘어 이마나 눈에 튀는 것을 막아주는 이마돌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방밴드부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밴드본체를 사용자에 착용시키도록 상기 측방밴드부의 외측단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벨크로 부재, 단추, 도트단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이 벨크로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세탁시 벨크로 부재에 의한 다른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측방밴드부에는 상기 벨크로부재를 덮는 벨크로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귀를 감싸보호하는 귀마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귀마개에는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퍼머약이 귀구멍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시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폐시트부의 말단부는 상기 측방밀착부에 의해 덮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귀마개의 내면에는 귀와의 접촉시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하도록 천으로 이루어진 코팅시트가 결합되며, 상기 코팅시트의 일부분에는 돌출시트가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돌출시트가 귓구멍의 입구부를 막아 퍼머액이 귓구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밴드본체의 양측부에 소정두께를 갖는 측방밀착부가 구성되어 사용자의 목 옆면과 밀착되게 함으로써 목옆면과 밴드와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헤어밴드의 밀착도를 향상시켜 줌으로써 퍼머약이 밴드와 피부사이를 통해 흘러내리는 것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측방밴드부가 측방밀착부가 귀 아래를 지나면서 목옆면과 밀착되고, 측방밴드부는 귓볼부분을 덮어주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일자형 밴드가 귀가운데를 가압하여 귀가 아프고 목옆면과의 틈새로 퍼머액에 흘러내리는 등의 문제를 완전히 해소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측방밴드부가 퍼머롯드 등을 통해 떨어지는 퍼머액을 받아주기 때문에 얼굴옆면과 목을 퍼머액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본체에 이마모서리 커버부가 구비되어, 이 이마모서리 커버부가 사용자의 이마 양측의 구석진 부분에 밀착되게 착용됨으로써 중화제와 같은 퍼머액이 이마 양측의 구석진 부분으로 흘러내려 피부트러블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본체 중간부에 이마돌출부가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밴드본체 바로 시술되는 퍼머롯드에 중화제를 뿌릴 때에도 중화제 등의 퍼머액이 얼굴이나 눈에 튀어 묻지 않도록 해줌으로써 퍼머액이 얼굴이나 눈에 묻어 트러블이 발생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퍼머용 헤어밴드의 앞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퍼머용 헤어밴드의 뒷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결합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퍼머용 헤어밴드의 측방밀착부의 제작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퍼머용 헤어밴드의 이마 차단부의 제작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헤어밴드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 예에 따른 퍼머용 헤어밴드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귀마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퍼머용 헤어밴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퍼머용 헤어밴드는 밴드본체(110), 측방밀착부(120), 이마모서리 커버(130), 이마돌출부(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밴드본체(110)는 이마라인을 따라 접촉되는 중간밴드부(112)와, 중간밴드부(112)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목 옆면부와 목 뒷면부를 감싸 양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측방밴드부(1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밴드본체(110)는 중간밴드부(112)와 양측의 측방밴드부(114)가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기존의 일자형 헤어밴드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밴드부(112)의 양측에 측방밴드부(114)가 소정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양측의 측방밴드부(114)는 중간밴드부(112)에 비해 폭이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방밀착부(120)는 각각의 측방밴드부(114)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측방밀착부(120)는 소정두께로 측방밴드부(114)으로부터 소정두께로 돌출형성되며, 측방밴드부(114)의 폭보다 1/2의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측방밴드부(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측방밀착부(120)는 측방밴드부(114)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부재(천 등의 시트)를 지그재그형태로 겹쳐서 재봉질이나 접착제로 접착시켜 줌으로써 측방밴드부(114)로부터 소정두께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의 (b)와 같이, 측방밀착부(120)는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부재(124)와, 이 쿠션부재(124)를 감싸는 외피천(1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측방밀착부(120)가 재봉질이나 접착방식에 의해 측방밴드부(114)의 내측면(후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측방밴드부(114)의 말단부(외측단부)에는 암벨크로와 수벨크로로 이루어진 벨크로방식의 결합수단(124,125)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헤어밴드는 중간밴드부(112)을 이마라인에 접촉시키고, 양측의 측방밴드부(114)을 목 목옆과 목 뒷면을 감싸게 한 후, 결합수단(124,125)을 서로 결합하여 사용자에 착용될 수 있다.
아울러, 중간밴드부(112)에는 고리(116)가 구비되어, 이 고리(116)에 고무줄을 연결하고, 고무줄을 모발에 시술된 퍼머롯드에 결합하여 중간밴드부(112)가 이마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측방밴드부(114)의 내면에 측방밀착부(120)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본 발명의 헤어밴드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게 되면 도 6 및 도 7과 같이, 측방밴드부(114)가 귀의 아랫부분(귓볼부분)을 약간 덮고 있다고 하더라도, 측방밴드부(114)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측방밀착부(120)가 목옆면과 밀착상태를 유지하여 주기 때문에 중화제 등의 퍼머액이 목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해 줄 수 있다.
기존의 헤어밴드는 단순히 일자형 헤어밴드로서 귀 가운데를 가압하는 형태로 착용되어 사용자가 매우 불편함과 답답함을 느낄 수 밖에 없는 형태였으나, 본 발명은 측방밀착부(120)는 귀 밑쪽으로 지나가도록 착용되어 목옆면의 밀착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뿐 아니라, 측방밴드부(114)는 귓볼부분만을 덮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답답함이나 통증을 전혀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중간밴드부(112)의 내측면(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두께로 돌출형성되어 이마라인과 밀착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켜 중화제가 이마아래로 흐르는 것을 더욱 방지해주는 중간밀착부(121)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간밀착부(121)는 양측의 측방밀착부(12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중간밀착부(121)와 측방밀착부(120)는 소정두께를 갖는 하나의 연결된 띠형태로 이루어져 밴드본체(11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중간밀착부(121)는 이마라인과 밀착되고, 측방밀착부(120)는 목옆면과 밀착되어 중화제등의 퍼머액이 이마, 목 아래로 흘러 내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해 줄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중간밀착부(121)는 측방밀착부(120)와 동일한 방식으로, 중간밴드부(112)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부재(천 등의 시트)를 지그재그형태로 겹쳐서 재봉질이나 접착제로 접착시켜 줌으로써 중간밴드부(112)로부터 소정두께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도 5의 (b)와 같이 중간밀착부(121)는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부재(124)와, 이 쿠션부재(124)를 감싸는 외피천(1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중간밀착부(121)가 재봉질이나 접착방식에 의해 중간밴드부(112)의 내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결합수단(124,125)은 벨크로 부재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일반적인 단추구멍과 단추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명 똑딱이 단추로 불리우는 도트단추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측방밴드부(114)의 말단에는 단추구멍(127)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의 측방밴드부(114)의 말단에는 소정길이의 고리형 끈(128)이 설치되고, 이 끈(128)에 위치이동하여 고정되는 통상의 끈조절구(129)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끈(128)의 소정위치상에 끈조절구(128)를 위치조정하고, 끈조절구(128)를 소정 단추구멍(127)에 끼워서 양측의 측방밴드부(114) 말단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및 2와 같이, 본 발명에서 결합수단(124,125)이 벨크로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헤어밴드의 세탁시 벨크로 부재에 의해 다른 세탁물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결합수단(124,125)을 벨크로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 세탁물 손상을 일으키는 거친 벨크로(수벨크로 부재,124)가 설치된 일측의 측방밴드부(114) 말단에는 세탁시, 벨크로부재(124)를 덮어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천재질의 벨크로커버(126)가 재봉질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이마모서리 커버부(13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중간밴드부(112)의 양측 상단에서 상부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되며 상단은 곡선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밴드를 착용하게 되면 중간밴드부(112)에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이마모서리 커버부(130)가 사용자의 이마 양측의 구석진 부분에 밀착되게 커버해 줌으로써, 중화제와 같은 퍼머액이 이마 양측의 구석진 부분으로 흘러내려 피부트러블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마돌출부(140)는 중간밴드부(112)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되며, 다단형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마돌출부(140)는 제1돌출부(142)와 제2돌출부(1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제1돌출부(142)가 중간밴드부(112)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며, 제2돌출부(144)는 제1돌출부(142)에 비해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져 제1돌출부(142)의 전면에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이마돌출부(140)는 중간밴드부(112)의 전면에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저 좁아지는 계단형의 다층구조로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되며, 도 6 및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헤어밴드를 사용자에게 착용하는 경우, 이마돌출부(140)가 중간밴드부(112)로부터 소정두께로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이마 바로 위의 모발에 시술된 헤어롯드 등에서 떨어지는 퍼머액이 이마나 눈을 포함하는 얼굴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 헤어밴드는 이마돌출부가 없으므로 밴드 바로 위쪽으로 걸쳐지는 퍼머롯드에 중화제를 뿌릴 때, 중화제가 얼굴이나 눈으로 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마돌출부(140)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간밴드부(112) 바로 위에 시술되는 퍼머롯드에 중화제를 뿌릴 때에도 중화제 등의 퍼머액이 얼굴이나 눈에 튀어 묻는 경우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마 돌출부(140)는 도 5의 (a)와 같이, 중간밀착부(121)가 중간밴드부(112)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부재(천 등의 시트)를 지그재그 형태로 겹쳐서 형성된 경우,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부재(146,148)와, 이 쿠션부재(146,148)를 감싸는 외피천(145,147)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제1돌출부(142)와 제2돌출부(142,1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제1돌출부(142)가 중간밴드부(112)의 전면에 재봉질이나 접착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제2돌출부(144)가 제1돌출부(142)에 재봉질이나 접착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마 돌출부(140)는 도 5 의 (b)와 같이 중간밀착부(121)가 쿠션부재(124)와, 이 쿠션부재(124)를 감싸는 외피천(1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중간밴드부(112)의 내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중간밴드부(112)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부재(천 등의 시트)를 지그재그형태로 겹쳐서 재봉질이나 접착제로 결합시켜 줌으로써 제1돌출부(142)와 제2돌출부(144)를 순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퍼머용 헤어밴드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헤어밴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헤어밴드에 비해 귀마개가 추가적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서는 동일하므로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하도록 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귀마개(160)는 사용자의 귀를 감싸 중화재 등의 퍼머약으로부터 귀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폴리우레탄, 실리콘, 비닐 등 방수기능을 갖는 합성수지즉,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방수시트로 구성되며 귀를 감싸도록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진 귀마개 본체(161)와, 귀마개 본체(161)의 개구부를 따라 설치되어 귀마개 본체(161)가 귀를 감싸도록 착용되게 하는 탄성고무줄로 이루어진 착용수단(163), 귀마개 본체(16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귀마개 본체(161)와 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퍼머약이 귀구멍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밀폐시트부(16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귀마개(160)를 사용자의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헤어밴드를 착용하게 되면 밀폐시트부(164)의 말단부가 측방밀착부(120) 및 측방밴드부(114)에 의해 덮혀서 퍼머약이 귀구멍으로 들어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귀마개(160)는 귀마개 본체(161)의 내면에는 귀와의 접촉시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하도록 극세사천과 같은 부드러운 천으로 이루어진 코팅시트(166)가 재봉질이나 접착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귀마개(160)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귀마개본체(161)의 내부 전체영역 중 전방영역 쪽, 즉 밀폐시트부(163)와 인접하는 영역 쪽에 극세사천과 같은 부드러운 천을 지그재그형태로 겹쳐 소정두께가 되도록 하고, 코팅시트(166)에 결합되도록 하여 귀막음용 돌출시트부(168)를 형성함으로써 귀마개본체(171)를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돌출시트부(168)가 귓구멍의 입구부를 막아주어 중화제 등의 퍼머약이 귓구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귀마개(160)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략 손바닥 만한 크기의 사각형 조각천으로 귀를 덮어서 중화제로부터 귀를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밴드본체
112...중간밴드부
114...측방밴드부
116...고리
120...측방밀착부
126...벨크로 커버
130...이마모서리 커버부
140...이마돌출부
142...제1돌출부
144...제2돌출부
160...귀마개
164...밀폐시트부

Claims (7)

  1. 이마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중간밴드부와, 상기 중간밴드부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목 옆면부와 목 뒷면부를 감싸 양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측방밴드부로 구성된 밴드본체;
    상기 측방밴드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두께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측방밴드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방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목 옆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측방밴드부와 상기 목 옆면부 사이의 틈새를 메워 퍼머액이 목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해주는 측방밀착부;
    상기 중간밴드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두께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측방밀착부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상기 중간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퍼머액이 이마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해주는 중간밀착부;
    상기 중간밴드부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되, 폭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다층구조로 돌출형성되어, 퍼머롯드에서 떨어지는 퍼머액이 상기 중간밴드부를 넘어 이마나 눈에 튀는 것을 막아주는 이마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방밀착부는 상기 측방밴드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부재를 지그재그형태로 겹쳐서 재봉질이나 접착제로 결합시켜 상기 측방밴드부로부터 소정두께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중간밀착부는 상기 중간밴드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부재를 지그재그형태로 겹쳐서 재봉질이나 접착제로 결합시켜 상기 중간밴드부로부터 소정두께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이마돌출부는 상기 중간밴드부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되되, 다단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중간밴드부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에 비해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돌출부의 전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밀착부가 상기 중간밴드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부재를 지그재그형태로 겹쳐서 구성한 경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각각은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를 감싸는 외피천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귀를 감싸 퍼머약으로부터 귀를 보호하도록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귀마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귀마개에는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퍼머약이 귀구멍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시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폐시트부의 말단부는 상기 측방밀착부에 의해 덮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귀마개의 내면에는 귀와의 접촉시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하도록 극세사천으로 이루어진 코팅시트가 구성되며,
    상기 귀마개에는 천을 지그재그형태로 겹쳐 소정두께가 되도록 하고, 상기 코팅시트에 결합되도록 하여 귓구멍의 입구부를 막아 퍼머액이 귓구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돌출시트부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헤어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밴드부의 양측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형성되고, 상단이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이마 양측의 구석진 부분을 밀착되게 커버하는 이마모서리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헤어밴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방밴드부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밴드본체를 사용자에 착용시키도록 상기 측방밴드부의 외측단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벨크로 부재, 단추, 도트단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헤어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벨크로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세탁시 벨크로 부재에 의한 다른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측방밴드부에는 상기 벨크로부재를 덮는 벨크로 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헤어밴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09096A 2019-09-03 2019-09-03 퍼머용 헤어밴드 KR102280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096A KR102280127B1 (ko) 2019-09-03 2019-09-03 퍼머용 헤어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096A KR102280127B1 (ko) 2019-09-03 2019-09-03 퍼머용 헤어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967A KR20210027967A (ko) 2021-03-11
KR102280127B1 true KR102280127B1 (ko) 2021-07-20

Family

ID=7514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096A KR102280127B1 (ko) 2019-09-03 2019-09-03 퍼머용 헤어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1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123Y1 (ko) * 1999-08-31 2000-02-15 삼도물산주식회사 산욕팬티
KR200247687Y1 (ko) * 1998-12-21 2001-12-28 이재욱 퍼머넌트웨이브용헤어밴드
KR200441386Y1 (ko) * 2007-07-24 2008-08-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환경을 고려한 일체형 염색커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07Y1 (ko) 2008-01-08 2009-10-16 정명석 일회용 퍼머액 차단 헤어밴드
KR20130006667U (ko) 2012-05-11 2013-11-20 주식회사 요들 가림판부가 일체로 형성된 퍼머액 흐름방지용 헤어밴드
KR101474069B1 (ko) 2012-11-15 2014-12-22 김찬수 퍼머용 헤어밴드
KR101573229B1 (ko) 2015-08-31 2015-12-01 정향옥 고정수단이 내장된 헤어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687Y1 (ko) * 1998-12-21 2001-12-28 이재욱 퍼머넌트웨이브용헤어밴드
KR200170123Y1 (ko) * 1999-08-31 2000-02-15 삼도물산주식회사 산욕팬티
KR200441386Y1 (ko) * 2007-07-24 2008-08-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환경을 고려한 일체형 염색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967A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2321A (ko) 위생마스크
US3750681A (en) Hair protector
US20170007007A1 (en) Hairdressing cape and fastening
US20110154556A1 (en) Splash guard
KR102280127B1 (ko) 퍼머용 헤어밴드
US7310827B2 (en) Splash guard
JP6865941B2 (ja) マスク用サポート部材
JP2001000565A (ja) 衛生マスク
US20090165188A1 (en) Hair treatment splash-shield
US20040172738A1 (en) Ear protector
JP3226788U (ja) 顔痩せマスク
JPH08299054A (ja) マスク
KR200493073Y1 (ko) 마스크 고정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317939B1 (ko) 마스크 착용밴드
KR20140003967U (ko) 수면안대
TW201313143A (zh) 圍兜
KR200199305Y1 (ko) 눈 보호대가 구비된 마스크
KR101872866B1 (ko) 마스크팩커버
KR200495333Y1 (ko) 의료용 드레이프
CN213549831U (zh) 隐形瘦脸面罩
KR102573929B1 (ko) 샴푸용 방수코트
JP3231137U (ja) マスク支持具
KR200485141Y1 (ko) 위생모
KR20220000386U (ko) 방수 기능을 갖춘 망사 원단마스크
KR20210135679A (ko) 마스크의 귀 보호용 완충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