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413A -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 - Google Patents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413A
KR20090111413A KR1020080037005A KR20080037005A KR20090111413A KR 20090111413 A KR20090111413 A KR 20090111413A KR 1020080037005 A KR1020080037005 A KR 1020080037005A KR 20080037005 A KR20080037005 A KR 20080037005A KR 20090111413 A KR20090111413 A KR 20090111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ace
nose
cover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6628B1 (ko
Inventor
서길식
Original Assignee
서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길식 filed Critical 서길식
Priority to KR1020080037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62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40Drape material, e.g. laminates; Manufactur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개구부의 상부에 코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코개구부의 상부에 코개구부용 커버가 부착되어 있어 치아 치료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코 위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리게 본체 상부 표면에 탈부착형 상부패드를 부착하거나 별도로 분리시킬 수 있어 환자가 착용한 후 더러워지는 경우 상부패드를 교체해 가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에 관한 것이다.
코개구부, 치과용 안면 가리게

Description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face cover for dental clinic}
본 발명은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개구부의 상부에 코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코개구부의 상부에 코개구부용 커버가 부착되어 있어 치아 치료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코 위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리게 본체 상부 표면에 탈부착형 상부패드를 부착하거나 별도로 분리시킬 수 있어 환자가 착용한 후 더러워지는 경우 상부패드를 교체해 가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를 관리(스켈링)하거나 치료 및 발취할 때 발생되는 이물질인 치석, 혈액, 치아 연마시 공급되는 물 등이 피시술자의 얼굴로 튀게 된다. 치아 치료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얼굴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강만이 노출되어질 수 있도록 면에 구강개구부를 가지는 안면 가리게를 얼굴에 얹져 놓은 상태에서 치아 치료를 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치과용 안면 가리게는 구강개구부의 상부에 코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치아를 치료할 때 안면 가리게를 착용한 환자는 코를 통하여 호흡을 자유롭게 할 수 없어 호흡의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치과용 안면 가 리게는 구강개구부의 상부에 코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코개구부의 상부에 코개구부용 커버가 부착되어 않아 치아 치료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코 위로 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과용 안면 가리게는 가리게 본체 상부 표면에 부착하거나 별도로 분리시킬 수 있는 탈부착형 상부패드가 없어 환자가 착용한 후 더러워지는 경우 상부패드를 교체해 가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안면 가리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가리게 본체의 소정 위치에 치아를 치료할 수 있도록 입과 일치된 상태로 형성된 구강개구부의 상부에 코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를 치료할 때 안면 가리게를 착용한 환자는 코를 통하여 호흡을 할 수 있어 호흡의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되고, 코개구부의 상부에 코개구부용 커버가 부착되어 있어 치아 치료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코 위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리게 본체 상부 표면에 탈부착형 상부패드를 부착하거나 별도로 분리시킬 수 있어 환자가 착용한 후 더러워지는 경우 상부패드를 교체해 가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얼굴에서 목 부분까지 씌워질 수 있는 형태로 재단 형성된 가리게 본체의 소정 위치에 치아를 치료할 수 있도록 입과 일치된 상태로 형성된 구강개구 부 및 구강개구부의 상부에 형성된 코개구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안면 가리게는 가리게 본체의 소정 위치에 치아를 치료할 수 있도록 입과 일치된 상태로 형성된 구강개구부의 상부에 코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치아를 치료할 때 안면 가리게를 착용한 환자는 코를 통하여 호흡을 할 수 있어 호흡의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되고, 코개구부의 상부에 코개구부용 커버가 부착되어 있어 치아 치료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코 위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리게 본체 상부 표면에 탈부착형 상부패드를 부착하거나 별도로 분리시킬 수 있어 환자가 착용한 후 더러워지는 경우 상부패드를 교체해 가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의료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아 치료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얼굴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얼굴에 씌워 사용하는 안면 가리게에 있어서 비닐, 종이 및 부직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원단을 얼굴에서 목 부분까지 씌워질 수 있는 형태로 재단 형성된 가리게 본체(10); 상기 가리게 본체(10)의 소정 위치에 치아를 치료할 수 있도록 입과 일치된 상태로 형성된 구강개구부(20); 상기 구강개구부(20)의 상부에 형성된 코개구부(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과용 안면 가리게에 있어서 코개구부는 상부에 코개구부용 커버(40)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에 있어서 가리게 본체는 탈부착형 상부패드(50)가 부착될 수 있도록 구강개구부(20) 주위에 다수개의 벨크로테이프(12)가 부착되어 있으며, 가리게 본체의 구강개구부(20)와 일치되도록 구강개구부(20)의 상부표면에 탈부착형 상부패드(50)가 추가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안면 가리게는 구강개구부(20)가 환자의 입에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구강개구부(20)를 통해 치료기기를 이용하여 치아를 치료하게 된다. 시술자가 안면 가리게의 구강개구부(20)를 통해 치아를 치료할 때 안면 가리게를 착용한 환자는 코를 통하여 호흡을 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안면 가리게는 가리게 본체(10)의 소정 위치에 치아를 치료할 수 있도록 입과 일치된 상태로 형성된 구강개구부(20)의 상부에 코개구부(30)가 형성되어 있어 치아를 치료할 때 안면 가리게를 착용한 환자는 코를 통하여 호흡을 할 수 있어 호흡의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안면 가리게에서 코개구부(30)는 안면 가리게를 착용한 환자의 코에 걸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뾰쪽한 형상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안면 가리게는 코개구부의 상부에 코개구부용 커버(40)가 부착되어 있어 치아 치료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코 위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안면 가리게는 가리게 본체(10) 상부 표면에 탈부착형 상부패드(50)를 부착하거나 별도로 분리시킬 수 있어 환자가 착용한 후 더러워지는 경우 상부패드(50)를 교체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안면 가리게는 구강개구부(20) 주위에 다수개의 벨크로테이프(12)가 부착되어 있어 탈부착형 상부패드(50)를 부착하거나 별도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안면 가리게에 부착된 탈부착형 상부패드(50)는 가리게 본체의 구강개구부(20)와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구강개구부(20)의 상부표면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부패드(50)의 하부표면에 벨크로테이프(52)가 장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리게 본체 12: 벨크로테이프
20, 20': 구강개구부 30, 30': 코개구부
40: 코개구부용 커버 50: 상부패드
52: 벨크로테이프

Claims (3)

  1. 치아 치료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얼굴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얼굴에 씌워 사용하는 안면 가리게에 있어서, 상기 안면 가리게는 비닐, 종이 및 부직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원단을 얼굴에서 목 부분까지 씌워질 수 있는 형태로 재단 형성된 가리게 본체(10); 상기 가리게 본체(10)의 소정 위치에 치아를 치료할 수 있도록 입과 일치된 상태로 형성된 구강개구부(20); 상기 구강개구부(20)의 상부에 형성된 코개구부(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개구부는 상부에 코개구부용 커버(40)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리게 본체는 탈부착형 상부패드(50)가 부착될 수 있도록 구강개구부(20) 주위에 다수개의 벨크로테이프(12)가 부착되어 있으며, 가리게 본체의 구강개구부(20)와 일치되도록 구강개구부(20)의 상부표면에 탈부착형 상부패드(50)가 추가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
KR1020080037005A 2008-04-22 2008-04-22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 KR100946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005A KR100946628B1 (ko) 2008-04-22 2008-04-22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005A KR100946628B1 (ko) 2008-04-22 2008-04-22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413A true KR20090111413A (ko) 2009-10-27
KR100946628B1 KR100946628B1 (ko) 2010-03-09

Family

ID=4153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005A KR100946628B1 (ko) 2008-04-22 2008-04-22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26U (ko) * 2020-07-06 2022-01-13 김만용 의료용 드레이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964A (ja) * 1989-09-26 1991-05-10 Sharp Corp イメージセンサ
JP5022011B2 (ja) * 2005-12-08 2012-09-12 英司 武田 歯科用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26U (ko) * 2020-07-06 2022-01-13 김만용 의료용 드레이프
US11744664B2 (en) 2020-07-06 2023-09-05 Man Yong Kim Medical dr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628B1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0976B1 (en) Medical oral treatment face mask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EP3178525A1 (en) Smart mask for health care service
AU2018201370B2 (en) Sleep apnea prevention mask
US20070256694A1 (en) System to alleviate snoring
KR20150142321A (ko) 위생마스크
CN108852696A (zh) 一种神经外科护理用头部固定装置
KR100946628B1 (ko)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
KR101629952B1 (ko)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CN111281321A (zh) 一种口腔诊疗用多功能防护面罩
JP6114825B2 (ja) 施術用エプロンシート
KR101594926B1 (ko) 개구기
KR200446039Y1 (ko) 물막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강 개구기
KR20150046875A (ko) 치과 환자용 위생시트
JP2007181665A (ja) 施術用シート
KR200201113Y1 (ko) 치과의료용 안면커버
CN217184941U (zh) 防拔管透明面罩
KR102494368B1 (ko) 구강호흡 방지용구
CN218527776U (zh) 一种牙科治疗用防喷溅一次性面罩
CN210494298U (zh) 一种耳挂式牙科诊疗巾和诊疗盒
CN108210135A (zh) 嘴唇护理卡子
US8273064B2 (en) Apparatus for sanitizing beneath a worn medical cast
CN207928503U (zh) 一种患者手持式医用鼻出血防喷溅装置
KR200179926Y1 (ko) 치과용 안면 가리게
JPH054808Y2 (ko)
KR20210002823U (ko)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