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952B1 -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 Google Patents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9952B1 KR101629952B1 KR1020150179448A KR20150179448A KR101629952B1 KR 101629952 B1 KR101629952 B1 KR 101629952B1 KR 1020150179448 A KR1020150179448 A KR 1020150179448A KR 20150179448 A KR20150179448 A KR 20150179448A KR 101629952 B1 KR101629952 B1 KR 1016299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ll
- patient
- dental
- main frames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에서 환자를 진료할 때 환자의 입만 개구시키고 나머지 얼굴 부위는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 치과용 소공포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키며, 소공포의 기능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소공포 안치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콧날 양옆으로 형성되며 상부로 볼록하게 인중에서부터 이마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과, 메인프레임 상단부에 결합되어 이마에 안치되는 이마받침대와, 한 쌍의 메인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구성되어 비공으로 소공포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공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안치프레임부; 및 상기 안치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소공포의 구강홈 상측을 고정시키는 소공포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공포가 인중부위를 완벽히 차단하여 치료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불쾌한 냄새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소공포고정부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환자의 호흡이나 의사의 부주의에 의해 이탈할 염려가 없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콧날 양옆으로 형성되며 상부로 볼록하게 인중에서부터 이마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과, 메인프레임 상단부에 결합되어 이마에 안치되는 이마받침대와, 한 쌍의 메인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구성되어 비공으로 소공포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공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안치프레임부; 및 상기 안치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소공포의 구강홈 상측을 고정시키는 소공포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공포가 인중부위를 완벽히 차단하여 치료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불쾌한 냄새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소공포고정부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환자의 호흡이나 의사의 부주의에 의해 이탈할 염려가 없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치과에서 환자를 진료할 때 환자의 입만 개구시키고 나머지 얼굴 부위는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 치과용 소공포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키며, 소공포의 기능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소공포 안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치료 과정에서 그라인더와 같은 치료공구로 인해 물이나 타액 및 혈액 또는 치석 등의 이물질이 환자의 얼굴 부위로 비산되며 이로 인한 환자의 불쾌감을 줄이고 치료과정에서 위생과 청결성을 높이고자 소공포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소공포는 직물지로 제작되며 이마와 목까지 덮을 수 있는 사각형태로 중간에는 입만 노출될 수 있도록 원형의 타공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소공포는 환자의 얼굴을 덮도록 한 상태에서 타공부가 구강부위 위치되도록 조정한 뒤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소공포는 두께가 얇고 가볍기 때문에 환자의 얼굴에 덮었을 때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는 현상이 있었다. 즉, 무게가 가볍고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 환자의 얼굴에 올려두기만 한 것이므로 환자가 코를 통해 호흡을 하는 과정에서 소공포가 쉽게 들리는 것 뿐만 아니라 치료과정에서 시술자가 일으키는 가벼운 바람만으로도 쉽게 들리거나 유동되는 현상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46875호에서는 치과 환자용 위생시트의 기술이 게시되어 있으며, 환자의 피부가 닿는 위생시트의 안쪽면에 고리 형상이 되게 수지를 점착하여 형성한 윤곽띠부와; 상기 윤곽띠부의 안쪽에 위치되어 환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것으로 수지로 된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들뜨는 현상을 억제하여 밀착상태를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또다른 소공포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14479호의 방음 및 눈보호가 가능한 치과용 소공포에 게시된 바와 같이 방음 효과가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방음재와, 상기 방음재의 상측과 하측에 액체를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액체흡수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흡수소재와; 상기 흡수소재의 소정 부위에 환자의 눈과 구강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눈 부위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형성되며, 폴리머 소재로 형성되는 눈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눈 부위를 개구시켜 공포심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도 광중합용 레진 광조사기 및 치아 미백기에서 발산되는 자외선 및 근자외선을 차단시켜 환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는 코와 윗입술 사이의 인중부위가 이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에는 역부족하여, 환자가 코로 숨을 쉴 경우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와 보조하는 간호사의 호흡기를 통해 전달되는 구취뿐만 아니라 타액이나 진료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들이 코안으로 침입해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로 인해 오랫동안 입을 벌리고 코로만 호흡을 해야 하는 환자 입장에서는 헛구역질이나 구토증상이 유발되어 환자도 힘들지만, 진료하는 의사도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진료를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 자주 초래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인중부분을 소공포로 완벽히 밀착시킬 수 있으면서 환자의 얼굴과 소공포 사이에 호흡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를 제공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참작할 수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를 구성하되,
콧날 양옆으로 형성되며 상부로 볼록하게 인중에서부터 이마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과, 메인프레임 상단부에 결합되어 이마에 안치되는 이마받침대와, 한 쌍의 메인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구성되어 비공으로 소공포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공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안치프레임부; 및 상기 안치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소공포의 구강홈 상측을 고정시키는 소공포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공포고정부는, 상부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메인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만곡진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하부에 접하며 사람의 인중에 밀착되는 패드;와 상기 고정판 상부와 힌지결합되어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항시 고정판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집게판;으로 구성함을 본 발명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첫째, 소공포가 인중부위를 완벽히 차단하여 치료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불쾌한 냄새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둘째, 프레임구조에 의해 호흡공간을 확보하여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소공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마련하여 환자의 호흡이나 의사의 부주의에 의해 소공포가 벗겨지거나 이탈할 염려가 없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소공포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안치프레임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소공포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소공포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안치프레임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소공포를 보인 평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치과 진료시 구강홈이 형성된 소공포(2)를 덮기 전에 먼저 환자의 안면에 위치시킨 후 소공포(2)를 안치구에 결속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크게 안치프레임부(10)와 소공포고정부(20)로 대분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치프레임부(10)는 코로만 호흡해야만 하는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소공포(2)가 안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분한 호흡공간(S)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무게는 최소화 시켜 사람의 인중과 이마 상부에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코 양 옆에서 콧날 방향으로 인중부근에서부터 미간 위 이마까지 뻗는 메인프레임(11)을 형성하되, 상부에 덮이는 소공포(2)가 사람의 콧날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로 돌출된 개략 마름모꼴 형상으로 구성한다.
수직 형성된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프레임(12)을 연결하여 프레임부의 견고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코가 높은 환자의 경우 코에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를 메인프레임(11)의 중간 이상에 위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한쌍의 메인프레임(11) 상단부에는 환자의 이마상부에 편안하게 면접되도록 만곡진 형태로 구성된 이마받침대(13)를 결합한다.
치과진료시 환자는 입으로 호흡할 수 없어 코로만 호흡해야 하는데, 들숨 시 소공포(2)가 비공(鼻孔)을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하부 사이에는 비공차단부재를 형성하도록 한다.
비공차단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공에 인접한 메인프레임(11) 사이를 가로지르는 비공프레임(14)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박판이나 철망(15)으로 형성하여 환자가 깊은 들숨에도 소공포가 비공을 차단할 가능성을 일소하여 환자의 원활한 호흡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공포고정부(20)는 메인프레임(11) 하단부에 결합되어 소공포(2)의 구강홈(2a) 상측 모서리부에 끼워 소공포(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메인프레임(11)의 하단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형성된 두 개의 결합공(21)이 상부에 형성된 고정판(22)을 구성하되, 상기 고정판(22)은 인중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한다.
상기 고정판(22)의 하측으로는 민감한 인중의 피부에 부드럽고 폭신한 느낌이 느껴질 수 있도록 스펀지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된 패드(25)를 부착하며, 패드(25)의 양측으로 돌출부(25a)를 마련하여 환자가 입을 크게 벌렸을 때 입가의 팔자주름부에 생기는 홈에도 면밀하게 밀착될 수 있게 구성한다.
고정판(22)의 상측으로는 고정판(22)과 힌지(24)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집게판(23)을 결합하고, 힌지(24)부에는 토션스프링(26)을 내장시키면 고정판(22)과 집게판(23)으로 내입되는 소공포(2)를 견고히 파지할 수 있다.
집게판(23)의 상부에는 손가락 끝으로 집게판(23)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파지돌부(23a)를 형성하고, 고정판(22)의 상면과 집게판(23)의 하면에는 걸림돌기를 더 형성하는 방법으로 파지력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소공포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 토션스프링(26) 대신 집게판(23)이나 고정판(22)에 자석(27)을 부착하고 타측에는 자석(27)에 반응하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소공포고정부(20)를 구성함으로써 자력으로 소공포(2)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종래의 소공포(2)에 형성된 구강홈(2a)은 원형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소공포고정부(20)에 의해 넓은 면적에 걸쳐 고정이 이루어지기 힘든 형상이므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공포고정부(20)의 고정판(22)과 집게판(23) 사이에서 넓은 면적에 걸쳐 파지될 수 있도록 소공포(2)의 구강홈(2a) 상부는 직선부(2b)를 갖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직선부(2b)를 형성하면 집게판(23)을 손가락으로 개방한 후 구강홈(2a)의 직선부(2b)를 고정판과 집게판 사이에 끼워두기만 함으로써, 소공포(2)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넓은 면적에 걸쳐 파지가 이루어지므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소공포의 직선부(2b)에 접착부를 형성하여 본 발명과 같은 소공포안치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충분히 실시할 수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1)는 환자의 얼굴에 올려둔 체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진료시 필요에 따라 얼굴을 돌려야 할 경우가 자주 발생하므로 상기 소공포 안치구를 얼굴에 밀착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공포고정부의 일측 단부와 이마받침대(13) 일측 단부에 걸이끈(3)을 결속시켜 환자의 귀에 걸어 사용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걸이끈(3)을 늘어뜨려 목뒤로 묶어두게 되면 환자가 좌우로 얼굴을 돌리더라도 낙하되지 않고 견고히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1)의 작용과 효과를 하기에서 도면과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고, 도 4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써, 구강과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 진료대 위에 누운 환자의 인중에 소공포 안치구(1)의 소공포고정부(20)를 올려두면 자연스레 안치프레임부(10)의 이마받침대(13)는 미간이나 이마에 위치하게 된다.
그 다음 소공포(2)에 형성된 구강홈(2a) 상측 모서리부를 소공포고정부(20)로 파지시키게 되면 환자의 호흡이나 외력에도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이 이루어지며 또한 패드(25)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25a)가 입을 벌리고 있는 환자의 팔자주름부에 위치하여 면밀히 밀착되므로 치료 시 진료인의 구취나 물과 함께 비산되는 타액이나 치석 등의 이물질이 코안으로 유입되어 구토나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진료하는 의사나 간호사 입장에서도 전염병 환자의 호흡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나 타액을 차단하게 되므로 쾌적성과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어 환자뿐만 아니라 진료자에게도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소공포고정부(20)에 의해 상기와 같이 비공아래의 인중이 밀폐되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에 의해 형성되는 호흡공간(S)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환부 부근에서 진료자의 구취가 혼합된 불쾌한 공기를 흡입하는 대신 머리 위쪽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호흡공간(S)이 분리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환자입장에서는 보다 쾌적한 조건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효과상의 장점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2:소공포 2a:구강홈 2b:직선부 3:걸이끈
10:지지프레임부
11:메인프레임 12:보조프레임 13:이마받침대
14:비공프레임 15:철망
20:소공포고정부
21:결합공 22:고정판 23:집게판 23a:파지돌부
24:힌지 25:패드 25a:돌출부 26:토션스프링 27:자석
S:호흡공간
2:소공포 2a:구강홈 2b:직선부 3:걸이끈
10:지지프레임부
11:메인프레임 12:보조프레임 13:이마받침대
14:비공프레임 15:철망
20:소공포고정부
21:결합공 22:고정판 23:집게판 23a:파지돌부
24:힌지 25:패드 25a:돌출부 26:토션스프링 27:자석
S:호흡공간
Claims (3)
- 콧날 양옆으로 형성되며 상부로 볼록하게 인중에서부터 이마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메인프레임(11)과,
상기 메인프레임(11)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12)과,
메인프레임(11) 상단부에 결합되어 이마에 안치되는 이마받침대(13)와,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의 하부 사이에 구성되어 비공으로 소공포(2)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공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안치프레임부(10); 및
상기 안치프레임부(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소공포(2)의 구강홈(2a) 상측을 고정시키는 소공포고정부(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공포고정부(20)는,
상부에 결합공(21)이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1)의 하단에 결합되는 만곡진 고정판(22);
상기 고정판(22) 하부에 접하며 사람의 인중에 밀착되는 패드(25);
상기 고정판(22) 상부와 힌지(24)결합되어 토션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항시 고정판(22)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집게판(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구강홈(2a)의 일측에는 직선부(2b)를 형성하여 상기 소공포고정부(20)에 용이하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소공포(2)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9448A KR101629952B1 (ko) | 2015-12-15 | 2015-12-15 |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
PCT/KR2016/014705 WO2017105100A1 (ko) | 2015-12-15 | 2016-12-15 |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9448A KR101629952B1 (ko) | 2015-12-15 | 2015-12-15 |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9952B1 true KR101629952B1 (ko) | 2016-06-13 |
Family
ID=5619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9448A KR101629952B1 (ko) | 2015-12-15 | 2015-12-15 |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9952B1 (ko) |
WO (1) | WO2017105100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05100A1 (ko) * | 2015-12-15 | 2017-06-22 | 정필호 |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
KR200484738Y1 (ko) | 2017-08-25 | 2017-11-15 | 김계훈 | 일회용 치과 소공포 |
WO2022010040A1 (ko) * | 2020-07-06 | 2022-01-13 | 김만용 | 의료용 드레이프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44758A (en) * | 1981-04-06 | 1982-08-17 | John D. Wielhouwer | Dental face shield |
US4626211A (en) * | 1985-09-20 | 1986-12-02 | Cindy Coston | Dental shield |
US4889490A (en) * | 1988-02-11 | 1989-12-26 | Jenkinson Jeffrey A | Dental mask |
KR20120014479A (ko) | 2010-08-09 | 2012-02-17 | 서용선 | 방음 및 눈보호가 가능한 치과용 소공포 |
KR20150046875A (ko) | 2013-10-23 | 2015-05-04 | 주식회사 피란트 | 치과 환자용 위생시트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9926Y1 (ko) * | 1999-11-25 | 2000-04-15 | 김두영 | 치과용 안면 가리게 |
KR101629952B1 (ko) * | 2015-12-15 | 2016-06-13 | 정필호 |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
-
2015
- 2015-12-15 KR KR1020150179448A patent/KR1016299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12-15 WO PCT/KR2016/014705 patent/WO201710510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44758A (en) * | 1981-04-06 | 1982-08-17 | John D. Wielhouwer | Dental face shield |
US4626211A (en) * | 1985-09-20 | 1986-12-02 | Cindy Coston | Dental shield |
US4889490A (en) * | 1988-02-11 | 1989-12-26 | Jenkinson Jeffrey A | Dental mask |
KR20120014479A (ko) | 2010-08-09 | 2012-02-17 | 서용선 | 방음 및 눈보호가 가능한 치과용 소공포 |
KR20150046875A (ko) | 2013-10-23 | 2015-05-04 | 주식회사 피란트 | 치과 환자용 위생시트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05100A1 (ko) * | 2015-12-15 | 2017-06-22 | 정필호 |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
KR200484738Y1 (ko) | 2017-08-25 | 2017-11-15 | 김계훈 | 일회용 치과 소공포 |
WO2022010040A1 (ko) * | 2020-07-06 | 2022-01-13 | 김만용 | 의료용 드레이프 |
US11744664B2 (en) | 2020-07-06 | 2023-09-05 | Man Yong Kim | Medical dra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105100A1 (ko) | 2017-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10976B1 (en) | Medical oral treatment face mask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ES2819551T3 (es) | Revestimiento para uso con mascarilla respiratoria | |
AU2018201370B2 (en) | Sleep apnea prevention mask | |
KR101785801B1 (ko) |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 |
KR101629952B1 (ko) |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 |
KR20170104196A (ko) |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 |
US20220132949A1 (en) | Nasal mask | |
KR100886253B1 (ko) | 일회용 마스크 | |
JP2021519199A (ja) | 呼吸マスク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ライナ及び保持部材 | |
CN205494288U (zh) | 眼科手术专用面罩 | |
KR101633917B1 (ko) | 치과용 구강치료 보조기구 | |
CN205586104U (zh) | 一种口腔内护舌撑架 | |
CN209270072U (zh) | 一种美容手术用防护眼罩 | |
KR20100122247A (ko) | 간이 코 마스크 | |
CN208808651U (zh) | 一种眼科手术用面部遮盖罩 | |
KR20150046875A (ko) | 치과 환자용 위생시트 | |
KR100946628B1 (ko) | 코개구부가 형성된 치과용 안면 가리게 | |
CN212014579U (zh) | 一种多功能防护面罩 | |
JP2013220200A (ja) | うつ伏せ用枕 | |
JP3962392B2 (ja) | 顔面保護シールド | |
CN208972705U (zh) | 一种用于流口水患者的医用口罩 | |
CN107307915A (zh) | 一种口腔内科用橡皮障 | |
CN204395171U (zh) | 吸氧鼻架 | |
KR20240072758A (ko) | 취침중 착용자의 호기를 이용하여 온도와 수분을 유지할 수 있는 수면 마스크 | |
CN205459339U (zh) | 眼科儿童保护性眼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