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823U -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823U
KR20210002823U KR2020200002011U KR20200002011U KR20210002823U KR 20210002823 U KR20210002823 U KR 20210002823U KR 2020200002011 U KR2020200002011 U KR 2020200002011U KR 20200002011 U KR20200002011 U KR 20200002011U KR 20210002823 U KR20210002823 U KR 202100028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ask body
makeup
peeling part
l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탐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탐진
Priority to KR2020200002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823U/ko
Publication of KR202100028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8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에 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는, 입과 코로 흡입되는 유해성 물질 차단 및 감염원을 예방하도록 착용자의 안면과 아울러 입과 코를 감싸게 형성한 마스크 본체 ; 상기 마스크 본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귀걸이용 끈 ;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 측면의 입술과의 대면 부위에 입술을 전부 커버할 수 있는 넓이를 이루게 하여 한 겹씩 박리할 수 있게 설치한 박리부(剝離部)를 포함하고, 착용자의 입술 화장이 박리부에 묻는 경우는 화장이 묻은 박리부의 한겹을 떼어내고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Mask For Preventing Lip Makeup Stains}
본 고안은 황사, 미세먼지 등의 입자성 유해물질과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원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는데 착용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스크 본체의 내 측면의 입술과의 대면 부위에 형성한 박리부(剝離部)에 의해 착용자들의 입술화장품이 마스크 본체 내면에 직접적으로 묻는 일이 없게 하면서도 묻더라도 박리 제거하여 위생적이고 청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사용은 코와 입 등 호흡기를 가려서 활동시 입자성 유해물질의 흡입을 차단하는 것이 주지된 사실인데,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환경오염물질의 지속적인 증가와 황사로 인한 미세먼지 등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여기에 신종 바이러스의 발현으로 인한 위협이 높아짐에 따라 더 높은 수준의 위생용 마스크가 요구되고 있음이 현 실정이다.
이에 종래 마스크의 경우 필터를 설치하여 공기의 흡입시 여과 성능을 강화하여 제작되므로 호흡시 콧김이나 입김에 의해 마스크가 젖어 착용하자마자 새것으로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된다. 특히 화장을 많이 하게 되는 여성의 경우 입술에 화장한 립스틱이나 립밤 등이 마스크 표면에 묻게 되어 마스크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고, 심하게는 입술화장이 망쳐진다는 생각에 마스크 착용을 기피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특허등록번호 제10-2071293호의 '교체형 미세먼지 마스크'와 공개번호 제10-2020-0032887호의 '미세 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이다.
먼저, 특허문헌1의 선행기술 마스크에 의하면 '미세먼지 필터를 착탈하되 교체시 마스크 오염이 없는 구조를 제공하고 머리 크기나 모양에 관계없이 사이즈 조정이 가능한 교체형 미세먼지 마스크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마스크는 교체용 마스크 필터를 구비함에 있어서, 마스크와는 별개로 만들어져 있어서 이를 교체 사용시에는 상시 별도로 교체용 마스크 필터를 휴대 하고 다녀야 하고, 또한 교체용 마스크 필터를 부착 사용시에도 교체용 마스크 필터의 외면 좌우에 설치한 벨크로부재를 통하여 부착되는바, 교체용 마스크 필터에 벨크로부재의 설치는 별도의 열융착 또는 천연 접착제 부착공정을 통해 교체형 마스크 필터에 부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부착이 번거롭고, 특허 땀이 많이 나는 여름철에 교체하는 경우 교체과정에서 교체형 마스크 필터에 손이 직접적으로 닿게 되는 부분에서 세균 등의 오염이 발생 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의 마스크 역시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미세먼지의 차단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팬부재의 착용에 의한 공기유입을 향상시키고 마스크 내부의 습기발생을 방지하고 날숨의 통로를 확보하여 호흡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간편한 필터의 교체로 인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선행기술 또한 마스크본체와 별개로 구성한 제 2 마스크를 마스크본체로부터 탈착되게 구성한 것이어서, 특허문헌 1의 선행기술로부터 발생되는 문제는 그대로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입술에 화장한 립스틱과 립밤이 마스크 표면에 닿아 마스크자체를 쉽게 오염시키는 일이 없게 하면서도 화장이 묻게 되는 경우에도 화장이 묻게 되는 오염부분을 쉽게 제거하여 마스크 사용에 거부감을 주지 않는 마스크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특허등록번호 제10-2071293호 KR 공개번호 제10-2020-0032887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특히 마스크 본체의 내 측면의 입술과의 대면 부위에 적어도 2회 이상 분리할 수 있는 박리부(剝離部)를 구비하여, 착용자들의 입술화장이 마스크 본체에 직접적으로 묻는 일이 없게 하면서도 묻게 될 시에는 화장이 묻은 박리부만을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서 위생적이고 청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입술 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입술 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입술 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는, 입과 코로 흡입되는 유해성 물질 차단 및 감염원을 예방하도록 착용자의 안면과 아울러 입과 코를 감싸게 형성한 마스크 본체 ; 상기 마스크 본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귀걸이용 끈 ;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 측면의 입술과의 대면 부위에 입술을 전부 커버할 수 있는 넓이를 이루게 하여 한 겹씩 박리할 수 있게 설치한 박리부(剝離部);를 포함하고, 착용자의 입술 화장이 박리부에 묻는 경우는 화장이 묻은 박리부의 한겹을 떼어내고 다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박리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와 같은 부직포섬유 혹은 한지 재질의 박리지로서 다수 겹을 이루며 접착면을 갖고 박리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착용자들의 입술화장이 마스크 본체에 직접적으로 묻는 일이 없게 하는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입술화장이 묻게 될 시에도 화장이 묻게 되는 박리부 만을 박리하여 제거함으로써 다시 사용함에 거부감을 주는 일이 없는 위생적이고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한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의 착용 일 예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의 내측 면을 보이게 한 상태로 표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도 2a의 I-I선 방향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를 덴탈 마스크에 적용한 경우의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 예나 이 실시 예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하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또 본 실 시예의 모든 용어들은
본 실시 예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지,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본 실시 예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 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의 착용 일 예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의 내측 면을 보이게 한 상태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100)는, 착용자의 입과 코로 흡입되는 유해성 물질(황사, 미세먼지 등)차단 및 감염원을 예방하도록 착용자(10)의 안면과 아울러 입과 코를 감싸게 형성한 마스크 본체(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10)의 재질은 부직포 섬유일 수 있다. 부직포 섬유는 BF90 마이클론N8호 식약처 기준 보건용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마스크 본체(110)는 부직포와 섬유로 구성되어, 일체형으로 봉제하지 않고, 금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10)의 좌우 양측에 설치한 귀걸이용 끈(120)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110)를 착용자의 안면부위에 밀착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상기 귀걸이용 끈(120)의 길이나 넓이는 착용자들의 안면부위 크기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형 설치 가능하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10)의 내 측면의 입술과의 대면 부위에는 착용자들의 입술을 전부 커버할 수 있는 넓이를 이루게 하여 한 겹씩 박리할 수 있게 한 박리부(剝離部)(140)를 설치하였다.
상기 박리부(140)는 상기 마스크 본체(110)와 같은 통기성 재질의 얇은 부직포 섬유 혹은 한지 재질의 박리지(142-1,142-2,142-3)를 다수의 겹을 이루며 인체에 무해한 접착면(141-1,141-2,141-3)을 갖고 접착된 상태를 이루게 하여 언제든지 박리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박리지(142-1,142-2,142-3)의 모양을 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일 예로 들어 표시하였으나, 착용자들의 입술을 전부 커버할 수 있는 형태라고 하면 박리지의 모양은 장방형, 원형 혹은 타원형 등 어느 형태로도 무방하다. 또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박리지(142-1,142-2,142-3)의 개수를 3개 설치한 것을 일 예로 들어 표시하였으나, 마스크의 사용 수명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박리지(142-1,142-2,142-3)의 박리를 쉽게 하기 위해 귀퉁이 일부분에 접착면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100)는, 마스크를 착용시 착용자들의 입술이 마스크(100)의 내측 면에 닿게 되더라도 마스크 본체(110)의 입술과 대면 부위에 설치된 박리부(140)에 의해, 미용 혹은 입술보호를 위해 입술에 바른 립스틱 혹은 립밤 등과 같은 화장이 마스크 본체에 직접적으로 묻는 일이 없게 하여 마스크 본체가 직접적으로 오염됨을 방지하는 이익을 부여한다.
특히, 입술 미용을 위해 바른 립스틱 화장이나 혹은 입술 보호를 위해 바른 립밤 등이 마스크에 묻게 되더라도, 묻는 곳이 마스크 본체(110)가 아닌 입술과 대면 부위에 설치한 다수겹의 박리지(142-1,142-2,142-3)로 이루어진 박리부(140)에 묻기 때문에 입술 화장이 묻은 최 외층의 박리지(142-1)만을 박리하여 제거하면 화장 오염이 없는 위생과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마스크를 다시 사용하더라도 화장에 의한 오염부분의 제거로 마스크 사용에 거부감을 갖게 하는 일이 없는 이익을 부여한다. 상기 박리부(140)의 박리 회수 사용은 마스크 수명과 같이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를 덴탈 마스크에 적용한 경우의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상기 일 실시 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본 실시 예는 박리부(140)를 덴탈 마스크(200)에 설치하였다는 것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일 실시 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일부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
110 : 마스크 본체
120 : 귀걸이용 끈
140 : 박리부(剝離部)
141-1,141-2, 141-3 : 접착면
142-1,142-2,142-3 : 박리지

Claims (2)

  1. 입과 코로 흡입되는 유해성 물질 차단 및 감염원을 예방하도록 착용자의 안면과 아울러 입과 코를 감싸게 형성한 마스크 본체 ;
    상기 마스크 본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귀걸이용 끈 ;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 측면의 입술과의 대면 부위에 입술을 전부 커버할 수 있는 넓이를 이루게 하여 한 겹씩 박리할 수 있게 설치한 박리부(剝離部);를 포함하고, 착용자의 입술 화장이 박리부에 묻는 경우는 화장이 묻은 박리부의 한겹을 떼어내고 다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와 같은 부직포섬유 혹은 한지 재질의 박리지로서 다수 겹을 이루며 접착면을 갖고 박리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

KR2020200002011U 2020-06-10 2020-06-10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 KR202100028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011U KR20210002823U (ko) 2020-06-10 2020-06-10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011U KR20210002823U (ko) 2020-06-10 2020-06-10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823U true KR20210002823U (ko) 2021-12-17

Family

ID=7917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011U KR20210002823U (ko) 2020-06-10 2020-06-10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823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293B1 (ko) 2018-10-24 2020-01-30 김미숙 교체형 미세먼지 마스크
KR20200032887A (ko) 2018-09-19 2020-03-27 (주)레피오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887A (ko) 2018-09-19 2020-03-27 (주)레피오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
KR102071293B1 (ko) 2018-10-24 2020-01-30 김미숙 교체형 미세먼지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674B1 (ko) 마스크
KR20160001206U (ko) 황사 마스크
KR20180025098A (ko) 커버 및 필터 교체식 마스크
KR20160003506U (ko) 마스크
KR102188331B1 (ko) 입과 코 분리형 마스크
KR20110032725A (ko)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US20220062670A1 (en) Multiple Layer Mask
KR102286176B1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20210002823U (ko) 입술화장 묻음 방지용 마스크
KR200426249Y1 (ko) 휴대용 건강 마스크
RU201252U1 (ru)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ая лицевая маска с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KR20210123561A (ko)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20200144883A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200495531Y1 (ko) 마스크
KR102479268B1 (ko) 쾌적한 안면 인식 구조를 포함하는 위생용 투명마스크
KR102612748B1 (ko) 투명필름이 구비된 일회용 마스크
US20220400788A1 (en) Loop free face mask
CN207604527U (zh) 一种磁吸固定可拆的通气口罩
KR20220055062A (ko) 끈없는 마스크
KR20220000435U (ko) 밀착방지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220083058A (ko) 다회용 위생 마스크
KR20230100130A (ko) 보건용 위생 마스크
KR20220001421U (ko) 끈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천공이 된 마스크
KR20220017210A (ko) 분리형 걸이끈이 구비된 마스크
KR20220110911A (ko) 입과 코 분리형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