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368B1 - 구강호흡 방지용구 - Google Patents

구강호흡 방지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368B1
KR102494368B1 KR1020220037693A KR20220037693A KR102494368B1 KR 102494368 B1 KR102494368 B1 KR 102494368B1 KR 1020220037693 A KR1020220037693 A KR 1020220037693A KR 20220037693 A KR20220037693 A KR 20220037693A KR 102494368 B1 KR102494368 B1 KR 102494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uth
oral
contact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태
Original Assignee
이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태 filed Critical 이근태
Priority to KR102022003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2/00Surgery: splint, brace, or bandage
    • Y10S602/902Antisnoring or mouth clos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호흡 방지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중에 자신도 모르게 구강을 통해서 호흡하는 것을 방지하여 코골이와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는 구강호흡 방지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얼굴의 전면 입 주변부에 접촉되고 외부로부터의 입을 통한 구강호흡을 방지하도록 막음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막음몸체(10)의 후부에는 부재 결합홈(12)이 형성되는 페이스 막음부(102)와;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의 후부에 연장 형성되고 앞니의 이갈림을 방지하고 입술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치아 물림부(106)와; 상기 치아 물림부(106)의 후부에 연장 형성되어 구강 내의 전구개부에 밀착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구개 접촉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는 수면 도중 호흡 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코골이를 완화하거나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이용이 간편하고 인체에 무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입술과 구개 내측부를 분리하여 앞니가 서로 맞닿아서 발생하는 이갈이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고, 구내 내측의 대구치가 서로 맞물려서 발생하는 이갈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면시에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리는 것을 예방하고 구강 호흡을 방지함으로써 수면 무호흡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강호흡 방지용구{Oral respiration Preventing Device}
본 발명은 구강호흡 방지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중에 자신도 모르게 구강을 통해서 호흡하는 것을 방지하여 코골이와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는 구강호흡 방지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수면상태에 빠져들면 신체의 근육이 이완되고 구강 내의 혀나 목젖, 연구개, 편도 등이 이완되면서 기도를 압박하는 경우 기도가 좁아지게 된다.
기도가 좁아진 상태에서 호흡되는 공기는 흐름이 빨라지게 되고 그 결과 주변의 연조직을 진동시켜서 코골이를 하게 된다.
이러한 코골이를 하는 경우, 수면중에 기도가 폐쇄되어 일시적으로 호흡을 하지 못하는 수면 무호흡증이 발생하여 위험할 수 있다.
수면 무호흡증은 단위 시간당 수면 무호흡과 저호흡을 합친 회수가 시간당 5회 이상일 경우를 말하는데, 저산소혈증, 혈액중 이산화탄소 증가, 뇌졸증, 고혈압, 심박동이상, 돌연사 등의 원인이 되며 당뇨병과도 깊은 연관이 생긴다.
뿐만 아니라,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은 숙면을 방해하여 낮 시간에 만성적인 졸음 상태를 유발하며 만성피로를 야기하여 업무능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는 다양한 방법이 실시되고 있는데 크게 외과적 치료와 비외과적 치료로 구분하고 있다.
외과적 치료방법은 수술을 통해 기도의 폐쇄부위를 넓혀주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수술에 따른 위험부담과 큰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재발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수술 후에는 되돌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비외과적 치료방법은 약물을 이용한 화학적 방법과 양압기(CPAP)나 하악 전방 이동장치(MAD) 또는 코골이 방지용 밴드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양압기는 일종의 산소 호흡기와 같은 장비로서, 기도 안으로 강제로 공기를 불어넣어 폐쇄된 기도를 확장시키는 방법이나 효과는 좋지만 구입비용이 과다하게 소비되고 얼굴에 장착하여야 하므로 이동과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하악 전방 이동장치는 구강 내에 착용하는 기구로서 사용자의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하악에 부착된 혀가 전방으로 당겨져서 나오도록 하고 그 결과 혀의 뒤쪽 주변에 늘어진 연조직이 펴지면서 기도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기도가 확보되면서 흡입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기도 내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주변 연조직이 진동되지 않아서 코골이가 방지되고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할 수 있다.
하지만 하악 전방 이동장치는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춰서 제작해야 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고가이고 사용자가 구강에 착용하는 경우 구강호흡이 차단됨으로써 수면 중에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리게 되고 그 결과 코골이의 치료 효과를 반감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은 고혈압과 심근 경색의 발병확률이 높으며 계속 진행되는 경우에는 호흡 정지에 의한 말초기관의 산소공급부족으로 수면 장애가 유발되고 기상시 또는 낮시간에는 졸리거나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육체적 정신적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코골이 뿐만 아니라 수면 중에 무의식적으로 이를 가는 경우에는 치아의 손상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에는 치아가 손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기존의 이갈이 방지구는 고가이고 착용시 불편함이 많아서 실생활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많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4449호(2014.09.10.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216154호(2012.12.2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측부에 입술을 전면에서 막아주고 입 내측 구개부에 접촉시켜서 수면 도중 구강으로 호흡을 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코를 이용하여 비강 호흡을 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강호흡 방지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강을 이용한 호흡은 최소로 하도록 유도하고 코를 이용항 비강 호흡을 하도록 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강호흡 방지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을 숨을 쉬는 구강호흡을 방지하고 입수 외측부에 접촉부를 두고 입 내측 구개부에 접촉부를 형성하여 수면시 물고 잘 수 잇도록 함과 동시에 앞니와 구개 후부의 대구치가 서로 맞닿아서 수면시 발생하는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는 구강호흡 방지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얼굴의 전면 입 주변부에 접촉되고 외부로부터의 입을 통한 구강호흡을 방지하도록 막음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막음몸체(10)의 후부에는 부재 결합홈(12)이 형성되는 페이스 막음부(102)와;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의 후부에 연장 형성되고 앞니의 이갈림을 방지하고 입술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치아 물림부(106)와; 상기 치아 물림부(106)의 후부에 연장 형성되어 구강 내의 전구개부에 밀착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구개 접촉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는 완만한 만곡부를 갖도록 입의 외측방향으로 휘어져서 형성되는 막음몸체(10)로 형성되고 상기 막음몸체(10)의 내면에는 입술보습부재(10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술부습부재(104)는,
제1 레이어층(16)과, 제2 레이어층(18)과, 제3 레이어층(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레이어층(16)은 입술과 접촉하여 입술을 건조하지 않도록 보습하기 위한 보습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레이어층(18)은 상기 보습층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한 시트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레이어층(20)은 시트층을 잡아주고 상기 막음몸체(10)의 부재 결합홈(12)에 삽입 부착되도록 접착층을 구비한 이형지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는 수면 도중 호흡 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코골이를 완화하거나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이용이 간편하고 인체에 무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입술과 구개 내측부를 분리하여 앞니가 서로 맞닿아서 발생하는 이갈이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고, 구내 내측의 대구치가 서로 맞물려서 발생하는 이갈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면시에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리는 것을 예방하고 구강 호흡을 방지함으로써 수면 무호흡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으로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얼굴의 전면 입 주변부에 접촉되고 외부로부터의 입을 통한 구강호흡을 방지하도록 막음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막음몸체(10)의 후부에는 부재 결합홈(12)이 형성되는 페이스 막음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의 후부에 연장 형성되고 앞니의 이갈림을 방지하고 입술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치아 물림부(106)가 구비되며, 상기 치아 물림부(106)의 후부에 연장 형성되어 구강 내의 전구개부에 밀착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구개 접촉부(10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는 완만한 만곡부를 갖도록 입의 외측방향으로 휘어져서 형성되는 막음몸체(10)로 형성되고 상기 막음몸체(10)의 내면에는 입술보습부재(104)가 구비된다.
상기 입술부습부재(104)는, 제1 레이어층(16)과, 제2 레이어층(18)과, 제3 레이어층(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레이어층(16)은 입술과 접촉하여 입술을 건조하지 않도록 보습하기 위한 보습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레이어층(18)은 상기 보습층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한 시트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레이어층(20)은 시트층을 잡아주고 상기 막음몸체(10)의 부재 결합홈(12)에 삽입 부착되도록 접착층(19)을 구비하고 분리 가능한 이형지층으로 형성된다.
이하, 상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강호흡 방지용구(100)를 설명하여 보면,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 막음부(102)와, 입술보습부재(104)와, 치아 물림부(106)와, 구개 접촉부(108)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호흡 방지용구(100)는 구강호흡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의 주변에 접촉되어 사용되는 것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는 직사각형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막음몸체(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막음몸체(10)는 내면(9)과 외면(1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막음몸체(10)는 완만한 만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으로 휘어진 만곡면은 내면(9)으로 형성되어 얼굴의 전면 즉 입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측으로 휘어진 만곡면은 외면(11)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입을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0.5mm 내지 1mm의 불소수지 투명 코팅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면(9)과 외면(11)으로 나뉘어지고 완만한 만곡면을 이루는 만곡면의 곡률은 1/25 내지 1/300 범위 내에서 형성할 수 있다. 왜냐하면 1/25 보다 더 적은 경우에는 입 부위가 조여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수면을 방해하고 1/300 보다 더 큰 경우에는 입 주위가 완전하게 가려지지 못하고 벌어지는 틈이 발생하여 입을 통해 다량의 공기가 유입되어 입 호흡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막음몸체(10)의 내면(9)에는 입술보습부재(104)가 설치되는바, 상기 입술보습부재(104)는 상기 막음몸체(10)에 삽입 설치되고 막음몸체(10)가 입을 가리는 경우, 상기 입술보습부재(104)가 건조해진 입술을 보호하고 촉촉하게 적셔줄 수 있도록 보습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습층에는 마리골드, 캐모마일, 레몬밤, 로즈메리, 박하, 레몬 그래스, 바질, 워터코인 등의 허브류로 이루어지는 액상,겔 또는 젤로 이루어진 보습성분을 침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의 후부면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치아 물림부(106)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치아 물림부(106)는 직사각형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치아 물림부(106)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면과 하면이 치아와 맞물리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치아 물림부(106)의 후부에는 구개 접촉부(108)가 연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치아 물림부(106)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면 중 이갈이를 하는 경우, 앞니의 상부치아와 하부치아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치아와 하부치아가 맞물리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개 접촉부(108)는
직사각형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접촉몸체(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몸체(24)는 내면(26)과 외면(2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몸체(24)는 완만한 만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으로 휘어진 만곡면은 내면(26)으로 형성되어 구강 내의 세균들을 살균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0.1mm 내지 0.5mm의 금 또는 은 재질의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으로 휘어진 만곡면은 외면(28)으로 형성되어 입의 내측 구개 전면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외부에서 입을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구강 내의 세균들을 살균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0.5mm 내지 1mm의 금 또는 은파우더가 혼합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면(26)과 외면(28)으로 나뉘어지고 완만한 만곡면을 이루는 만곡면의 곡률은 1/25 내지 1/300 범위 내에서 형성할 수 있다. 왜냐하면 1/25 보다 더 적은 경우에는 구강내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하여 혀와 접촉되어 꼬임으로써 수면을 방해하고 1/300 보다 더 큰 경우에는 구강내 좌우측부와 간섭이 발생하여 상처를 입기때문이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우선, 얼굴의 전면부 즉, 입술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직사각형상의 판형으로 이루어진 막음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막음몸체(10)는 내면(9)과 외면(11)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막음몸체(10)의 내면(9)은 입술과 입술 주변을 감싸도록 만곡면을 가지면서 형성되고 상기 외면(11)은 외부의 공기가 입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막음몸체(10)의 내면(9) 하부측에는 직사각형상의 부재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재 결합홈(12)은 전술된 입술보습부재(104)가 삽입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술보습부재(104)는 상기 부재 결합홈(12)에 삽입 안착되도록 직사각형상의 동일한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면(9)의 만곡면과 동일한 만곡률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술보습부재(104)는 직사각형상의 부재 결합홈(12)에 대응하는 보습 몸체부(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습 몸체부(14)는 제1 레이어층(16), 제2 레이어층(18) 및 제3 레이어층(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레이어층(16)은 보습층으로서 오이, 알로에, 콜라겐 등과 허브식물류 중 어느 하나를 액화시킨 보습액을 이용하고, 상기 제2 레이어층(18)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시트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레이어층(20)은 이형지층으로서 접착제가 도포된 이형지를 구비하며, 상기 이형지를 시트층인 제2 레이어층(18)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부재 결합홈(12)에 끼워서 부착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막음몸체(10)의 내면(9)의 중앙부에는 후부 방향으로 돌출된 치아 물림부(106)가 형성되고 상기 치아 물림부(106)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면이 수평방향으로 편평하게 설치되는 연결몸체(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몸체(22)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져서 치아의 앞니가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맞물릴때 치아 사이에 개재되어 이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치아 물림부(106)는 인체에 무해하고 플렉시블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입술이 위치할 수 있도록 입술 두께에 대응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치아 물림부(106)의 후부에는 구개 접촉부(108)가 연결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개 접촉부(108)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완만한 만곡면이 형성되고 구강 내에서 전구개부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접촉몸체(24)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몸체(24)의 일측면부, 즉 구강내부에 위치하도록 내면(26)이 형성되고 상기 구강내의 전면부와 접촉되는 외면(28)이 형성된다.
도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 및 측면도로서, 도3 및 도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페이스 막음부(102)가 전면부에 위치하고 중간부분에는 치아 물림부(106)가 위치하며, 상기 치아 물림부의 후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는 얼굴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위치하고 입과 입 주위의 주변부를 감싸도록 완만하게 휘어져서 형성되고 상기 치아 물림부(106)는 구강 내의 상하부 치아가 서로 물렸을때 서로 접촉되지 않고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소정의 두께(t)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치아 물림부(106)의 소정의 두께(t)는 2-5mm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바, 상기 소정의 두께가 2mm보다 얇은 경우에는 이를 맞물리는 이에 의해서 이를 갈다가 손상을 입거나 찢어지거나 갈라질 수 있고, 5mm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의 사이가 벌어져서 유입된 공기가 흡입되어 구강호흡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강호흡 방지용구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 막음부(102)와, 입술보습부재(104)와, 치아 물림부(106)와, 구개 접촉부(108)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호흡 방지용구(100)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는 직사각형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막음몸체(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막음몸체(10)는 내면(9)과 외면(1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막음몸체(10)는 완만한 만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으로 휘어진 만곡면은 내면(9)으로 형성되어 얼굴의 전면 즉 입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측으로 휘어진 만곡면은 외면(11)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입을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0.5mm 내지 1mm의 불소수지 투명 코팅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면(9)과 외면(11)으로 나뉘어지고 완만한 만곡면을 이루는 만곡면의 곡률은 1/25 내지 1/300 범위 내에서 형성할 수 있다. 왜냐하면 1/25 보다 더 적은 경우에는 입 부위가 조여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수면을 방해하고 1/300 보다 더 큰 경우에는 입 주위가 완전하게 가려지지 못하고 벌어지는 틈이 발생하여 입을 통해 다량의 공기가 유입되어 입 호흡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막음몸체(10)에는 다수의 호흡 유지공(2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호흡 유지공(200)은 호흡을 완전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 숨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미량의 들숨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호흡 유지공(200)은 전면부 즉, 외면(11)에 형성되는 직경의 구멍이 내면(9)에 형성되는 직경보다 1.5- 2배 더 큰 오리피스 형태로 형성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에서 안으로 들어가면서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호흡 유지공(200)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와 구개 접촉부(108)의 사이에 소정의 시간동안 머물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와 구개 접촉부(108)의 사이에 공기가 머무는 소정의 시간은 1.5초 내지 3초 사이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개 접촉부(108)에는 다수의 호흡 순환공(2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호흡 순환공(202)은 호흡을 완전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 숨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미량의 날숨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호흡 순환공(202)은 후면부 즉, 내면(26)에 형성되는 직경의 구멍이 내면(28)에 형성되는 직경보다 1.5 - 2배 더 큰 오리피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입을 통해서 내뿜는 공기즉, 이산화탄소가 안에서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호흡 순환공(202)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구개 접촉부(108)와 상기 페이스 접촉부(102)의 사이의 치아 물림부(106)를 통과하여 입 밖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에 형성된 호흡 유지공(200)은 상기 구개 접촉부(108)에 형성된 호흡 순환공(202)에 비하여 넓은 면적에 형성됨으로써 호흡 유지공(200)의 수가 더 많아서 들숨이 유입되는 공기가 빠르게 유입될 수 있고, 상기 호흡 순환공(202)에서 배출되는 날숨은 상기 구개 접촉부(108)의 크기가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에 비하여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날숨이 더 적게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구개 접촉부(108)와 입술 주위로 자연스럽게 새어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계속해서,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먼저, 페이스 막음부(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의 후부에는 치아 물림부(106)가 형성되며, 상기 치아 물림부(106)의 후부에는 구개 접촉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개 접촉부(108)의 후면부 좌우측부에는 연결부재(110)가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10)에는 이갈림 방지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10)는 직사각형상의 판형상 또는 바 또는 봉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렉시블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확장몸체(30)를 구비한다.
상기 확장몸체(30)의 후부에는 전술된 이갈림 방지부(112)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이갈림 방지부(122)는 수면 중에 자신도 모르게 이를 갈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바 특히 치아의 양측 후부에 솟구쳐서 형성되는 어금니 또는 대구치들이 상하에서 마주쳐서 이를 갈게되는 어금니 이갈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갈림 방지부(112)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대구치 몸체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대구치 몸체부(32)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의 상하부에 돌출된 대구치들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대구치 안착홈(34), 제2 대구치 안착홈(36), 제3 대구치 안착홈(38)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서 3개의 대구치를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전술된 각각의 제1 내지 제3 대구치 안착홈(34,36,38)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두개 또는 세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의 변형 실시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110) 및 이갈림 방지부(112)는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10)를 남녀와 노소의 입의 크기에 따라 조절해서 끼울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이갈림 방지부(112)도 남녀노소와 각 연령대의 이의 크기에 따라 대응하여 치아본을 떠서 본 발명의 구개 접촉부(108)의 후부에 연결 설치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내의 기술적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막음몸체 12 : 부재 결합홈
14 : 보습 몸체부 16 : 제1 레이어층
18 : 제2 레이어층 20 : 제3 레이어층
22 : 연결몸체 24 : 접촉몸체
26 : 내면 28 : 외면
30 : 확장몸체 32 : 대구치 몸체부
34 : 제1 대구치 안착홈 36 : 제2 대구치 안착홈
38 : 제3 대구치 안착홈
100 : 구강호흡 방지용구 102 : 페이스 막음부
104 : 입술보습부재 106 : 치아 물림부
108 : 구개 접촉부 110 : 연결부재
112 : 이갈림 방지부
200 : 호흡 유지공 202 : 호흡 순환공

Claims (3)

  1. 얼굴의 전면 입 주변부에 접촉되고 외부로부터의 입을 통한 구강호흡을 방지하도록 막음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막음몸체(10)의 후부에는 부재 결합홈(12)이 형성되는 페이스 막음부(102)와;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의 후부에 연장 형성되고 앞니의 이갈림을 방지하고 입술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치아 물림부(106)와;
    상기 치아 물림부(106)의 후부에 연장 형성되어 구강 내의 전구개부에 밀착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구개 접촉부(108)를 포함하되,
    상기 페이스 막음부(102)는 완만한 만곡부를 갖도록 입의 외측방향으로 휘어져서 형성되는 막음몸체(10)로 형성되고 상기 막음몸체(10)의 내면에는 입술보습부재(104)가 구비되고,
    상기 입술보습부재(104)는,
    제1 레이어층(16)과, 제2 레이어층(18)과, 제3 레이어층(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레이어층(16)은 입술과 접촉하여 입술을 건조하지 않도록 보습하기 위한 보습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레이어층(18)은 상기 보습층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한 시트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레이어층(20)은 시트층을 잡아주고 상기 막음몸체(10)의 부재 결합홈(12)에 삽입 부착되도록 접착층을 구비한 이형지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막음몸체(10)에는 다수의 호흡 유지공(200)이 형성되고 상기 구개 접촉부(108)에는 호흡 순환공(202)이 형성되되, 상기 호흡 유지공(200)은 호흡을 완전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 숨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미량의 들숨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호흡 순환공(202)은 호흡을 완전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 숨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미량의 날숨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호흡 방지용구.
  2. 삭제
  3. 삭제
KR1020220037693A 2022-03-26 2022-03-26 구강호흡 방지용구 KR102494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693A KR102494368B1 (ko) 2022-03-26 2022-03-26 구강호흡 방지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693A KR102494368B1 (ko) 2022-03-26 2022-03-26 구강호흡 방지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368B1 true KR102494368B1 (ko) 2023-01-31

Family

ID=8510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693A KR102494368B1 (ko) 2022-03-26 2022-03-26 구강호흡 방지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3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262Y1 (ko) * 2000-12-04 2001-06-15 피영준 코골기와 무호흡증 방지구
US6427696B1 (en) * 1999-10-11 2002-08-06 Rolf Stockhausen Anti-snoring device
KR101216154B1 (ko) 2012-06-21 2012-12-27 강영주 의료용 마우스피스
KR200474449Y1 (ko) 2014-04-21 2014-09-17 이일섭 이갈이 방지구
CN108210135A (zh) * 2016-12-22 2018-06-29 薛原 嘴唇护理卡子
CN208552779U (zh) * 2017-08-31 2019-03-01 合肥市第二人民医院 兼具气管插管固定及防磨牙、保湿功能的口腔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7696B1 (en) * 1999-10-11 2002-08-06 Rolf Stockhausen Anti-snoring device
KR200226262Y1 (ko) * 2000-12-04 2001-06-15 피영준 코골기와 무호흡증 방지구
KR101216154B1 (ko) 2012-06-21 2012-12-27 강영주 의료용 마우스피스
KR200474449Y1 (ko) 2014-04-21 2014-09-17 이일섭 이갈이 방지구
CN108210135A (zh) * 2016-12-22 2018-06-29 薛原 嘴唇护理卡子
CN208552779U (zh) * 2017-08-31 2019-03-01 合肥市第二人民医院 兼具气管插管固定及防磨牙、保湿功能的口腔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498B1 (ko) 수면 중 개구방지기구
US6375667B1 (en) Nasal dilator
JP7134512B2 (ja) 睡眠時無呼吸を防止する装置
US93753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reathing assistance
AU2015262263A1 (en) Smart mask for health care service
US20140216469A1 (en) Mandibular appliance with oxygen
AU2023254970A1 (en) Methods for using a face strip for treating breathing conditions
US6279577B1 (en) Supporter
ES2897678T3 (es) Un sistema de tratamiento respiratorio para trastornos del sueño
KR101828841B1 (ko)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KR200405903Y1 (ko) 수면중 개구방지를 위한 마스크
KR102494368B1 (ko) 구강호흡 방지용구
US20120031410A1 (en) Dental device for preventing a sleep disorder
WO2007016855A1 (fr) Procede et capuchon anti-etranglement lors du sommeil
KR101179556B1 (ko) 가습 기능을 갖는 기구
JP3122719U (ja) 口呼吸防止具
KR102284420B1 (ko) 코골이 및 비염 증상을 예방 및 치료하여 숙면을 유도하는 마스크
KR102545210B1 (ko) 부착식 양압기 마스크
KR102483879B1 (ko) 코골이 방지기구
CN212973217U (zh) 止鼾设备
JP2014147623A (ja) 呼吸矯正具
CN211050625U (zh) 一种带耳朵防护装置的吸氧面罩
KR19980055703U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용 코호흡관
TWM378000U (en) Structure of gauze mask
CA3051446A1 (en) Sleepystrip disposable breat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