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029B1 - 페이스 쉴드 - Google Patents

페이스 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029B1
KR102126029B1 KR1020200060762A KR20200060762A KR102126029B1 KR 102126029 B1 KR102126029 B1 KR 102126029B1 KR 1020200060762 A KR1020200060762 A KR 1020200060762A KR 20200060762 A KR20200060762 A KR 20200060762A KR 102126029 B1 KR102126029 B1 KR 102126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face shield
wearer
support piece
c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영
Original Assignee
(주)제이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피앤씨 filed Critical (주)제이피앤씨
Priority to KR102020006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스 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귀끈홀이 형성된 안면부와, 상기 안면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 받침부와, 상기 안면부의 귀끈홀에 연결되는 귀끈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턱 받침부는 중앙 받침편과; 상기 중앙 받침편의 양쪽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고, 절개선이 형성된 제1측방 받침편과; 상기 중앙 받침편의 양쪽 중 나머지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에 끼워지는 후크가 형성된 제2측방 받침편;으로 구성되어, 절개선에 후크를 끼우면 착용자의 피부 특히 입술이 페이스 쉴드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페이스 쉴드{Face shield}
본 발명은 페이스 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얼굴에 착용하여 착용자의 안면 부위를 커버함으로써 착용자로부터 발생되어 튀는 비말(飛沫)과 외부에서 착용자 쪽으로 튀는 비말을 차단할 수 있는 페이스 쉴드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코로나 19 바이러스 사태가 단기간에 해결되지 않고 장기화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손 자주 씻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생활 대책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는 사람들이 말하거나 기침을 할 때 또는 숨을 쉴 때 발생되는 비말(飛沫)을 통하여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비말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스크 착용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더불어 페이스 쉴드라고 불리는 투명 재질의 안면 보호구 역시 마스크 대안 또는 마스크와 함께 사용하는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종래의 페이스 쉴드는 곡면 형상의 투명한 필름 또는 패널의 상단부가 이마 부분에 착용한 밴드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페이스 쉴드는 아래쪽을 통해 비말이 페이스 쉴드 착용자의 입쪽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고, 곡면 형상이기 때문에 부피가 커서 보관이 어려운 문제도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40801 (출원번호: 20-2001-0008291, 고안의 명칭: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00309MW07362068405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평판 형태로 보관을 하다가 착용시 얼굴 윤곽에 대응되는 입체감을 갖도록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 후 얼굴에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안면과 턱 부분을 커버하면서도 착용자의 안면과 내측면이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페이스 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페이스 쉴드는 착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귀끈홀이 형성된 안면부와, 상기 안면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 받침부와, 상기 안면부의 귀끈홀에 연결되는 귀끈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턱 받침부는 중앙 받침편과; 상기 중앙 받침편의 양쪽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고, 절개선이 형성된 제1측방 받침편과; 상기 중앙 받침편의 양쪽 중 나머지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에 끼워지는 후크가 형성된 제2측방 받침편;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 받침편에는 절첩선이 형성되어, 중앙 받침편의 끝부분이 착용자의 턱 부분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귀끈홀의 바깥쪽에는 마스크에 구비된 마스크 귀끈을 끼우는 끈끼움 절개선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면부의 중앙 하부에는 다수의 제1통기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 받침편에는 다수의 제2통기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통기홀은 상기 제1통기홀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턱 받침부의 폭은 상기 안면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귀끈홀은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페이스 쉴드는 제1측방 받침편의 절개선에 제2측방 받침편의 후크를 끼우기만 하면, 착용자의 입과 코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이 착용자의 안면 앞쪽으로 돌출되는 입체적 형상으로 변형되어, 착용자의 피부 특히 입술이 페이스 쉴드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이스 쉴드의 착용을 위한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더불어 절개선에 후크를 끼우기 전에는 입체적 형상이 아닌 얇은 평판 형태이므로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중앙 받침편을 절첩선을 따라 절첩하면 중앙 받침편의 끝부분이 착용자의 턱 부분에 지지되므로, 페이스 쉴드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면부가 착용자의 안면과 일정거리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의 귀끈을 끼우는 끈끼움 절개선이 안면부에 형성되므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페이스 쉴드를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턱 받침부를 안면부보다 좁게 제작함으로써 착용자의 입과 코 부분은 커버하면서 착용자의 피부와 페이스 쉴드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페이스 쉴드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페이스 쉴드의 절개선에 후크를 끼워 조립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페이스 쉴드의 착용모습을 보인 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페이스 쉴드를 마스크와 함께 착용한 모습을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페이스 쉴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페이스 쉴드의 착용모습을 보인 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페이스 쉴드를 마스크와 함께 착용한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페이스 쉴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페이스 쉴드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페이스 쉴드의 절개선에 후크를 끼워 조립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페이스 쉴드의 착용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페이스 쉴드를 마스크와 함께 착용한 모습을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페이스 쉴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페이스 쉴드의 착용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페이스 쉴드를 마스크와 함께 착용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페이스 쉴드는 안면 부위에 착용하여 착용자로부터 타인에게 비말(飛沫)이 튀거나 타인으로부터 발생된 비말이 착용자의 안면 부위에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PET 필름과 같은 투명하고 휨이 자유로운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져 착용자가 안면 부위에 착용하였을 때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하며, 안면 부위의 형태나 윤곽에 맞추어 적절하게 휨이나 절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특히, 얼굴에 착용하기 전에는 평판 형태로 보관하다가 얼굴에 착용을 하기 위하여 조립을 하면 입체적 형상을 갖도록 하여 착용자의 입이나 코 부위를 비롯한 안면 부위가 페이스 쉴드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그 구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페이스 쉴드는 안면부(10)와, 상기 안면부(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턱 받침부(20)와, 상기 안면부(10)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귀에 거는 귀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면부(10)는 페이스 쉴드 착용시에 착용자의 안면을 커버하는 부분으로서, 상단이 착용자의 눈 바로 아래쪽까지 연장될 수도 있고, 착용자의 눈 위쪽부분까지 연장되어 눈 부분을 커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안면부(10)에는 귀끈홀(11)이 형성되고, 끈끼움 절개선(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귀끈홀(11)은 안면부(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착용자가 마스크(M)를 착용하지 않고 페이스 쉴드만을 착용할 때 착용자의 귀에 거는 귀끈(30)을 끼워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귀끈홀(11)은 안면부(1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귀끈홀(11)이 형성되면 착용자의 안면 윤곽이나 크기, 형상 등에 대응하여, 귀끈(30)을 귀에 걸었을 때 페이스 쉴드가 안정적으로 착용되게 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를 찾는데 유리하다.
상기 끈끼움 절개선(12)은 귀끈홀(11)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마스크(M)에 구비된 마스크 귀끈(M1)을 끼우는데 사용된다. 착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페이스 쉴드만을 착용할 때는 끈끼움 절개선(12)이 필요하지 않으나, 착용자가 마스크(M)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페이스 쉴드를 착용할 경우에는 끈끼움 절개선(12)이 필요하다.
부연하면, 끈끼움 절개선(12)은 안면부(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의 양 끝단은 안면부(10)의 양 끝부분을 향해 점점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끈끼움 절개선(12)의 양 끝단에는 끈끼움 절개선(12)의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큰 원형홀(12a)이 형성된다. 마스크(M)의 귀끈(M1)을 끈끼움 절개선(12)에 끼울 때 마스크(M)의 귀끈(M1)은 이 원형홀(12a)을 지나간다.
한편, 마스크(M)의 귀끈(M1)을 끈끼움 절개선(12)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에는 페이스 쉴드를 위한 별도의 귀끈(30)이 필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마스크(M)의 귀끈(M1)만으로 마스크(M)와 함께 페이스 쉴드도 착용자의 안면에 적절하게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끈끼움 절개선(12)은 마스크(M)의 귀끈(M1)을 연결할 때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페이스 쉴드의 착용자가 마스크(M)를 착용하지 않는 상황에서 최적의 귀끈 연결위치를 찾기 위하여 페이스 쉴드의 귀끈(30)을 연결할 때 귀끈홀(11)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턱 받침부(20)는 안면부(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면부(10)의 하단에서 착용자의 턱 부분을 향해 휘어져서 착용자의 턱 부분을 지지한다.
이러한 턱 받침부(20)는 중앙 받침편(21)과, 상기 중앙 받침편(21)의 양쪽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제1측방 받침편(22)과, 상기 중앙 받침편(21)의 양쪽 중 나머지 한쪽에 형성되는 제2측방 받침편(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 받침편(21)은 페이스 쉴드 착용자의 안면쪽과 안면 바깥쪽으로 자유롭게 휘어짐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측방 받침편(22)은 중앙 받침편(21)의 좌측에 형성되어 중앙 받침편(21)과는 별개로 페이스 쉴드 착용자의 안면쪽과 안면 바깥쪽으로 자유롭게 휘어짐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측방 받침편(22)에는 절개선(22a)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측방 받침편(23)은 중앙 받침편(21)의 우측에 형성되어 중앙 받침편(21)과는 별개로 페이스 쉴드 착용자의 안면쪽과 안면 바깥쪽으로 자유롭게 휘어짐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2측방 받침편(23)에는 절개선(22a)에 끼워지는 후크(23a)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23a)는 경사지게 형성된 절개선(22a)에 잘 끼워질 수 있도록 제2측방 받침편(23)의 안쪽 가장자리에 비스듬하게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좀 더 부연하면, 후크(23a)를 절개선(22a)에 끼울 때 중앙 받침편(21)은 착용자의 턱쪽을 향해 부드럽게 휘어지고, 제1측방 받침편(22)과 제2측방 받침편(23)은 착용자의 턱 쪽으로 비스듬하게 휘어지면서 중앙 받침편(21)의 후방쪽에서 중앙 받침편(21)과 가까운 하부 안쪽 부분이 서로 겹쳐진다.
따라서, 절개선(22a)에 후크(23a)를 끼우면 착용자의 입 부분을 커버하는 페이스 쉴드의 해당 부분이 앞쪽으로 돌출되는 입체적 형상을 취하게 되고 안면부(10)가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면 형상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로써 착용자가 페이스 쉴드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입술이 페이스 쉴드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받침편(21)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하나의 절첩선(21a)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절첩선(21a)을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 절첩선(21a)을 따라 중앙 받침편(21)을 절곡시키면 안면부(10)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중앙 받침편(21)의 끝부분이 착용자의 턱 부분에 탄성 지지된다.
이렇게 하면 착용자의 턱에 접촉되는 페이스 쉴드의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코와 입을 포함한 안면 부분과 페이스 쉴드의 내측면 간에 일정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안면부(10)의 중앙 하부, 좀 더 자세히는 착용자의 입이나 입 아랫부분을 커버하는 안면부(10)의 해당 부분에는 다수의 제1통기홀(13)이 형성된다.
더불어, 중앙 받침편(21)에는 다수의 제2통기홀(21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가공의 편의성을 위해 제2통기홀(21b)은 제1통기홀(13)보다 그 직경을 크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1통기홀(13)과 제2통기홀(21b)을 형성시킴으로써 페이스 쉴드 착용자가 말을 할 때 발생되는 수증기나 기타 날숨이 페이스 쉴드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어 페이스 쉴드의 내측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통기홀(13)과 제2통기홀(21b)을 통해 페이스 쉴드의 내측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습기가 차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안면부(10)와 턱 받침부(20)의 안쪽면에 안티 포깅(Anti-fogging) 처리를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안면부(10)와 턱 받침부(20)의 바깥쪽면에 안티 핑거프린트(Anti-finger print) 처리를 하여 페이스 쉴드의 바깥면이 착용자의 지문에 의해 쉽게 더럽혀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턱 받침부(20)의 폭을 안면부(10)의 폭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페이스 쉴드가 피부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안면부(10)는 착용자의 입 부분과 코 부분을 완벽하게 커버하여 비말이 입과 코를 통해 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안면부(10)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턱 받침부(20)는 입이나 코를 커버하지 않고 입 아래쪽과 양 귀 아래쪽의 턱 라인 부분을 커버하기 때문에 그 크기를 줄이는데 여유가 있다. 따라서 중앙 받침편(21)과 제1측방 받침편(22) 및 제2측방 받침편(23) 각각의 폭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시키면서 동시에 턱 받침부(20) 전체의 폭(L1)을 안면부(10) 폭(L2)의 1/2 ~ 1/3 사이로 형성시켜도, 착용자의 코와 입 부분은 외부와 차단하면서 착용자의 턱 부분과 턱 받침부(20)가 접촉되는 것은 최소화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안면부 11: 귀끈홀
12: 끈끼움 절개선 12a: 원형홀
13: 제1통기홀 20: 턱 받침부
21: 중앙 받침편 21a: 절첩선
21b: 제2통기홀 22: 제1측방 받침편
22a: 절개선 23: 제2측방 받침편
23a: 후크 30: 귀끈
M: 마스크 M1: 마스크 귀끈

Claims (8)

  1. 착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귀끈홀(11)이 형성된 안면부(10)와, 상기 안면부(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 받침부(20)와, 상기 안면부(10)의 귀끈홀(11)에 연결되는 귀끈(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턱 받침부(20)는 중앙 받침편(21)과;
    상기 중앙 받침편(21)의 양쪽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고, 절개선(22a)이 형성된 제1측방 받침편(22)과;
    상기 중앙 받침편(21)의 양쪽 중 나머지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22a)에 끼워지는 후크(23a)가 형성된 제2측방 받침편(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받침편(21)에는 절첩선(21a)이 형성되어, 중앙 받침편(21)의 끝부분이 착용자의 턱 부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귀끈홀(11)의 바깥쪽에는 마스크(M)에 구비된 마스크 귀끈(M1)을 끼우는 끈끼움 절개선(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10)의 중앙 하부에는 다수의 제1통기홀(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쉴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받침편(21)에는 다수의 제2통기홀(2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쉴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통기홀(21b)은 상기 제1통기홀(13)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쉴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턱 받침부(20)의 폭은 상기 안면부(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쉴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귀끈홀(11)은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쉴드.
KR1020200060762A 2020-05-21 2020-05-21 페이스 쉴드 KR102126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62A KR102126029B1 (ko) 2020-05-21 2020-05-21 페이스 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62A KR102126029B1 (ko) 2020-05-21 2020-05-21 페이스 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029B1 true KR102126029B1 (ko) 2020-06-23

Family

ID=7113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762A KR102126029B1 (ko) 2020-05-21 2020-05-21 페이스 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02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0425A (ja) * 2020-07-27 2020-11-05 有限会社ウマキタック工芸 マウスシールド
KR102302914B1 (ko) * 2020-07-06 2021-09-15 서성근 비말 방지용 투명 마스크
WO2022019465A1 (ko) * 2020-07-20 2022-01-27 방기태 웨어러블 마스크
JP2022023752A (ja) * 2020-07-27 2022-02-08 有限会社オフィストゥリトネス マスク
KR20220016343A (ko) 2020-07-30 2022-02-09 하춘광 비말 흡입정화장치
KR102361836B1 (ko) * 2021-03-03 2022-02-14 에스엠이노베이션(주) 안경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장치
KR20220040034A (ko) 2020-09-23 2022-03-30 송한용 내열성이 우수한 일회용 밀폐 보안경
KR20220000750U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제이와이에스앤텍 위생 마스크
KR20220065171A (ko) 2020-11-13 2022-05-20 장대규 페이스 쉴드
KR102416629B1 (ko) * 2021-08-09 2022-07-05 송규만 마스크용 비말차단 스크린
KR20220117652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스포컴 비말차단용 쉴드
KR200495838Y1 (ko) * 2020-12-15 2022-10-06 서성근 비말 방지용 투명 마스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801Y1 (ko) 2001-03-26 2001-10-10 주식회사오토스광학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JP2007229279A (ja) * 2006-03-02 2007-09-13 Tetsuo Miyaji 呼気飛散防止マスク
KR101029717B1 (ko) * 2010-12-06 2011-04-18 주식회사 케이메이트 위생 마스크
US20130019879A1 (en) * 2011-07-21 2013-01-24 Sun Spark Enterprise Co., Ltd. Mask with chin support
EP2989914A1 (en) * 2014-08-26 2016-03-02 Shiu-Ni Lee Mouth mas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801Y1 (ko) 2001-03-26 2001-10-10 주식회사오토스광학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JP2007229279A (ja) * 2006-03-02 2007-09-13 Tetsuo Miyaji 呼気飛散防止マスク
KR101029717B1 (ko) * 2010-12-06 2011-04-18 주식회사 케이메이트 위생 마스크
US20130019879A1 (en) * 2011-07-21 2013-01-24 Sun Spark Enterprise Co., Ltd. Mask with chin support
EP2989914A1 (en) * 2014-08-26 2016-03-02 Shiu-Ni Lee Mouth mas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00309MW073620684050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914B1 (ko) * 2020-07-06 2021-09-15 서성근 비말 방지용 투명 마스크
WO2022019465A1 (ko) * 2020-07-20 2022-01-27 방기태 웨어러블 마스크
JP2020180425A (ja) * 2020-07-27 2020-11-05 有限会社ウマキタック工芸 マウスシールド
JP2022023752A (ja) * 2020-07-27 2022-02-08 有限会社オフィストゥリトネス マスク
KR20220016343A (ko) 2020-07-30 2022-02-09 하춘광 비말 흡입정화장치
KR20220040034A (ko) 2020-09-23 2022-03-30 송한용 내열성이 우수한 일회용 밀폐 보안경
KR20220000750U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제이와이에스앤텍 위생 마스크
KR200496761Y1 (ko) 2020-09-24 2023-04-18 주식회사 제이와이에스앤텍 위생 마스크
KR20220065171A (ko) 2020-11-13 2022-05-20 장대규 페이스 쉴드
KR200495838Y1 (ko) * 2020-12-15 2022-10-06 서성근 비말 방지용 투명 마스크
KR20220117652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스포컴 비말차단용 쉴드
KR102361836B1 (ko) * 2021-03-03 2022-02-14 에스엠이노베이션(주) 안경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장치
KR102416629B1 (ko) * 2021-08-09 2022-07-05 송규만 마스크용 비말차단 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029B1 (ko) 페이스 쉴드
KR101134604B1 (ko) 개선된 얼굴 마스크
US5099525A (en) Face protecting mask intended to be used in general medicine and more particularly in surgery
US20140026284A1 (en) Swimmer's headband
US20110197898A1 (en) Spit prevention mask
US20230090701A1 (en) Wearable face mask
KR20160024766A (ko) 마스크
JP2014088650A (ja) 紫外線防止用フェイスマスク
KR101418787B1 (ko)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JP3228348U (ja) マスク型シールド
JP3010049U (ja) クッキング用マスク
JP3229873U (ja) マスク
JP3233169U (ja) 衛生マスク用サポート部材
KR20190001915U (ko) 방한마스크
TWI702974B (zh) 口鼻遮罩
KR102287724B1 (ko) 안경의 렌즈 김서림 방지 가드
JP5022011B2 (ja) 歯科用シート
JP3159668U (ja) 飛沫噴出を防ぐマスク
KR20180010898A (ko) 안경 김서림방지용 방한마스크
KR20090002495U (ko) 위장용 마스크
JP3231821U (ja) フェイスシールド用フレーム及びフェイスシールド
KR102209436B1 (ko) 안면보호 및 자외선 차단용 모자
JP3228426U (ja) 顔面保護シールド
JP3231541U (ja) 簡易組立フェイスシールド
JP2006320352A (ja) 美顔用保湿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