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387A -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387A
KR20210157387A KR1020217012480A KR20217012480A KR20210157387A KR 20210157387 A KR20210157387 A KR 20210157387A KR 1020217012480 A KR1020217012480 A KR 1020217012480A KR 20217012480 A KR20217012480 A KR 20217012480A KR 20210157387 A KR20210157387 A KR 20210157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panel
display area
protective lay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황
Original Assignee
우한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544644.2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724683B/zh
Application filed by 우한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우한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57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듈층 및 보호층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보호층의 강도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보호층의 강도보다 크며, 아울러 비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보강층이 더 설치되어, 보강층을 통해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보호층을 효과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함몰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과 품질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의 품질 및 성능은 모두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응용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은 현재 고유한 플렉시블 및 폴더블 성능으로 인해 사용자들로부터 선호되고 있으며, 갈수록 더 많은 접이형 플렉시블 패널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플렉시블 패널의 폴딩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설계시, 흔히 비교적 유연한 기능성 디스플레이 재료를 적용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제조된 디스플레이 필름층과 보호 필름층이 모두 유연하므로, 사용 과정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 또는 폴딩하여 사용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과 비 지지 영역, 또는 터치력 및 굽힘력이 너무 큰 경우 붕괴 또는 함몰되는 상황이 발생되기 쉬워, 플렉시블 화면이 손상되고 사용자의 경험이 저하된다. 동시에, 벤딩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잘 벤딩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나아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요약하면, 종래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과 비 지지 영역에서, 누르거나 조작시 함몰 또는 붕괴되는 상황이 발생되기 쉽고, 나아가 플렉시블 패널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며, 심지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손상시키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종합적인 성능 향상에 불리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과 비 지지 영역에서, 터치하거나 조작시, 플렉시블 화면이 함몰 또는 붕괴되는 상황이 발생되기 쉽고, 또한 잘 벤딩되지 않으며, 나아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영향을 받거나 심지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기와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주변에 설치되는 비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듈층; 및
상기 모듈층 상에 설치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되,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의 강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의 강도보다 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보강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층은 상기 모듈층에 근접하는 상기 보호층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층에 대응하는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는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층은 상기 오목홈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층과 접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층은 상기 보호층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층에 대응하는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보강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설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직선 영역과 벤딩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직선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벤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강층에는 패턴화 구조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화 구조의 평면 형상은 스루홀, 사각형, 마름모 형상, 타원형 또는 이들의 조합 형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화 구조는 불연속적인 그리드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듈층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편광필름층, 절연층, 디스플레이 소자층 및 백플레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주변에 설치되는 비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듈층; 및
상기 모듈층 상에 설치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되,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의 강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의 강도보다 큰,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보강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층은 상기 모듈층에 근접하는 상기 보호층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강층은 상기 보호층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층에 대응하는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층에 대응하는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는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층은 상기 오목홈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층과 접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보강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설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직선 영역과 벤딩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직선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벤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강층에는 패턴화 구조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화 구조의 평면 형상은 스루홀, 사각형, 마름모 형상, 타원형 또는 이들의 조합 형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화 구조는 불연속적인 그리드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듈층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편광필름층, 절연층, 디스플레이 소자층 및 백플레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주변에 설치되는 비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듈층; 및
상기 모듈층 상에 설치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되,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의 강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의 강도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가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보강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층은 상기 모듈층에 근접하는 상기 보호층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강층은 상기 보호층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층에 대응하는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층에 대응하는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는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층은 상기 오목홈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층과 접합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기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패널,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유연하고 벤딩 또는 폴딩이 가능한 필름층이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 프레임에 플렉시블 화면을 지지하는 필름층이 없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 프레임의 비 디스플레이 영역에 보강층을 설치하되, 구체적으로, 보호층의 에지에 대응하는 비 디스플레이 영역에 보강층을 설치하여, 해당 영역 내에 대응하는 보호층의 강도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강도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해당 영역 내 보호층의 강도를 강화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 조작시, 플렉시블 필름층이 쉽게 붕괴 및 함몰되는 등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층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층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구조 모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강층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또 다른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플렉시블 패널의 일부 필름층의 모식도 및 A-A 방향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플렉시블 패널의 다른 일부 필름층의 모식도 및 B-B 방향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상황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보강층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보강층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보강층의 패턴화 형상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보강층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층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베이스 기판(100), 모듈층(101) 및 보호층(102)을 포함하되, 모듈층(101)은 베이스 기판(100) 상에 설치되고, 보호층(102)은 모듈층(101) 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104) 및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을 더 포함하되, 디스플레이 영역(104)은 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4)을 에워싸고 설치된다. 현재 디스플레이 기기는 프레임리스를 완전히 구현할 수 없으므로,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은 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 영역, 즉 디스플레이 패널에 근접하는 주변 프레임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가능한 한 전체 화면 디스플레이 패널(full display panel)을 구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듈층은 주로 디스플레이 영역(104)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설치되는 반면,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는 해당 모듈층이 설치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경우, 터치 패널에 있어서,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이 터치되면, 보호층(102) 아래에는 지지하는 필름층이 없어, 처지거나 붕괴되는 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체험감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102)의 강도는 디스플레이 영역(104)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102)의 강도보다 크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104)에 대해 터치 조작을 수행할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104) 내 모듈층(101)의 지지로 인해 터치 조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에 대해 터치 조작을 수행할 경우,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의 재료 강도가 크므로, 터치 조작의 작용력이 부족하여 보호층(103)이 처지도록 하기에 불충분하여,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 내의 보호층(102)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층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a의 필름층의 구조 모식도와 결합하여 참조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층(101)과 보호층(102)의 측변은 단차가 없도록 동일 평면에 정렬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은 에지 영역(105) 및 에지 영역(105)에 인접한 비 에지 영역(106)을 포함한다. 에지 영역(105)에 대응하는 필름층을 강화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이 터치되거나 벤딩될 경우 함몰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에지 영역(105)에 대응하는 필름층에 보강층 구조를 설치하여 화면의 함몰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계 구조는 전체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 및 프레임의 폭과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슬림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계를 구현하고, 사용자 경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구조 모식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듈층(200), 보강층(202) 및 보호층(201)을 포함하되, 보강층(202)은 상기 모듈층(200)에 근접하는 상기 보호층(201)의 일측에 설치되는바, 즉 보강층(202)은 보호층(201)과 모듈층(200)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보강층(202)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 내에 설치된다.
설치시, 보강층(202)의 일부는 모듈층(200) 및 보호층(201)과 대응되게 접합될 수 있고, 보강층(202)의 다른 일부는 모듈층(200) 밖으로 연장되어 보호층(201)과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 내의 보호층(201)을 터치할 경우, 설치된 보강층(202)이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 내의 보호층(201)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해당 영역 내 보호층(201)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보호층(201)의 처짐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품질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보강층(202)이 주로 지지 역할을 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강층(202)과 모듈층(200) 사이의 접촉 면적은 보강층(202)이 모듈층(200) 밖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설치시, 보강층(202)과 모듈층(200) 사이의 접촉 영역의 면적은 보강층(202)이 모듈층(200) 밖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면적과 동일하다.
나아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강층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층(202) 설치시,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에 대응하는 보호층(201)에 오목홈 또는 단차(203) 구조를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오목홈 또는 단차(203) 구조는 링 형상으로 상기 보호층(201)의 경계층을 에워싸고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보강층(202)을 상기 단차(203) 또는 오목홈 내에 삽입하여 보강층(202)과 보호층(201)을 접합시킨다. 이에 따라, 보호층(201)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 내 보호층(201)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슬림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계를 구현한다. 아울러, 보호층(201) 전체 두께의 균일성 또한 효과적으로 보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가 효과적으로 감소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품질 및 신뢰성 요구사항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층(202)과 보호층(201) 사이에 접착층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해당 접착층은 글루층 또는 잉크층일 수 있으며, 상기 글루층 또는 잉크층을 통해 보강층(202)과 보호층(201)을 함께 접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강층(202)은 고강도 재료일 수 있으며, 상기 보강층(202) 제조시, 이는 보호층(201)과 결합되기 전에 액체 페인트일 수 있는데, 상기 페인트를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에 대응하는 보호층(201) 영역 내에 코팅하고, 분사시,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에 대응하는 보호층(201)을 에워싸고 완전히 코팅하거나 간격을 두고 코팅한다. 코팅이 완료된 후, 경화시키고, 최종적으로 보강층(202)을 형성한다. 최종 형성 후, 보강층(20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um ~ 300um이다.
바람직하게는, 보강층(202)의 재료는 고강도 금속 또는 합금 또는 고분자 폴리머 페인트 또는 상기 재료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금속 재료는 몰리브덴, 니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층(200)은 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소자층, 디스플레이층 및 기타 필름층이다. 보호층(201)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일 수 있고, 통상적인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사파이어와 같은 투명 재료일 수도 있다. 보호층(201)은 주로 나머지 필름층을 보호하고 밀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한 보강층(202)과 보호층(201) 사이에 잉크층을 설치할 수 있고, 아울러, 잉크층을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설치하되, 잉크층의 재료는 통상적인 액체 잉크 또는 잉크 페이퍼일 수 있다. 잉크 페이퍼를 사용하는 경우, 잉크 페이퍼를 보강층(202) 상에 접합한 후, 보호층(201)과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비 디스플레이 영역(103) 내의 보호층(201)을 지지하되, 여기서, 잉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um ~ 30um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또 다른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은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중간 프레임(300), 백플레이트층(301), 제1 패시베이션층(302), 디스플레이층(303), 제2 패시베이션층(304), 편광필름층(305), 제3 패시베이션층(306), 보강층(307) 및 보호층(308)을 포함한다. 보강층(307)은 주로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설치되므로, 디스플레이 영역 내 각 필름층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보호층(308)을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생산 비용이 낮아, 양산에 유리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플렉시블 패널의 일부 필름층의 모식도 및 A-A 방향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406) 및 디스플레이 영역의 주변에 설치된 비 디스플레이 영역(405)을 포함한다. 도 2a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보호층(401), 잉크층(402) 및 보강층(40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벤딩 영역(404) 및 벤딩 영역(404)에 인접한 직선 영역을 포함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벤딩될 경우, 벤딩은 주로 벤딩 영역(404) 내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비 디스플레이 영역(405)에 대응하는 벤딩 영역(404) 내의 구조를 설치할 경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보강층(403)을 패턴화 처리하여, 이에 대응하는 보강층(403)을 패턴화 구조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턴화 구조는 예를 들어, 천공 구조, 그리드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는바, 즉 해당 영역 내에서 보강층(403)을 그리드화하여, 그리드화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그리드 구조는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설치된 그리드 구조일 수 있으며, 그리드 구조가 불연속적인 구조로 설치되는 경우, 보강층(403)은 솔리드와 그리드가 교차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솔리드 구조는 필름층에 대한 고정 지지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강층(403)의 벤딩 성능을 보장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구체적인 구조는 보강층(403) 및 벤딩 영역(404)의 실제 상황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이 벤딩되는 경우, 벤딩 영역(404)의 벤딩이 보다 용이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플렉시블 패널의 일부 필름층의 모식도 및 B-B 방향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영역(504)에는 간격을 두고 분포된 복수의 패턴화 구조(505)가 설치되므로, 패턴화 구조(505)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보다 용이하게 벤딩되도록 보강층(503)에 대응하는 벤딩 영역(504)에 등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보강층(503) 상에는 잉크층(502)이 설치되고, 잉크층(502) 상에는 보호층(501)이 설치되며, 보호층(501)과 잉크층(502)은 보강층(503)의 벤딩에 따라 벤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벤딩 영역(504) 내에서, 비 천공 보강층(503)은 보강층(503) 상의 보호층(501)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 디스플레이 영역이 터치될 경우, 함몰 또는 붕괴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벤딩 영역(504) 내에는 또한 패턴화 구조(505)가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벤딩할 경우, 패턴화 구조(505)가 해당 영역 내 보강층(503)의 강성을 증가시켜, 해당 영역 내의 보강층(503)이 보다 용이하게 벤딩되게 하므로, 보강층(503)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보강층(503)이 벤딩되는 과정에서 파단되는 등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패턴화 구조(505)는 모두 직사각형 패턴일 수 있는데, 직사각형 패턴을 설치할 경우, 벤딩 영역(504)에 근접하는 양측 직사각형 패턴의 폭은 벤딩 영역(504)의 중앙 영역 내에 위치하는 패턴화 구조의 패턴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패턴화 구조 사이의 간격은 벤딩 영역(504)의 양측에서 벤딩 영역(504)의 중앙 영역을 따라 점차 감소된다. 벤딩 영역(504) 중앙의 패턴이 조밀한 경우, 대응되는 영역 내의 보강층(503)의 강성 및 벤딩성이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상황의 모식도이다. 도 5를 결합하여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벤딩 영역(504)의 벤딩 변형 상황이 도 6에 대응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외력의 작용하에,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모듈층(600), 보강층(601) 및 보호층(602)은 힘의 작용에 의해 벤딩된다. 보강층(601)에 패턴화 구조(603)가 설치되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보다 용이하게 벤딩되고, 아울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층(602)을 터치하는 경우, 보강층(601)은 해당 영역을 지지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벤딩 영역 내의 보강층을 패턴화 설계시, 패턴화 구조의 패턴은 다른 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보강층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층(700)의 벤딩 영역 내에는 직사각형 패턴(701)과 같은 패턴화 구조가 설치되고, 직사각형 패턴은 보강층(700)의 폭 방향 양측변에 설치되며, 중앙 영역에는 직사각형 패턴이 설치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설치시, 패턴화 구조의 길이 방향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방향은 서로 수직이거나 평행일 수 있고, 설계시, 서로 수직인 수단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패널을 벤딩할 경우, 벤딩 영역 내의 응력이 감소되어, 변형이 보다 용이하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적의 벤딩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실제 필요에 따라 패턴화 구조의 길이 방향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방향은 일정한 경사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보강층의 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의 패턴 형상을 결합하여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패턴화 구조(801)는 보강층(800)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복수 행으로 설치되고, 복수 행 패턴화 구조(801)는 패턴화 밀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패턴화 밀도가 클수록 강성이 높아지고, 벤딩시 보다 용이하게 벤딩되며, 벤딩된 후 보강층(800) 내의 벤딩 응력이 상응하게 감소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보다 안정되며 신뢰성이 더 향상된다.
아울러, 패턴화 구조(801) 설치시, 상기 패턴화 형상을 한번에 성형할 수 있고, 공정이 간단하며, 조작이 용이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보강층의 패턴화 형상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화 형상은 스루홀일 수 있고, 상기 스루홀은 어레이로 설치된 복수의 원형홀일 수 있으며, 복수의 원형홀의 반경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마름모 형상, 타원형과 같이 변형시 쉽게 인장되는 기타 패턴 형상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양한 패턴 형상의 조합일 수도 있는데, 이는 모두 보강층을 보다 용이하게 벤딩되도록 하는 동시에, 보강층의 비 천공 영역이 보호층을 지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보강층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화 구조(111)는 보강층(110)에 등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고, 또한, 패턴화 구조(111)의 길이 방향은 보강층(110)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되며, 패턴화 구조(111)는 보강층(110)의 폭 방향의 중앙 영역 내에 완전히 설치되고, 양 측변에 일부 패턴화 구조(111)가 설치된다. 보강층(110)은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보호층을 지지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강층(110)에는 패턴화 구조(111)가 더 설치되고, 또한 상기 패턴화 구조(111)의 길이가 폭보다 크므로, 외력이 작용하면, 패턴화 구조(111)는 보다 용이하게 미세 변형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보다 용이하게 벤딩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강층(110)에 패턴화 구조(111)를 설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층 두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보다 얇은 중간 프레임과 프레임 설계 및 슬림화 설계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에지 강도가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변형되기 쉬운 문제점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강층의 작용을 통해, 기존 설계에서 비 디스플레이 영역의 프론트 프레임 또는 중간 프레임의 지지 구조를 생략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프론트 프레임이 없는 설계를 구현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필름층의 강도는 디스플레이 영역 필름층의 강도보다 크며, 아울러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는 보강층이 더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 디스플레이 영역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 및 핵심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적 해결수단이 여전히 수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는 해당 기술적 해결수단의 본질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범위를 벗어나도록 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주변에 설치되는 비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듈층; 및
    상기 모듈층 상에 설치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되,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의 강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의 강도보다 크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보강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층은 상기 모듈층에 근접하는 상기 보호층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층에 대응하는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는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층은 상기 오목홈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층과 접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상기 보호층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층에 대응하는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보강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설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직선 영역과 벤딩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직선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벤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강층에는 패턴화 구조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 구조의 평면 형상은 스루홀, 사각형, 마름모 형상, 타원형 또는 이들의 조합 형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 구조는 불연속적인 그리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화 구조의 길이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방향과 수직인, 디스플레이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층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편광필름층, 절연층, 디스플레이 소자층 및 백플레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9.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주변에 설치되는 비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듈층; 및
    상기 모듈층 상에 설치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되,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의 강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의 강도보다 큰,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보강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층은 상기 모듈층에 근접하는 상기 보호층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강층은 상기 보호층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층에 대응하는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에 대응하는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는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층은 상기 오목홈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층과 접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보강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설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직선 영역과 벤딩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직선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벤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강층에는 패턴화 구조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 구조의 평면 형상은 스루홀, 사각형, 마름모 형상, 타원형 또는 이들의 조합 형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 구조는 불연속적인 그리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화 구조의 길이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방향과 수직인, 디스플레이 패널.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층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편광필름층, 절연층, 디스플레이 소자층 및 백플레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8.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주변에 설치되는 비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듈층; 및
    상기 모듈층 상에 설치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되,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의 강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층의 강도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보강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층은 상기 모듈층에 근접하는 상기 보호층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강층은 상기 보호층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층에 대응하는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에 대응하는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는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층은 상기 오목홈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층과 접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217012480A 2020-06-15 2020-07-22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573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44644.2A CN111724683B (zh) 2020-06-15 2020-06-15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02010544644.2 2020-06-15
PCT/CN2020/103558 WO2021253565A1 (zh) 2020-06-15 2020-07-22 显示面板及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387A true KR20210157387A (ko) 2021-12-28

Family

ID=7917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480A KR20210157387A (ko) 2020-06-15 2020-07-22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51594B2 (ko)
EP (1) EP4167215A1 (ko)
JP (1) JP7382109B2 (ko)
KR (1) KR202101573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68706A1 (en) * 2022-05-16 2023-11-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8764A (ja) 2004-08-23 2006-03-02 Fuji Photo Film Co Ltd 面状表示パネル
JP2011108564A (ja) 2009-11-20 2011-06-0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JP2013177253A (ja) 2010-06-30 2013-09-09 Asahi Glass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の前面板用のガラス基板の強度を高める方法
CN103593080B (zh) 2012-08-17 2016-11-23 宸鸿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模块及其制造方法
KR20150017819A (ko) 2013-08-07 2015-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E102014221245A1 (de) * 2014-10-20 2016-04-21 Tesa Se Dünnglasfolienverbundbahn mit Versteifungsstreifen
CN104699299A (zh) 2015-03-05 2015-06-10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显示设备
US9983424B2 (en) 2015-06-08 2018-05-29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CN105116965A (zh) 2015-08-25 2015-12-02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组装方法
KR102550697B1 (ko) * 2015-12-30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299390B2 (en) 2015-12-31 2019-05-21 L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5892154A (zh) 2016-07-01 2016-08-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05977400B (zh) * 2016-07-21 2018-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180062249A (ko)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20180062195A (ko)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CN106710449A (zh) 2016-12-09 2017-05-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11258043B2 (en) 2016-12-09 2022-02-2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2403713B1 (ko) 2017-10-31 2022-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1945985B1 (ko) 2018-06-28 2019-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256295B2 (en) 2018-06-28 2022-02-2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304315B2 (en) 2018-06-28 2022-04-1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208622780U (zh) 2018-08-03 2019-03-1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屏及显示装置
CN109671363B (zh) 2018-12-05 2020-10-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保护盖板以及柔性显示装置
CN110047393A (zh) 2019-04-28 2019-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弯折显示面板的盖板、可弯折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000809A (ko) * 2019-06-25 2021-0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429108B (zh) 2019-07-08 2021-04-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显示装置及制备方法
CN110544431B (zh) 2019-07-25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结构、柔性屏组件及折叠显示终端
CN110428735A (zh) 2019-07-26 2019-11-0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0517588A (zh) 2019-08-29 2019-1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盖板及其制备方法、可折叠显示装置
CN110634404B (zh) 2019-08-30 2021-03-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盖板及柔性显示装置
KR20210042206A (ko) * 2019-10-08 2021-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854295B (zh) 2019-11-21 2022-06-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封装结构、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10101343A (ko) * 2020-02-07 2021-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1357A (ja) 2022-09-26
EP4167215A1 (en) 2023-04-19
US20220130303A1 (en) 2022-04-28
JP7382109B2 (ja) 2023-11-16
US11551594B2 (en)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3363A1 (en) Support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CN109559639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210151697A1 (en) Support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WO2021031074A1 (zh) 柔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US20230154360A1 (en)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11049423B1 (en)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627722B1 (ko) 지지판 및 폴딩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73380A1 (zh) 一种显示装置、保护盖板
CN111312794A (zh) 显示装置
WO2023108750A1 (zh) 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1724683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570772A (zh) 柔性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11816074A (zh) 一种柔性显示屏及显示装置
CN108803154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157387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262049A1 (zh) 支撑基板及显示面板
US20240040713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terminal
WO2022047771A1 (zh) 柔性面板支撑结构、显示装置及柔性模组组装方法
WO2021087649A1 (zh) 触控屏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装置
WO2019184911A1 (zh) 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4609834B (zh) 显示母板、显示面板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CN114360381B (zh) 柔性显示模组及移动终端
CN111103733B (zh) 显示装置
CN212433739U (zh) 触控面板和触控显示屏
WO2021114525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