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070A - 선박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선박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070A
KR20210157070A KR1020200074904A KR20200074904A KR20210157070A KR 20210157070 A KR20210157070 A KR 20210157070A KR 1020200074904 A KR1020200074904 A KR 1020200074904A KR 20200074904 A KR20200074904 A KR 20200074904A KR 20210157070 A KR20210157070 A KR 20210157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afety bar
sliding block
horizontal safety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윤
김영삼
정수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4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7070A/ko
Publication of KR20210157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선박용 작업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는, 선체의 외벽에서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다수의 족장브래킷과,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족장브래킷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바와, 보강바에 지지되며, 작업자의 통행로를 형성하는 족장판과, 족장브래킷에 지지되는 수직형 안전바와 수직형 안전바에 지지되며 수직형 안전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형 안전바를 구비하는 안전바 조립체와, 수평형 안전바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형 안전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자의 통행을 저지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작업대{MOVABLE WORKING PLATFORM FOR A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작업대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추락방지기구의 설치 및 위치이동이 간편한 선박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선박(a ship), 특히 대형 선박은 블록 단위로 제작된 다수의 선체 블록을 용접시켜 선체의 기본 형태를 완성한 다음, 완성된 선체에 각종 제반 설비를 차례대로 설치함으로써 건조된다.
이와 같은 선박의 건조 작업을 위해 다양한 형태 또는 용도의 작업대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선박용 작업대는 형태에 따라 정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고정식 작업대와 일정한 위치를 이동해 가면서 사용되는 이동식 작업대로 나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도 도장용 작업대와 청소용 작업대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종류의 선박용 작업대 중에서 고정식으로 된 선박용 작업대의 경우, 선체 또는 선체 블록에 고정되는 족장브래킷 상에 족장판이 얹혀져 배치되고, 족장판의 주변으로 안전바아가 배치되는 형태를 갖는다.
특히, 족장브래킷 상에 족장판이 얹혀져 배치될 때는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족장판들이 족장브래킷 상에 길게 배치된 상태에서 그 상부로 작업자의 통행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족장판들이 추가로 배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선박용 작업대의 끝부분에는 작업자의 진입을 금지하는 진입 저지부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선반용 작업대에 사용되는 진입 저지부는 족장브래킷과 안전바아에 고정설치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작업이 복잡하고 위치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선반용 작업대의 경우 진입 저지부와 안전바아를 소둔 철사를 이용하여 고정하므로 화기작업에 의한 파단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4512호, (2009.12.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 및 위치이동이 간편한 추락방지기구를 구비하는 선박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외벽에서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다수의 족장브래킷; 상기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기 족장브래킷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바; 상기 보강바에 지지되며, 상기 작업자의 통행로를 형성하는 족장판; 상기 족장브래킷에 지지되는 수직형 안전바와, 상기 수직형 안전바에 지지되며 상기 수직형 안전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형 안전바를 구비하는 안전바 조립체; 및 상기 수평형 안전바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평형 안전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작업자의 통행을 저지하여 상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추락방지유닛은, 상기 수평형 안전바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형 안전바를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블록부;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차단 바아부;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와 상기 차단 바아부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의 상기 차단 바아부에 대한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형 안전바는, 상부 수평 안전바; 및 상기 상부 수평 안전바의 하부 영역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수평 안전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는, 상기 상부 수평 안전바에 지지되는 상부 슬라이딩 블록; 및 상기 하부 수평 안전바에 지지되는 하부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바아부는, 상기 상부 슬라이딩 블록에 결합되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가로 바아; 상기 하부 슬라이딩 블록에 결합되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가로 바아; 및 상기 상부 가로 바아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에 연결되는 세로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관통공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의 내주면과 상기 수평형 안전바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핑용 끼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나사공에 치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형 안전바를 가압하는 스토핑용 가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평형 안전바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형 안전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자의 통행을 저지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추락방지유닛의 설치 및 위치이동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추락방지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상부 수평 안전바와 상부 슬라이딩 블록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족장브래킷과 보강바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하부 족장판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상부 족장판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의 락방지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은 도 8의 상부 수평 안전바와 상부 슬라이딩 블록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추락방지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상부 수평 안전바와 상부 슬라이딩 블록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족장브래킷과 보강바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하부 족장판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상부 족장판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는 도장 작업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선박의 건조 작업을 위해 선체(101)의 외벽에 시공될 수 있는 것으로서, 족장브래킷(110), 보강바(115), 족장판(120a, 120b)과, 그리고 안전바 조립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족장브래킷(110), 보강바(115), 족장판(120a, 120b)은 모두가 다수 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족장판(120a, 120b)은 시공되어 배치되는 위치만이 상이할 뿐 구조는 동일하다.
족장브래킷(110)들은 일단부가 선체(101)의 외벽에 용접되고, 타단부는 선체(101)의 벽면 외측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족장브래킷(110)들은 마치 외팔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족장브래킷(110)들은 선체(101)의 외벽에서 작업자의 통행 방향(A, 도 4 참조)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고정된다.
보강바(115)들은 도 4 및 도 5처럼 작업자의 통행 방향(A)을 따라 족장브래킷(11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후술할 하부 족장판(120a)들을 지지한다.
보강바(115)들이 하부 족장판(120a)의 상단부에 자리 배치될 수 있도록 족장브래킷(110)의 상단부에는 보강바(115)가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자리 배치되는 다수의 자리홈(111)이 형성된다.
족장브래킷(1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자리홈(111)에 자리 배치되는 보강바(115)들은 추후, 도 6처럼 보강바 클램프(116)에 의해 족장브래킷(1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바(115)들이 족장브래킷(110)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일은 없다.
족장판(120a, 120b)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바(115)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보강바(115)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족장판(120a)과, 보강바(115)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하부 족장판(120a)들의 상단부에서 단차 없이 배치되어 작업자의 통행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족장판(120b)을 포함한다.
하부 족장판(120a)들은 도 6럼 보강바(115)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보강바(115)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도 6에는 하부 족장판(120a)들이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으나 하부 족장판(120a)들은 상호간 이격되게 띄엄띄엄 배치될 수도 있다. 하부 족장판(120a)들이 보강바(115) 상에 올려 배치된 이후에는 소둔 철사(W)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족장판(120b)들은 하부 족장판(120a)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구조물로서, 실질적으로 작업자가 밟고 지나는 작업자의 통행로를 이룬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상부 족장판(120b)은 하부 족장판(120a)의 상부에 배치된다는 점만이 상이할 뿐 상부 족장판(120b)은 하부 족장판(120a)과 동일한 구조물일 수 있다.
상부 족장판(120b)은 작업자가 딛고 올라서는 작업용 발판으로서 대부분 강성이 뛰어난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이는 하부 족장판(120a)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상부 족장판(120b)들은 도 7처럼 하부 족장판(120a)들의 상단부에 배치되는데, 이때는 보강바(115)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단차 없이 배치되어 작업자의 통행로를 형성한다. 상부 족장판(120b)들 역시, 소둔 철사(W)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상부 족장판(120b)들을 보강바(115)의 길이 방향, 즉 작업자의 통행 방향(A)과 나란하게 하부 족장판(120a)들의 상단부에 배치하여 고정함으로써, 큰 구조 변경 없이도 종전의 발걸림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이끌어낼 수 있다.
안전바 조립체(130)는 족장브래킷(110)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가 높은 위치에 배치될수록 안전바 조립체(130)의 필요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안전바 조립체(13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족장판(120a, 120b)의 바깥쪽 위치에서 그물 형태로 배치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이러한 안전바 조립체(130)는, 족장브래킷(110)들의 일측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형 안전바(131)와, 수직형 안전바(131)에 교차 배치되는 상부 수평 안전바(132a) 및 하부 수평 안전바(132b)와, 수직형 안전바(131)와 수평형 안전바(132a, 132b)를 연결하는 연결모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형 안전바(131)는 족장브래킷(110)들의 단부에 용접될 수도 있고 아니면 나사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직형 안전바(131)와 수평형 안전바(132a, 132b) 모두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로 적용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은 하나의 예일 뿐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직형 안전바(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수평 안전바(132a) 및 하부 수평 안전바(132b)가 연결모듈(133)에 의해 연결되고 있다.
수직형 안전바(131)와 수평형 안전바(132a, 132b)를 연결하는 연결모듈(133)은 도 1에 확대된 바와 같이, 수평형 안전바(132a, 132b)를 지지하며, 수직형 안전바(131)에 고정되는 모듈 브래킷(133a)과, 모듈 브래킷(133a)에 끼워져 수평형 안전바(132a, 132b)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쐐기핀(133b)을 포함한다. 쐐기핀(133b)은 아래 방향으로 모듈 브래킷(133a)에 끼워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설치는 쉬운 반면 하방으로 잘 빠지지 않는다.
물론, 이와 같은 연결모듈(133)의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의 형상에서 벗어나 연결모듈(133)은 일종의 케이블 타이(cable tie)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직형 안전바(131)와 수평형 안전바(132a, 132b)의 교차지점에 케이블 타이를 묶는 방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추락방지유닛(140)은 수평형 안전바(132a, 132b)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형 안전바(132a, 132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추락방지유닛(140)은 작업자의 통행을 저지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추락방지유닛(140)은 선박용 작업대의 끝단(즉, 족장판(120a, 120b)의 끝단)에 인접한 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추락방지유닛(1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 안전바(132a, 132b)가 관통하는 관통공(H)이 형성되며 수평형 안전바(132a, 132b)를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와,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차단 바아부(142a, 142b, 142c)와,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와 차단 바아부(142a, 142b, 142c)에 연결되며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의 차단 바아부(142a, 142b, 142c)에 대한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14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에는 수평형 안전바(132a, 132b)가 관통하는 관통공(H)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관통공(H)의 내경은 수평형 안전바(132a, 132b)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는, 상부 수평 안전바(132a)에 지지되는 상부 슬라이딩 블록(141a)과, 하부 수평 안전바(132b)에 지지되는 하부 슬라이딩 블록(141b)으로 구성된다.
상부 슬라이딩 블록(141a)과 하부 슬라이딩 블록(141b) 각각은 상부 수평 안전바(132a)와 하부 수평 안전바(132b) 각각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차단 바아부(142a, 142b, 142c)는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에 결합된다. 이러한 차단 바아부(142a, 142b, 142c)는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 바아부(142a, 142b, 142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슬라이딩 블록(141a)에 결합되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가로 바아(142a)와, 하부 슬라이딩 블록(141b)에 결합되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가로 바아(142b)와, 상부 가로 바아(142a)와 하부 가로 바아(142b)에 연결되는 세로 바아(142c)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단 바아부(142a, 142b, 142c)는 작업자의 통행로에 배치되어 작업자의 통행을 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 바아부(142a, 142b, 142c)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 가로 바아(142a) 및 하부 가로 바아(142b)와, 이를 연결하는 세로 바아(142c)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인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스토퍼부(143)는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와 차단 바아부(142a, 142b, 142c)에 연결된다. 이러한 스토퍼부(143)는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의 차단 바아부(142a, 142b, 142c)에 대한 상대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부(143)는, 관통공(H)에 끼워져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의 내주면과 수평형 안전바(132a, 132b)의 외주면에 접촉됨으로써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핑용 끼움부재(143a)와,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에 결합되고 스토핑용 끼움부재(143a)에 결합되는 플렉시블 케이블(K)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토핑용 끼움부재(143a)는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의 내주면과 수평형 안전바(132a, 132b)의 외주면 사이에 억지끼움되는 쐐기부(143b)와, 쐐기부(143b)에 연결되는 손잡이부(143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자의 가압력에 의해 쐐기부(143b)가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의 내주면과 수평형 안전바(132a, 132b)의 외주면 사이에 억지끼움되어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의 차단 바아부(142a, 142b, 142c)에 고정시킨다.
플렉시블 케이블(K)은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에 결합되어 스토핑용 끼움부재(143a)의 분실을 방지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공조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 설명한다.
먼저, 수평형 안전바(132a, 132b)에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를 끼운 후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의 내주면과 수평형 안전바(132a, 132b)의 외주면 사이에 스토핑용 끼움부재(143a)를 끼워 슬라이딩 블록부(141a, 141b)를 고정한다. 이후, 연결모듈(133)을 통해 수평형 안전바(132a, 132b)를 수직형 안전바(131)에 결합한다. 상술한 방식에 의해 추락방지유닛(140)이 간편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박용 작업대는, 수평형 안전바(132a, 132b)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형 안전바(132a, 132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자의 통행을 저지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유닛(140)을 구비함으로써, 추락방지유닛(140)의 설치 및 위치이동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의 추락방지유닛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9은 도 8의 상부 수평 안전바와 상부 슬라이딩 블록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스토퍼부(243)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7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이 있는 스토퍼부(24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블록부(241a, 241b)에는 관통공(H)에 연통되는 나사공(M)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스토퍼부(243)는, 나사공에 치합되며 회전에 의해 수평형 안전바(132a, 132b)를 가압하는 스토핑용 가압볼트(243a)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토퍼부(243)는, 나사공에 치합되며 회전에 의해 수평형 안전바(132a, 132b)를 가압하는 스토핑용 가압볼트(243a)를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 블록부(241a, 241b)가 수평형 안전바(132a, 132b)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 선체 110: 족장브래킷
115: 보강바 120a: 하부 족장판
120b: 상부 족장판 130: 안전바 조립체
131: 수직형 안전바 132a: 상부 수평 안전바
132b: 하부 수평 안전바 140: 추락방지유닛
141a, 241a: 상부 슬라이딩 블록 141b, 241b: 하부 슬라이딩 블록
142a: 상부 가로 바아 142b: 하부 가로 바아
142c: 세로 바아 143, 243: 스토퍼부
143a: 스토핑용 끼움부재 243a: 스토핑용 가압볼트

Claims (6)

  1. 선체의 외벽에서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다수의 족장브래킷;
    상기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기 족장브래킷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바;
    상기 보강바에 지지되며, 상기 작업자의 통행로를 형성하는 족장판;
    상기 족장브래킷에 지지되는 수직형 안전바와, 상기 수직형 안전바에 지지되며 상기 수직형 안전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형 안전바를 구비하는 안전바 조립체; 및
    상기 수평형 안전바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평형 안전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작업자의 통행을 저지하여 상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유닛은,
    상기 수평형 안전바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형 안전바를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블록부;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차단 바아부;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와 상기 차단 바아부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의 상기 차단 바아부에 대한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형 안전바는,
    상부 수평 안전바; 및
    상기 상부 수평 안전바의 하부 영역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수평 안전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는,
    상기 상부 수평 안전바에 지지되는 상부 슬라이딩 블록; 및
    상기 하부 수평 안전바에 지지되는 하부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바아부는,
    상기 상부 슬라이딩 블록에 결합되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가로 바아;
    상기 하부 슬라이딩 블록에 결합되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가로 바아; 및
    상기 상부 가로 바아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에 연결되는 세로 바아를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관통공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의 내주면과 상기 수평형 안전바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핑용 끼움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나사공에 치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형 안전바를 가압하는 스토핑용 가압볼트를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KR1020200074904A 2020-06-19 2020-06-19 선박용 작업대 KR20210157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904A KR20210157070A (ko) 2020-06-19 2020-06-19 선박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904A KR20210157070A (ko) 2020-06-19 2020-06-19 선박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070A true KR20210157070A (ko) 2021-12-28

Family

ID=7917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904A KR20210157070A (ko) 2020-06-19 2020-06-19 선박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70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0271A (zh) * 2022-08-11 2022-10-04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轮船安装玻璃专用挂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512A (ko) 2008-05-30 2009-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512A (ko) 2008-05-30 2009-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0271A (zh) * 2022-08-11 2022-10-04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轮船安装玻璃专用挂笼
CN115140271B (zh) * 2022-08-11 2023-12-2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轮船安装玻璃专用挂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403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JP5438006B2 (ja) 特に加工応力に対抗する荷重受け構造を有する曲げマンドレルを備えたパイプ曲げ装置
KR20210157070A (ko) 선박용 작업대
KR100758346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JP3881649B2 (ja) 親綱支柱
KR20090099182A (ko)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KR20180059116A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JP6520533B2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KR101105895B1 (ko) 족장발판용 엣지훅
JP2016044525A (ja) 手摺支柱装置および連結具
JP2020180507A (ja) スタンション
KR200481467Y1 (ko)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
KR102543514B1 (ko) 선박용 비상 탈출 장치
KR20090006716U (ko)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장치
KR101864270B1 (ko) 발판 구조물
KR200419382Y1 (ko)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KR200480447Y1 (ko) 연결강화형 작업발판
JPH08184179A (ja) 吊り足場における側面防護壁組立て工法とそれに使用される吊り足場用側面防護パネル
KR20010001357U (ko) 승강기 안전 작업난간대
WO2015190176A1 (ja) 橋梁補修用吊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980009703A (ko) 고정홈틀 및 고정홈에 거치되는 접이식 작업대
JP6259641B2 (ja) 仮設足場用手摺り
KR101224917B1 (ko) 족장 지그
JPH11193627A (ja) 足場板
KR101750791B1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