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384A -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 Google Patents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384A
KR20210156384A KR1020200073727A KR20200073727A KR20210156384A KR 20210156384 A KR20210156384 A KR 20210156384A KR 1020200073727 A KR1020200073727 A KR 1020200073727A KR 20200073727 A KR20200073727 A KR 20200073727A KR 20210156384 A KR20210156384 A KR 20210156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hull
upright
support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3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6384A/ko
Publication of KR20210156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연료탱크 핸들링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는 연료탱크가 수납 가능하게 선체 상에 마련되는 수용부, 연료탱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 브래킷을 회전시켜 연료탱크를 선체 상에 직립시키거나 수용부에 수납시키는 구동부 및 직립된 연료탱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직립된 연료탱크의 전방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장치와, 직립된 연료탱크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장치를 포함하며, 제1 지지장치는 직립된 연료탱크의 전방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선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HANDLING DEVICE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 핸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연료탱크의 용이한 취급을 도모할 수 있는 연료탱크 핸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선박의 추진 동력원으로서 열효율과 내구성이 높은 디젤 엔진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대형 선박에 적용되는 디젤 엔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관심사로 대두됨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동력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LNG 또는 LPG 등의 액화가스를 연료가스로 사용하는 가스연료 선박이 대중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연료 선박은 연료가스가 저장된 연료탱크를 선미 측 데크 상에 설치하여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 선박이나 LNG 캐리어 등의 대형 선박이 장거리 수송을 수행하기 위해 연료탱크의 크기 역시 대형화될 필요가 있으며, 큰 연료탱크를 데크의 상측에 설치하여 운용할 경우 선체의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눕혀진 상태로 설치되는 연료탱크의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크레인과의 체결부위가 확대되어 크레인의 접근 및 운용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8118호(2019. 05. 29. 공개)
본 실시 예는 선체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탱크 핸들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연료탱크의 운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탱크 핸들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연료탱크의 용이한 취급을 도모할 수 있는 연료탱크 핸들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연료탱크의 벙커링 및 교체 등의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는 연료탱크 핸들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료탱크가 수납 가능하게 선체 상에 마련되는 수용부, 상기 연료탱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을 회전시켜 상기 연료탱크를 선체 상에 직립시키거나 상기 수용부에 수납시키는 구동부 및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의 전방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장치와,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장치는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의 전방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선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장치는 휠을 구비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에 마련되는 제1 지지프레임과,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의 전방부와 상기 제1 지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댐핑부재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장치는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의 후방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선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장치는 선체 상에 힌지 연결되는 제2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장치는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의 후방부와 상기 제2 지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댐핑부재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료탱크의 반경방향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되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선체의 데크 상에서 선미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장치는 선체의 선미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선체 상에 고정 설치되는 크레인과, 일단이 상기 연료탱크에 체결되되 타단은 상기 크레인에 의해 견인 가능하게 마련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는 선체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는 연료탱크의 운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는 연료탱크의 벙커링 및 교체 등의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는 연료탱크의 용이한 취급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에 연료탱크가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를 나타내는 측방향 단면도로서, 연료탱크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에 의해 연료탱크가 직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를 나타내는 측방향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선박에 연료탱크가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선박의 연료가스인 LNG 또는 LPG 등의 액화가스는 연료탱크(10)에 저장되며, 연료탱크(10)는 눕혀진 상태로 선미 측 데크의 상측에 설치 및 운용된다. 이와 같이, 연료탱크(10)는 데크 상에서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게 되므로 선체(1)의 공간 활용도가 매우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100)는 연료탱크(10)를 선체(1)에 수납 및 직립시킴으로써 선체(1)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연료탱크(10)의 벙커링이나 교체 등의 취급을 원활하게 도모하도록 마련된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100)를 나타내는 측방향 단면도로서, 도 3은 연료탱크(10)가 수납된 상태, 도 4는 연료탱크(10)가 직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100)는 연료탱크(10)가 수납 가능하게 마련되는 수용부(110), 연료탱크(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120), 브래킷(120)에 연결되어 브래킷(120)으로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 직립된 연료탱크(10)를 지지하는 지지부(140)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100)는 선체(1)에 탑재되는 연료탱크(10)의 수에 따라 선박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연료탱크(10)는 내부에 LNG 또는 LPG 등 극저온의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수용 및 저장하고, 선박의 엔진 등 동력원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연료탱크(10)는 가압식 저장탱크(C-Type 탱크)로 마련될 수 있으나, 해당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박 등의 부유식 구조물에 마련되어 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용부(110)는 선체(1)의 데크 상에 함몰 형성되어 내측에 연료탱크(10)를 수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수용부(110)는 데크 상에서 선미 측에 근접한 위치에 내부가 빈 육면체 공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구동부(130)에 의해 연료탱크(10)가 수용부(1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판(미도시)에 의해 덮여짐으로써 데크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구동부(130)에 의해 연료탱크(10)가 데크 상에 직립된 상태에서는 선박 운용에 필요한 각종 물자나 설비 또는 화물 등을 수용함으로써 선박의 적재 공간의 확대될 수 있다.
브래킷(120)은 연료탱크(10)의 일측, 구체적으로 연료탱크(10)의 후방부(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좌측부)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브래킷(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한 쌍이 마련되되, 각 브래킷(120)의 일측은 연료탱크(10)에 고정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구동부(130)의 구동축(132)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브래킷(120)은 연료탱크(10)와 후술하는 구동부(130) 사이에 마련되어, 구동부(13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연료탱크(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면 그 형상 및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브래킷(120)에 연결되어 브래킷(120) 및 이와 고정되는 연료탱크(10)를 회전시킴으로써, 연료탱크(10)를 선체(1) 또는 데크 상에 직립시키거나, 수용부(110)에 수납시키도록 마련된다.
구동부(130)는 연료탱크(10)의 반경방향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어 배치되되, 브래킷(120)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축(132)과, 구동축(132)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31)의 작동 방향에 따라 연료탱크(10)의 직립 또는 수납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131)가 일 방향으로 작동 및 회전함에 따라 이에 연결되는 구동축(132) 역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브래킷(120) 및 이에 고정되는 연료탱크(10)가 선체(1) 또는 데크 상에 직립될 수 있으며, 반대로 구동모터(131)가 타 방향으로 작동 및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132)도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브래킷(120) 및 연료탱크(10)가 수용부(110)에 수납될 수 있다.
지지부(140)는 구동부(130)에 의해 직립된 연료탱크(10)를 지지하여 연료탱크(10)의 전복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지지부(140)는 직립된 연료탱크(10)의 전방부(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우측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장치(141)와, 직립된 연료탱크(10)의 후방부(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좌측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장치(146)를 포함한다.
제1 지지장치(141)는 직립된 연료탱크(10)의 지지를 위해 전방부로 접근하거나, 연료탱크(10)의 원활한 수납을 위해 연료탱크(10)로부터 이격 가능하도록 선체(1)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장치(141)는 휠(142a)을 구비하는 이동대차(142)와, 이동대차(142)에 마련되는 제1 지지프레임(143)과, 제1 지지프레임(143) 상에서 직립된 연료탱크(10)의 전방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마련되는 제1 댐핑부재(144)와, 휠(142a)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45)과, 휠(142a)을 구동하는 제1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대차(142)는 복수의 휠(142a)을 구비하여 선체(1) 또는 데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동대차(142)에는 제1 지지프레임(143) 및 제1 댐핑부재(144)가 탑재될 수 있으며, 복수의 휠(142a)은 제1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및 작동할 수 있다.
복수의 휠(142a)은 제1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가이드레일(145)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직립된 연료탱크(10)로 접근하거나, 연료탱크(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45)은 수용부(110)에 근접하게 마련되되, 연료탱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휠(142a)이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휠(142a)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가이드레일(145)이 수용부(110)의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위치 및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지지프레임(143)은 이동대차(142)에 탑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143)은 직립된 연료탱크(1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는 재질 및 중량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직립된 연료탱크(10)로 근접할수록 단면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143)의 후방면(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좌측면), 구체적으로 직립된 연료탱크(10)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연료탱크(10)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1 댐핑부재(14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댐핑부재(144)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연료탱크(10)와 접촉 시 연료탱크(10)의 충격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댐핑부재(144)에는 연료탱크(10)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새들(Saddle, 20)이 진입 가능하게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144a)이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장치(146)는 직립된 연료탱크(10)의 후방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장치(146)는 직립된 연료탱크(10)의 후방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선체(1) 상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연료탱크(10) 및 수용부(110)가 선체(1)의 선미 측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바, 이에 대응하여 제2 지지장치(146) 역시 선체(1)의 선미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장치(146)는 선체(1) 상에 힌지 연결되는 제2 지지프레임(147)과, 제2 지지프레임(147)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와, 제2 지지프레임(147) 상에서 직립된 연료탱크(10)의 후방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마련되는 제2 댐핑부재(14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프레임(147)은 선체(1)의 선미 측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직립된 연료탱크(1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는 재질 및 중량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프레임(147)은 선미 측에 힌지 연결되어 미 작동시 선체(1)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바, 데크의 공간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제2 지지프레임(147)은 제2 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함으로써 직립된 연료탱크(10)의 후방부에 근접하거나 연료탱크(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지지프레임(147)의 전방면(도 4를 기준으로 우측면), 구체적으로 직립된 연료탱크(10)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연료탱크(10)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2 댐핑부재(148)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댐핑부재(148)는 제1 댐핑부재(144)와 마찬가지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연료탱크(10)와 접촉 시 연료탱크(10)의 충격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댐핑부재(148)에는 연료탱크(10)와의 접촉부위에 연료탱크(10)의 외면 형상과 상응하게 형성되는 안착홈(148a)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연료탱크(10)를 선체(1)에 형성되는 수용부(110)에 수납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1 지지장치(141)의 제1 모터를 작동시켜 이동대차(142)를 선체(1)의 선수 측(도 3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1 지지프레임(143) 및 제1 댐핑부재(144)를 연료탱크(10)로부터 이격시킨다. 제1 지지장치(141)를 이동시킨 후 구동모터(131)를 작동시켜 구동축(132)을 도 3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연료탱크(10)를 수용부(110)의 내부에 수납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지지장치(146)는 제2 모터를 작동시켜 제2 지지프레임(147) 및 제2 댐핑부재(148)를 연료탱크(10)로 이격시키는 방향(도 3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연료탱크(10)를 선체(1) 상에 직립시키고자 하는 경우, 구동모터(131)를 작동시켜 구동축(132)을 도 4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연료탱크(10)를 선체(1) 또는 데크 상에 직립시킬 수 있다. 이후 직립된 연료탱크(10)의 전복을 방지하도록 제1 지지장치(141)의 제1 모터를 작동시켜 이동대차(142)를 선체(1)의 선미 측(도 4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1 지지프레임(143) 및 제1 댐핑부재(144)를 연료탱크(10)의 전방부 측에 접근시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지지장치(146)는 제2 모터를 작동시켜 제2 지지프레임(147) 및 제2 댐핑부재(148)를 연료탱크(10)의 후방부 측에 접근시켜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200)를 나타내는 측방향 단면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230)는 크레인(231) 및 와이어(232)에 의해 연료탱크(10)를 연료탱크(10)를 회전시킴으로써, 연료탱크(10)를 선체(1) 또는 데크 상에 직립시키거나, 수용부(110)에 수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대한 설명 중 별도의 도면부호를 들어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경우 외에는 앞서 설명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탱크 핸들링장치(100)에 관한 설명과 동일한 것으로서 내용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의한 구동부(230)는 선체(1) 상에 고정 설치되는 크레인(231)과, 일단이 연료탱크(10)에 체결되고 타단이 크레인(231)에 의해 견인 가능하게 마련되는 와이어(232)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231)은 연료탱크(10)의 용이한 견인을 위해 데크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되는 타워부재(235)의 상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와이어(232)가 권취되는 드럼을 구비할 수 있다. 와이어(232)는 일단이 연료탱크(10)의 상측부에 마련되는 러그(미도시)에 연결 및 체결되고, 타단이 크레인(231)에 연결될 수 있다. 크레인(231)이 작동하여 와이어(232)를 견인함에 따라 연료탱크(10)가 선체(1) 또는 데크 상에 직립될 수 있으며, 반대로 크레인(231)이 와이어(232)를 풀어줌으로써 연료탱크(10)가 수용부(110)의 내측에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110: 수용부 120: 브래킷
130, 230: 구동부 131: 구동모터
132: 구동축 140: 지지부
141: 제1 지지장치 142: 이동대차
143: 제1 지지프레임 144: 제1 댐핑부재
145: 가이드레일 146: 제2 지지장치
147: 제2 지지프레임 148: 제2 댐핑부재
231: 크레인 232: 와이어

Claims (8)

  1. 연료탱크가 수납 가능하게 선체 상에 마련되는 수용부;
    상기 연료탱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을 회전시켜 상기 연료탱크를 선체 상에 직립시키거나 상기 수용부에 수납시키는 구동부; 및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의 전방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장치와,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장치는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의 전방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선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장치는
    휠을 구비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에 마련되는 제1 지지프레임과,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의 전방부와 상기 제1 지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댐핑부재를 포함하는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장치는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의 후방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선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장치는
    선체 상에 힌지 연결되는 제2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장치는
    직립된 상기 연료탱크의 후방부와 상기 제2 지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댐핑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료탱크의 반경방향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되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선체의 데크 상에서 선미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장치는
    선체의 선미에 마련되는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선체 상에 고정 설치되는 크레인과, 일단이 상기 연료탱크에 체결되되 타단은 상기 크레인에 의해 견인 가능하게 마련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KR1020200073727A 2020-06-17 2020-06-17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KR20210156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727A KR20210156384A (ko) 2020-06-17 2020-06-17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727A KR20210156384A (ko) 2020-06-17 2020-06-17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384A true KR20210156384A (ko) 2021-12-27

Family

ID=7917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727A KR20210156384A (ko) 2020-06-17 2020-06-17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63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9864A1 (ja) * 2022-04-15 2023-10-19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118A (ko) 2017-11-21 2019-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카고 탱크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118A (ko) 2017-11-21 2019-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카고 탱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9864A1 (ja) * 2022-04-15 2023-10-19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150B1 (ko) Lng 연료 추진 시스템의 탑재가 가능한 컨테이너 운반선
US11352100B2 (en) Container transportation ship
KR101291870B1 (ko) 선박
CN109642507B (zh) 用于机车和海洋应用的双燃料箱
KR101943335B1 (ko) 컨테이너 운송선박
KR20210156384A (ko) 연료탱크 핸들링장치
JP6654587B2 (ja) 車両運搬船
KR101628809B1 (ko)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2279112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1686907B1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JP5879082B2 (ja) タンク支持構造及び浮体構造物
KR20200004702A (ko) 계류장치
KR102434966B1 (ko) 선박
KR20120002213A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KR101599307B1 (ko) 이동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210089847A (ko) 가스연료 추진 선박
WO2023199864A1 (ja) 船舶
KR20150067716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2623378B1 (ko) 가스연료 추진 차량 운반선
KR20150067710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2571787B1 (ko) 가스연료 추진 차량 운반선
KR101516201B1 (ko)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KR102605383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KR102335579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210120410A (ko) 컨테이너 선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