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809B1 -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809B1
KR101628809B1 KR1020090103669A KR20090103669A KR101628809B1 KR 101628809 B1 KR101628809 B1 KR 101628809B1 KR 1020090103669 A KR1020090103669 A KR 1020090103669A KR 20090103669 A KR20090103669 A KR 20090103669A KR 101628809 B1 KR101628809 B1 KR 10162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tank
hull
spa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944A (ko
Inventor
이성준
변윤철
이원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3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80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의 소모량이 적은 경우나 밀도가 높은 연료를 사용할 경우에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이탈시키고 이 공간을 화물 적재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를 가지며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부유식 구조물로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료탱크; 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으로부터 상기 연료탱크가 이탈된 경우에 상기 공간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된다.
연료탱크, 착탈, 이종연료, 부유식 구조물, 컨테이너선, 화물

Description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FLOATING STRUCTURE HAVING AN ATTACHABLE FUEL GAS TANK}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의 소모량이 적은 경우나 밀도가 높은 연료를 사용할 경우에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이탈시키고 이 공간을 화물 적재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크화물선, 컨테이너선, 여객선 등의 각종 선박에서는 추진 연료로서 액체연료인 벙커C유 등의 중유(HFO)(혹은 MDO)를 사용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연료 공급 시스템에서 연료로서 사용하고 있는 중유 등을 연소시킬 경우, 배기가스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하다는 문제가 있다.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요구는 범세계적으로 점차 강화되고 있으므로, 중유를 연료유로 사용하는 추진장치에 대한 규제 역시 강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한 비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화석연료 고갈이나 국지적인 정세불안 등의 요인으로 유가가 상승할 경우, 중유를 연료로서 사용하는 선박의 연료비가 급증하는 문제가 있는 등 여러 가지 운영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각종 선박의 연료유로서, 중유(혹은 MDO)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최소한의 양만 사용하는 대신에 액화 또는 가스 상태의 가스연료인 LNG(혹은 LPG, CNG, DME 등)와 같은 청정연료를 사용하거나, 중유(혹은 MDO)의 가격이 비싸지거나 환경보호상 요구되는 기준이 높은 경우에는 LNG(혹은 LPG, CNG, DME 등)를 연료로서 주로 사용하고 중유(혹은 MDO)의 가격이 싸지거나 환경 기준이 낮은 경우에는 중유(혹은 MDO)를 주로 사용할 수 있는 연료 공급 시스템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의 소모량이 적은 경우나 밀도가 높은 연료를 사용할 경우에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이탈시키고 이 공간을 화물 적재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를 가지며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부유식 구조물로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료탱크; 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으로부터 상기 연료탱크가 이탈된 경우에 상기 공간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공간에는 상기 연료탱크의 착탈시 상기 연료탱크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탈 가능한 상기 연료탱크는 연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료탱크는 독립형 탱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료탱크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 내부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복 수의 상기 연료탱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간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물은 컨테이너이며, 상기 공간에는 상기 컨테이너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복수개 설치되며, 착탈 가능한 상기 연료탱크가 상기 공간 내에 장착될 때 상기 가이드 레일 중 일부는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탈 가능한 상기 연료탱크의 외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정렬되어 상기 연료탱크의 안정적인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안내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추진장치에 의해서 자력으로 항해가 가능한 선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박은 컨테이너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연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가스연료를 저장하는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를 가지며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로서, 연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액체연료를 저장하는 액체연료용 연료탱크와;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 내부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가스연료용 연료탱크와; 상기 액체연료 및 상기 가스연료를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 을 포함하며, 착탈 가능한 상기 가스연료용 연료탱크가 상기 선체 내부공간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상기 선체 내부공간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물은 컨테이너이며, 상기 선체 내부공간에는 착탈가능한 상기 가스연 료용 연료탱크 및 상기 컨테이너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의 소모량이 적은 경우나 밀도가 높은 연료를 사용할 경우에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이탈시키고 이 공간을 화물 적재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에 의하면, 선체 내부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와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은, 선체(1)의 내부에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연료탱크(3, 4)와, 이 연료탱크(3, 4)로부터 전달되는 연료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장치(5)를 포함한다.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은, 상술한 복수의 연료탱크(3, 4) 및 추진장치(5)와, 이들 연료탱크(3, 4)에 수용된 각각의 연료를 추진장치(5) 쪽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유식 구조물이란, 벌크화물선, 컨테이너선, 여객선 등과 같은 각종 선박을 비롯하여, 평상시에는 해상의 일 지점에 계류된 채 사용되는 오일 FPSO 등의 해상 플랜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구조물이 벌크화물선이나 액체화물 운반선 등인 경우, 연료탱크(3, 4)들 이외에도 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저장탱크(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저장탱크(7)들에도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화물이 수용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연료가 아닌 화물로서 취급되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의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와는 상이한 것이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연료탱크(3, 4)들 중 일부(즉, 액체연료용 연료탱크(3))에는 일반적으로 추진장치의 연료로서 널리 사용되는 중유(HFO)나 디젤유(MDO) 등의 액체연료가 저장될 수 있고, 나머지 연료탱크(즉, 가스연료용 연료탱크(4))에는 LPG, LNG, DME, CNG 등의 가스연료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액체연료와 가스연료라는 표현은 추진장치, 즉 엔진에 공급될 때의 상태가 액체인지 기체인지에 따라 정해진다. 즉, 추진장치에 공급될 때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중유, 디젤유 등의 연료를 액체연료라고 하고, 연료탱크에 저장중일 때에는 액체상태 혹은 기체상태이지만 추진장치에 공급될 때 기체상태로 공급되는 LNG, LPG, DME, CNG 등의 연료를 가스연료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중유 이외의 연료로서는 특히 LNG, LPG, CNG, DME 등의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연료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NG, 즉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는 가스전에서 채취한 천연가스를 액화시킨 것으로 메탄을 주성분으로 한다. LNG는 온도를 낮추거나 압력을 가해 액화시키면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어 공간효율상 유리하지만, 비점이 대략 영하 162도로 낮아 운송, 저장시에는 특수하게 단열된 탱크나 용기에 충전하여 온도를 비점 이하로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LPG, 즉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는 유전에서 원유를 채취하거나 원유 정제시 나오는 중탄화수소(탄소원자가 2개 이상) 성분, 혹은 천연가스 채취시 함께 채취되는 중탄화수소 성분을 비교적 낮은 압력(6 ~ 7 kg/㎠)을 가하여 냉각, 액화시킨 것이다. 액화시 부피가 대략 1/250로 줄어들어 저장과 운송에 편리하며, 주성분은 프로판과 부탄이고, 소량의 에탄, 프로필렌, 부틸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CNG, 즉 압축천연가스(Compressed Natural Gas)는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대략 200기압 정도로 압축한 것이다.
DME, 즉 디메틸에테르(Dimethyl Ether)는 에테르의 일종으로 LPG보다 인화성이 낮고 무독성이며, 산소 함유율이 높기 때문에 연소시 매연 발생이 적어 환경 부하가 적다.
각각의 연료탱크(3, 4)는 수용될 연료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수준의 단열 및 밀봉 시스템을 포함한다. 특히 LNG, LPG 등의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연료탱크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멤브레인형 또는 독립형 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액체연료용 연료탱크(3)와 가스연료(예컨대, LNG, LPG, DME, CNG 등)용 연료탱크(4)가 모두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연료용 연료탱크(3)는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1) 내부에 설치되고 가스연료용 연료탱크(4)는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 상에 설치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가스연료용 연료탱크(4)는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1) 내부에 설치되고 액체연료용 연료탱크(3)는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 상에 설치되도록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추진장치(5)로서는 예컨대 DFDE(Dual Fuel Disel Electric)와 같은 저압가스 분사엔진, 예컨대 ME-GI(Man B&W 사의 Gas Injection 엔진)와 같은 고압가스 분사엔진, 그리고 가스터빈 등을 활용할 수 있는데, 2이상의 이종연료를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밖의 추진장치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2이상의 이종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는 표현은, 사용 가능한 연료가 2이상이면서 동시에 2이상의 이종연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와, 사용 가능한 연료가 2이상이면서 이들 중 한 종류의 연료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3에는 한 종류, 예컨대 액체연료용 연료탱크(3)만을 가지도록 설계 및 건조된 부유식 구조물에 또 다른 종류, 예컨대 LNG 등의 가스연료용 연료탱크(4)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예시되어 있다.
도 3에 예시하는 방법에 의하면,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를 임의의 위치에서 절단하여 2개의 부분, 즉 선수부(1a)와 선미부(1b)로 분리하고, 이들 선수부(1a)와 선미부(1b) 사이에 연료탱크(4)가 내장된 추가 선체부(1c)를 끼워넣어 용접 등에 의해 하나의 선체로 일체화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 내부에 연료탱크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방법 이외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를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 상에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과 같이 최초 설계시부터 2종류 이상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복수의 연료탱크(3, 4)들이 선체(1)에 설치되는 경우, 혹은 도 3과 같이 추후에 또 다른 종류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연료탱크(4)가 선체(1)에 추가되는 경우에, 이들 연료탱크(3, 4)는 선체(1)에 대하여 영구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착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9)를 가지는 경우, 연료의 사용량을 감안하여 보다 많은 양이 사용되는 종류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연료탱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연료의 사용량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추진장치의 종류, 연료의 가격, 계절 및 환경적 요인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1)에 중유 등의 액체연료용 연료탱크(3)와 LNG 등의 가스연료용 연료탱크(4)를 각각 하나씩 설치해 두고, 이들 연료 중에서 액체연료의 사용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면 액체연료용 연료탱크로서의 착탈식 연료탱크(9)를 추가적으로 장착하고, 가스연료의 사용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면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로서의 착탈식 연료탱크(9)를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연료의 사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착탈식 연료탱크(9)를 제거하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선체 내부의 빈 공간을 화물 적재용 공간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LNG 등의 가스연료는 HFO 등의 액체연료에 비해 밀도가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액체연료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착탈식 연료탱크(9)를 제거하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선체 내부의 공간을 화물 적재용 공간 등의 용도로 사용하다가, 가스연료를 주로 사용할 경우에는 착탈식 연료탱크(9)로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공간, 예컨대 하나의 연료탱크(3 또는 4)에 필요에 따라 서로 상이한 종류의 연료를 저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예컨대, 동일한 하나의 공간에 필요에 따라 LNG 또는 LPG를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고, 동일한 하나의 공간에 필요에 따라 중유 또는 디젤유를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와 같이 하나의 공간에 서로 상이한 종류의 연료탱크를 선택적으로 수용시킬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동일한 하나의 공간에 서로 상이한 종류의 연료를 선택적으로 수용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추진장치로서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이 장착되고, 이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에 공급될 가스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가스연료 용 연료탱크를 가지고, 이종연료로서 가스연료인 LNG와 액체연료인 중유(HFO)를 사용하는 컨테이너선에 본 발명이 적용된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가 선체 내부에 장착된 경우의 부유식 구조물, 즉 컨테이너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연료탱크를 제거한 후 생겨난 여유공간에 20ft 혹은 40ft 컨테이너를 적재한 경우의 부유식 구조물, 즉 컨테이너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연료탱크 및 컨테이너 중 어느 하나를 선체 내부에 적재할 때 사용되는 가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컨테이너가 선체 내부에 적재된 경우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12는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가 선체 내부에 장착된 경우의 일부 평면도이다.
컨테이너선은, 승무원들이 거주하는 선실구역, 추진장치가 설치되는 기관실, 연료탱크(23)가 설치되는 공간, 기계실 등을 제외한 선체 내부 및 상갑판 상에 다수의 컨테이너가 적재된다. 컨테이너선의 크기가 커지면 시야확보를 위해 선실구역을 선미로부터 선체 중앙부로 옮겨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해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어려운 선실구역의 하부 공간을 연료탱크(23)가 배치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선체 중앙부란, 추진장치가 설치된 선체의 선미보다 앞쪽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선체의 길이방향 중심부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점차 강화되고 있는 환경규제를 회피하는 동시에 중유 혹은 디젤유 등의 액체연료 가격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컨테이너선과 같은 화물선을 추 진하기 위한 추진장치의 연료로서 LNG(또는 LPG, DME) 등의 액화가스를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추진장치로서는 이종(異種)연료를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ME-GI와 같은 고압가스 분사엔진이나 DFDE와 같은 저압가스 분사엔진, 혹은 가스터빈 등의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사용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추진장치에서 LNG와 함께 연료로서 사용될 중유 등의 액체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연료용 연료탱크는 LNG 등의 가스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가스연료용 연료탱크(23)와 함께 선실구역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그밖의 선체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LNG 연료탱크 및 중유 연료탱크 중 적어도 하나는 선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다른 종류의 연료탱크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의 사용량에 따라 선체 내부에 장착되는 LNG 연료탱크의 개수와 중유 연료탱크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가스연료용 연료탱크(23)로서는 멤브레인형 탱크 또는 독립형 탱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IMO type B 탱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스연료용 연료탱크(23)가 선체의 내부에 착탈될 수 있기 위해서는 독립형 탱크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종류의 독립형 탱크 중에서도 탱크의 아래(탱크와 선체 내부바닥 사이)에 선체 보호수단이 2차 방벽으로서 설치되는 IMO type B 탱크가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의 사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23)를 제거하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선체 내부의 빈 공간을 화물 적재용 공간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LNG 등의 가스연료는 HFO 등의 액체연료에 비해 밀도가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액체연료만을 사용하거나 액체연료를 주로 사용할 경우에는 착탈 가능한 가스연료용 연료탱크(23)를 제거하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선체 내부의 공간, 즉 선택적 적재공간(10)을 화물 적재용 공간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역으로, 밀도가 낮은 연료, 예컨대 LNG 등의 가스연료를 주로 사용할 경우에는 선택적 적재공간(10)에 연료탱크(23)로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가스연료용 연료탱크(23) 중 하나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액체연료용 연료탱크를 비롯하여 모든 연료탱크들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가스연료용 연료탱크(23)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하, 이 공간을 "선택적 적재공간(10)"이라고 합니다.)의 전후방향 길이는 20ft짜리 컨테이너(21)가 2줄로 배열되거나 40ft짜리 컨테이너(22)가 1줄로 배열될 수 있는 공간의 전후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선택적 적재공간(10)에 하나의 연료탱크(23)가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료탱크(24, 25)가 장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크기가 서로 상이하며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24, 25)의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착탈식 연료탱크(24, 25)들은 육면체 이외의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탱크(23, 24, 25)와 컨테이너(21, 22)의 착탈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선체(1) 내부의 선택적 적재공간(10)에는 가이드 레일(13)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만 설치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수평방향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23, 24, 25)에는 이 가이드 레일(13) 상을 주행할 수 있는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가이드 레일(13)은 컨테이너(21 또는 22)가 적재될 때 컨테이너의 4개의 모서리를 각각 안내할 수 있도록 선택적 적재공간(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 적재공간(10) 내에 하나의 연료탱크(23)가 장착되는 경우에, 연료탱크(23)의 4개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3)을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 레일은 연료탱크(23)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선택적 적재공간(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가이드 레일은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가이드 레일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보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를 안내하기 위해 설치된 가이드 레일(13)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료탱크(23)의 외부에 안내수단(26)을 부착시켜 각각의 가이드 레일(13)과 안내수단(26)을 정렬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연료탱 크(23)를 착탈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때 안내수단(26)은 모든 가이드 레일(13)에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부착될 수도 있고 일부 가이드 레일에만 대응되도록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탈 가능한 가스연료용 연료탱크(23)는 선체의 폭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이 병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연료탱크(23)의 길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ft 길이의 컨테이너에 대략 상응하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부유식 구조물에 2가지의 서로 상이한 연료용 연료탱크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이 이루어져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3가지 이상의 서로 상이한 연료용 연료탱크가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연료별 가격 및 효율은 시대에 따라, 또한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시점에서 가장 효율적인 연료를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추진을 위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효율이 우수한 전기 추진 시스템이나 태양열 시스템, 혹은 풍력 시스템의 개발이 근시일 내에 완료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중 연료 추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가 ME-GI 엔진 또는 DFDE 엔진 등의 가스 분사엔진으로 이루어진 추진장치에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이 이루어져 있지만, 이 연료는 전력발생을 위하여 상기된 엔진들 이외에도 가스터빈 등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 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한 종류의 연료탱크만을 가지도록 설계 및 건조된 부유식 구조물에 또 다른 종류의 연료탱크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동일한 공간 내에 서로 상이한 종류의 연료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가 선체 내부에 장착된 경우의 부유식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연료탱크를 제거한 후 생겨난 여유공간에 컨테이너를 적재한 경우의 부유식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연료탱크 및 컨테이너 중 어느 하나를 선체 내부에 적재할 때 사용되는 가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테이너가 선체 내부에 적재된 경우의 일부 평면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가 선체 내부에 장착된 경우의 일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체 1a : 선수부
1b : 선미부 1c : 추가 선체부
1d : 개구 3 : 액체연료용 연료탱크
4 : 가스연료용 연료탱크 5 : 추진장치
7 : 저장탱크 9 : 착탈식 연료탱크
10 : 선택적 적재공간 13 : 가이드 레일
21, 22 : 화물로서의 컨테이너 23, 24, 25 :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
26 : 안내수단

Claims (12)

  1.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를 가지며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부유식 구조물로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연료탱크; 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으로부터 상기 연료탱크가 이탈된 경우에 상기 공간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선체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 내에서는 상기 연료탱크의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도록, 착탈 가능한 상기 연료탱크는 상기 선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선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상기 공간 내에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한 상기 연료탱크는 가스연료용 연료탱크이며,
    상기 화물은 컨테이너이며,
    상기 공간에는 상기 연료탱크의 착탈시 상기 연료탱크를 안내하거나 상기 컨테이너의 적재시 상기 컨테이너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선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될 때 상기 컨테이너의 4개의 모서리를 각각 안내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착탈 가능한 상기 연료탱크의 외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정렬되어 상기 연료탱크의 안정적인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안내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연료탱크의 치수는 상기 컨테이너의 치수에 상응하고 상기 선체의 폭방향에서 상기 연료탱크의 치수는 상기 컨테이너의 치수보다 커서, 상기 연료탱크의 상기 선체의 선수 및 선미를 향하는 외부표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안내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착탈 가능한 상기 연료탱크는 연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독립형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 내부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복수의 상기 연료탱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간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추진장치에 의해서 자력으로 항해가 가능한 선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컨테이너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11. 연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가스연료를 저장하는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를 가지며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로서,
    연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액체연료를 저장하는 액체연료용 연료탱크와;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 내부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가스연료용 연료탱크와;
    상기 액체연료 및 상기 가스연료를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 을 포함하며,
    착탈 가능한 상기 가스연료용 연료탱크가 상기 선체 내부공간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상기 선체 내부공간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으며,
    상기 선체 내부공간 내에서는 상기 가스연료용 연료탱크의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도록, 착탈 가능한 상기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는 상기 선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선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상기 선체 내부공간 내에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화물은 컨테이너이며,
    상기 선체 내부공간에는 착탈가능한 상기 가스연료용 연료탱크 및 상기 컨테이너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선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될 때 상기 컨테이너의 4개의 모서리를 각각 안내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착탈 가능한 상기 가스연료용 연료탱크의 외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정렬되어 상기 가스연료용 연료탱크의 안정적인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안내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가스연료용 연료탱크의 치수는 상기 컨테이너의 치수에 상응하고 상기 선체의 폭방향에서 상기 가스연료용 연료탱크의 치수는 상기 컨테이너의 치수보다 커서, 상기 가스연료용 연료탱크의 상기 선체의 선수 및 선미를 향하는 외부표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안내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12. 삭제
KR1020090103669A 2009-10-29 2009-10-29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162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669A KR101628809B1 (ko) 2009-10-29 2009-10-29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669A KR101628809B1 (ko) 2009-10-29 2009-10-29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944A KR20110046944A (ko) 2011-05-06
KR101628809B1 true KR101628809B1 (ko) 2016-06-10

Family

ID=4423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669A KR101628809B1 (ko) 2009-10-29 2009-10-29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254B1 (ko) * 2013-11-06 2021-01-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조선을 이용한 발전 플랜트
KR102176540B1 (ko) * 2014-01-24 2020-11-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연료 선박의 연료 탱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연료 공급 시스템
KR101766263B1 (ko) 2015-05-15 2017-08-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용 인데크 탱크
KR102124113B1 (ko) * 2019-12-20 2020-06-18 엘아이지넥스원(주) 선박용 연료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103B1 (ko) * 2005-02-28 2006-04-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종연료엔진으로 추진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다중 목적용 lng 공급 펌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267A (ko) * 2008-04-24 2009-10-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착탈식 연료유 탱크가 배치된 컨테이너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103B1 (ko) * 2005-02-28 2006-04-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종연료엔진으로 추진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다중 목적용 lng 공급 펌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944A (ko)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916B1 (ko)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US8834218B2 (en) Floating structure with fuel tank for gas fuel
KR100961868B1 (ko)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를 가지는 컨테이너선
KR101560475B1 (ko) 개방형 격벽을 이용한 컨테이너선의 가스 연료용 연료탱크 최적배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선박
KR20140058477A (ko)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CN103003141A (zh) 具有上甲板燃料箱的浮式结构
KR101577794B1 (ko)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1681729B1 (ko) 컨테이너선
KR101628809B1 (ko) 착탈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110041940A (ko)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0978066B1 (ko) 이종연료 배관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110027441A (ko)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1599307B1 (ko) 이동 가능한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0476462Y1 (ko) 갑판 상부에 연료탱크를 탑재한 부유식 구조물
KR20140058479A (ko)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1599308B1 (ko)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1606563B1 (ko) 갑판 상부에 연료탱크를 탑재한 부유식 구조물
KR20160023761A (ko)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140058478A (ko)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110027442A (ko)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