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592A - 생이용성이 증진된 폴리페놀을 갖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이용성이 증진된 폴리페놀을 갖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592A
KR20210154592A KR1020200071752A KR20200071752A KR20210154592A KR 20210154592 A KR20210154592 A KR 20210154592A KR 1020200071752 A KR1020200071752 A KR 1020200071752A KR 20200071752 A KR20200071752 A KR 20200071752A KR 20210154592 A KR20210154592 A KR 20210154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horse riding
soybean protein
snow
soy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182B1 (ko
Inventor
안성은
엄병헌
홍지영
박채영
고지윤
김난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7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18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개시물에는 생이용성이 증진된 폴리페놀을 갖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는 눈개승마를 포함하고, 콩단백과 눈개승마가 함께 열처리된 두유로부터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은 1) 콩단백과 눈개승마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고 두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두유에 응고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이용성이 증진된 폴리페놀을 갖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TOFU COMPRISING ARUNCUS DIOICUS CONTAINING POLYPHENOLS WITH ENHANCED BIOAVAILABILITY AND ITS PREPARATION METHOD}
본 개시물에는 생이용성이 증진된 폴리페놀을 갖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콩에는 37% 내외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다. 콩기름이나 두부를 제조하고 남은 부산물의 막대한 양에 비해 이용되는 양은 현저히 적음을 감안할 때 식품 원료의 낭비를 막고 영양학적 및 관능적 가치를 향상시킨 식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콩 단백질은 쇠고기 단백질과 비견할 만큼 우수한 영양학적 가치를 가지지만, 실제 인간이 직접 섭취하는 양은 약 10%에 지나지 않고 나머지 대부분은 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탈지대두분은 이를 가공하여 식품화할 때 콩비린내와 같은 역겨운 냄새가 있어 기호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농축 콩단백, 분리 콩단백 및 인조육 등을 개발하고 있지만, 가공 공정이 복잡하고 대부분의 콩단백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생성물에 용매가 잔류하여 안정성 문제도 존재한다. 압착 방식으로 제조된 압착 콩기름과 압착 콩단백은 유기용매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난 반면 경제성과 효율이 떨어져 용도 개발이 필요하다. 압착 대두유를 생산하고 얻어진 압착대두플레이크를 콩단백 제품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콩비린내를 제거하고 단백질의 조직감을 개선하는 고압 고압의 단백질 성형 공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단백질 성형 공정은 시간과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상기와 같은 탈지대두분이나 대두단백플레이크, 압착대두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콩단백의 고부가 활용을 위해 콩비린내 및 잔류 용매를 없애면서 비용 절감 및 공정이 단순화된 콩단백 가공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콩비지는 두부의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로 영양학적으로 다른 부산물보다 풍부한 식이섬유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으나, 그 일부가 찌개로 활용되고 있을 뿐, 유통 및 보관의 문제로 대부분 동물의 사료로 쓰이거나 버려지고 있어 이에 따른 활용도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두부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수분과 지방이 많기 때문에 쉽게 변질, 산패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건조된 두부나 대두단백플레이크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쉽게 복원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열처리에 응집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KR 10-2004-0074515 A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상기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눈개승마를 포함하고, 콩단백과 눈개승마가 함께 열처리된 두유로부터 형성된 것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콩단백은 압착 콩단백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콩단백은 대두단백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눈개승마는 콩단백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는 80 내지 100 ℃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는 15분 내지 1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는 콩단백과 눈개승마에 물을 가하여 침지시킨 후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두부는 해수 10 내지 50 중량% 및 글루코노델타락톤 (GDL),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황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첨가제 5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응고제로 응고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두부는 동결건조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두유는 콩단백과 눈개승마가 함께 열처리되기 전의 콩단백과 눈개승마의 혼합물과 대비하여 카페익산 (caffeic acid) 함량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상기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으로, 1) 콩단백과 눈개승마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고 두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두유에 응고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는 비지를 제거하지 않고 두유에 응고제를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응고제는 85 ℃ 이상의 온도를 갖는 두유에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는 응고제를 첨가한 후 두유를 동결건조 트레이에 붓고 80 ℃ 이상에서 가열 및 성형한 후 동결건조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는 생이용성이 높은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저지방 두유의 제조 설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실험예에 따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저지방 두유의 HPLC chromatogram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험예에 따른 Compound 1의 HPLC-MS spectrum이다.
도 4는 일 실험예에 따른 Compound 2의 NMR data이다.
도 5는 일 실험예에 따른 Compound 3의 NMR data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저지방 두유의 가열 전과 후 폴리페놀 성분의 피크 면적값을 비교한 것이다.
이하, 본 개시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눈개승마를 포함하고, 콩단백과 눈개승마가 함께 열처리된 두유로부터 형성된 것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를 제공한다.
본 개시물에서 콩단백은 콩에서 기름을 빼고 남은 부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착유 공정은 당업자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콩단백은 압착 콩단백으로, 유기용매 사용 없이 압착 방식으로, 예컨대 상온 압착 방식으로 콩에서 기름을 빼고 남은 부산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콩단백은 콩에서 기름을 빼고 부산물로 남아 있는 형태인 압착물, 덩어리 등의 형상을 갖거나 반죽, 성형, 건조, 마쇄, 분쇄 등의 추가적인 공정을 가하여 플레이크, 파우더 등으로 가공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콩단백은 35 중량% 이상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콩단백은 대두단백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콩단백은 탈지대두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콩단백은 압착 콩단백인 것일 수 있다. 본 개시물은 지방 함량이 적은 압착 콩단백을 이용하여 저지방 즉석 건조 두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콩단백은 압착대두플레이크 또는 탈지대두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압착대두플레이크는 6% 가량의 지방질을 함유하고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착유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대두유 착유 후 부산물로 남은 저지방 압착 콩단백이다.
상기 탈지대두분은 압착 방식으로 기름을 짜거나 용매로 기름을 빼고 남은 부산물을 파우더 형태로 가공한 저지방 콩단백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콩단백은 압착대두플레이크를 사용함으로써 산패 방지 효과를 제공한다.
눈개승마 (Aruncus dioicus)는 장미과 (Rosaceae) 눈개승마속 (Aruncus)에 속해 있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국의 고산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눈개승마는 인삼맛, 고기맛, 두릅맛이 나는 산채로 동의보감에서는 맛이 달고 쓰며 독이 없는 식물로 사람의 기운을 올려주는 명약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예로부터 눈개승마의 어린순은 해열, 해독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끓는 물에 데친 후 식용하거나 말려서 작은 잎을 제거한 후 식용하여 왔다. 이러한 눈개승마의 생리활성으로는 신장 손상 억제, 항산화,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 항혈전, 항염, 멜라닌 합성 억제, 피부 노화 억제, 주름 개선, 항균, 항당뇨 등 다양한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눈개승마는 지상부를 사용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눈개승마는 건조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눈개승마는 마쇄 또는 분쇄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눈개승마는 파우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눈개승마는 콩단백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눈개승마는 콩단백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상 또는 10 중량부 이상이고 30 중량부 이하, 25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눈개승마는 콩단백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6 중량부로 포함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른 두부는 콩단백과 눈개승마를 함께 열처리한 두유로 생성됨으로써 눈개승마의 생이용성이 높은 폴리페놀이 크게 증진되어 시너지 효과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는 80 내지 100 ℃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는 80 ℃ 이상, 85 ℃ 이상, 90 ℃ 이상 또는 95 ℃ 이상이고, 100 ℃ 이하, 95 ℃ 이하, 90 ℃ 이하 또는 85 ℃ 이하인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는 85 내지 100 ℃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간수를 넣어 두부가 응고되기 위해서는 85 ℃ 이상의 온도 조건이 요구되는데, 본 개시물은 그 온도 조건에서 콩단백과 눈개승마를 함께 열처리하여 두유를 제조하는 동시에 눈개승마의 생이용성이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크게 증진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기능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제조 효율성이 매우 우수하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는 15분 내지 1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는 15분 이상, 25분 이상, 35분 이상 또는 45분 이상이고 60분 이하, 50분 이하, 40분 이하, 30분 이하 또는 2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는 콩단백과 눈개승마를 침지시킨 후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는 콩단백과 눈개승마에 물을 가하여 침지시킨 후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두부는 해수 10 내지 50 중량% 및 글루코노델타락톤 (GDL),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황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첨가제 5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응고제로 응고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응고제는 해수, 글루코노델타락톤 및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해수 (바닷물)는 분말 형태로 가공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두부는 동결건조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두부는 온수 또는 열수를 부어 즉석으로 먹을 수 있는 즉석 건조 두부인 것일 수 있다.
본 개시물은 생리활성 기능이 증진된 눈개승마를 함유하는 저지방 두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는 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 등의 함량이 높은 반면, 식물성 단백질의 섭취는 각종 비타민, 불포화지방산, 폴리페놀 등 양질의 영양소가 함께 들어 있어 매우 유익하고, 총 열량도 낮다. 특히, 콩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동맥을 확장해 심혈관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면역력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
콩단백은 고함량의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 반면 폴리페놀이 거의 없고 엽록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눈개승마는 폴리페놀을 함유하여 항산화, 항암, 항균 등의 기능성을 갖는다. 본 개시물에 따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는 콩단백의 아미노산과 눈개승마의 폴리페놀, 엽록소를 함유하여 경쟁력 높은 맛과 색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기능성 또한 우수하다.
산채에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들은 항산화 등의 기능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성분들의 분자 구조가 대부분 커서 용해, 흡수와 같은 생이용성이 좋지 않다. 본 개시물에 따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는 생이용성이 증진된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두유는 콩단백과 눈개승마가 함께 열처리되기 전의 콩단백과 눈개승마의 혼합물과 대비하여 생이용성이 뛰어난 폴리페놀 단량체 함량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두유는 콩단백과 눈개승마가 함께 열처리되기 전의 콩단백과 눈개승마의 혼합물과 대비하여 카페익산 (caffeic acid) 함량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상기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으로, 1) 콩단백과 눈개승마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고 두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두유에 응고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는 비지를 제거하지 않고 두유에 응고제를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응고제는 85 ℃ 이상의 온도를 갖는 두유에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는 응고제를 첨가한 후 80 ℃ 이상에서 가열하고 서서히 냉각시켜 두부를 성형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는 응고제를 첨가한 후 두유를 동결건조용 트레이에 붓고 80 ℃ 이상에서 가열하고 서서히 냉각시켜 두부를 성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두부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결건조용 트레이에서 바로 가열함으로써 공정의 최소화를 얻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동결건조는 표면의 물만 동결시킨 다음 바로 감압하여 두부의 내부가 동결로 인한 손상이 없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전통적인 초당두부는 천연 해수를 응고제로 활용하여 제조된다. 해수를 사용하면 두부의 맛과 품질이 뛰어나지만, 속효성의 응고 특성으로 인해 두유와의 교반 과정이 매우 까다로워 부정형 두부가 생산된다. 본 개시물은 상기 85 ℃ 이상으로 가열된 두유에 해수, 글루코노델타락톤 및 황산칼슘을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함으로써 초당두부의 특징을 살리면서 두부의 결합력을 증진시켜 우수한 품질을 갖는 즉석 두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물은 영양소 파괴의 최소화, 산패 방지, 제품 복원력 향상, 두부 형상 파손 방지 등의 품질 개선 및 공정 최적화를 통해 눈개승마의 기능성 영양 물질을 섭취할 수 있는 즉석 두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개시물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물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저지방 두유의 제조
저지방 콩단백은 대두에서 콩기름 착유 후 남은 부산물인 압착 콩단백 (Soy protein)을 사용하였고, 눈개승마 (Aruncus dioicus)는 지상부를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압착 방식으로 콩기름 착유 후에 남은 부산물인 압착 콩단백 100 g에 건조한 눈개승마 0.5 g을 첨가한 3개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도 1 참조). 그 중 하나는 아무 가공도 하지 않고 (ADSP), 다른 하나는 120 ℃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 (autoclave)를 시행한 후 각각 증류수 100 mL를 첨가하였다 (ADSP_AC1). 나머지 하나는 증류수 100 mL을 첨가하여 100 ℃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ADSP_H1).
실험예 1.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두유의 성분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이 추출물을 제조하여 하기 실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시료들을 각각 1 ml씩 vial에 옮긴 후 70% (v/v) 메탄올 9 mL를 첨가하여 초음파 추출기에서 30분 동안 초음파 추출을 하였다. 추출한 시료들은 Whatman filter paper No.1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2. HPLC를 이용한 폴리페놀 성분 분석
HPLC에 사용된 용매 acetonitrile (ACN, HPLC Grade)과 Water (HPLC Grade)는 Fisher Scientific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HPLC 용매의 buffer로 사용된 Trifluoroacetic acid (TFA)은 Sigma-Aldrich Co. (USA)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는 G1315B Diode Array Detector(DAD) system, G1312A Binary pump, G1329A Auto sampler가 장착되어 있는 Agilent1200 series (Agilent Technologies, USA)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Chemstation-B.02.01-SRI software를 사용하였다. 분석용 column은 YMC (Kyoto, Japan) ODS-A column (150×4.6 mm i.d., 5 μm, 12 nm)을 사용하였다. UV spectrophotometer는 BioTek (USA)의 Synergy HTX Multi-Mode Reader를 사용하였다.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0.02% TFA를 첨가한 acetonitrile (용매 A)과 0.02% TFA를 첨가한 water (용매 B)을 이동상으로 사용하였다. HPLC 분석에 이용된 이동상 조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용매 A와 용매 B의 유속은 0.7 mL/min으로 설정하였고, 검출 파장은 205 nm, 254 nm, 280 nm, 330 nm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Time (min) A (0.02 TFA in ACN) B (0.02% TFA in Water)
0 10 90
25 25 75
30 100 0
35 100 0
37 10 90
40 10 90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처리 가공을 하지 않았을 때의 compound 2, 3의 피크가 compound 1의 피크보다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100 ℃에서 30분 동안 물에 침지하여 가열한 후에는 compound 2, 3의 피크의 크기가 감소함과 동시에 compound 1의 피크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한편, 120 ℃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를 실시하였을 때에는 compound 2, 3의 피크가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크게 감소한 것에 비해 compound 1의 피크의 유의미한 크기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콩단백과 눈개승마를 100 ℃에서 30분 동안 물에 침지하여 가열하는 조건에서 유의적인 폴리페놀 성분의 전환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눈개승마 폴리페놀 성분의 구조를 알아내기 위해 분자이온분석기 (MS) 및 핵자기공명분광기 (NMR)를 이용한 기기분석을 수행하여 3가지 항산화 성분을 동정하였다. 화학 구조를 동정한 결과, Compound 1은 Caffeic acid로 확인되었고, Compound 2-3은 Dicaffeoylglucose isomer로 확인되었다 (도 3 내지 5 참조).
Figure pat00001
[Compound 1_Caffeic acid]
Figure pat00002
[Compound 2_Dicaffeoyl-β-D-glucose]
Figure pat00003
[Compound 3_Dicaffeoyl-α-D-glucose]
또한, HPLC Chromatogram에서 피크 면적값을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내었고, HPLC Chromatogram에서의 피크 면적값을 계산하여 하기 식에 따라 눈개승마 폴리페놀의 생이용성 지수를 도출하였다.
눈개승마 폴리페놀의 생이용성 지수 = (Compound 1 단량체 면적값 / Compound 2 및 3 이량체 면적값) × 100
Compound ADSP ADSP_H1
1 24.499 167.761
2 86.9903 48.9531
3 88.5691 44.4311
Total 200.0584 261.1452
Compound ADSP ADSP_H1
단량체 (compound 1) 24.499 167.761
이량체 (compound 2+3) 175.5594 93.3842
(단량체/이량체)×100 13.95 179.65
도 6, 표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콩단백과 눈개승마의 단순 혼합물 (ADSP)에 비해 콩단백과 눈개승마가 함께 100 ℃에서 30분 동안 물에 침지 및 열처리된 두유 (ADSP_H1)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고, 콩단백과의 열처리 가공에 의해 눈개승마 폴리페놀의 생이용성 지수가 약 13에서 180으로 현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콩단백과 눈개승마가 함께 열처리된 두유는 폴리페놀 이량체 함량을 감소시키고 단량체 함량을 높여 생이용성이 높은 폴리페놀로 전환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콩단백과 눈개승마의 조합에서 열처리 가공에 의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저지방 두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압착 콩단백과 눈개승마에 증류수 100 mL을 첨가하여 100 ℃에서 30분 동안 가열한 두유 (ADSP_H1)를 사용하여 다음와 같이 즉석 건조 두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85 ℃ 이상의 온도를 갖는 두유에 해양심층수 원수, 글루코노델타락톤 및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응고제를 첨가하고 동결건조용 트레이에 부은 다음, 80 ℃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한 후 서서히 냉각시켜 두부가 성형되도록 하였다. 해양심층수는 ㈜강원심층수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호리)로부터 입수하여 사용하였다. 이후, 10 내지 30분 동안 두부 표면의 물만 동결시킨 다음 바로 감압하여 두부의 내부가 동결로 인한 손상이 없도록 하여 동결건조 형태의 두부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즉석 건조 두부는 기존의 동결건조된 두부와 달리 우수한 결합력, 응집력으로 인해 두부 형상이 파손되지 않았고, 제품 복원력 또한 우수하였다.
이상, 본 개시물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개시물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눈개승마를 포함하고,
    콩단백과 눈개승마가 함께 열처리된 두유로부터 형성된 것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단백은 압착 콩단백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단백은 대두단백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눈개승마는 콩단백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80 내지 100 ℃에서 실시하는 것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15분 내지 1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콩단백과 눈개승마에 물을 가하여 침지시킨 후 열처리하는 것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는 해수 10 내지 50 중량% 및 글루코노델타락톤 (GDL),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황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첨가제 5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응고제로 응고된 것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는 동결건조 제형을 갖는 것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유는 콩단백과 눈개승마가 함께 열처리되기 전의 콩단백과 눈개승마의 혼합물과 대비하여 카페익산 (caffeic acid) 함량이 증가된 것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으로,
    1) 콩단백과 눈개승마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고 두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두유에 응고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비지를 제거하지 않고 두유에 응고제를 첨가하는 것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응고제를 첨가한 후 두유를 동결건조 트레이에 붓고 80 ℃ 이상에서 가열 및 성형한 후 동결건조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것인,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
KR1020200071752A 2020-06-12 2020-06-12 생이용성이 증진된 폴리페놀을 갖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1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752A KR102511182B1 (ko) 2020-06-12 2020-06-12 생이용성이 증진된 폴리페놀을 갖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752A KR102511182B1 (ko) 2020-06-12 2020-06-12 생이용성이 증진된 폴리페놀을 갖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592A true KR20210154592A (ko) 2021-12-21
KR102511182B1 KR102511182B1 (ko) 2023-03-20

Family

ID=7916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752A KR102511182B1 (ko) 2020-06-12 2020-06-12 생이용성이 증진된 폴리페놀을 갖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1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533A (ko) * 2001-04-24 2002-10-31 류기형 압출성형공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 및 그제조방법
KR20040074515A (ko) 2003-02-19 2004-08-25 학교법인 인하학원 저장안정성이 확보된 동결 건조 전두부의 제조방법
KR20190125815A (ko) * 2018-04-30 2019-11-07 (재)남해마늘연구소 클로로젠산 및 카페익산이 다량 함유된 건조 우엉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533A (ko) * 2001-04-24 2002-10-31 류기형 압출성형공정에 의한 영양강화 기능성식품의 제조 및 그제조방법
KR20040074515A (ko) 2003-02-19 2004-08-25 학교법인 인하학원 저장안정성이 확보된 동결 건조 전두부의 제조방법
KR20190125815A (ko) * 2018-04-30 2019-11-07 (재)남해마늘연구소 클로로젠산 및 카페익산이 다량 함유된 건조 우엉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tural Product Sciences, 20(4) : 274-280, 2014. *
참고자료: 김아나 등, ‘열풍, 진공 및 동결건조가 눈개승마의 항산화 및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제25권 제7호, 811-818면(201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182B1 (ko) 202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1134A (ko) 전두유와 식물성 유산균을 이용한 콩치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1647B1 (ko) 두부의 제조방법
KR101598764B1 (ko) 두부의 제조방법
KR102511182B1 (ko) 생이용성이 증진된 폴리페놀을 갖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106795A (zh) 一种南瓜花明目蜂蜜营养粉及其加工方法
KR100810582B1 (ko) 기능성 재료를 함유하는 쌀두부 제조방법
KR101441052B1 (ko) 생강 두부의 제조 방법 및 생강 두부
KR101182696B1 (ko) 전복두부와 그 제조방법
KR102390363B1 (ko) 연자육 성분을 포함하는 콜라겐묵 및 그 제조방법
JP2005237291A (ja) 健康食品
KR102380812B1 (ko) 생체이용성이 개선된 눈개승마 가공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7437A (ko) 녹차 두부 제조방법
KR102048007B1 (ko) 파손율이 감소된 건조 순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1452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천년초 음료 제조방법
KR101902765B1 (ko) 밀싹 두부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밀싹 두부
KR102532452B1 (ko) 면역력 증강 및 단백질 보강을 위한 육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2511179B1 (ko) 생이용성이 증진된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눈개승마-압착콩단백 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7356B1 (ko) 전복 내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소스
CN103583706A (zh) 一种木耳豆腐干及其制作方法
KR101433888B1 (ko) 밤을 주재로 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1588108B1 (ko) 진양콩을 포함하는 전두유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66638B1 (ko) 카페익산과 바이닐카테콜을 함유하는 눈개승마-콩비지 유래의 항산화, 항염 및/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158999B1 (ko)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
KR102519730B1 (ko) 철갑상어 엑기스를 함유하는 탈모 완화 및 발모용 기능성 조성물
KR101229469B1 (ko) 굴비가 함유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