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839A -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839A
KR20210152839A KR1020200069812A KR20200069812A KR20210152839A KR 20210152839 A KR20210152839 A KR 20210152839A KR 1020200069812 A KR1020200069812 A KR 1020200069812A KR 20200069812 A KR20200069812 A KR 20200069812A KR 20210152839 A KR20210152839 A KR 20210152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form
wheel
ar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018B1 (ko
Inventor
김서준
윤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018B1/ko
Priority to PCT/KR2021/004652 priority patent/WO2021251607A1/ko
Priority to US18/009,176 priority patent/US20230234619A1/en
Priority to AU2021289119A priority patent/AU2021289119A1/en
Publication of KR2021015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61D23/025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electrically or fluid actu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2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 G01L5/16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us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Ladder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판 플레이트가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전동차와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작동 구조상 안전하게 발판 플레이트가 승강장에 다시 인입되고, 이에 따라 발판 플레이트 및 전동차의 손상이 방지되어 더욱 안전한 승하차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마찰 접촉 모듈을 이용하여 발판 플레이트의 작동 상태를 비상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순한 구조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동 조작 모듈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하며, 전체 장치를 소형화하고 작동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SAFETY BOARD OF PLATFORM}
본 발명은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판 플레이트가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전동차와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작동 구조상 안전하게 발판 플레이트가 승강장에 다시 인입되고, 이에 따라 발판 플레이트 및 전동차의 손상이 방지되어 더욱 안전한 승하차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마찰 접촉 모듈을 이용하여 발판 플레이트의 작동 상태를 비상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순한 구조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동 조작 모듈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하며, 전체 장치를 소형화하고 작동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 및 지하철 역사 등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일정 높이의 승강장이 설치되며, 선로에 진입하는 전동차와 승강장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승강장은 전동차가 선로에 정차한 상태에서 전동차와 일정 이격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특히, 해당 역사의 특성상 선로 및 승강장이 곡선 형태로 설계된 경우에는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이격 간격이 더욱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이격 간격이 발생함에 따라 승객의 승하차시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이격 간격으로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승강장에 다양한 형태의 안전 발판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승강장 안전 발판은 초기에는 단순히 승강장의 선단에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졌으나, 이 경우 전동차와의 이격 간격을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승강장의 선단으로부터 전동차를 향해 돌출 및 인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종래 일반적인 승강장 안전 발판은 별도의 발판 플레이트가 직선 왕복 이동하며 승강장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인입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발판 플레이트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승강장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접철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작동 방식의 경우, 전동차의 진입 및 진출에 연동하여 발판 플레이트의 돌출 및 인입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전원이 끊기거나 신호 오류 등으로 인해 발판 플레이트의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전동차가 승강장으로부터 출발하는 과정에서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전동차가 승강장으로부터 출발한 이후에도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발판 플레이트가 출발하는 전동차와 충돌하거나 또는 후속 진입하는 전동차와 충돌하는 2차 안전사고가 유발되고, 이 경우, 전동차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발판 플레이트가 파손되고, 이 과정에서 주변 대기 승객의 피해를 유발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93713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판 플레이트가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전동차와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작동 구조상 안전하게 발판 플레이트가 승강장에 다시 인입되고, 이에 따라 발판 플레이트 및 전동차의 손상이 방지되어 더욱 안전한 승하차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판 플레이트에 기설정된 마찰저항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발판 플레이트가 다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발판 플레이트의 작동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전동차와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시에는 충돌에 의해 발판 플레이트가 다시 인입되어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인입되는 과정에서 구동부 및 기타 부품의 손상이나 재설정 없이 안정적인 작동 구조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찰 접촉 모듈을 이용하여 발판 플레이트의 작동 상태를 비상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순한 구조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동 조작 모듈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하며, 전체 장치를 소형화하고 작동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이격 간격이 축소되도록 상기 승강장에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 아암; 상기 작동 아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되는 방향으로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발판 플레이트; 양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발판 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발판 플레이트를 지지 가이드하는 회전 링크 플레이트; 및 구동 모터와, 입력단이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작동 아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작동 아암에 전달하도록 회전 작동하고 출력단을 통해 외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회전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축에는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의 출력단과 연결되도록 작동 휠이 결합되고, 상기 작동 아암과 상기 작동 휠은 별도의 마찰 접촉 모듈을 통해 상호 마찰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작동휠에 전달되면, 상기 작동 휠과 작동 아암이 상호 마찰력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및 인입되고,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 플레이트에 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작동 휠이 상기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회전 구속된 상태로 상기 작동 아암이 상기 작동 휠과의 마찰력에 대항하여 회전하며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입력단이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작동 휠에 연결되는 웜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접촉 모듈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축에 삽입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작동 휠이 안착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작동 휠을 하향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관통 결합되는 가압 바디; 및 상기 작동 휠이 상기 플랜지부에 밀착 접촉하도록 상기 가압 바디를 하향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휠은 상기 플랜지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회전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작동 아암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및 상기 가압 바디의 하면에는 상기 작동 휠과 마찰 접촉하도록 마찰 패드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가압 모듈은 상기 가압 바디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가압 모듈은, 상기 가압 바디에 하향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 및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압축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탄성 조절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발판 플레이트를 돌출 및 인입되게 회전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수동 조작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동 조작 모듈은 사용자의 조작력이 상기 작동 아암에 전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동 조작 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작동 아암이 상기 작동 휠과의 마찰력에 대항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 조작 모듈은, 상기 작동 아암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작동 아암에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기어 치형이 형성되는 수동 조작 휠; 및 상기 수동 조작 휠의 기어 치형에 맞물림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동 조작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 조작 기어에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회전축 방향으로 조작 돌출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아암은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되도록 작동한 상태에서 전동차의 진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링크 플레이트는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상기 작동 아암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 플레이트의 돌출 끝단부 하면에는 전동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별도의 커버 플레이트가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개방된 일면을 적어도 일부 영역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및 인입된 상태에서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발판 플레이트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작동하는 발판 홀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발판 플레이트의 돌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측정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발판 플레이트의 돌출 및 인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돌출 감지 센서 및 인입 감지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돌출 감지 센서는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링크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된 감지 브래킷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입 감지 센서는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인입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링크 플레이트의 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감지 브래킷은 상기 회전 링크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 플레이트가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전동차와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작동 구조상 안전하게 발판 플레이트가 승강장에 다시 인입되고, 이에 따라 발판 플레이트 및 전동차의 손상이 방지되어 더욱 안전한 승하차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판 플레이트에 기설정된 마찰저항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발판 플레이트가 다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발판 플레이트의 작동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전동차와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시에는 충돌에 의해 발판 플레이트가 다시 인입되어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인입되는 과정에서 구동부 및 기타 부품의 손상이나 재설정 없이 안정적인 작동 구조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찰 접촉 모듈을 이용하여 발판 플레이트의 작동 상태를 비상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순한 구조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동 조작 모듈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하며, 전체 장치를 소형화하고 작동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의 설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의 구동부 관련 구성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의 구동부 관련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의 설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는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이격 간격이 축소되도록 승강장에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치로서, 베이스 프레임(100), 작동 아암(200), 발판 플레이트(300),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 및 구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승강장(10)에 설치되며, 전동차를 향한 일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및 일측면이 개방된 하부 베이스(101)가 승강장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 베이스(101)의 상면에 별도의 상부 베이스(102)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베이스(101)의 내부 공간에 다수 부품이 배치된 상태로 상부 베이스(102)가 하부 베이스(101)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베이스(102)는 승강장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승객이 밟는 부분이며, 전동차를 향한 끝단부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 패드(110)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는 구동부(500)를 동작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900)가 장착될 수 있다.
작동 아암(200)은 평판 형태로 일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0) 내부에 수직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발판 플레이트(30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평판 형태로 폭방향 일측단부가 작동 아암(20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동 아암(200)의 회전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되는 방향으로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한다. 발판 플레이트(300)는 연결핀(210)을 통해 작동 아암(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는 양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0) 및 발판 플레이트(30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판 플레이트(300)를 지지 가이드한다. 이러한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는 작동 아암(2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발판 플레이트(300)를 지지 가이드한다. 즉,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는 일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발판 플레이트(300)에 결합되며, 작동 아암(200)의 회전에 따른 발판 플레이트(300)의 회전 이동시 발판 플레이트(300)가 평행한 상태로 회전 이동하도록 발판 플레이트(300)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된 상태에서 발판 플레이트(300)를 지지한다.
구동부(500)는 작동 아암(200)을 회전 구동하는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동 모터(510)와, 구동 모터(510)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510)의 구동력을 작동 아암(20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구동부(500)가 작동하면, 작동 아암(200)은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작동 아암(200)에 결합된 발판 플레이트(300)가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하며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또는 인입된다.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플레이트(300)가 인입된 상태에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에 의해 작동 아암(200)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 발판 플레이트(300)가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며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2개의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의 일단이 발판 플레이트(300)에 결합되므로, 발판 플레이트(300)는 2개의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에 의해 가이드되어 평행 상태로 회전 이동하며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와 같이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됨으로써, 승강장(10)과 전동차 사이 간격이 축소되며, 이를 통해 승객의 승하차시 승강장(10)과 전동차 사이 간격으로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이때, 발판 플레이트(300)는 돌출된 상태에서 2개의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에 의해 지지되므로, 승객의 승하차시 승객에 의한 하중이 발판 플레이트(300)에 작용하더라도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 구조에 따라 작동 아암(200)의 회전 각도(θ)에 따라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거리가 결정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 작동한 상태에서 전동차의 진행 방향에 대해 작동 아암(200)이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으로(예각 상태로) 배치되도록 작동 아암(200)의 회전 각도(θ)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작동 아암(200)의 회전 각도(θ)는 45°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는 작동 아암(200)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 아암(200)의 회전 각도(θ)를 예각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발판 플레이트(300)의 회전 이동 작동시 발판 플레이트(300)의 동일한 돌출 거리에 대해 발판 플레이트(300)의 측방향(전동차 진행 방향) 이동 거리(X)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판 플레이트(300)를 수용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측방향(전동차 진행 방향)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 컴팩트한 설치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는 이와 같이 발판 플레이트(300)가 작동 아암(200)의 회전에 의해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방식으로 돌출되므로,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된 상태에서 전동차 진입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면, 발판 플레이트(300)가 작동 아암(200)과 함께 반대로 회전 이동하며 인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동차와의 충돌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이 끊기거나 신호 오류 등에 의해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 유지된 상태에서 전동차가 진입하여 충돌하게 되더라도, 발판 플레이트(300)가 전동차와의 충돌 과정에서 발생한 외력에 의해 다시 회전 이동하여 베이스 프레임(100) 내부로 인입되므로, 발판 플레이트(300)의 파손이나 전동차 손상 등의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판 플레이트(300)에 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플레이트(300)는 인입되는 방향으로 강제 회전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구동부(500)의 역회전에 따른 손상없이 발판 플레이트(300)만 단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별도의 마찰 접촉 모듈(700)이 구비되는데,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한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구동부(500)의 동력 전달 수단(520)은 입력단이 구동 모터(510)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작동 아암(200)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510)의 구동력을 작동 아암(200)에 전달하도록 회전 작동하고, 출력단을 통해 외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회전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 수단(520)은 예를 들면, 웜 기어를 포함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웜 샤프트의 일측단이 모터축과 연결되고 웜 휠의 회전축이 작동 아암(2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웜 샤프트에 회전력이 작용하면 웜 휠이 동시에 회전하지만, 웜 휠에 회전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그 구조상 웜 샤프트가 회전하지 않고 웜 휠 및 웜 샤프트가 회전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작동 아암(200)의 회전축(201)에는 동력 전달 수단(520)의 출력단(예를 들면, 웜 기어의 웜 휠)과 연결되도록 별도의 작동 휠(600)이 결합된다. 작동 휠(600)의 외주면에는 기어 치형이 형성되며, 동력 전달 수단(520)의 출력단에는 작동 휠(600)의 기어 치형과 맞물림되도록 출력 구동 휠(521)이 결합될 수 있으며, 출력 구동 휠(521)은 웜 휠의 회전축과 동축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작동 아암(200)과 작동 휠(600)은 별도의 마찰 접촉 모듈(700)을 통해 상호 마찰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마찰 접촉 모듈(700)에 의한 상호 간의 마찰력에 의해 동시에 회전한다. 이에 따라, 구동 모터(510)의 구동력이 동력 전달 수단(520)을 통해 작동 휠(600)에 전달되면, 작동 휠(600)과 작동 아암(200)이 상호 간의 마찰력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여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 또는 인입되고,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된 상태에서 발판 플레이트(300)에 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작동 휠(600)이 동력 전달 수단(520)에 의해 회전 구속된 상태로 작동 아암(200)이 작동 휠(600)과의 마찰력에 대항하여 회전하며 발판 플레이트(300)가 인입된다.
즉, 구동 모터(510)의 구동력이 동력 전달 수단(520)을 통해 작동 휠(600)에 전달되면, 작동 휠(600)이 회전하게 되고, 작동 아암(200)은 마찰 접촉 모듈(700)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 휠(600)과의 마찰력에 의해 작동 휠(60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작동 아암(200)의 회전에 의해 발판 플레이트(300)가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하며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된다. 이와 달리 작동 휠(600)에 외부 회전력(구동 모터(510)의 구동력이 아닌 별도 외부 회전력이 작용하는 경우, 작동 휠(600)은 웜 기어로 형성된 동력 전달 수단(520)의 출력단에 결합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수단(520)의 구조상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작동 휠(600)이 회전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발판 플레이트(300)에 외력이 작용하면, 이는 작동 아암(200)에 회전력으로 전달되고, 마찰력에 의해 작동 휠(600)에도 동일한 회전력이 전달되는데, 작동 휠(600)은 동력 전달 수단(520)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회전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발판 플레이트(300)에 작용하는 외력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작동 휠(600)은 회전 정지한 상태로 작동 아암(200)이 작동 휠(600)과의 마찰력에 대항하며 회전하게 된다.
발판 플레이트(300)가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발판 플레이트(300)에 기준치 이상의 외부 회전력(예를 들면, 전동차와의 충돌에 의한 회전력)이 작용하면, 작동 아암(200)이 작동 휠(600)과의 마찰력에 대항하며 회전하여 발판 플레이트(300)가 인입된다. 이 과정에서 구동부(500)의 역회전이 발생하지 않아 구동부(500)의 손상 또는 재설정 작업 등이 불필요하며, 다른 부품과 무관하게 발판 플레이트(300)만 안정적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발판 플레이트(300)가 전동차와 충돌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인입되어 2차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이 과정에서 구동부(500)의 역회전 등에 의한 구동부(500)의 손상 또한 방지되어 더욱 안정적인 작동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는 발판 플레이트(300)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 조작 모듈(8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수동 조작 모듈(800) 및 마찰 접촉 모듈(7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중심으로 후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에 따라 발판 플레이트(300)에 외력이 기준치 이하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발판 플레이트(300) 및 작동 아암(200)이 회전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 및 인입된 상태에서 발판 플레이트(300)의 이동을 구속하는 별도의 발판 홀더 장치(320)가 구비된다.
발판 홀더 장치(320)는 전자기력에 의해 발판 플레이트(300)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작동하는데, 자성체 재질의 마그네틱 바디(322)와,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마그네틱 바디(322)를 부착 고정시키는 전자기 바디(3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바디(322)는 발판 플레이트(300)의 일측과 작동 아암(2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전자기 바디(321)는 마그네틱 바디(322)에 대응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다. 전자기 바디(321) 2개중 하나는 발판 플레이트(300)가 인입된 상태에서 발판 플레이트(300)에 결합된 마그네틱 바디(322)와 근접 또는 접촉 위치에 배치되어 발판 플레이트(300)의 인입 상태를 고정하고, 나머지 하나는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된 상태에서 작동 아암(200)에 결합된 마그네틱 바디(322)와 근접 또는 접촉 위치에 배치되어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상태를 고정한다. 이와 더불어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발판 플레이트(300)의 인입 정도를 제한할 수 있는 별도의 스토퍼 블록(12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및 인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돌출 감지 센서(350) 및 인입 감지 센서(360)가 장착될 수 있다.
인입 감지 센서(36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플레이트(300)가 인입 완료된 상태에서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의 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감지 센서(35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 완료된 상태에서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의 일측에 결합된 감지 브래킷(351)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감지 브래킷(351)은 일단부가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절곡된 타단부가 돌출 감지 센서(350)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 브래킷(351)의 일단부에는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슬롯홀(352)이 형성되며, 감지 브래킷(351)은 이러한 슬롯홀(352)을 통해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의 일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거리는 승강장의 상황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데,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거리가 조절되면, 작동 아암(200)과 함께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의 회전 각도 또한 조절된다. 이 경우, 감지 브래킷(351)의 장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해당 돌출 거리에 따른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작동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거리를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거리 측정 센서(34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서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후방 끝단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등 다양한 거리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발판 플레이트(300)는 돌출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에 의해 지지되는데, 승객의 승하차시 승객에 의한 집중 하중 등이 발생하는 경우, 발판 플레이트(300)에 처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처짐 변형을 방지하고 발판 플레이트(300)의 강도 보강을 위해 별도의 커버 플레이트(330)가 발판 플레이트(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플레이트(330)는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끝단부 하면에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발판 플레이트(300)가 베이스 프레임(100)에 인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개방된 일면을 적어도 일부 영역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발판 플레이트(300)를 강도 보강하여 처짐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작동 상태가 아닌 인입 상태에서(대부분의 시간동안 인입 상태를 유지함) 베이스 프레임(10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게 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발판 플레이트(300)에 집중 하중이 발생하게 되면, 발판 플레이트(300)의 자체 처짐 변형과는 별개로 발판 플레이트(300)를 지지하는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에 처짐 변형이 발생할 수도 있다.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가 허용치 이상 처짐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처짐 제한 지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처짐 제한 지지부는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의 회전 곡선 경로를 따라 곡선 경로를 갖는 형태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는 처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일정량의 처짐 변형 이후, 하부에 위치한 처짐 제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처짐 제한 지지부와의 이격 거리 이상의 처짐 변형은 방지된다. 이때,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에는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의 처짐 변형 발생시 처짐 제한 지지부와 접촉할 수 있는 별도의 간격 조절 볼트(미도시)가 상하 관통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간격 조절 볼트의 관통 높이를 조절하여 회전 링크 플레이트(400)에 대한 허용 처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끝단에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장애물 감지 센서(310)가 장착될 수 있다. 장애물 감지 센서(310)는 압력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승객의 발이 빠지거나 기타 이물질 등이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작동 상태를 중단하도록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접촉 모듈(700) 및 수동 조작 모듈(8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의 구동부 관련 구성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의 구동부 관련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마찰 접촉 모듈(700)은 작동 아암(200)의 회전축(201)에 결합되어 작동 아암(200)과 작동 휠(600)이 상호 마찰 접촉하도록 구성되는데, 중공 원통 형상으로 작동 아암(200)의 회전축(201)에 삽입 결합되며 상면에 작동 휠(600)이 안착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플랜지부(711)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 샤프트(710)와, 작동 휠(600)을 하향 가압할 수 있도록 회전 샤프트(710)에 관통 결합되는 가압 바디(720)와, 작동 휠(600)이 플랜지부(711)에 밀착 접촉하도록 가압 바디(720)를 하향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모듈(7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 휠(600)은 플랜지부(711)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 샤프트(710)와 함께 회전하고, 작동 아암(200)은 플랜지부(711)의 하면에 결합 볼트(T1)를 통해 결합되어 회전 샤프트(71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플랜지부(711)의 상면 및 가압 바디(720)의 하면에는 작동 휠(600)과 마찰 접촉하도록 마찰 패드(730)가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구동부(500)의 동력 전달 수단(520)을 통해 구동력이 작동 휠(600)에 전달되면, 작동 휠(600)이 회전하고, 작동 휠(600)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 샤프트(710)가 일체로 함께 회전하며, 회전 샤프트(710)에 결합된 작동 아암(200) 또한 일체로 함께 회전한다. 작동 아암(200)이 회전함에 따라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 또는 인입된다.
이와 달리 발판 플레이트(300)에 외력이 작용하여 작동 아암(200)에 회전력으로 전달되면, 이러한 회전력은 작동 아암(200)과 결합된 회전 샤프트(710)에 전달되고, 회전 샤프트(710)와 마찰 접촉하는 작동 휠(600)에도 전달된다. 그러나, 작동 휠(600)은 동력 전달 수단(520)의 출력단에 연결되므로, 회전할 수 없고 회전 구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작동 아암(200)에 작용하는 회전력이 작동 휠(600)과의 마찰력 이상이면, 작동 휠(600)은 회전 구속된 상태로 작동 아암(200)만 마찰력에 대항하며 회전하게 된다. 즉, 발판 플레이트(300)에 기준치 이상(작동 휠과의 마찰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작동 휠(600)은 회전 구속된 상태로 발판 플레이트(300) 및 작동 아암(200)만 회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된 상태에서 전동차와 충돌하게 되면, 발판 플레이트(300)는 회전 이동하여 인입되고, 구동부(500)의 역회전 등 기타 부품의 손상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가압 바디(720)를 하향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모듈(740)은 가압 바디(720)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가압 바디(720)에 하향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가압 바디(720)의 상부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741)와, 상하 이동에 따라 탄성 부재(741)의 탄성 압축량을 조절하도록 회전 샤프트(710)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탄성 조절 너트(7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741)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탄성 조절 너트(742)를 회전하여 하향 이동시키면, 탄성 부재(741)의 하향 가압력이 증가하여 가압 바디(720)와 작동 휠(600)과의 마찰력이 증가하고, 탄성 조절 너트(742)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향 이동시키면, 탄성 부재(741)의 하향 가압력이 감소하여 가압 바디(720)와 작동 휠(600)과의 마찰력이 감소한다.
한편, 수동 조작 모듈(800)은 전원 차단 상태 등 특정 상황에서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발판 플레이트(300)를 돌출 및 인입되게 회전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데, 이러한 수동 조작 모듈(800)은 사용자의 조작력이 작동 아암(200)에 전달되도록 형성되며, 수동 조작 모듈(800)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작동 아암(200)이 작동 휠(600)과의 마찰력에 대항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동 조작 모듈(800)은, 작동 아암(200) 및 회전 샤프트(71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작동 아암(200)에 결합 볼트(T1)를 통해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기어 치형이 형성되는 수동 조작 휠(810)과, 수동 조작 휠(810)의 기어 치형에 맞물림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동 조작 기어(8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수동 조작 기어(820)에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회전축 방향으로 조작 돌출부(8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조작 돌출부(821)는 별도의 공구(T)가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공구(T)를 통해 수동 조작 기어(820)를 회전 조작하면, 수동 조작 휠(810) 및 작동 아암(200)이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작동 아암(200)과 함께 발판 플레이트(300)가 회전 이동하여 돌출 또는 인입된다. 이때, 작동 휠(600)은 동력 전달 수단(520)에 의해 회전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고, 작동 아암(200)은 마찰 접촉 모듈(700)에 의한 작동 휠(600)과의 마찰력에 대항하며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는 간편한 구조로 발판 플레이트(300)를 수동 조작할 수 있으며, 수동 조작시 구동부(500) 및 기타 부품의 손상이나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수동 조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프레임
200: 작동 아암
201: 회전축
300: 발판 플레이트
320: 발판 홀더 장치
330: 커버 플레이트
340: 거리 측정 센서
350: 돌출 감지 센서
360: 인입 감지 센서
400: 회전 링크 플레이트
500: 구동부
510: 구동 모터
520: 동력 전달 수단
600: 작동 휠
700: 마찰 접촉 모듈
710: 회전 샤프트
711: 플랜지부
720: 가압 바디
730: 마찰 패드
740: 탄성 가압 모듈
741: 탄성 부재
742: 탄성 조절 너트
800: 수동 조작 모듈
810: 수동 조작 휠
820: 수동 조작 기어

Claims (13)

  1.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이격 간격이 축소되도록 상기 승강장에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 아암;
    상기 작동 아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되는 방향으로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발판 플레이트;
    양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발판 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발판 플레이트를 지지 가이드하는 회전 링크 플레이트; 및
    구동 모터와, 입력단이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작동 아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작동 아암에 전달하도록 회전 작동하고 출력단을 통해 외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회전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축에는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의 출력단과 연결되도록 작동 휠이 결합되고, 상기 작동 아암과 상기 작동 휠은 별도의 마찰 접촉 모듈을 통해 상호 마찰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작동휠에 전달되면, 상기 작동 휠과 작동 아암이 상호 마찰력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및 인입되고,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 플레이트에 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작동 휠이 상기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회전 구속된 상태로 상기 작동 아암이 상기 작동 휠과의 마찰력에 대항하여 회전하며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입력단이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작동 휠에 연결되는 웜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접촉 모듈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축에 삽입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작동 휠이 안착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작동 휠을 하향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관통 결합되는 가압 바디; 및
    상기 작동 휠이 상기 플랜지부에 밀착 접촉하도록 상기 가압 바디를 하향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휠은 상기 플랜지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회전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작동 아암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및 상기 가압 바디의 하면에는 상기 작동 휠과 마찰 접촉하도록 마찰 패드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 모듈은 상기 가압 바디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 모듈은
    상기 가압 바디에 하향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 및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압축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탄성 조절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발판 플레이트를 돌출 및 인입되게 회전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수동 조작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동 조작 모듈은 사용자의 조작력이 상기 작동 아암에 전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동 조작 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작동 아암이 상기 작동 휠과의 마찰력에 대항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조작 모듈은
    상기 작동 아암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작동 아암에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기어 치형이 형성되는 수동 조작 휠; 및
    상기 수동 조작 휠의 기어 치형에 맞물림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동 조작 기어
    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 조작 기어에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회전축 방향으로 조작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아암은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되도록 작동한 상태에서 전동차의 진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링크 플레이트는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상기 작동 아암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플레이트의 돌출 끝단부 하면에는 전동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별도의 커버 플레이트가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개방된 일면을 적어도 일부 영역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및 인입된 상태에서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발판 플레이트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작동하는 발판 홀더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발판 플레이트의 돌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측정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발판 플레이트의 돌출 및 인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돌출 감지 센서 및 인입 감지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돌출 감지 센서는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링크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된 감지 브래킷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입 감지 센서는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인입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링크 플레이트의 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감지 브래킷은 상기 회전 링크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KR1020200069812A 2020-06-09 2020-06-09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KR102349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812A KR102349018B1 (ko) 2020-06-09 2020-06-09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PCT/KR2021/004652 WO2021251607A1 (ko) 2020-06-09 2021-04-13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US18/009,176 US20230234619A1 (en) 2020-06-09 2021-04-13 Safe foothold apparatus for platform
AU2021289119A AU2021289119A1 (en) 2020-06-09 2021-04-13 Safe foothold apparatus for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812A KR102349018B1 (ko) 2020-06-09 2020-06-09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839A true KR20210152839A (ko) 2021-12-16
KR102349018B1 KR102349018B1 (ko) 2022-01-11

Family

ID=7884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812A KR102349018B1 (ko) 2020-06-09 2020-06-09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34619A1 (ko)
KR (1) KR102349018B1 (ko)
AU (1) AU2021289119A1 (ko)
WO (1) WO2021251607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8529A (ja) * 2000-05-19 2001-11-27 Hitachi Ltd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KR20050075492A (ko) * 2004-01-15 2005-07-21 이규홍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KR20090063191A (ko) * 2009-05-04 2009-06-17 김성곤 차량의 안전발판 장치
KR100918674B1 (ko) * 2008-09-08 2009-09-2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JP2010508190A (ja) * 2006-10-30 2010-03-18 レジエ オートノーム デ トランスポーツ パリジャン プラットホームと鉄道車両との間の隙間を橋渡しするための装置
KR20120139973A (ko) * 2011-06-20 2012-12-2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JP2015020489A (ja) * 2013-07-17 2015-02-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テップ装置
KR20180133248A (ko) * 2016-03-24 2018-12-13 가부시끼가이샤교산세이사꾸쇼 전락 방지 장치
KR101937137B1 (ko) 2018-04-26 2019-01-11 (주)에이.티.아이 슬라이딩 인출 구조를 갖는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발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8529A (ja) * 2000-05-19 2001-11-27 Hitachi Ltd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KR20050075492A (ko) * 2004-01-15 2005-07-21 이규홍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JP2010508190A (ja) * 2006-10-30 2010-03-18 レジエ オートノーム デ トランスポーツ パリジャン プラットホームと鉄道車両との間の隙間を橋渡しするための装置
KR100918674B1 (ko) * 2008-09-08 2009-09-2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20090063191A (ko) * 2009-05-04 2009-06-17 김성곤 차량의 안전발판 장치
KR20120139973A (ko) * 2011-06-20 2012-12-2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JP2015020489A (ja) * 2013-07-17 2015-02-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テップ装置
KR20180133248A (ko) * 2016-03-24 2018-12-13 가부시끼가이샤교산세이사꾸쇼 전락 방지 장치
KR101937137B1 (ko) 2018-04-26 2019-01-11 (주)에이.티.아이 슬라이딩 인출 구조를 갖는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018B1 (ko) 2022-01-11
US20230234619A1 (en) 2023-07-27
AU2021289119A1 (en) 2023-01-19
WO2021251607A1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0663B2 (ja) スライドステップ
US20020070082A1 (en) Safety brake and method for unlocking a safety brake
KR101469465B1 (ko)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및 조절가능한 자동차 시트
JP460168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5477641A (en) Safety device for a vehicle electric window lifter with a cable
US20210371236A1 (en) System and Method of Enabling a Mobile Robot to Take an Elevator Autonomously
KR102349018B1 (ko)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JPH03205054A (ja) リフト装置
GB2223211A (en) Vehicle access safety device
KR102044445B1 (ko)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KR20090055478A (ko) 전락 방지 장치
KR102349019B1 (ko)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JP2006298022A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CN107685875B (zh) 登机桥调平机构及其检测组件
JP2008285248A (ja) 安全装置付き自動開閉扉
KR101953817B1 (ko)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4527569B2 (ja) 鉄道車両用ステップ装置
KR101412087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2205520B1 (ko) 끼임사고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KR101574437B1 (ko) 차량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0616017B1 (ko) 덤웨이터의 카 고정장치
KR101080661B1 (ko) 안전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 기구를 구비한 승강기설비, 안전제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풀로드 및안전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JP2016160076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US4651960A (en) Motor driven mounting apparatus for an irradiation device such as a sunlamp or the like
JP2006224821A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