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492A -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492A
KR20050075492A KR1020040002985A KR20040002985A KR20050075492A KR 20050075492 A KR20050075492 A KR 20050075492A KR 1020040002985 A KR1020040002985 A KR 1020040002985A KR 20040002985 A KR20040002985 A KR 20040002985A KR 20050075492 A KR20050075492 A KR 20050075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control signal
electric vehicle
guide contro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홍
Original Assignee
이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홍 filed Critical 이규홍
Priority to KR102004000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5492A/ko
Publication of KR20050075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49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61D23/025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electrically or fluid actu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전원을 입력받아 자력을 갖는 제 1 전자석(110)으로 구현된 안전판(100), 전원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제 1 전자석과 동일한 극성의 자력을 갖거나 반대되는 극성의 자력을 갖는 제 2 전자석(200), 승강장에 형성되어 상기 안전판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수단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2 전자석을 일측에 고정하는 외부 하우징(300), 전동차의 출입에 따라 열림 또는 닫침 가이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10), 상기 송신기로부터 열림 또는 닫힘 가이드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이를 출력하는 수신기(400), 및 상기 수신기로부터 열림 가이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전자석과 상기 제 2 전자석에 다른 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한편, 닫힘 가이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전자석과 제 2 전자석에 동일한 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50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장치를 구현하여 전동차 이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PLATFORM SAFT-FOOTBOARD DEVICE}
본 발명은 전동차 승강장에 사용되는 안전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석을 통해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공간을 없애주는 안전판을 작동시켜 전동차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독일 등과 같이 철도가 발달한 선진국에서도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어서, 승객이 오르고 내릴 때 차로의 바닥까지 보이게 되어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사람의 발이 빠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승객들은 무의식적으로 심리적 불안감에 따른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 소아의 발이 빠지거나 몸이 빠지는 불상사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지하철 정류장에 열차가 진입할 때마다 차내 방송이나 역내 방송을 통해 승객들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게 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승객들이 이러한 상황에 항상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철도 관계자들은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근본적인 조치도 취하고 있지 아니하며 이를 위한 기술도 개발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야간에는 취객들이 열차를 이용할 경우나, 어린이나 노약자들의 열차 이용 시, 그리고, 출퇴근시 승객이 한꺼번에 몰릴 때 사고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이러한 사고는 매년 일정한 비율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차 출입시에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공간을 없애기 위한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는 일정한 전원을 입력받아 자력을 갖는 제 1 전자석을 구비한 안전판;
전원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제 1 전자석과 동일한 극성의 자력을 갖거나 반대되는 극성의 자력을 갖는 제 2 전자석;
승강장에 형성되어, 상기 안전판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수단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2 전자석을 일측에 고정하는 외부 하우징;
전동차의 출입에 따라 열림 또는 닫침 가이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
상기 송신기로부터 열림 또는 닫힘 가이드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이를 출력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로부터 열림 가이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전자석과 상기 제 2 전자석에 다른 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한편, 닫힘 가이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전자석과 제 2 전자석에 동일한 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는 송신기(10), 제 1 전자석(110)으로 구현된 안전판(100), 제 2 전자석(200), 외부 하우징(300), 수신기(400) 및 전원공급장치(5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판(100)은 상기 외부 하우징(300) 내부에 형성되어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으면 자력을 갖는 제 1 전자석(110)을 구비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으면 자력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로부터 상기 제 2 전자석(200)과 동일한 (+)전원을 입력받으면 S-N극성의 자력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전자석(200)과 상호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승강장에 형성된 상기 외부 하우징(300) 내부로 이동하는 한편, 상기 제 2 전자석(200)과 동일하지 않은 (-)전원을 입력받으면 N-S극성의 자력의 자력이 형성되어 승강장에 형성된 외부 하우징(300) 외부로 이동하여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에서 발판의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안전판(100)은 전동차와 접촉되는 부위에 고무범퍼 또는 PVC(120) 처리되며,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되지 않도록 좌우 일측에 제 1 거리 조정체(11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자석(200)은 상기 외부 하우징(300)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으면 상기 제 1 전자석(110)과 동일한 극성(S극-N극)의 자력이 형성되어 상기 안전판(100)을 승강장에 형성된 상기 외부 하우징(300) 내부로 끌어오는 한편, (-)전원을 입력받으면 상기 제 1 전자석(110)과 반대되는 극성(N극-S극)의 자력이 형성되어 상기 안전판(100)을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에 위치하도록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하우징(300)은 승강장에 형성되어, 상기 안전판(100)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수단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2 전자석(200)을 일측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외부 하우징(300)은 내부에 상기 안전판(1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양측에 레일(310)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안전판(100)이 일정거리 이상 나오지 못하도록 제 2 거리 조정체(301)를 상기 외부 하우징(300)의 내부 종단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송신기(10)는 전동차의 출입에 따라 열림 또는 닫침 가이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송신기(10)는 전동차의 자동문과 동기화되거나 전동차의 승강장 출입시 적외선 포트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400)는 상기 송신기(10)로부터 열림 또는 닫힘 가이드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이를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는 상기 수신기(400)로부터 열림 가이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전자석(110)과 상기 제 2 전자석(200)에 다른 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한편, 닫힘 가이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전자석(110)과 제 2 전자석(200)에 동일한 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동차가 승강장에 도착함에 따라 전동차 운전사가 상기 송신기(10)를 통해 상기 수신기(400)로 열림 가이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송신기(10)는 승강장 입구에 설치 가능한 것으로 적외선 포트로 구현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이어서, 상기 송신기(10)로부터 열림 가이드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수신기 (400)는 열림 가이드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로 출력한다. 이 때, 상기 송신기(10)와 수신기(400)는 상기 안전판(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송수신 장치로써 적외선 포트 뿐만 아니라 RF 장치 등의 일반적인 장치로도 가능하다.
그러면,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는 (+)전원을 상기 제 1 전자석(110)을 구비한 안전판(100)에 공급함과 동시에 제 2 전자석(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상기 제 2 전자석(200)은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N-S극성의 자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 전자석(110)을 구비한 안전판(100)은 상기 전원공급장치 (50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S-N극성의 자력이 형성되어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전자석(200)으로부터 밀려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에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전동차가 승강장을 출발하게 되면, 전동차 운전자는 상기 송신기(10)를 통해 닫힘 가이드 제어신호를 상기 수신기(4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수신기(400)는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로 닫힘 가이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는 상기 제 1 전자석(110)과 제 2 전자석 (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전자석(200)은 S-N극성의 자력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전자석(110)을 구비한 안전판(100)은 S-N극성의 자력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전자석(200)과 서로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승강장 내부로 삽입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에 의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장치를 구현하여 전동차 이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에서 안전판이 돌출된 모습을 상측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에서 안전판이 돌출된 모습을 측면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에서 안전판이 외부 하우징 내부로 들어간 모습을 상측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에서 안전판이 외부 하우징 내부로 들어간 모습을 측면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의 실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송신기 100 : 안전판
110 : 제 1 전자석 111 : 제 1 거리 조정체
200 : 제 2 전자석 300 : 외부 하우징
301 : 제 2 거리 조정체 310 : 레일
400 : 수신기 500 : 전원공급장치

Claims (5)

  1. 일정한 전원을 입력받아 자력을 갖는 제 1 전자석으로 구현된 안전판;
    전원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제 1 전자석과 동일한 극성의 자력을 갖거나 반대되는 극성의 자력을 갖는 제 2 전자석;
    승강장에 형성되어, 상기 안전판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수단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2 전자석을 일측에 고정하는 외부 하우징;
    전동차의 출입에 따라 열림 또는 닫침 가이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
    상기 송신기로부터 열림 또는 닫힘 가이드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이를 출력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로부터 열림 가이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전자석과 상기 제 2 전자석에 다른 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한편, 닫힘 가이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전자석과 제 2 전자석에 동일한 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동차의 출입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은, 전동차와 접촉되는 부위에 고무범퍼 또는 PVC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가이드 수단은, 양측에 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전동차의 자동문과 동기화되어 작동하거나, 전동차 출입시 적외선 포트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KR1020040002985A 2004-01-15 2004-01-15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KR20050075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985A KR20050075492A (ko) 2004-01-15 2004-01-15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985A KR20050075492A (ko) 2004-01-15 2004-01-15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492A true KR20050075492A (ko) 2005-07-21

Family

ID=3726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985A KR20050075492A (ko) 2004-01-15 2004-01-15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54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15128A1 (de) * 2016-12-17 2018-06-21 Knorr-Bremse Gmbh Schiebetritt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oder für ein Schienenfahrzeug
WO2021251607A1 (ko) * 2020-06-09 2021-12-16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WO2022079177A1 (de) * 2020-10-15 2022-04-21 Knorr-Bremse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instiegsvorrichtung für ein schienen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instiegsvorrichtu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15128A1 (de) * 2016-12-17 2018-06-21 Knorr-Bremse Gmbh Schiebetritt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oder für ein Schienenfahrzeug
US11554721B2 (en) 2016-12-17 2023-01-17 Knorr-Bremse Gesellsc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liding step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or for a rail vehicle
WO2021251607A1 (ko) * 2020-06-09 2021-12-16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KR20210152839A (ko) * 2020-06-09 2021-12-16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WO2022079177A1 (de) * 2020-10-15 2022-04-21 Knorr-Bremse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instiegsvorrichtung für ein schienen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instiegs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638B1 (ko) 차량의 차량 측 도어 및 대응하는 플랫폼 가이딩 시스템, 특히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통합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81603B1 (ko) 광고판 겸용 비상도어를 형성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
US20190084586A1 (en) Train platform located security system
ATE452806T1 (de) Wagennotausstiegsvorrichtung
BR0206772A (pt) Método e equipamento para alocação de ramos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
KR20050075492A (ko)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KR101582040B1 (ko) 철도차량 출입문 안전회로
KR101121753B1 (ko)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및 그를 포함한 전기식 도어
KR101094992B1 (ko) 전동차 출입문 개폐정보 표시장치
KR100840304B1 (ko) 2단 스크린 도어를 이용한 정위치 정차 오차 제어장치
KR100968209B1 (ko)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JP2012201202A (ja) プラットホームの隙間塞ぎ装置
KR20100059151A (ko) 철도차량 출입문 개폐 알림 장치 및 방법
DK0448017T3 (da) Indretning og fremgangsmåde til åbning af dørene på en elevator
ATE515473T1 (de) Aufzugstürensicherheitseinrichtung
KR100806525B1 (ko) 다단 슬라이딩 스크린 도어장치
KR20120098521A (ko) 전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KR200177123Y1 (ko) 지하철 플랫폼 실족 방지용 안전장치
BR0110753B1 (pt) sistema de elevador com circulação de passageiro tipo escada rolante.
KR102582252B1 (ko)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SU99057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бдительности машиниста
KR100209557B1 (ko) 철도차량의 플랫폼 안전장치
SU991014A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открыванием дверей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езда
KR20080040305A (ko) 정화수단이 구비된 스크린 도어
JP2022023519A (ja) 移動体の乗降促しシステムおよび乗降促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