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248A - 전락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전락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248A
KR20180133248A KR1020187028482A KR20187028482A KR20180133248A KR 20180133248 A KR20180133248 A KR 20180133248A KR 1020187028482 A KR1020187028482 A KR 1020187028482A KR 20187028482 A KR20187028482 A KR 20187028482A KR 20180133248 A KR20180133248 A KR 20180133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link lever
lever portion
fall preven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6437B1 (ko
Inventor
이쿠오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교산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교산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교산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8013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보다 간소하며 염가로 만들 수 있고 내구성에 우수한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또한 전락 방지판의 돌출량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락 방지 장치를 제공할 것. 제1 링크 기구부(40)는, 구동 슬라이더(24)의 직선 운동을 요동단 롤러(46)의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고, 제2 링크 기구부(60)와 연계하여 이것을 요동시킨다. 제2 링크 기구부(60)의 출력단 롤러(67)가, 전락 방지판(16)에 고정된 종동 슬라이더(62)의 가이드 홈(66)에서 계합하여 전락 방지판(16)을 직동시킨다. 전락 방지판(16)의 돌출 완료 상태 및 수납 완료 상태에서는, 롤러 접촉면(64)이 요동단 롤러(46)를 미는 작용력의 방향이 요동단 롤러(46)와 제1 링크 레버부(43)의 요동축(44)을 잇는 직선상이 되어 로크로서 작용한다. 가이드 홈(66)을, 전락 방지판(16)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개략 직교로 한다.

Description

전락 방지 장치
본 발명은, 철도에서의 역의 플랫폼에 설치되어 열차와 플랫폼 사이의 간극을 막는 전락(轉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플랫폼에 전락 방지 장치가 설치되는 역이 증가하고 있다. 플랫폼용의 전락 방지 장치는, 열차에의 승강시에 전락 방지판을 플랫폼으로부터 달아내어 열차와 플랫폼 사이의 간극을 막는 장치이다. 플랫폼용의 전락 방지 장치는, 승강시 이외는 전락 방지판을 플랫폼 측으로 수납하는 한편, 열차에의 승강시에는 이것을 선로 측으로 돌출시켜서 플랫폼과 열차와의 간극을 좁혀서 전락을 방지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5-14805호 공보
플랫폼용의 전락 방지 장치에는, 열차에의 승강시에 전락 방지판이 플랫폼으로부터 뻗어나온 상태에서 승강객이 전락 방지판을 밟은 때의 반력에 의한 전락 방지판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기구나 로크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기구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자력을 이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로크 상태를 천이시키기 위해서는 전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전락 방지판이 돌출 완료 또는 수납 완료에 이르지 않는 상태에서 전원이 끊기면, 전동 구동 기구의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수동 구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전락 방지판이 돌출 또는 수납 도중에서는 열차를 운행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전원이 복구할 때까지 열차의 운행을 재개할 수 없다. 이러한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고장이나 전원 끊김이 발생한 경우에도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지령을 낼 수 있도록 해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백업 전원이 필요하였다.
또한, 플랫폼은 선로의 직선 구간뿐만 아니라, 커브 구간에 마련되는 일이 있다. 커브 구간에 마련된 플랫폼에 전락 방지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차량과 홈과의 간격이 도어의 위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전락 방지판의 돌출량을 설치 위치마다 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전락 방지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설치 위치에 맞춘 전락 방지 장치를 설계·제조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고유의 부품이나 장치의 종류가 증가하여 가격의 증가를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잘못 발주하거나, 현장에서의 조립 미스의 요인이 된다. 특허 문헌 1에서는, 그것을 피하기 위해, 돌출 완료 위치에서 브레이크를 걸고, 제동력으로 전락 방지판을 고정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브레이크의 마모로 제동력이 저하되면 고정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브레이크의 점검이 필요해진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수납 완료 상태로부터 돌출 완료 상태로의 전락 방지판의 돌출 동작에 관해서는, 움직이기 시작함을 재빠르게 효율적으로 행하면서 돌출 완료 상태에 근접할수록 완만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 의거하여 고안된 것으로, 제1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락 방지 장치의 로크 기구로서 기계 구조가 보다 간소하며 염가로 만들 수 있고 내구성에 우수한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로크 기구를 실현하는 것이다. 또한, 전락 방지판의 돌출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그리고, 전락 방지판의 돌출 동작을 재빠르게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전락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의 발명은, 전락 방지판을 궤도측으로 돌출시켜서 플랫폼으로부터의 전락을 방지하는 전락 방지 장치로서 구동 기구부와, 상기 구동 기구부의 구동에 의해 원동단(原動端)이 이동됨으로써, 종동단(從動端)이 요동하는 제1 링크 레버부와, 상기 종동단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입력단부와, 소정의 변위 설치 가능 방향으로 설치 위치를 변경 가능한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단부가 이동됨으로써 요동하는 출력단부를 갖는 제2 링크 레버부와, 상기 롤러부가 전동 가능한 가이드 홈을 가지며, 상기 출력단부의 요동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락 방지판을 진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동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 레버부와 상기 제2 링크 레버부와의 계합 관계가, 상기 전락 방지판이 돌출 완료 상태 및 수납 완료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링크 레버부로부터 상기 제2 링크 레버부로의 순방향의 운동 전달만 유효해지는 역동작 방지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전락 방지판의 진퇴 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개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변위 설치 가능 방향과, 상기 가이드 홈의 방향이 상기 수납 완료 상태에서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된 전락 방지 장치이다.
제2의 발명은, 상기 제2 링크 레버부의 요동축의 중심을 기점으로 상기 출력단부의 중심축과 상기 입력단부의 중심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둔각인, 제1의 발명의 전락 방지 장치이다.
제3의 발명은, 상기 전락 방지판이 진퇴 동작 가능한 범위를, 상기 롤러부의 설치 위치에 응하여 돌출 한계 위치를 가변으로 제한하는 한편, 수납 한계 위치를 고정으로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더 구비한 제1 또는 제2의 발명의 전락 방지 장치이다.
제4의 발명은, 상기 출력단부에는, 상기 롤러부의 회전축에 삽통된 통과볼트에 나사결합하는 복수의 볼트구멍이 상기 변위 설치 가능 방향으로 배설된 제1∼제3의 어느 하나의 발명의 전락 방지 장치이다
제5의 발명은, 상기 출력단부에는, 통과볼트를 상기 롤러부 및 롤러 대좌를 통하여 삽통하는 상기 변위 설치 가능 방향으로 길다란 긴구멍과, 상기 긴구멍의 주위에 마련된 상기 롤러 대좌와 감합하는 감합요철부가 마련된 제1∼제3의 어느 하나의 발명의 전락 방지 장치이다.
제1∼제5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의하면, 전락 방지판이 돌출 완료 상태 및 수납 완료 상태에 있을 때에, 구동 기구부→제1 링크 레버부→제2 링크 레버부로의 순방향의 동력 전달만으로 요동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락 방지판을 돌출/수납시킬 수 있는 전락 방지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전원을 필요로 하는 브레이크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전락 방지판을 돌출 완료 상태로부터 무리하게 수납시키려고 하거나, 수납 완료 상태로부터 무리하게 돌출시키려고 하여도 로크 상태가 된다. 전기 전자 부품이나 전자 제어를 이용하지 않는 분만큼, 로크 기구를 보다 간소하며 염가로 만들 수 있고, 또 내구성에도 우수하다. 게다가, 롤러부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1 링크 레버부 및 제2 링크 레버부에 의한 링크 기구에 관한 요동 운동으로부터 직선 운동으로의 변환율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전락 방지판의 돌출량을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염가로 내구성에 우수한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또한 전락 방지판의 돌출량을 간단히 변경할 수 있는 전락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이 전락 방지판의 진퇴 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개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납 완료 상태로부터 돌출 완료 상태까지의 전락 방지판의 이동 속도는, 돌출량의 설정에 관계없이 제1 링크 레버부의 균등한 회전 각도에 대해, 롤러부는 불균등한 회전 각도로 변화하게 된다. 즉, 전락 방지판은, 재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하고 돌출 완료 상태에 근접함에 따라 천천히 움직이게 된다. 수납 완료 상태에서의 가이드 홈의 방향이 전락 방지판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하고 있는 구성보다도 돌출 동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3의 발명에 의하면, 전락 방지판의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여, 더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롤러부의 변위 설치 가능 방향과, 상기 가이드 홈의 방향이 상기 수납 완료 상태에서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부의 설치 위치에 관계 없이 수납 한계 위치를 항상 고정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동 제한부의 조정 작업은 돌출 한계 위치측의 조정만으로 끝난다.
도 1은 설치 상태에 있는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1) 상면도 및 (2) 측면도.
도 2는 수납 완료 상태에서의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의 내부 구조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1) 상면도 및 (2)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제2 링크 레버부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1) 상면도, (2) 롤러 접촉면측에서 본 측면시 분해도.
도 5는 궤도측 스토퍼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1) 상면도, (2) 측면도.
도 6은 전락 방지판을 이동시키는 원리기구의 확대도로서 (1) 돌출 완료 상태, (2) 수납 완료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출력단 롤러의 설치 위치를 도 6의 상태로부터 변경한 경우의 원리기구의 확대도로서 토출량을 변경 설정한 때의 (1) 돌출 완료 상태, (2) 수납 완료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동 기구부의 수동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출력단 롤러의 설치 위치의 조정 구조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궤도측 스토퍼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궤도측 스토퍼의 변형례(그 2)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궤도측 스토퍼의 변형례(그 3)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을 적용한 한 실시 형태인,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1은, 설치 상태에 있는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1) 상면도, (2) 측면도이다.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는, 역의 플랫폼(2)의 측연 상부에 오목하게 마련된 설치 공간에 고정된다.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는, 설치 공간에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14)과, 그 덮개에 해당하는 천판(12)으로, 궤도측으로 개구하는 박형 직방형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당해 내부 공간에, 전락 방지판(16)을 볼베어링식의 슬라이드 레일(18)로 개략 수평하게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전락 방지판(16)을 구동 기구부(20)에 의해 궤도측/홈측으로 진퇴이동할 수 있다.
열차(4)에의 승강시 이외에서는, 전락 방지판(16)은, 그 궤도측 단(端)이 선로 측으로 규정 위치 이상은 돌출하지 않도록 내부 공간에 수납된 위치에서 이동 억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를 「수납 완료 상태」라고 부른다.
열차(4)에의 승강시에는, 구동 기구부(20)가 작동하는데 수반하여 전락 방지판(16)은 자동적으로 이동 가능 상태로 천이하고, 전락 방지판(16)이 궤도측으로 돌출되어 플랫폼과 열차(4)와의 간극(D)을 좁혀서 승강자가 플랫폼과 열차와의 사이에 전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를 「돌출 완료 상태」라고 부른다. 도 1(1) 및 도 1(2)는, 어느 것이나 이 「돌출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돌출 완료 상태가 되면, 전락 방지판(16)은 이동 가능 상태로부터 이동 억제 상태로 자동적으로 전환되어 전락 방지판(16)측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승강자가 전락 방지판(16)을 밟고 올라타려고 한 때에 생기는 반력 등)에 대항하여 전락 방지판(16)은 현재의 상태 위치를 유지한다. 즉, 로크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승강이 종료되면, 구동 기구부(20)가 반전 동작한다. 전락 방지판(16)이 이동 억제 상태에서도, 구동 기구부(20)의 작동으로부터 시작되는 구동력의 순방향으로의 전달이 시작되면, 자동적으로 전락 방지판(16)은 이동 가능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전달된 동력에 의해 전락 방지판(16)이 홈측으로 이동되어 「수납 완료 상태」로 되돌아와, 자동적으로 전락 방지판(16)은 이동 억제 상태가 된다.
그러면 다음에,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의 내부 구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어 있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수납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는 천판(12), 메인 프레임(14), 전락 방지판(16)을 투시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2(1)은 상면도, 도 2(2)는 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구동 기구부(20)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전기 제어되는 전동 모터(21)와, 전동 모터(21)의 출력축의 회전을 적당하게 감속하는 감속 기구(22)와, 감속 기구(22)의 출력축에 연결된 볼나사부(23)와, 볼나사부(23)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구동 슬라이더(24)와, 볼나사부(23)의 선단을 추지(樞支)하는 축받이(25)를 구비한다. 즉, 전동 모터(21)와 감속 기구(22)는, 볼나사부(23)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로서 기능한다. 볼나사부(23)와 구동 슬라이더(24)는, 직동 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구동 슬라이더(24)는, 후술하는 제1 링크 기구부(40)의 한 기능부이기도 한다. 또한, 직동 기구는 래크 피니언, 체인, 타이밍-벨트 등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구동 기구부(20)에 관련하여, 메인 프레임(14)에는, 볼나사부(23)에 따라 구동 슬라이더(24)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센서가 적절히 마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락 방지판(16)이 돌출 완료 상태에 있을 때의 구동 슬라이더(24)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돌출 완료 검지 센서(30)와, 수납 완료 상태에 있을 때의 구동 슬라이더(24)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납 완료 검지 센서(32)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 완료 검지 센서(30) 및 수납 완료 검지 센서(32)는, 예를 들면 리밋 스위치로 실현되고, 검지 신호를 전동 모터(21)의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출력하고, 전동 모터(21)의 회전 제어에 이용된다.
구동 기구부(20)와 전락 방지판(16)은, 제1 링크 기구부(40) 및 제2 링크 기구부(60)를 통하여 연계한다.
제1 링크 기구부(40)는, 구동 기구부(2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슬라이더(24)의 직선형상의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부로서 구동 슬라이더(24)에 마련된 롤러 가이드(42)와, 요동체인 제1 링크 레버부(43)를 갖는다. 요동체인 제1 링크 레버부(43)가 구동 기구부(20)의 구동에 의해 동작하고, 이에 의해 요동 운동이 생긴다.
제1 링크 레버부(43)는, 상면시로 보면 직선형상을 이루고 있고, 메인 프레임(14)으로부터 개략 수직으로 돌설된 요동축(44)으로 회전 자유롭게 추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링크 레버부(43)는, 구동 기구부(20측의 일단(원동단)에 롤러 가이드(42)의 가이드 홈 내에서 전동하여 연결 접속하는 원동단 롤러(45)를 가지며, 요동축(44)을 끼우고 반대측의 타단(종동단)에 요동단 롤러(46)를 갖는다.
제2 링크 기구부(60)는, 구동 기구부(20)의 구동에 의해 제1 링크 기구부(40)가 동작함으로써 작용하는 요동 운동을, 전락 방지판(16)을 진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동 슬라이더(62)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이고, 제2 링크 레버부(61)와 종동 슬라이더(62)를 갖는다.
제2 링크 레버부(61)는, 상면시로 보면 굴곡형(예를 들면 개략 L자형이나, 개략 ㄱ자 형)를 이루고 있고, 그 굴곡부에, 메인 프레임(14)으로부터 개략 수직으로 돌설된 요동축(63)으로 회전 자유롭게 추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링크 레버부(61)는, 굴곡부보다도 구동 기구부(20측의 일단부(제1 링크 레버부(43) 가까이의 단부 : 입력단부)에, 제1 링크 기구부(40)의 요동단 롤러(46)가 접촉하여 전동하기 위한 롤러 접촉면(64)을 갖는다. 또한, 제2 링크 레버부(61)는, 타단부(출력단부)에, 종동 슬라이더(62)의 하면에 마련된 가이드 홈(66)의 가이드 홈 내에서 전동하는 출력단 롤러(67)를 갖는다. 그리고, 이 출력단 롤러(67)의 설치 위치는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종동 슬라이더(62)는, 전락 방지판(16)의 이면에 고정된 슬라이드 레일(18)의 레일 이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 홈(66)은 전락 방지판(16)의 진퇴 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개략 직교하는 방향의 홈을 형성하고 있다.
도 2(2)의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링크 레버부(61)의 롤러 접촉면(64)은, 상면시로 개략 U자형상의 전환면(64a)과, 당해 전환면의 양단부터 당해 레버의 회전 방향 각각을 향하여 이어지는 돌출 완료 상태 쇄정면(64b) 및 수납 완료 상태 쇄정면(64c)을 갖는다.
수납 완료 상태 쇄정면(64c)은, 수납 완료 상태의 제1 링크 레버부(43)와 제2 링크 레버부(61)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제1 링크 레버부(43)의 요동축(44)을 중심으로 하는 곡면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링크 기구부(40)와 제2 링크 기구부(60)와의 수납 완료 상태에서의 소정의 대우 관계의 기하학적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되어 있고, 수납 완료 상태 쇄정면(64c)에서의 요동단 롤러(46)의 접촉 위치가, 요동단 롤러(46)와 요동축(44)을 잇는 직선상(또는 개략 직선상)이 된다.
이 결과, 수납 완료 상태에 있을 때, 전락 방지판(16)을 이동 억제 상태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수납 상태에 있는 전락 방지판(16)에 대해, 돌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작용력(F1)(도 2(2) 중의 큰 흰 화살표)이 생기면, 종동 슬라이더(62)가 출력단 롤러(67)를 돌출 방향(궤도 방향)으로 민다. 이에 수반하여 제2 링크 레버부(61)에는 시계방향의 토오크가 생기고, 롤러 접촉면(64)이 제1 링크 레버부(43)의 요동단 롤러(46)를 작용력(F2)(도 2(2) 중의 굵은 검은 화살표)으로 민다. 그러나, 전술한 기하학적 관계에 의해 작용력(F2)의 방향은, 요동단 롤러(46)와 요동축(44)을 잇는 직선 방향이 된다. 그 때문에, 작용력(F2)은 요동축(44)에 의해 유지되고 제1 링크 레버부(43)를 회전시키는 일은 없다. 즉, 로크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돌출 완료 상태 쇄정면(64b)은, 돌출 완료 상태의 제1 링크 레버부(43)와 제2 링크 레버부(61)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제1 링크 레버부(43)의 요동축(44)을 중심으로 하는 곡면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링크 기구부(40)와 제2 링크 기구부(60)와의 돌출 완료 상태에서의 소정의 대우 관계의 기하학적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되어 있고, 돌출 완료 상태 쇄정면(64b)에서의 요동단 롤러(46)와의 접촉 위치가, 요동단 롤러(46)와 요동축(44)을 잇는 직선상(또는 개략 직선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돌출 완료 상태에서의 전락 방지판(16)을 이동 억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2 링크 레버부(61)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1) 상면도, (2) 롤러 접촉면(64)측에서 본 측면시 분해도이다.
제2 링크 레버부(61)의 출력단부에는, 요동축(63)의 삽통구멍(611)부터의 거리를 바꾼 복수의 볼트구멍(612)이 변위 설치 가능 방향(L)에 따라 직렬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위 설치 가능 방향(L)은, 요동축(63)의 삽통구멍(611), 보다 구체적으로는 요동축(63)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트구멍(612)은 3개이지만, 그 수는 복수라면 몇개라도 좋다. 볼트구멍(612) 사이의 간격도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복수의 볼트구멍(612) 중 어느 하나에 출력단 롤러(67)가 장착된다.
출력단 롤러(67)는, 예를 들면, 배어링의 외주에 수지환(樹脂環)을 감입한 롤러 본체(671)와, 높이 조정용의 롤러 대좌(672)를 통과볼트(673)로 동축으로 삽통하여 볼트구멍(612)에 나사결합시켜 설치된다. 출력단 롤러(67)를 어느 볼트구멍(612)에 고정하는지로, 제2 링크 기구부(60)에 의한 레버비(즉 요동 운동으로부터 직선 운동으로의 변환율)를 변경하여, 전락 방지판(16)의 돌출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 레버부(61)의 요동축의 삽통구멍(611)의 중심부터 출력단부의 중심축인 변위 설치 가능 방향(L)과, 삽통구멍(611)의 중심부터 입력단부의 롤러 접촉면(64)의 중심축(M)(돌출 완료 상태 쇄정면(64b)·전환면(64a)·수납 완료 상태 쇄정면(64c)의 3개 면의 연접 방향의 중심축의 뜻)은 둔각을 이루고 있다.
제2 링크 기구부(60)의 레버비 변경에 의해 전락 방지판(16)의 돌출량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 것에 대응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락 방지판(16)의 진퇴 동작이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제한부로서 메인 프레임(14)의 저면에는, 전락 방지판(16)의 이동 방향(진퇴 동작 방향)에 따라 궤도측 스토퍼(72k)와 홈측 스토퍼(72h)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전락 방지판(16)의 하면에는, 전락 방지판(16)의 이동 방향(진퇴 동작 방향)에 따라 궤도측 계합 돌기(76k)와 홈측 계합 돌기(76h)가 하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전락 방지판(16)이 돌출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윽고 궤도측 계합 돌기(76k)가 그 궤도측의 측면에서 궤도측 스토퍼(72k)(또는 스페이서(73))와 당접·계합하여 돌출 한계 위치를 규제한다. 반대로, 전락 방지판(16)이 수납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윽고 홈측 계합 돌기(76h)가 그 홈측의 측면에서 홈측 스토퍼(72h)와 당접·계합하여 수납 한계 위치를 규제한다. 즉, 궤도측 스토퍼(72k)와 홈측 스토퍼(72h)에 끼여진 거리가 전락 방지판(16)의 이동 제한 거리가 된다.
그리고, 궤도측 스토퍼(72k)의 홈측의 측면에는, 이동 제한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스페이서(73)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궤도측 스토퍼(72k)를 상면시로 보면, 그 홈측 측면에는 연직 방향의 계합 홈(721)이 마련되어 있다. 계합 홈(721)은, 스페이서(73)의 계합 돌기부(731)가 연직 방향으로는 삽탈 가능하지만, 수평 방향으로는 삽탈 불능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스페이서(73)는, 조정 두께(W)(전락 방지판(16)의 이동 방향 두께)가 다른 복수종류가 준비되어 있고, 궤도측 스토퍼(72k)에 장착하는 스페이서(73)의 종류(장착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제2 링크 기구부(60)의 레버비의 설정 즉 출력단 롤러(67)를 어느 볼트구멍(612)에 장착하는지에 응하여 선택함으로써, 전락 방지판(16)의 이동 제한 거리를 적당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락 방지판(16)의 돌출량의 조정 작업은,
순서 [1] : 천판(12)을 벗기고,
순서 [2] : 전락 방지판(16)을 슬라이드 레일(18)로부터 떼어내고,
순서 [3] : 슬라이드 레일(18) 및 종동 슬라이더(62)를 떼어내고,
순서 [4] : 출력단 롤러(67)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고,
순서 [5] 스페이서(73)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물론, 순서 [1]부터 순서 [3]를 에너지 절약화 하기 위해, 천판(12)이나 전락 방지판(16)에, 출력단 롤러(67)의 장착 위치를 변경 작업하기 위한 제1 개폐 덮개부(조정창, 점검구 등이라고 불러도 좋다.)와, 스페이서(73)를 변경하기 위한 제2 개폐 덮개부를 각각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러면 다음에,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전락 방지판(16)을 이동시키는 원리기구의 확대도로서 (1) 돌출 완료 상태, (2) 수납 완료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6(1)의 예에서는, 출력단 롤러(67)가 제2 링크 레버부(61)의 요동축(63)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볼트구멍(612)(도 4 참조)에 장착되고, 또한, 궤도측 스토퍼(72k)에 스페이서(73)가 장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락 방지판(16)의 돌출량은 최대가 된다.
그리고, 돌출 완료 상태에 있는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에서는, 롤러 접촉면(64)이 돌출 완료 상태 쇄정면(64b)에 제1 링크 레버부(43)의 요동단 롤러(46)가 당접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제2 링크 레버부(61)로부터 제1 링크 레버부(43)에의 역방향의 동력 전달에 의해 링크 기구가 작동하는 일은 없다. 즉, 전락 방지판(16)과 구동 기구부(20)를 연결하는 링크 기구는 로크 상태에 있고, 전락 방지판(16)은 쇄정되어 있다.
전락 방지판(16)을 수납하기 위해, 전동 모터(21)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구동 슬라이더(24)는 (도 6에서 말하는 바의 하방으로) 이동되고, 구동 슬라이더(24)의 롤러 가이드(42)로 계합하는 원동단 롤러(45)도 이동된다. 이에 의해, 제1 링크 레버부(4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요동단 롤러(46)가 돌출 완료 상태 쇄정면(64b)으로부터 전환면(64a)으로 이동한다. 즉, 돌출 완료 상태에서의 링크 기구의 로크 상태는 자동적으로 또한 스무스하게 해제된다.
그리고, 요동단 롤러(46)가 전환면(64a)으로 이동하면, 전환면(64a)이 이루는 상면시로 개략 U자형의 내측에 요동단 롤러(46)가 들어가, 제1 링크 레버부(43)의 회전 운동이 제2 링크 레버부(6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 링크 레버부(6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출력단 롤러(67)는 상대적으로 홈측으로 이동하고, 종동 슬라이더(62) 및 전락 방지판(16)을 홈측으로 이동시킨다.
전동 모터(21)의 회전 구동이 계속되면, 이윽고 요동단 롤러(46)가 전환면(64a)으로부터 빠져서 수납 완료 상태 쇄정면(64c)으로 이동하고, 구동 슬라이더(24)가 소정의 수납 완료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이르면 전동 모터(21)가 정지되고, 도 6(2)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수납 완료 상태에 있는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에서는, 롤러 접촉면(64)의 수납 완료 상태 쇄정면(64c)에 제1 링크 레버부(43)의 요동단 롤러(46)가 당접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제2 링크 레버부(61)로부터 제1 링크 레버부(43)에의 역방향의 동력 전달에 의해 링크 기구가 작동하는 일은 없다. 즉, 전락 방지판(16)과 구동 기구부(20)를 연결하는 링크 기구는 로크 상태에 있고, 전락 방지판(16)은 쇄정되어 있다.
또한, 수납 완료 상태에 있을 때, 제2 링크 레버부(61)의 복수의 볼트구멍(612)의 배열 방향(변위 설치 가능 방향(L))과, 종동 슬라이더(62)의 가이드 홈(66)의 홈 방향이 평행 또는 개략 평행하게 된다.
도 6(2)의 상태로부터, 전락 방지판(16)을 돌출시키기 위해, 전동 모터(21)가 앞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구동 슬라이더(24)는 (도 6에서 말하는 바의 상방으로) 이동되고, 롤러 가이드(42)와 계합하는 원동단 롤러(45)도 이동된다. 이에 의해, 제1 링크 레버부(4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요동단 롤러(46)가 수납 완료 상태 쇄정면(64c)으로부터 전환면(64a)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수납 완료 상태에서의 링크 기구의 로크 상태가 자동적으로 또한 스무스하게 해제되고, 이윽고 도 6(1)의 돌출 완료 상태로 되돌아온다.
도 7은, 출력단 롤러(67)의 설치 위치를 도 6으로부터 변경한 경우, 즉 돌출량을 변경한 때의, 전락 방지판(16)을 이동시키는 원리기구의 확대도로서 (1) 돌출 완료 상태, (2) 수납 완료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6(1)와 도 7(1)을 비교하면, 출력단 롤러(67)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에 의해, 도 7의 쪽이 종동 슬라이더(62)의 돌출량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궤도측 스토퍼(72k)에 스페이서(73)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도 6(2)와 도 7(2)를 비교하면, 수납 완료 상태에서의 제2 링크 레버부(61)의 자세도 양 도면에서 같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 완료 상태에 있을 때, 제2 링크 레버부(61)의 복수의 볼트구멍(612)의 배열 방향(변위 설치 가능 방향(L))과, 종동 슬라이더(62)의 가이드 홈(66)의 가이드 홈 방향이 평행 또는 개략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출력단 롤러(67)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도, 수납 완료 상태에서의 종동 슬라이더(62)의 수납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돌출량을 설정 변경할 때, 홈측 스토퍼(72h)나 홈측 계합 돌기(76h)에 관한 조정은 불필요하다.
여기서 수납 완료 상태로부터 돌출 완료 상태까지의 전락 방지판(16)의 이동 속도에 주목하면, 수납 완료 상태에서의 종동 슬라이더(62)의 가이드 홈(66)의 가이드 홈 방향이 전락 방지판(16)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개략 직교가 되기 때문에, 제1 링크 레버부(43)의 균등한 회전 각도에 대해, 출력단 롤러(67)는 불균등한 회전 각도로 변화하게 된다. 즉, 재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하여 돌출 완료 상태에 근접함에 따라 천천히 움직이게 된다. 수납 완료 상태에서의 종동 슬라이더(62)의 가이드 홈(66)의 가이드 홈 방향이 전락 방지판(16)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하고 있는 구성보다도 돌출 동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속 기구(22)에 수동식 핸들(90)을 장착하여 치차기구(92)를 수동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에의 전원이 차단된 때에는, 수동식 핸들(90)을 치차기구(92)의 연결구멍(94)에 삽입하여 연결시킴으로써, 볼나사부(23)를 전력 없이 회전시킬 수 있다. 천판(12)에, 천판(12) 전체를 벋기지 않더라도 연결구멍(94)에 액세스할 수 있는 소형의 문부(扉部)를 마련하여 두면 더욱 알맞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락 방지판(16)의 이동 억제 상태(로크 작동 상태)와 이동 가능 상태(로크 해제 상태)를 기계적인 구조로 실현하였다. 이에 의해, 전자 브레이크 등을 불필요하게 하여 로크 상태를 천이시키기 위한 전력을 불필요하게 하였다. 또한, 기구적으로 로크 작동/해제를 실현하였기 때문에, 부품의 열화의 정도를 일견(一見)해서 식별 가능하게 하여 보수 점검의 작업 공수를 저감하고,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 레버부(61)의 출력단부에서의 출력단 롤러(67)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과 함께, 궤도측 계합 돌기(76k)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사양의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라도, 전락 방지판(16)의 돌출량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선로의 커브 구간에 플랫폼(2)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 설치하는 설치 장소와 열차(4)와의 간극은 설치 장소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경우에 본 실시 형태는 유용한다. 즉, 전락 방지판(16)의 돌출량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설치 장소에 응한 다른 돌출량의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를, 현장에서 구성할 수 있고,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10)의 제조 비용의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완료 상태로부터 돌출 완료 상태로의 전락 방지판(16)의 돌출 동작에 관해서는, 움직이기 시작하고 를 재빠르게 효율적으로 행하면서 돌출 완료에 근접한 정도 완만해지도록 할 수 있다.
[변형례]
또한, 본 발명의 형태는 본 실시 형태로 한하지 않고, 적절히 구성 요소의 추가·생략·변경을 시행할 수 있다.
[그 1]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볼나사부(23)와 구동 슬라이더(24)로 구성되는 직동 기구는, 래크·앤드·피니언에 의한 직동 기구나, 벨트 구동에 의한 직동 기구로 치환할 수 있다.
[그 2]
또한, 출력단 롤러(67)의 설치 위치의 조정 구조는, 볼트구멍(612)의 수와 위치에 의한 방식으로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단 롤러(67)의 부착 범위에 따라 통과볼트(673)를 삽통시킬 수 있는 긴구멍(613)을, 그 길이 방향(변위 설치 가능 방향(L))이 수납 완료 상태에서의 종동 슬라이더(62)의 가이드 홈(66)의 홈 방향과 평행 또는 개략 평행하게 되도록 마련한다. 그리고, 그 주위에 감합요철부(614)를 마련한다. 통과볼트(673)는, 롤러 본체(671) 및 롤러 대좌(672)를 통하여 긴구멍(613)에 삽통된다. 그리고, 롤러 대좌(672)에도 이 요철과 감합하는 돌기부(674)를 마련하고, 감합요철부(614)와 돌기부(674)에 따른 감합 위치에서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감합요철부(614)의 요철 간격에 응하여, 출력단 롤러(67)의 위치를 상기 실시 형태보다도 미조정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에 응하여 궤도측 스토퍼(72k)를 미조정 가능하게 하면 알맞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궤도측 스토퍼(72k)를, 기부(722)와, 계합체(723)를 갖는 구성으로 한다.
기부(722)는 메인 프레임(14)의 저부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계합체(723)는, 조정 볼트(725)를 일체로 구비한다. 기부(722) 및 스페이서(73)에는 조정 볼트(725)의 삽통구멍이 뚫려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73)를 기부(722)와의 사이에 끼우고, 조정 볼트(725)와 너트(727)로 일체로 고정한다. 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0의 구성에서 스페이서(73)를 생략하고 2개의 너트(727)로 계합체(723)를 기부(722)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3]
또한, 궤도측 스토퍼(72k)와 스페이서(73)와의 계합 형상은 도 5의 예로 한하지 않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타의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2 : 플랫폼 10 : 플랫폼용 전락 방지 장치
12 : 천판 14 : 메인 프레임
16 : 전락 방지판 18 : 슬라이드 레일
20 : 구동 기구부 21 : 전동 모터
22 : 감속 기구 23 : 볼나사부
24 : 구동 슬라이더 25 : 축받이
40 : 제1 링크 기구부 42 : 롤러 가이드
43 : 제1 링크 레버부 44 : 요동축
45 : 원동단 롤러 46 : 요동단 롤러
60 : 제2 링크 기구부 61 : 제2 링크 레버부
611 : 삽통구멍 612 : 볼트구멍
613 : 긴구멍 614 : 감합요철부
62 : 종동 슬라이더 63 : 요동축
64 : 롤러 접촉면 64a : 전환면
64b : 돌출 완료 상태 쇄정면 64c : 수납 완료 상태 쇄정면
66 : 가이드 홈 67 : 출력단 롤러
671 : 롤러 본체 672 : 롤러 대좌
673 : 통과볼트 72k : 궤도측 스토퍼
73 : 스페이서 90 : 수동식 핸들
92 : 치차기구 94 : 연결구멍
L : 변위 설치 가능 방향

Claims (5)

  1. 전락 방지판을 궤도측으로 돌출시켜서 플랫폼으로부터의 전락을 방지하는 전락 방지 장치로서,
    구동 기구부와,
    상기 구동 기구부의 구동에 의해 원동단이 이동됨으로써, 종동단이 요동하는 제1 링크 레버부와,
    상기 종동단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입력단부와, 소정의 변위 설치 가능 방향으로 설치 위치를 변경 가능한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단부가 이동됨으로써 요동하는 출력단부를 갖는 제2 링크 레버부와,
    상기 롤러부가 전동 가능한 가이드 홈을 가지며, 상기 출력단부의 요동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락 방지판을 진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동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 레버부와 상기 제2 링크 레버부와의 계합 관계가, 상기 전락 방지판이 돌출 완료 상태 및 수납 완료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링크 레버부로부터 상기 제2 링크 레버부로의 순방향의 운동 전달만 유효해지는 역동작 방지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전락 방지판의 진퇴 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개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변위 설치 가능 방향과, 상기 가이드 홈의 방향이 상기 수납 완료 상태에서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레버부의 요동축의 중심을 기점으로 상기 출력단부의 중심축과 상기 입력단부의 중심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락 방지판이 진퇴 동작 가능한 범위를, 상기 롤러부의 설치 위치에 응하여 돌출 한계 위치를 가변으로 제한하는 한편, 수납 한계 위치를 고정으로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부에는, 상기 롤러부의 회전축에 삽통된 통과볼트에 나사결합하는 복수의 볼트구멍이 상기 변위 설치 가능 방향으로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부에는, 통과볼트를 상기 롤러부 및 롤러 대좌를 통하여 삽통하는 상기 변위 설치 가능 방향으로 길다란 긴구멍과, 상기 긴구멍의 주위에 마련된 상기 롤러 대좌와 감합하는 감합요철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KR1020187028482A 2016-03-24 2016-03-24 전락 방지 장치 KR102076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59336 WO2017163354A1 (ja) 2016-03-24 2016-03-24 転落防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248A true KR20180133248A (ko) 2018-12-13
KR102076437B1 KR102076437B1 (ko) 2020-02-11

Family

ID=5990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482A KR102076437B1 (ko) 2016-03-24 2016-03-24 전락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47334B2 (ko)
EP (1) EP3434548B1 (ko)
JP (1) JP6543411B2 (ko)
KR (1) KR102076437B1 (ko)
CN (1) CN108883778B (ko)
AU (1) AU2016398721B2 (ko)
PL (1) PL3434548T3 (ko)
WO (1) WO20171633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39A (ko) * 2020-06-09 2021-12-16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398720B2 (en) 2016-03-24 2022-04-07 Kyosan Electric Mfg. Co., Ltd. Gap filler
CN112977514B (zh) * 2021-03-01 2022-07-08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传动装置及轨道车辆
CN112977508B (zh) * 2021-03-01 2022-07-08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传动装置、轨道车辆及交通枢纽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608Y1 (ko) * 1998-04-07 2000-09-01 장근대 컴퓨터 책상용 각도 조절구
JP2005014805A (ja) 2003-06-27 2005-01-20 Kyosan Electric Mfg Co Ltd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JP2007022335A (ja) * 2005-07-15 2007-02-01 Asmo Co Ltd 昇降装置
KR20080016491A (ko) * 2006-08-18 2008-02-21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랫폼용 스텝 장치
JP2014125060A (ja) * 2012-12-26 2014-07-07 Kyosan Electric Mfg Co Ltd プラットホーム用転落防止装置
JP2015143052A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京三製作所 転落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759A (en) * 1914-09-08 1915-08-10 Frank Hedley Safety platform mechanism.
US2118557A (en) * 1936-08-17 1938-05-24 Vinton H Rowlett Retractable step for vehicles
US3887217A (en) * 1972-06-23 1975-06-03 Walter W Thomas Retractable step for vehicles
US3833240A (en) * 1972-11-17 1974-09-03 R Weiler Retractable step for use with trailers, motor homes, or other vehicles
US4110673A (en) * 1976-07-19 1978-08-29 Kwikee Enterprises, Inc. Extendable vehicle step and step motor control system
US4116457A (en) * 1977-08-31 1978-09-26 Nerem Marvin E Step assembly for vehicle
FR2733215B1 (fr) * 1995-04-21 1997-06-13 Fluidelec Sa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chargement et le dechargement d'un conteneur amovible transporte par un chariot automoteur mobile sur des rails
DE60002443T2 (de) * 1999-02-23 2004-03-18 Decoma Exterior Trim Inc., Concord Trittbrett als selbstständig ausfahrbares modul
JP5401084B2 (ja) * 2008-11-28 2014-01-2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JP5400422B2 (ja) * 2009-02-26 2014-01-2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US8297635B2 (en) * 2009-04-20 2012-10-30 Michael P. Ziaylek Automated retractable step apparatus
JP5546215B2 (ja) * 2009-11-19 2014-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CN104554284B (zh) * 2014-11-10 2017-06-20 上海嘉成轨道交通安全保障系统股份公司 一种轨道交通站台安全踏板
AU2016398720B2 (en) 2016-03-24 2022-04-07 Kyosan Electric Mfg. Co., Ltd. Gap fill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608Y1 (ko) * 1998-04-07 2000-09-01 장근대 컴퓨터 책상용 각도 조절구
JP2005014805A (ja) 2003-06-27 2005-01-20 Kyosan Electric Mfg Co Ltd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JP2007022335A (ja) * 2005-07-15 2007-02-01 Asmo Co Ltd 昇降装置
KR20080016491A (ko) * 2006-08-18 2008-02-21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랫폼용 스텝 장치
JP2014125060A (ja) * 2012-12-26 2014-07-07 Kyosan Electric Mfg Co Ltd プラットホーム用転落防止装置
JP2015143052A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京三製作所 転落防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39A (ko) * 2020-06-09 2021-12-16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WO2021251607A1 (ko) * 2020-06-09 2021-12-16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163354A1 (ja) 2019-01-31
KR102076437B1 (ko) 2020-02-11
EP3434548B1 (en) 2021-01-27
US20190092350A1 (en) 2019-03-28
WO2017163354A1 (ja) 2017-09-28
AU2016398721A1 (en) 2018-11-08
US10647334B2 (en) 2020-05-12
EP3434548A4 (en) 2019-04-24
EP3434548A1 (en) 2019-01-30
AU2016398721B2 (en) 2022-03-10
CN108883778A (zh) 2018-11-23
CN108883778B (zh) 2020-01-07
JP6543411B2 (ja) 2019-07-10
PL3434548T3 (pl)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3248A (ko) 전락 방지 장치
KR20180133247A (ko) 전락 방지 장치
KR20180130510A (ko) 전락 방지 장치
US8327733B2 (en) Pivoting locking device for an adjustable steering column
JP6109866B2 (ja) 転落防止装置
RU2011108464A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мка блокировки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я
JP5688170B1 (ja) 転落防止装置
JP2011105193A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JP6081192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転落防止装置
EP2026367A3 (en) Safety switch
US9827949B2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JP6277509B2 (ja) 電子錠
JP5668186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5420444B2 (ja) 錠前
EP3708879B1 (en) Parking lock actuator
KR20090055801A (ko) 리미트 스위치의 센싱 범위 조정장치
JP6629679B2 (ja) 転落防止装置
ITTV20060027A1 (it) Attuatore elettromeccanico per la movimentazione di cancelli o barriere di tipo sim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