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973A -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973A
KR20120139973A KR1020110059543A KR20110059543A KR20120139973A KR 20120139973 A KR20120139973 A KR 20120139973A KR 1020110059543 A KR1020110059543 A KR 1020110059543A KR 20110059543 A KR20110059543 A KR 20110059543A KR 20120139973 A KR20120139973 A KR 20120139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frame
safety
cover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4946B1 (ko
Inventor
한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946B1/ko
Priority to CN201110364836.6A priority patent/CN102837704B/zh
Publication of KR2012013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01F1/005Portable or movable traffic-area platforms or islands, e.g. portable loading islands, retractable platforms for traffic-directing offi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는 승강장 안전발판이 자동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승강장 측에서 간편하게 수동으로 작동시키면서 비상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는, 승강장 측에 설치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면을 덮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안전발판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웜샤프트와, 상기 웜샤프트와 연계되어 회전되면서 그 일측에 결합된 안전발판을 프레임 전방으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웜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웜샤프트의 단부 측에는 베벨기어가 설치되고, Y축 베벨기어 상측에는 상기 커버 표면에서 베벨기어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개폐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MANUAL RELEASE DEVICE FOR MECHANICAL GAP FILLER}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는 승강장 안전발판이 비상 시 또는 정전 시 등에 자동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승강장 측에서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 및 지하철 역사 등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일정 높이의 승강장이 구비되며, 상기 선로에 전동차가 정차한 상태에서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틈이 발생되게 되며, 특히 해당 역사의 특성상 승강장이 곡선형태로 설계된 경우에는 상기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이 넓게 형성되게 된다.
이에, 상기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에 승객의 발 등이 빠짐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승강장 안전발판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차의 정차 시에 승강장에 설치된 프레임(10)으로부터 안전발판(20)이 자동으로 인출되면서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에 설치되어 발판 역할을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승강장 안전발판은 스윙타입이나 실린더 경첩타입 등으로 설계되어 승강장에 적용되고 있는데, 상술한 종래의 승강장 안전발판에 있어서는 별도의 수동개폐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장치의 고장이나 정전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에 승강장 안전발판의 개폐를 위해서는 손으로 발판을 밀어넣거나 커버를 개방시켜 수동 조작을 행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는 비상상황 발생 시에 대응시간을 지체시킴과 아울러, 장치에 지식이 없는 비전문가의 즉각적인 현장 대처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는 승강장 안전발판이 자동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승강장 측에서 간편하게 수동으로 작동시키면서 비상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는, 승강장 측에 설치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면을 덮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안전발판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웜샤프트와, 상기 웜샤프트와 연계되어 회전되면서 그 일측에 결합된 안전발판을 프레임 전방으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웜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웜샤프트의 단부 측에는 베벨기어가 설치되고, Y축 베벨기어 상측에는 상기 커버 표면에서 베벨기어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개폐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동개폐장치는, 상기 프레임 내에 고정 설치되어 수동개폐장치를 지지하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설치홀 내에 고정되는 상.하가 관통된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볼베어링과, 상기 볼베어링을 관통한 상태로 하단이 Y축 베벨기어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에는 공구결합부가 형성되어 커버 표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 측에 위치하는 공구결합부는 덮개에 의해 은폐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구결합부 및 덮개에 구비된 잠금장치는 동일한 규격의 사각키를 매개로 조작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는 승강장 안전발판이 고장 또는 정전 등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승강장 측에서 수동으로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비상상황 발생 시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게 됨은 물론,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승강장 안전발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가 적용된 승강장 안전발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가 적용된 승강장 안전발판의 덮개 및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가 적용된 승강장 안전발판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가 적용된 승강장 안전발판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에 사각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의 수동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가 적용된 승강장 안전발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가 적용된 승강장 안전발판의 덮개 및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가 적용된 승강장 안전발판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가 적용된 승강장 안전발판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에 사각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의 수동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는, 지하철 역사에 설치되어 전동차 진입 시 자동으로 인출되면서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을 제거하는 승강장 안전발판의 고장 시, 이를 승강장 측에서 수동으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에 의해 구현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가 적용되는 승강장 안전발판은 지하철 역사의 각 승차지점에 구비되는데, 각 승차지점에는 그 내부에 소정 공간부가 형성된 대략 넓적한 직사각형틀 형태의 프레임(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은 그 상면에 덮어지는 커버(12)를 통해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는 소정 구동수단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는 구조로 안전발판(20)이 설치되어, 전동차의 진입 시 상기 안전발판(20)을 매개로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안전발판(20)을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0)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30)의 회전축에는 그와 연동되는 웜샤프트(40)가 설치되며, 상기 웜샤프트(40)에는 그와 연동되도록 웜휠(5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참조부호 42는 상기 웜샤프트(40)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베이링구조를 갖는 고정부재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웜휠(50)에는 상기 안전발판(20)이 그 일측의 연결부(22)를 통해 링크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30) 구동에 따라 상기 웜휠(50)이 일정 각도만큼 회전됨에 따라, 그와 연계하여 안전발판(20)이 연동되면서 상기 프레임(10) 전방으로 선택적으로 인출 및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승강장 안전발판에는 상기 안전발판(20)을 수동으로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한 수동개폐장치(60)가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웜샤프트(40)의 단부 측에는 베벨기어(62)가 설치되며, 이때 X축 베벨기어(62a)는 상기 웜샤프트(40)의 단부 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X축 베벨기어(62a)와 맞물린 Y축 베벨기어(62b)의 상측에는 상기 커버(12) 표면에서 베벨기어(62)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소정 조작부재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개폐장치(60)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프레임(10) 내에 고정 설치되어 수동개폐장치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되 판형의 부재가 절곡 형성되어 그 측면이 대략 "
Figure pat00001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로 관통된 설치홀(64a)을 갖는 브라켓트(64)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트(64)의 설치홀(64a)을 통해 상.하가 관통된 원통형상의 하우징(66) 및, 상기 하우징(66)에 고정되는 볼베어링(68)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볼베어링(68)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베벨기어(62)의 수동조작을 위한 샤프트(70)가 설치되는데, 상기 샤프트(70)는 그 하단이 Y축 베벨기어(62b)에 연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그 상단은 공구결합부(72)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커버(12) 표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70)의 공구결합부(72)는 덮개(14)에 의해 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구결합부(72) 및 덮개(14)에 구비된 잠금장치(16)는 동일한 규격의 사각키(100)를 매개로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특정 구조의 수동개폐장치(60)가 적용된 승강장 안전발판은 해당 역사로 전동차가 진입할 시에 소정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프레임(10) 내부의 모터(30)가 구동되면서, 상기 모터(30)의 구동력이 웜샤프트(40) 및 웜휠(50)을 통해 링크구조로 연결된 안전발판(20) 측에 전달되면서 상기 안전발판(20)이 상기 프레임(10) 전방의 개방구를 통해 인출되어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정전이나 고장 등의 비상상황 발생에 따라, 상기 안전발판(20)을 수동개폐장치(6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커버(12)에 구비된 덮개(14)의 잠금장치(16)를 사각키(100)로 이루어진 특정 공구를 매개로 해정시켜 상기 덮개(14)를 커버(12)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16)와 동일한 규격을 갖는 샤프트(70)의 공구결합부(72)에 사각키(100)로 이루어진 공구를 결합하여 샤프트(70)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사각키(100)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은 샤프트(70)로부터 Y축 베벨기어(62b) 및 X축 베벨기어(62a)를 거쳐 웜샤프트(40)에 전달되게 되고, 상기 웜샤프트(40)의 회전에 따라 웜휠(50)이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그와 연결된 안전발판(20)을 인출 또는 인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관리자는 승강장 안전발판이 자동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사각키(100)를 이용한 수동개폐장치(60)의 조작을 통해 안전발판(20)을 프레임(1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인출 및 인입시키면서 비상상황 발생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프레임, 12: 커버,
14: 덮개, 16: 잠금장치,
20: 안전발판, 22: 연결부,
30: 모터, 40: 웜샤프트,
42: 고정부재, 50: 웜휠,
60: 수동개폐장치, 62: 베벨기어,
64: 브라켓트, 64a: 설치홀,
66: 하우징, 68: 볼베어링,
70: 샤프트, 72: 공구결합부,
100: 사각키.

Claims (3)

  1. 승강장 측에 설치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면을 덮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안전발판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웜샤프트와, 상기 웜샤프트와 연계되어 회전되면서 그 일측에 결합된 안전발판을 프레임 전방으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웜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웜샤프트의 단부 측에는 베벨기어가 설치되고, Y축 베벨기어 상측에는 상기 커버 표면에서 베벨기어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개폐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개폐장치는,
    상기 프레임 내에 고정 설치되어 수동개폐장치를 지지하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설치홀 내에 고정되는 상.하가 관통된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볼베어링과,
    상기 볼베어링을 관통한 상태로 하단이 Y축 베벨기어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에는 공구결합부가 형성되어 커버 표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측에 위치하는 공구결합부는 덮개에 의해 은폐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구결합부 및 덮개에 구비된 잠금장치는 동일한 규격의 사각키를 매개로 조작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KR1020110059543A 2011-06-20 2011-06-20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KR101274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543A KR101274946B1 (ko) 2011-06-20 2011-06-20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CN201110364836.6A CN102837704B (zh) 2011-06-20 2011-11-11 用于手动收回/展开月台安全踏板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543A KR101274946B1 (ko) 2011-06-20 2011-06-20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973A true KR20120139973A (ko) 2012-12-28
KR101274946B1 KR101274946B1 (ko) 2013-06-17

Family

ID=4736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543A KR101274946B1 (ko) 2011-06-20 2011-06-20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4946B1 (ko)
CN (1) CN102837704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949A (ko) * 2016-11-07 2018-05-16 김병래 승강장 안전발판의 구동장치
CN109733417A (zh) * 2019-03-05 2019-05-10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列车站台伸缩踏板装置
WO2020177161A1 (zh) * 2019-03-05 2020-09-10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一种锁定装置
KR20210152839A (ko) * 2020-06-09 2021-12-16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2754B2 (ja) * 2018-06-04 2022-09-07 日本信号株式会社 ホームステップ装置
CN108974023A (zh) * 2018-07-20 2018-12-11 长春冠信瑞达轨道客车配件有限公司 一种地铁司机室用脚踏
KR200489413Y1 (ko) 2019-01-22 2019-06-18 세원오토 주식회사 승강장의 안전발판
CN111516709B (zh) * 2020-05-09 2021-02-09 吴婷婷 一种用于轨道站台的支撑踏板及其使用方法
KR102214963B1 (ko) 2020-11-05 2021-02-10 이민서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2370B2 (ja) 2001-03-16 2007-07-11 株式会社京三製作所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KR20050010181A (ko) * 2003-07-18 2005-01-27 김정동 승강장의 안전장치
KR20060016565A (ko) * 2004-08-18 2006-02-22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전동차 출입문 안전발판
JP4846485B2 (ja) * 2006-08-18 2011-12-28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KR100929482B1 (ko) 2008-09-08 2009-12-0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0918674B1 (ko) 2008-09-08 2009-09-2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949A (ko) * 2016-11-07 2018-05-16 김병래 승강장 안전발판의 구동장치
CN109733417A (zh) * 2019-03-05 2019-05-10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列车站台伸缩踏板装置
WO2020177161A1 (zh) * 2019-03-05 2020-09-10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一种锁定装置
CN109733417B (zh) * 2019-03-05 2023-08-22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列车站台伸缩踏板装置
KR20210152839A (ko) * 2020-06-09 2021-12-16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WO2021251607A1 (ko) * 2020-06-09 2021-12-16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37704A (zh) 2012-12-26
KR101274946B1 (ko) 2013-06-17
CN102837704B (zh)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946B1 (ko)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EP3231758B1 (en) Handrail used to open and close elevator car panels
CN201261671Y (zh) 一种塔筒电梯
CN103287953B (zh) 一种电梯集成轿门锁异步门刀装置
CN103935873B (zh) 一种用于电梯的带轿门锁的同步门刀装置
CN101386392B (zh) 电梯轿门锁紧装置
CN106315363B (zh) 一种电梯轿厢顶用安全窗装置
KR101274949B1 (ko)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CN105110152B (zh) 电梯防扒门装置
CN202988503U (zh) 电梯厅门安全保护装置
CN203833441U (zh) 一种用于电梯的带轿门锁的同步门刀装置
CN101994467A (zh) 防盗逃生两用窗
CN202054517U (zh) 客梯层门装置
CN204057610U (zh) 一种自定位轿门锁门刀
CN203653024U (zh) 电梯层门门锁装置
CN103227062A (zh) 中压开关柜接地开关与前下门联锁机构
CN109094731A (zh) 一种船舶防海盗舱室出入门防护装置
CN203699610U (zh) 电梯可掀式轿顶装置
CN204549768U (zh) 电梯层门紧急解锁装置
CN203845642U (zh) 电梯轿门锁
CN203021134U (zh) 一种施工升降机吊笼门紧急出口门安全锁紧装置
EP3530604A1 (en) Elevator component access systems
KR200398549Y1 (ko)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CN201280407Y (zh) 内制动电动葫芦
CN203754168U (zh) 电梯夹绳器远程手动复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