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610A - 방향전환부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전환부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2610A KR20210152610A KR1020200068960A KR20200068960A KR20210152610A KR 20210152610 A KR20210152610 A KR 20210152610A KR 1020200068960 A KR1020200068960 A KR 1020200068960A KR 20200068960 A KR20200068960 A KR 20200068960A KR 20210152610 A KR20210152610 A KR 202101526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n
- roller
- rollers
- article
- direction chang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3—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rofiles, rods, bars, rollers or the like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컨베이어 체인의 이동 과정에서 컨베이어 체인을 지지하여 컨베이어 체인의 안정적인 구동을 제공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전환부는 서로 이격되고 양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스프로킷들을 둘러싸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이동방향에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체인에 결합되는 제1 롤러들을 포함하는 방향전환롤러부 및 상기 스프로킷들 하부에서 상기 체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 롤러들을 둘러싸면서 상기 체인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롤러부는 상기 체인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와 밀착되는 보조롤러들을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전환부는 서로 이격되고 양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스프로킷들을 둘러싸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이동방향에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체인에 결합되는 제1 롤러들을 포함하는 방향전환롤러부 및 상기 스프로킷들 하부에서 상기 체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 롤러들을 둘러싸면서 상기 체인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롤러부는 상기 체인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와 밀착되는 보조롤러들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전환부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을 포함하는 높은 중량의 물품을 이송시키며 물품을 조립 또는 제작하는 경우,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물품을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위치로 이송시키면서 물품을 제작한다.
그러나 기존의 컨베이어 장치의 경우 물품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비스듬히 형성된 롤러들의 이동에 따라 물품과 롤러의 상호 마찰회전력을 통해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만이 가능하여 다양한 방향으로의 물품 이송이 제한되고 느슨한 체인에 의해 체인과 스프로킷이 분리되거나 마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22201호는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926호는 방향전환용 롤러가 장착된 롤러형 콘베이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상호 마찰회전력이 발생되는 컨베이어 체인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컨베이어 체인의 이동 과정에서 컨베이어 체인을 지지하여 컨베이어 체인의 안정적인 구동을 제공하는 방향전환부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방향전환부는 서로 이격되고 양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스프로킷들을 둘러싸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이동방향에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체인에 결합되는 제1 롤러들을 포함하는 방향전환롤러부 및 상기 스프로킷들 하부에서 상기 체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 롤러들을 둘러싸면서 상기 체인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롤러부는 상기 체인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와 밀착되는 보조롤러들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스프로킷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과 체인을 통해 기어 연결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을 둘러싸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구동샤프트 및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 상부에서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외측면과 맞물리는 구동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롤러부는 로드가 형성된 액츄에이터 및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롤러 형태로 상기 체인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로드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가이드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절곡된 찬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롤러들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장치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스토퍼들을 통해 물품의 이동 방향을 다변화할 수 있고, 제작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송 라인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컨베이어 장치는 물품의 방향 전환 및 이동 과정에서 물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치들을 통해 높은 중량의 물품을 원활하게 방향 전환 시킨 후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C'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2 방향전환부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D'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C'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2 방향전환부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D'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장치(100)는 이송롤러부(200,, 280)들, 제1 방향전환부(300, 600)들 및 제2 방향전환부(400, 500)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을 포함하는 높은 중량의 물품을 이송시키며 물품을 조립 또는 제작하는 경우,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물품을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위치로 이송시키면서 물품을 제작한다.
그러나 기존의 컨베이어 장치의 경우 물품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비스듬히 형성된 롤러들의 이동에 따라 물품과 롤러의 상호 마찰회전력을 통해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만이 가능하여 다양한 방향으로의 물품 이송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컨베이어 장치(10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스토퍼들을 통해 물품의 이동 방향을 다변화할 수 있고, 제작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송 라인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컨베이어 장치(100)는 물품의 방향 전환 및 이동 과정에서 물품의 이동을 보조하는 장치들을 통해 높은 중량의 물품을 원활하게 방향 전환 시킨 후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송롤러부(200)는 커버(210, 220)들, 제1 컨베이어 체인(230), 제2 컨베이어 체인(240), 센서(250) 및 가이드롤러부(260)를 포함한다.
이송롤러부(200)는 컨베이어 장치(100)의 제2 방향(2)쪽에 설치되고, 컨베이어 체인을 통해 제작 중인 물품(10)을 제1 방향(1)을 향해 이송시키며, 제1 방향(1)쪽에 배치되는 제1 방향전환부(300)와 연결된다.
커버(210, 220)들 각각의 일단은 이송롤러부(200)의 일측 및 타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를 유지하며 연장되며 타단 끝단은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테이블형태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컨베이어 체인(230, 240)들 각각은 링크(231)들 및 롤러(232)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컨베이어 체인(230, 240)들 각각은 타원 형태의 공간을 둘러싸는 체인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부분은 서로 이격되고 양측으로 연장된 축으로 회동되는 스프로킷들 각각을 둘러싸며 상기 스프로킷들 각각과 맞물린다.
제1 및 제2 컨베이어 체인(230, 240)들 각각은 서로 소정의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물품(10)의 크기에 따라 제1 및 제2 컨베이어 체인(230, 240)들 사이의 거리는 조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컨베이어 체인(230, 240)들 각각과 결합되는 스프로킷들은 모터의 구동축과 결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센서(250)와 연동하여 회전 방향이 전환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
링크(231)들 각각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롤러(232)들을 연결하며 롤러(232)들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롤러(232)들 각각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링크(231)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과 결합되고, 상부에 거치되는 물품(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센서(250)는 커버(210, 220)들 중 어느 하나의 타단 상부에 센싱하는 부분이 제1 및 제2 컨베이어 체인(230, 240)들을 향하도록 고정되고, 모션센서가 사용되며, 제1 및 제2 컨베이어 체인(230, 240)들을 따라 이동하는 물품(10)을 감지한다.
센서(250)가 물품(10)의 이동을 감지하면, 이송롤러부(200)의 제1 방향(1)쪽에 배치되는 제1 방향전환부(300)가 구동을 시작하거나 물품(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돌출되어 물품(1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센서(250)를 통해 물품(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송롤러부(20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장치들을 자동으로 구동시켜 물품(10)의 편리한 이송이 가능하다.
가이드롤러부(260)는 액츄에이터(261) 및 가이드롤러(262)를 포함한다.
가이드롤러부(260)의 일단부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 체인(230, 240)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의 구동에 따라 타단부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261)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 체인(230, 240)들 사이에 고정되고, 액츄에이터(261)의 구동으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로드는 가이드롤러(262)와 결합된다.
가이드롤러(262)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상기 로드와 결합되어 액츄에이터(261)의 구동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한다.
액츄에이터(261) 및 가이드롤러(262) 각각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 체인(230, 240)들 사이에서 2개 이상의 복수의 액츄에이터(261) 및 가이드롤러(26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262)는 롤러(232)들이 위치한 수평선상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액츄에이터(261)의 구동으로 가이드롤러(262)가 상승하면 롤러(232)들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롤러(232)들의 상부에 배치되는 물품(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액츄에이터(261)의 구동은 센서(250)의 물품(10) 감지신호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컨베이어 체인(230, 240)들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롤러(262)의 숫자 역시 물품(10)의 크기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한편, 가이드롤러(262)들 및 액츄에이터(261)는 이송롤러부(200)의 제1 방향(1)쪽 제1 및 제2 컨베이어 체인(230, 240)들 사이에 형성되고, 가이드롤러(262)가 상승하면 롤러(232)들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롤러(232)들의 상부에 배치되는 물품(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제1 방향전환부(300)는 커버(310, 320)들, 이송롤러(330)들, 가이드롤러부(340) 및 센서(350)를 포함한다.
제1 방향전환부(300)는 이송롤러부(200)의 제1 방향(1)쪽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컨베이어 체인(230, 240)들을 통해 이송되는 물품(10)이 유입되면 물품(10)의 이동방향을 제2 방향전환부(400)가 위치한 타측을 향해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커버(310, 320)들 각각의 일단은 제1 방향전환부(300)의 일측 및 타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를 유지하며 연장되며 타단 끝단은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테이블형태로 형성된다.
이송롤러(330)의 일단은 커버(31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커버(310)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확장되며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은 커버(32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커버(320)에 결합된다.
이송롤러(330)의 외측에는 이송롤러(330)의 연장방향과 비스듬하게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작은 롤러들이 이송롤러(33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송롤러(330)들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유입되는 물품(10)과 밀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물품(10)을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이송롤러(330)는 아이들롤러(331), 힌지핀(332) 및 캡(333)을 포함한다.
아이들롤러(331)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선과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핀(332)들 각각에 결합되고, 힌지핀(332)과 결합된 아이들롤러(331)들 각각은 이송롤러(330)의 제1 및 제2 방향(1, 2)과 상부 및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이송롤러(330)의 중앙을 둘러싼다.
4개의 아이들롤러(331)들 각각은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이송롤러(3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아이들롤러(331)의 숫자는 이송롤러(33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캡(333)의 일단은 이송롤러(330)의 일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아이들롤러(331)들의 측면을 둘러싸며 힌지핀(332)의 양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이송롤러(330)의 타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아이들롤러(331)들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힌지핀(332)들의 양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힌지핀(332)의 연장 방향은 아이들롤러(331)가 캡(333)의 상부에 위치한 경우 일측 제2 방향(2)쪽에서 타측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되고, 이송롤러(330)의 제1 방향(1), 제2 방향(2) 및 하부에 배치되는 힌지핀(332)들 각각의 연장방향은 이송롤러(33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동일하다.
가이드롤러부(340)는 회동부재(341) 및 가이드롤러(342)들을 포함한다.
가이드롤러부(340)의 일측 및 타측은 커버(310, 320)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커버(310, 320)들과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롤러들이 일측에서 타측까지 서로 이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회동부재(341)의 일단은 이송롤러(330)들의 제1 방향(1)쪽에서커버(310)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커버(3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커버(320)를 향해 연장되어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커버(320)에 결합된다.
회동부재(341)의 일단 또는 타단은 이송롤러(330)들의 제1 방향(1)쪽에서 모터와 연결되어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고, 센서(350)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가 구동되어 회동부재(341)가 회전된다.
가이드롤러(342)들 각각은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에서 타측까지 서로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저면 일부분은 로드를 통해 회동부재(341)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외측에 결합된다.
가이드롤러(342)는 회동부재(341)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송롤러(330)들 각각의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이송롤러(330)를 따라 이송되는 물품(10)의 이동을 제한한다.
가이드롤러(342)는 회동부재(341)의 회동에 따라 제1 방향(1) 및 하부를 향해 이동하여 이송롤러(330)의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이동되고, 이 경우, 이송롤러(330)들의 상부에 거치된 물품(10)은 가이드롤러부(340)를 지나 제1 방향(1)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물품(10)이 가이드롤러(342)에 의해 제1 방향(1)을 향한 이동이 제한되는 경우, 이송롤러(330)들은 커버(310)쪽에서 이송롤러(330)를 주시하는 경우 시계 반대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하고, 물품(10)의 저면에 밀착되는 아이들롤러(331)들은 제2 방향(2) 및 제1 방향전환부(300)의 타측 방향쪽 사이에 해당하는 제3 방향(3)을 향해 회전한다.
따라서, 물품(10)의 저면은 가이드롤러(342)들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밀착된 아이들롤러(331)들의 제3 방향(3)을 향한 회전력에 의해 제4 방향(4)으로 이동된다.
센서(350)는 물품(10)이 가이드롤러(342)들에 인접한 위치까지 도달하면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고 회동부재(341)를 회전시켜 가이드롤러(342)를 이송롤러(330)들의 상부에 해당하는 수평선상까지 이동시킨다.
도 4는 도 1의 'C'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제2 방향전환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D'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전환부(400)는 방향전환롤러부(410), 구동축(420), 체인(430), 구동샤프트(440), 구동롤러(450), 가이드롤러부(460), 지지대(470), 커버(480), 센서(490) 및 가이드(495)를 포함한다.
제2 방향전환부(400)의 일단부는 제1 방향전환부(300)의 타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일단부로 유입되는 물품(10)을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송시킨다.
구체적으로, 방향전환롤러부(410)는 스프로킷(411)들, 체인 플레이트(412)들, 연결롤러(413)들, 보조롤러(414)들, 고정핀(415)들, 브라켓(416)들 및 제1 롤러(417)들을 포함한다.
방향전환롤러부(410)는 제1 및 제2 방향(1, 2)쪽 각각에 배치되는 스프로킷들을 둘러싸는 컨베이어 체인 형태로 형성되고, 체인의 이동 방향에 따라 물품(10)을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시킨다.
스프로킷(411)들 각각은 제1 및 제2 방향(1, 2)쪽에 각각 이격 배치되고, 서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체인 플레이트(412)들 및 연결롤러(413)들로 구성된 체인은 스프로킷(411)을 둘러싸며 스프로킷(411)과 맞물린다.
일측 또는 타측 방향을 향해 동일 수평선상에 이격 배치된 체인 플레이트(412)들은 체인 플레이트(412)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롤러(413)들을 통해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서로 이격 배치되는 체인 플레이트(412)들은 각각의 일단 또는 타단이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연결롤러(413)들을 통해 서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방향전환롤러부(4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브라켓(416)의 하단부(416a)는 서로 제1 및 제2 방향(1, 2)쪽에 각각 이격된 연결롤러(413)들 각각을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롤러(413)들 각각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브라켓(416)의 중앙부(416b)는 하단부의 중앙 상부 모서리의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중앙부(416b)의 제1 방향(1)쪽에 형성된 절곡부(416c)는 제1 방향(1) 및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브라켓(416)의 하단부(416a)는 서로 제1 및 제2 방향(1, 2)쪽에 각각 이격된 연결롤러(413)들 각각을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롤러(413)들 각각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브라켓(416)의 중앙부(416b)는 하단부의 중앙 상부 모서리의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중앙부(416b)의 제2 방향(2)쪽에 형성된 절곡부(416c)는 제2 방향(1) 및 방향전환롤러부(410)의 타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즉, 브라켓(416)들 각각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절곡부(416c)의 위치 및 절곡 방향이 변경되며,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절곡부(416c)들 각각은 마주하는 표면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제1 롤러(417)의 일단은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일측에 배치되는 브라켓(416)의 절곡부(416c)의 내측면에 고정핀(415)을 통해 연장 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방향전환롤러부(410)의 타측에 배치되는 브라켓(416)의 절곡부(416c)의 내측면에 고정핀(415)을 통해 연장 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롤러(417)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연장 방향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 방향에서 45도 각도 만큼 비스듬한 방향이면서 제1 롤러(417)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은 제3 방향(3)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3개의 방향전환롤러부(410)들 각각은 제2 방향전환부(40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서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일측에서 유입되는 물품(10)을 방향전환시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송시킨다.
보조롤러(414)들 각각은 브라켓(416)의 하단부(416a) 제1 또는 제2 방향(1, 2)쪽 끝단 외측에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브라켓(416)에 결합된다.
보조롤러(414)들 각각은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마주하며 배치되는 브라켓(416)들 각각의 하단부(416a)에 결합되고, 브라켓(416)의 제1 방향(1)쪽에 결합된다.
한편, 제1 롤러(417)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보조롤러(414)들은 제1 롤러(417)의 일단 직하방 및 타단 직하방에 해당하는 브라켓(416)들 각각의 하단부(416a)에 결합되어 제1 롤러(417)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구동축(420)은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제2 방향(2)쪽에 위치하는 스프로킷(411)들 각각의 중앙을 연결하는 샤프트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체인(430)과 맞물리는 스프로킷이 형성된다.
구동샤프트(440)는 회동축(441), 스프로킷(442) 및 회동부재(443)를 포함한다.
구동샤프트(440)는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제2 방향(2)쪽에 이격 배치되고, 구동축(420) 및 체인(430)을 통해 방향전환롤러부(4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롤러(450)에 전달한다.
회동축(441)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샤프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방향전환부(400)의 일측 및 타측 커버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된다.
스프로킷(442)은 구동축(420)의 스프로킷의 제2 방향(2)쪽에서 회동축(441)을 둘러싸는 형태로 회동축(441)과 결합되고, 체인(430)을 통해 구동축(420)과 연결된다.
체인(430)의 일단부는 구동축(420)의 스프로킷을 둘러싸며 구동축(420)과 연결되고, 체인(430)의 타단부는 스프로킷(442)을 둘러싸면서 회동축(441)과 연결되며, 모터와 연결된 구동축(420)의 회동에 의해 체인(430) 및 회동축(441)이 회전된다.
회동부재(443)는 스프로킷(442)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고,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환 형태로 형성되어 회동축(441)을 둘러싸면서 회동축(441)과 결합되며, 타측 상단 모서리는 테이퍼 가공되어 밀착면(443a)이 형성된다.
밀착면(443a)은 회동부재(443)의 외측면에서 회동축(441)의 외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회동축(44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구동롤러(450)의 일부분과 맞물린다.
구동롤러(450)는 스프로킷(442) 및 회동부재(443)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구동샤프트(44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480)와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부분은 커버(480)의 제1 방향(1)쪽으로 돌출된다.
구동롤러(450)는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상단부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방향전환롤러부(410)로 유입되는 물품(10)의 측면과 밀착되어 물품(10)이 방향전환롤러부(410)의 타측을 향해 원활히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구동롤러(450)의 외측 하단 모서리를 테이퍼지게 가공되어 밀착면(443a)과 맞물리는 밀착면(451)이 형성되며, 회동부재(443)가 회전하면 밀착면(443a, 451)들의 회전에 따라 구동롤러(450)가 회전한다.
따라서, 구동롤러(450)는 물품(10)이 제1 방향전환부(300)로부터 유입되고,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롤러(417)들이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 커버(480)의 제1 방향(1)쪽에 돌출된 구동롤러(450)의 일부분이 방향전환롤러부(410)의 타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물품(10)을 이동을 보조한다.
가이드롤러부(460)는 액츄에이터(461) 및 가이드롤러(462)를 포함한다.
가이드롤러부(460)의 하단부는 방향전환롤러부(410)들의 사이에서 고정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부의 구동을 통해 상단부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된다.
액츄에이터(461)는 방향전환롤러부(410)들의 사이에서 제1 방향(1)쪽에 배치되고, 액츄에이터(461)와 연결되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로드는 가이드롤러(462)들과 결합된다.
가이드롤러(462)들 각각은 액츄에이터(461)들 각각에서 돌출되는 로드와 각각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액츄에이터(461)의 구동에 따라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상단 상부에 배치되거나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가이드롤러(462)들 각각은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서로 이격 배치되고, 가이드롤러(462)의 타측에는 제1 방향전환부(300)의 가이드롤러(342)들이 배치된다.
따라서, 물품(10)이 가이드롤러(342)들에 의해 제1 방향(1)을 향한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제4 방향(4)을 향해 이송되면, 물품(10)은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롤러(462)들에 의해 제1 방향(1)을 향한 이동이 제한되면서 제4 방향(4)을 향해 이송된다.
제1 방향전환부(300)에서 제4 방향(4)으로 이송되어 물품(10)이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상부로 이송되면,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상부에 위치한 제1 롤러(417)들이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하면서 물품(10)이 제4 방향(4)을 향해 이동되도록 보조한다.
즉, 물품(10)은 가이드롤러(462)에 의해 제1 방향(1)쪽을 향한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가이드롤러(462)들과 외측 상부면이 제3 방향(3)을 향해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제1 롤러(417)들에 의해 제4 방향(4)으로 이동된다.
지지대(470)들 각각은 일측 및 타측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직육면체 형태의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사각 찬넬(Channel) 형태로 형성되어 방향전환롤러부(410)들 각각의 하부에 배치된다.
지지대(470)들 각각의 일측 및 타측 상부면은 방향전환롤러부(41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보조롤러(414)들 각각과 밀착되어 하부를 향해 쳐지는 보조롤러(414)들이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조롤러(414)들을 지지한다.
센서(490)는 제2 방향전환부(400)의 타측에 배치되는 커버의 상부에 형성되고, 물품(10)이 제1 방향전환부(300)에서 제2 방향전환부(400)로 온전히 이동되면, 물품(10)을 감지하여 가이드롤러(462)들을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상단보다 하부를 향해 이동시킨다.
가이드(495)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직육면체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스프로킷(411)의 상부에서 이동하는 체인 플레이트(412)의 하부를 지지한다.
가이드롤러(462)들이 센서(490)에 의해 하강하면, 제2 방향전환부(400)로 이송된 물품(10)은 방향전환롤러부(410)들을 통해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되고, 이송롤러부(200)를 거쳐 제2 방향전환부(400)로 이송된다.
제2 방향전환부(400)의 제1 방향(1)쪽에는 이송롤러부(280)가 배치되어 물품(10)을 제1 방향(1)을 향해 이송시키고, 이송롤러부(280)의 제1 방향(1)쪽에는 제2 방향전환부(500)가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방향전환부(500)는 제2 방향전환부(400)와 구조가 동일하고, 가이드롤러부(460)가 제2 방향(2)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가이드롤러부(460)가 이송롤러부(280)와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제2 방향전환부(500)가 이송롤러부(280)의 제1 방향(1)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롤러(417)들의 외측 표면은 제1 방향(1) 및 제2 방향전환부(500)의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5 방향(5)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물품(10)이 이송롤러부(280)를 통해 제2 방향전환부(500)의 상부로 온전히 이송된 후에 센서(490)가 물품(10)을 감지하면, 가이드롤러(462)들이 방향전환롤러부(410)의 상부로 돌출되어 물품(10)이 제2 방향(2)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가이드롤러(462)들에 의해 물품(10)의 제2 방향(2)을 향한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1 롤러(417)들을 제2 방향(2)쪽으로 이동시키면, 물품(10)이 제4 방향(4)과 반대 방향인 제6 방향(6)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방향전환부(600)로 이송된다.
제1 방향전환부(600)는 제1 방향전환부(30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가이드롤러부(340)가 제2 방향전환부(500)의 가이드롤러부(460)부의 일측에서 제1 방향전환부(600)의 제2 방향(2)쪽에 배치되며, 아이들롤러(331)의 외측면은 제5 방향(5)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물품(10)이 제2 방향전환부(500)에서 제1 방향전환부(6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품(10)은 가이드롤러(342)들과 밀착되며 제6 방향(6)으로 이동되고, 이송롤러(330)들은 제1 방향전환부(600)의 제6 방향(6)쪽에서 이송롤러(330)를 주시한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품(10)이 제1 방향전환부(600)로 이송되도록 보조한다.
제1 방향전환부(600)의 이송롤러(330)들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아이들롤러(331)들은 제5 방향(5)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핀(332)을 축으로 외측면 상단이 제5 방향(5)을 향해 회전하여 물품(10)이 제6 방향(6)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한다.
제1 방향전환부(600)로 온전히 물품(10)이 이송되면, 센서(350)가 물품(10)을 감지하고, 가이드롤러(342)들이 제2 방향(2)쪽으로 하강하며, 이송롤러(330)들의 회전에 의해 물품(10)은 이송롤러부(290)를 통해 제2 방향(2)으로 이송된다.
이송롤러부(290)를 통해 제2 방향(2)으로 이송되는 물품(10)은 다시 이송롤러부(200)로 이송되고, 컨베이어 장치(100)를 통해 1회전한 물품(10)은 조립되어 다음 공정 단계로 이송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장치(100)는 이송롤러부(200, 280, 290), 제1 방향전환부(300, 600) 및 제2 방향전환부(400, 500)를 통해 물품(10)이 조립되면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가이드롤러부(260, 340, 460)와 이송롤러(330) 및 방향전환롤러부(410)의 구동 방향 전환을 통해 물품(10)의 이동 방향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컨베이어 장치 200, 280, 290: 이송롤러부
300, 600: 제1 방향전환부 400, 500: 제2 방향전환부
300, 600: 제1 방향전환부 400, 500: 제2 방향전환부
Claims (5)
- 서로 이격되고 양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스프로킷들을 둘러싸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이동방향에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체인에 결합되는 제1 롤러들을 포함하는 방향전환롤러부; 및
상기 스프로킷들 하부에서 상기 체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 롤러들을 둘러싸면서 상기 체인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롤러부는 상기 체인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와 밀착되는 보조롤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과 체인을 통해 기어 연결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을 둘러싸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구동샤프트; 및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 상부에서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외측면과 맞물리는 구동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롤러부는,
로드가 형성된 액츄에이터 및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롤러 형태로 상기 체인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로드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가이드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절곡된 찬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롤러들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부.
-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체인들로 구성된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의 제1 방향쪽에 연속 배치되는 제1 방향전환부들; 및
상기 제1 방향전환부들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방향전환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전환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롤러들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부에 거치된 물품을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8960A KR102510752B1 (ko) | 2020-06-08 | 2020-06-08 | 방향전환부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8960A KR102510752B1 (ko) | 2020-06-08 | 2020-06-08 | 방향전환부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2610A true KR20210152610A (ko) | 2021-12-16 |
KR102510752B1 KR102510752B1 (ko) | 2023-03-20 |
Family
ID=7903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8960A KR102510752B1 (ko) | 2020-06-08 | 2020-06-08 | 방향전환부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0752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22201A (ko) | 1994-12-29 | 1996-07-18 | 한승준 |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 |
KR19990019086U (ko) * | 1997-11-17 | 1999-06-05 | 유영식 | 이송물의 방향전환용 롤러콘베이어의 유도롤러장치 |
KR200410926Y1 (ko) | 2005-12-13 | 2006-03-15 | 명화기계(주) | 방향전환용 롤러가 장착된 롤러형 콘베이어 |
JP2006315865A (ja) * | 2005-05-10 | 2006-11-24 | Myung-Hwa Machinery Co Ltd | 方向切換用ローラー付きチェーン型コンベヤ |
KR101559146B1 (ko) * | 2014-12-29 | 2015-10-12 | 박철규 | 방향전환을 위한 오토 디버터 |
-
2020
- 2020-06-08 KR KR1020200068960A patent/KR1025107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22201A (ko) | 1994-12-29 | 1996-07-18 | 한승준 |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 |
KR19990019086U (ko) * | 1997-11-17 | 1999-06-05 | 유영식 | 이송물의 방향전환용 롤러콘베이어의 유도롤러장치 |
JP2006315865A (ja) * | 2005-05-10 | 2006-11-24 | Myung-Hwa Machinery Co Ltd | 方向切換用ローラー付きチェーン型コンベヤ |
KR200410926Y1 (ko) | 2005-12-13 | 2006-03-15 | 명화기계(주) | 방향전환용 롤러가 장착된 롤러형 콘베이어 |
KR101559146B1 (ko) * | 2014-12-29 | 2015-10-12 | 박철규 | 방향전환을 위한 오토 디버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10752B1 (ko) | 2023-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50086B2 (ja) | 移載装置 | |
US7357245B2 (en) |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 |
JP5460246B2 (ja) | 長物野菜の箱詰め装置 | |
JP6156615B2 (ja) | 移載装置 | |
KR101559146B1 (ko) | 방향전환을 위한 오토 디버터 | |
JP2002302227A (ja) | 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袋移送装置及びグリッパー用無端チェーン | |
US9884732B2 (en) | Device to feed products and to overturn them in an infeed line | |
US20210094765A1 (en) | Gripper for a Container Transport System | |
JP2011006166A (ja) | 移載装置 | |
US20110076126A1 (en) | Device and Method for Palletizing Items | |
KR100844352B1 (ko) | 챔버용 도어개폐장치 | |
JP2017036079A (ja) | 封函装置 | |
JP7176726B2 (ja) | ローリング機構付き搬送装置 | |
JP5240488B2 (ja) | 物品受止め装置及び物品処理設備 | |
KR20210152610A (ko) | 방향전환부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 |
CN113636354B (zh) | 一种码摞装置 | |
JP2012250809A (ja) | 移載装置およびコンベア装置 | |
KR100909884B1 (ko) | 팔레트를 이송시킬 수 있는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 |
JPH06115679A (ja) | 方向転換装置 | |
KR101273607B1 (ko) | 트레이 이송시스템 | |
JP2002060050A (ja) | シート反転装置 | |
KR102487774B1 (ko) | 뚜껑 부재 장착 장치 및 시스템 | |
KR101985306B1 (ko) | 샌드위치패널 적층장치 | |
IT202000004120A1 (it) | Dispositivo e sistema di smistamento per colli di forma e dimensioni irregolari | |
JPH10167441A (ja) | ベルト駆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