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627A - 수납식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수납식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627A
KR20210149627A KR1020210125943A KR20210125943A KR20210149627A KR 20210149627 A KR20210149627 A KR 20210149627A KR 1020210125943 A KR1020210125943 A KR 1020210125943A KR 20210125943 A KR20210125943 A KR 20210125943A KR 20210149627 A KR20210149627 A KR 20210149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eat plate
seat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150B1 (ko
Inventor
황진호
차동은
이상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15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9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the back-rest having two or mo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1Head-rests with the head-rest being comma-shaped in side vi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접혀서 차량에 수납되는 수납식 차량 시트로서,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안착되고, 접히거나 펼쳐지는 본체;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일측은 본체 또는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차량의 플로어에 연결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본체는 탑승자의 상체가 안착되는 등받이부와 탑승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좌판부로 구성되며, 등받이부는 상방의 제1부재 및 제1부재의 하측에 위치되고 하단이 지지대와 연결된 제2부재로 구성되고, 본체가 전개되는 경우 제1부재의 하단이 제2부재의 상단과 마주하도록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등받이부를 형성하고, 본체가 접히는 경우 제1부재가 회전된 후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부재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고 좌판부가 상방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부재, 제2부재, 좌판부가 중첩되며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수납식 차량 시트{RETRACABLE CAR SEAT}
본 발명은 접혀지고 펼치지는 구조로 구성된 본체와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펼쳐서 시트로 사용하고, 접어서 차량에 수납할 수 있는 수납식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운전자,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하여 차량에 마련된다. 승용차의 경우 차량의 시트는 전방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등받이의 리클라인은 가능하지만 고정된 위치에서 이동이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차량의 시트는 차량의 실내공간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한다. 시트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탑승자가 착석하였을 경우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시트의 크기가 너무 크면 차체가 커지게 되므로 차량의 용도와 목적에 맞는 적절한 크기의 시트가 마련된다. 그러나, 시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시트를 차량에서 제거할 수 없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시트가 공간을 차지하여 실내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었다.
특히, 자율주행 기술의 발달로 차량의 내부공간은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람의 차량에 대한 개입이 줄어듦으로써 실내공간에서 잠을 자거나 영화를 감상하는 등 다양한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차량의 실내공간의 활용에 대한 요구는 더욱 높을 것이기 때문에 고정된 시트는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시킨 후 차량에 보관할 수 있는 수납식 차량 시트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세계 최초로 몸체가 접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몸체가 접혀져 차량에 수납될 수 있는 수납식 차량 시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체가 접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펼쳐서 시트로 사용하거나 접어서 차량에 수납할 수 있으며, 차량 내부공간에서 이동 가능한 수납식 차량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혀서 차량에 수납되는 수납식 차량 시트로서,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안착되고, 접히거나 펼쳐지는 본체;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일측은 본체 또는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차량의 플로어에 연결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본체는 탑승자의 상체가 안착되는 등받이부와 탑승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좌판부로 구성되며, 등받이부는 상방의 제1부재 및 제1부재의 하측에 위치되고 하단이 지지대와 연결된 제2부재로 구성되고, 본체가 전개되는 경우 제1부재의 하단이 제2부재의 상단과 마주하도록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등받이부를 형성하고, 본체가 접히는 경우 제1부재가 회전된 후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부재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고 좌판부가 상방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부재, 제2부재, 좌판부가 중첩되며 접힐 수 있다.
등받이부는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좌판부는 지지대의 상부에 연결되되,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회전 시 등받이부에 밀착될 수 있다.
제2부재의 후방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가이드가 형성되고, 프레임은,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연결되고, 제1가이드에 삽입되어 제1가이드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이동부재가 마련된 제1프레임 및 제1프레임의 후방과 제2부재에 연결된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제1프레임은 제2부재 및 제2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1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1이동부재에는 제1가이드 상에서 제1이동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가 마련되고, 프레임에는 제1고정부재와 제1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제1고정부재를 조작하는 제1레버가 마련되어 제1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부재는 제1프레임과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체는 등받이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탑승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헤드레스트;를 더 포함하고, 프레임은 일단은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등받이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4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는 본체와 연결된 상부지지대 및 상부지지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며 하단이 레일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하부지지대로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는 상부지지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좌판부는 상부지지대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부지지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가이드가 형성되고, 좌판부에는 제2가이드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2이동부재가 마련되어 좌판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이동부재는 좌판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좌판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3가이드가 형성되고, 프레임은 일측은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좌판부에 연결되며, 제3가이드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3이동부재가 마련된 제3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이동부재에는 제3가이드 상에서 제3이동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가 마련되고, 좌판부에는 제2고정부재와 제2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제2고정부재를 조작하는 제2레버가 마련되어 좌판부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는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조에 의하여 펼쳐서 시트로 사용할 수도 있고 접어서 차량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시트를 구성하는 본체와 프레임은 서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탑승자의 신체구조나 탑승자세에 따라 위치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접혀지면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어 차량이 수납되는 보관함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의 등받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의 좌판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의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에 의하여 시트가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가 수납된 상태에서 차량 내부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로 구성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사람이 착석하여 시트로 사용할 수 있고, 접혀진 상태에서는 차량에 수납될 수 있는 수납식 차량 시트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는 본체(100), 프레임(200), 지지대(300) 및 레일(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안착되는 구성이다. 본체(100)에는 탑승자가 신체를 접촉하였을 경우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쿠션이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0)는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0)는 펼쳐진 상태에서 의자 형상을 이루고, 접혀진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체(100)는 등받이부(101)와 좌판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101)는 탑승자의 상체가 안착될 수 있고, 좌판부(130)는 탑승자의 하체가 안착될 수 있다. 등받이부(101)의 하단은 지지대(3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시트가 리클라인 될 수 있다.
좌판부(130)는 지지대(300)의 상부에 연결되고, 지지대(3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좌판부(130)가 회전하면 등받이부(101)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부피가 축소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본체(100)에 연결되어 본체(10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탑승자가 착석한 경우 탑승자의 체중을 버틸 수 있도록 강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프레임(200)은 본체(10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300)는 본체(100)를 차량의 플로어에 대하여 지지하는 구성이다. 지지대(300)의 일측은 본체(100)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차량의 플로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300)는 차량의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위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고, 본체(1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차량에 수납되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30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람이 착좌한 상태 또는 차량에 수납하는 경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레일(400)은 지지대(300)가 이동하는 경로가 되는 구성이다. 레일(400)은 차량의 플로어에 마련될 수 있다. 레일(400)에는 지지대(300)의 하단이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지지대(300)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가 펼쳐지고 접혀지는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의 등받이부(101)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받이부(101)는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부재(110)는 탑승자의 상체 상부가 안착되고, 제2부재(120)는 탑승자의 상체 하부가 안착될 수 있다. 제2부재(120)는 제1부재(110)의 하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고, 하단은 지지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시트가 접히는 경우, 제1부재(110)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제2부재(120)와 겹쳐질 수 있다. 제1부재(11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제2부재(120)의 전방에 위치됨으로써 등받이부(101)가 겹쳐지고, 겹쳐진 상태에서 좌판부(130)가 회전됨으로써 등받이부(101)와 좌판부(130)가 겹쳐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은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에 연결되어 제1부재(110)가 제2부재(1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은 제1프레임(210)의 후방과 제2부재(1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제2프레임(22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제2프레임(2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제1부재(110)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부재(110)는 제1프레임(210)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가 접혀지는 경우 제1부재(11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제2부재(12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한 후 하측으로 이동시켜 제2부재(12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부재(120)의 후방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가이드(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에는 제1가이드(121)에 삽입되어 제1가이드(121)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이동부재(21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이동부재(211)가 가이드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1프레임(210)이 제2부재(120)에 연결된 위치가 움직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제2프레임(22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제1이동부재(211)가 제1가이드(121)를 따라서 슬라이딩되면서 제1프레임(210)이 이동될 수 있고, 이로써 제1부재(1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200)에는 제1이동부재(21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2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212)는 제1이동부재(211)의 위치를 제1가이드(121) 상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임(200)에는 제1고정부재(212)와 제1와이어(213)에 의해 연결된 제1레버(214)가 마련될 수 있다. 탑승자는 제1레버(214)를 통해 제1고정부재(212)를 조작하여 제1이동부재(211)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탑승자는 필요에 따라 제1이동부재(211)를 슬라이딩 함으로써 제1프레임(210)과 제2부재(120)의 연결지점을 조절하여 등받이부(10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제1고정부재(212)에 의하여 제1이동부재(2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고정부재(212)의 일 예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의 좌판부(130)의 확대도이다.
지지대(300)는 상부지지대(310)와 하부지지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지지대(310)는 본체(100)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지지대(320)는 상부지지대(310)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지지대(320)의 하단은 레일(400)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등받이부(101)와 좌판부(130)는 상부지지대(310)와 연결될 수 있다. 등받이부(101)는 상부지지대(310)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리클라인 될 수 있다. 좌판부(130)는 상부지지대(310)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지지대(310)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가이드(311)가 형성될 수 있다. 좌판부(130)에는 제2가이드(311)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311)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2이동부재(131)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이동부재(131)가 제2가이드(311)를 따라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좌판부(130)와 상부지지대(310)의 연결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제2이동부재(131)를 움직여서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좌판부(130)가 실내공간으로 노출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신체구조나 탑승자세에 따라서 가장 편안한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이동부재(131)는 좌판부(13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좌판부(130)를 전방으로 밀어낸 후 등받이부(101)에 밀착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수납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등받이부(101)의 하단은 지지대(3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시트가 리클라인 될 수 있다. 좌판부(130)는 지지대(300)의 상부에 연결되고, 지지대(3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좌판부(130)가 회전하면 등받이부(101)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부피가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좌판부(130)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3가이드(132)가 형성될 수 있다. 좌판부(130)의 하부에는 지지대(300)와 연결된 제3프레임(230)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3프레임(230)의 일측은 지지대(3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좌판부(130)에 연결되는 것이다. 제3프레임(230)의 일측은 지지대(3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프레임(230)에는 제3가이드(132)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3이동부재(2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동부재(131)가 제2가이드(311)상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이에 대응하여 제3이동부재(231)가 제3가이드(132)를 따라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로써 좌판부(130)가 지지대(300)에서 전후방으로 위치가 이동된다. 또한, 좌판부(130)가 회전되어 등받이부(101)에 밀착되는 경우, 제2이동부재(131)를 회전축으로 회전되며 제3프레임(23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3이동부재(231)에는 제3가이드(132)상에서 제3이동부재(23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3고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좌판부(130)에는 제2고정부재(232)와 제2와이어(233)에 의해 연결된 제2레버(234)가 마련될 수 있다. 탑승자는 제2레버(234)를 통해 제2고정부재(232)를 조작함으로써 제3이동부재(231)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의 제1고정부재(212) 및 제2고정부재(232)에 의하여 시트가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고정부재(232)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1고정부재(212)의 경우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가이드(132)의 내측면에는 요홈이 형성될 수 있고, 요홈에는 제2고정부재(232)가 삽입될 수 있다. 요홈의 반대측면에는 탄성체가 마련되어 제2고정부재(232)를 요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고정부재(232)와 연결된 제2와이어(233)는 제2고정부재(232) 외측으로 노출되어 제2레버(234)에 연결될 수 있다.
탑승자가 좌판부(13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 제2레버(234)를 당기게 된다. 제2레버(234)와 연결된 제2와이어(233)가 당겨지면서 제2고정부재(232)가 탄성체를 가압하면서 요홈에서 빠지게 된다. 이로써 고정이 해제되고,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탑승자는 제3이동부재(231)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적절한 위치에서 제2레버(234)를 놓으면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2고정부재(232)가 요홈을 향하여 돌출되면서 요홈에 삽입될 수 있고, 이로써 좌판부(130)가 다시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메커니즘은 제2고정부재(232) 뿐만 아니라 제1고정부재(212)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메커니즘은 제1고정부재(212) 또는 제2고정부재(232)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체(100)는 헤드레스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140)는 탑승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헤드레스트(140)는 등받이부(10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140)는 등받이부(101)와 제4프레임(240)(20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4프레임(240)(200)의 일단은 헤드레스트(1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등받이부(101)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4프레임(240)(200)과 등받이부(101)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헤드레스트(14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탑승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머리를 기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트를 접어서 차량에 수납하는 경우 헤드레스트(140)를 등받이부(101)에 밀착시킬 수 있게 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접혀진 경우 헤드레스트(140)에 등받이부(10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전방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가 접혀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1부재(110)를 전방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제2부재(120)와 이격시키고, 좌판부(130)를 지지대(300)상에서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제1부재(110)는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2부재(120)의 전방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등받이부(101)가 겹쳐지도록 하고 헤드레스트(140)는 제1부재(11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킨다. 좌판부(130)는 지지대(300)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등받이부(101)와 겹쳐지게 한다. 이로써 등받이부(101), 좌판부(130), 헤드레스트(140)가 포개어 겹쳐짐으로써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지지대(300)는 길이가 줄어들도록 조절한다.
이후 제2부재(120)와 좌판부(13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적당한 경사를 형성한 상태로 만들어 차량에 보관시킬 수 있다. 차량의 전방, 후방에 보관함이 구비되어 차량의 내부에 수납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가 수납된 상태에서 차량 내부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열 시트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로 마련되어 차량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시트가 접혀서 보관되면 외부에는 프레임(200)만 노출되고 본체(100)와 지지대(300)는 차량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열시트의 전방은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화감상을 할 수도 있고, 다른 활동을 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차량 시트는 시트로 활용 가능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차량에 수납함으로써 차량의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자율주행 기술에 의하여 주행되는 차량의 내부에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본체 101 : 등받이부
110 : 제1부재 120 : 제2부재
121 : 제1가이드 130 : 좌판부
131 : 제2이동부재 132 : 제3가이드
140 : 헤드레스트 200 : 프레임
210 : 제1프레임 211 : 제1이동부재
212 : 제1고정부재 213 : 제1와이어
214 : 제1레버 220 : 제2프레임
230 : 제3프레임 231 : 제3이동부재
232 : 제2고정부재 233 : 제2와이어
234 : 제2레버 240 : 제4프레임
300 : 지지대 310 : 상부지지대
311 : 제2가이드 320 : 하부지지대
400 : 레일

Claims (14)

  1. 접혀서 차량에 수납되는 수납식 차량 시트로서,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안착되고, 접히거나 펼쳐지는 본체;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일측은 본체 또는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차량의 플로어에 연결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본체는 탑승자의 상체가 안착되는 등받이부와 탑승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좌판부로 구성되며,
    등받이부는 상방의 제1부재 및 제1부재의 하측에 위치되고 하단이 지지대와 연결된 제2부재로 구성되고,
    본체가 전개되는 경우 제1부재의 하단이 제2부재의 상단과 마주하도록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등받이부를 형성하고, 
    본체가 접히는 경우 제1부재가 회전된 후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부재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고 좌판부가 상방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부재, 제2부재, 좌판부가 중첩되며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대는 차량의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플로어에 마련되고, 지지대가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지지대가 이동하는 경로가 되는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등받이부는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좌판부는 지지대의 상부에 연결되되,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회전 시 등받이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2부재의 후방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가이드가 형성되고,
    프레임은,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연결되고, 제1가이드에 삽입되어 제1가이드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이동부재가 마련된 제1프레임 및 제1프레임의 후방과 제2부재에 연결된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제1프레임은 제2부재 및 제2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1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이동부재에는 제1가이드 상에서 제1이동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가 마련되고, 프레임에는 제1고정부재와 제1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제1고정부재를 조작하는 제1레버가 마련되어 제1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7.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부재는 제1프레임과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8. 청구항 4에 있어서,
    본체는 등받이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탑승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헤드레스트;를 더 포함하고,
    프레임은 일단은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등받이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4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9. 청구항 4에 있어서,
    차량의 플로어에 마련되고, 지지대가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지지대가 이동하는 경로가 되는 레일;을 더 포함하고,
    지지대는 본체와 연결된 상부지지대 및 상부지지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며 하단이 레일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하부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등받이부는 상부지지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좌판부는 상부지지대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부지지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가이드가 형성되고, 좌판부에는 제2가이드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2이동부재가 마련되어 좌판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2이동부재는 좌판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좌판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3가이드가 형성되고,
    프레임은 일측은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좌판부에 연결되며, 제3가이드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3이동부재가 마련된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3이동부재에는 제3가이드 상에서 제3이동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가 마련되고, 좌판부에는 제2고정부재와 제2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제2고정부재를 조작하는 제2레버가 마련되어 좌판부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차량 시트.
KR1020210125943A 2020-06-01 2021-09-23 수납식 차량 시트 KR102375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943A KR102375150B1 (ko) 2020-06-01 2021-09-23 수납식 차량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732A KR102365176B1 (ko) 2020-06-01 2020-06-01 수납식 차량 시트
KR1020210125943A KR102375150B1 (ko) 2020-06-01 2021-09-23 수납식 차량 시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732A Division KR102365176B1 (ko) 2020-06-01 2020-06-01 수납식 차량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627A true KR20210149627A (ko) 2021-12-09
KR102375150B1 KR102375150B1 (ko) 2022-03-17

Family

ID=785091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732A KR102365176B1 (ko) 2020-06-01 2020-06-01 수납식 차량 시트
KR1020210125943A KR102375150B1 (ko) 2020-06-01 2021-09-23 수납식 차량 시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732A KR102365176B1 (ko) 2020-06-01 2020-06-01 수납식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92474B1 (ko)
KR (2) KR102365176B1 (ko)
CN (1) CN113752925A (ko)
DE (1) DE1020202142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532A1 (ko) 2021-11-03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571A (ko) * 2020-09-03 2022-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칵핏모듈
CN114714996A (zh) * 2022-05-19 2022-07-08 浙江极氪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座椅和车辆
WO2024081526A1 (en) * 2022-10-14 2024-04-18 Aehra, Inc Automobile with forward arrangement of passenger cab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445A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용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 레일 구조
JP2000118277A (ja) * 1998-10-12 2000-04-25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用座席
JP2003118438A (ja) * 2001-10-12 2003-04-2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8030653A (ja) * 2006-07-31 2008-02-14 Toyota Motor Corp 折畳み式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9392B1 (en) * 2003-10-31 2005-05-31 Lear Corporation Stadium slide seat
US7152921B2 (en) * 2004-08-18 2006-12-26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SE530557C2 (sv) * 2006-11-08 2008-07-08 Scania Cv Abp Fordonsstol
DE112008003694A5 (de) * 2007-12-05 2010-11-04 Magna Seating (Germany) Gmbh Kraftfahrzeugsitz
DE102008030234B4 (de) * 2008-06-25 2019-01-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Umklappbarer Fahrzeugsitz
CN102781285A (zh) * 2010-01-14 2012-11-14 H.O.波斯特姆有限公司 具有地面滑道释放机构和脚踏调节机构的船用座椅组件
DE102010048719B4 (de) 2010-10-19 2014-06-05 Grammer Aktiengesellschaft Klappbarer Fahrzeugsitz
FR3005289B1 (fr) * 2013-05-06 2016-05-06 Gruau Laval Siege pliable pour cabine de vehicule comportant une pluralite d'axes d'articulation
DE102015114762A1 (de) * 2015-09-03 2017-03-09 Recaro Aircraft Seating Gmbh & Co. Kg Flugzeugsitzvorrichtung mit klappbarem Flugzeugsitz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445A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용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 레일 구조
JP2000118277A (ja) * 1998-10-12 2000-04-25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用座席
JP2003118438A (ja) * 2001-10-12 2003-04-2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8030653A (ja) * 2006-07-31 2008-02-14 Toyota Motor Corp 折畳み式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532A1 (ko) 2021-11-03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176B1 (ko) 2022-02-21
DE102020214276A1 (de) 2021-12-02
US11192474B1 (en) 2021-12-07
US20210370810A1 (en) 2021-12-02
KR20210149260A (ko) 2021-12-09
KR102375150B1 (ko) 2022-03-17
CN113752925A (zh)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176B1 (ko) 수납식 차량 시트
JP3990986B2 (ja) 調節可能なシート
JP6401025B2 (ja) 回転シート装置
JP6643737B2 (ja) 回転シート装置及び車両
JP2015516326A (ja) 航空機のプレミアムクラス乗客用スイート
JP6438210B2 (ja) 車両用シート
JP7393611B2 (ja) 表示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2005313867A (ja) 車両のシート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JP3336454B2 (ja) 航空機用座席装置
KR102448458B1 (ko) 차량의 시트 조립체
JP2002186540A (ja) 電動オットマン装置
JP2002119364A (ja) 椅 子
KR102171273B1 (ko)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JP4923768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6889385B2 (ja) 回転シート装置
JP2000033900A (ja) 航空機用座席装置
JP7168888B2 (ja) 車両用回転シート装置
JP2020082794A (ja) 乗物用シート
KR102647189B1 (ko) 차량용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JPH1120528A (ja) ヘッドレスト可倒機構付きシート
JPH1023941A (ja) 座席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101406568B1 (ko) 풀 플랫베드 타입 차량용 시트
KR20230174943A (ko) 시트쿠션 듀얼 익스텐션장치
KR20230158784A (ko) 연동형 릴렉스 시트 장치
KR102083173B1 (ko)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