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463A -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463A
KR20210149463A KR1020200066528A KR20200066528A KR20210149463A KR 20210149463 A KR20210149463 A KR 20210149463A KR 1020200066528 A KR1020200066528 A KR 1020200066528A KR 20200066528 A KR20200066528 A KR 20200066528A KR 20210149463 A KR20210149463 A KR 20210149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grounds
unit
molding
coffe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329B1 (ko
Inventor
박성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스텍
Priority to KR102020006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329B1/ko
Publication of KR2021014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결과적으로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는 커피 찌꺼기로 인한 환경 문제를 리사이클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고형화 및 수거 시스템을 개발하여 커피 찌꺼기와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줄이는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커피 판매 매장에서 발생하는 커피 찌거기를 고형화되도록 성형하면서 수거에 따른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이고, 이에 따라 고형화된 성형물들에 대한 수거 스케쥴을 수립하고 그 수립된 수거 스케쥴에 따라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커피 찌거기를 이용하는 재활용 업체로의 안정적인 재료 공급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가 설치되는 커피 판매 매장에 납품된 커피와 그 커피 판매 매장에서의 실제 커피 사용량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커피 판매 매장들에 대한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폐기물 문제와 자원 순환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커피 판매 매장 입장에서는 종량제 봉투에 의한 커피 찌거기 폐기물의 처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Coffee ground coagulation device and coffee grounds collection platform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피 찌꺼기를 고형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찌꺼기를 고형화되도록 성형하는 한편, 고형화된 커피 찌꺼기 성형물을 효율적으로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찌꺼기는 식물성인 원두 커피를 일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잘게 파쇄한 분말에서 커피 원액을 추출하고 남은 찌꺼기로, 최근에는 버려지는 커피 찌꺼기를 재활용하여 제품 생산에 이용하려는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예로, 커피 찌꺼기는 고형 연료의 주원료로 재활용하여 친환경적인 고형 연료를 제조하거나, 상기 고형연료 이외에도 퇴비나 방향제 등 여러 다양한 제품의 원료로 재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커피 찌꺼기를 이용하여 제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선결적으로 원료인 커피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수거하는 것이 중요하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커피 찌꺼기는 커피 음료 제조 과정 중 배출되는 부산물로서 함수율이 높으며, 커피 찌꺼기의 배출 장소에 따라 커피 찌꺼기의 함수율이 일정하지 않은 특성을 가진 반면, 커피 찌꺼기를 주원료로 하는 고형 연료와 같은 제품 제조공정에서는 커피 찌꺼기의 수분 함량을 일정 수준으로 균일하게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커피 찌꺼기 재활용 제품의 제조 단가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배출 장소에서 커피 찌꺼기를 수거하는 단계에서부터 커피 찌꺼기의 상기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수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는 만족할만한 수거 시스템이 없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21268호(공고일 2016.05.31.)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0204호(공개일 2018.06.07.) 등록특허공보 제10-1914102호(공고일 2018.11.01.) 등록특허공보 제10-1954679호(공고일 2019.02.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피 찌거기를 건조 과정을 거쳐 수분을 배출시킨 후 압축 성형을 통해 고형화시켜 부피를 축소시키는 공정이 하나의 본체내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를 통해 고형화된 성형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를 수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커피 찌꺼기 성형물들에 대한 수거 스케쥴을 수립하고 그 수립된 수거 스케쥴에 따라 성형물 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커피 찌꺼기를 이용하는 재활용 업체로의 안정적인 재료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특히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가 설치되는 커피 판매 매장에 납품된 커피와 그 커피 판매 매장에서의 실제 커피 사용량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커피 판매 매장들에 대한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는, 하나의 함체에 적층 형성되면서 제어부의 순차 제어를 통해 구동하는 것으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커피 찌꺼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 상기 제습부와 제 1 공급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공급라인을 통해 낙하되는 수분이 제거된 커피 찌꺼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와 제 2 공급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공급라인을 통해 낙하되는 건조된 커피 찌꺼기를 압축 성형하여 고형화시키는 성형부; 및,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고형화된 성형물이 낙하시 그 중량을 체크하는 중량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측에는 상기 제습부와 상기 건조부 및 상기 성형부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순차 제어되도록 상기 커피 찌꺼기의 투입을 감지한 후 그 투입 감시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투입감지센서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투입 감지센서는 초음파 센서인 것이다.
또한, 상기 중량 감지부에는 상기 성형부를 통해 고형화된 성형물이 낙하시 이를 수용하는 수거함이 올려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에는 중량 감지부에 의해 고형화된 성형물의 중량이 기준 수거 중량이 도달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에는 상기 중량 감지부에 의해 체크되는 고형화된 성형물의 중량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량 감지부는 로드셀인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에는 다단을 이루는 제 1 내지 제 4 적층 격벽을 형성하되, 상기 제습부는 상기 함체의 외부 상면인 상기 제 1 적층 격벽에 형성하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함체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적층 격벽에 형성하며, 상기 성형부는 상기 함체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3 적층 격벽에 형성하고, 상기 함체부의 내부 바닥면을 이루는 최하단의 상기 제 4 적층 격벽에는 상기 중량 감지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습부는,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는 제습 몸체; 상기 제습 몸체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하는 제 1 구동부; 상기 제습 몸체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부의 구동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커피 찌꺼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상기 커피 찌꺼기를 상기 제 1 공급라인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제 1 공급라인을 통해 수분이 배출된 상기 커피 찌꺼기를 공급받는 건조 몸체; 상기 건조 몸체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 상기 제 2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건조 몸체내에 투입되는 수분이 제거된 커피 찌꺼기를 교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교반날개; 상기 건조 몸체의 외주면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 3 구동부; 상기 제 3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히팅부의 가열에 따른 열풍을 상기 건조 몸체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팬; 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 몸체에는 상기 커피 찌꺼기의 함수율을 측정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함수율 측정센서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수율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함수율이 기준 함수율에 도달시 상기 제 2 및 제 3 구동부의 구동을 오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 몸체내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2 공급라인으로 건조된 커피 찌꺼기를 토출하는 하나의 토출구를 가진 회전판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제 2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연동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제 2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건조된 커피 찌꺼기를 수용하는 성형홈이 형성되는 회전형의 하부금형;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하부금형을 회전시키는 제 4 구동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 5 구동부; 상기 제 5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성형홈에 수용되는 건조된 커피 찌꺼기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고형화된 성형물로 성형하도록 열선 내장형의 가압돌기를 가지는 상부 금형; 및, 상기 성형홈의 바닥면을 이루며,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건조된 커피 찌꺼기가 고형화된 성형물로 성형 완료시, 상기 성형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제 6 구동부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잠금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 해결 수단인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은,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고형화 장치에 의한 커피 찌꺼기의 고형화에 따른 성형물의 중량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어플이 설치되는 매장내 관리자의 통신단말; 상기 통신단말과 통신 연결되면서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고형화된 성형물의 중량 정보가 설정된 수거 기준 중량에 도달시 호출 신호를 송출하는 원격지 서버; 상기 원격지 서버에 의해 송출되는 호출신호에 따라 고형화된 성형물을 수거하기 위한 배차신호를 송출하는 수거 서버; 및, 상기 수거 서버에 의해 송출되는 배차신호를 수신하는 수거 차량 운전자용의 배차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격지 서버는 수집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고형화된 성형물의 실시간 생산량을 누적 집계하면서, 일 생산량, 월 생산량, 연간 생산량을 확인하여, 상기 고형화 장치가 설치되는 매장내 고형화된 성형물의 재고량, 예상 수거 일정, 수거 주기를 산출하는 성형물 관리 처리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격지 서버에는 상기 성형물 관리 처리부에 의해 산출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고형화 장치가 설치되는 매장으로 납품되는 커피, 그리고 납품된 커피의 사용량을 파악하는 재고 관리 처리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은, 결과적으로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는 커피 찌꺼기로 인한 환경 문제를 리사이클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고형화 및 수거 시스템을 개발하여 커피 찌꺼기와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줄이는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는 커피 판매 매장에서 발생하는 커피 찌거기를 고형화되도록 성형하면서 수거에 따른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이고, 이를 통해 고형화된 성형물에 대한 수거 스케쥴을 수립하고 그 수립된 수거 스케쥴에 따라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커피 찌거기를 이용하는 재활용 업체로의 안정적인 재료 공급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가 설치되는 커피 판매 매장에 납품된 커피와 그 커피 판매 매장에서의 실제 커피 사용량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커피 판매 매장들에 대한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폐기물 문제와 자원 순환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커피 판매 매장 입장에서는 종량제 봉투에 의한 커피 찌거기 폐기물의 처리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습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건조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성형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습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건조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성형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100)는, 약 80%의 함수율(수분 함량)을 가진 커피 찌꺼기(C1)를 약 10∼15% 범위내의 함수율로 낮추면서 고형화된 성형물(C2)이 생성되도록 하나의 함체(10)에 적층 형성되면서 제어부(20)의 순차 제어를 통해 구동되는 것이며, 이는 제습부(30), 건조부(40), 성형부(50), 중량 감지부(6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수분은 물리적, 기계적, 가공적 성질에 끼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약 80%의 함수율(수분 함량)을 가진 커피 찌꺼기(C1)를 고형화된 성형물(C2)로 성형하기 위한 사용 환경에 맞는 약 10∼15% 범위내의 함수율로 낮추도록 건조 공정이 필요로 하는 것이다.
상기 함체(10)는 다단을 이루는 제 1 내지 제 4 적층 격벽(d1, d2, d3, d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습부(30)는 상기 함체(10)의 외부 상면인 상기 제 1 적층 격벽(d1)에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건조부(40)는 상기 함체(10)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적층 격벽(d2)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성형부(50)는 상기 함체(1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3 적층 격벽(d3)에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함체부(10)의 내부 바닥면을 이루는 최하단의 상기 제 4 적층 격벽(d4)에는 상기 중량 감지부(6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습부(30)는 투입구(31a)를 통해 투입되는 커피 찌꺼기(C1)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제습몸체(31), 제 1 구동부(32), 이송 스크류(3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습 몸체(31)는 상기 이송 스크류(33)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면 일단에는 약 80%의 함수율(수분 함량)을 가진 커피 찌꺼기(C1)가 투입 가능한 상기 투입구(31a)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31a)측에는 상기 제습부(30)와 상기 건조부(40) 및 상기 성형부(50)가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순차 제어되도록 약 80%의 함수율을 가진상기 커피 찌꺼기(C1)의 투입을 감지한 후 그 투입 감시신호를 상기 제어부(20)로 출력하는 투입감지센서(S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감지센서(S1)는 초음파센서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구동부(32)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 구동하는 모터로서, 상기 제습 몸체(31)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33)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 스크류(33)는 상기 제습 몸체(31)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구동부(32)의 구동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31a)를 통해 투입되는 약 80%의 함수율(수분 함량)을 가진 커피 찌꺼기(C1)에서 수분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커피 찌꺼기(C1)를 제 1 공급라인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공급라인은 상기 제습 몸체(31)에 형성되는 하나의 배출구(31b)와 상기 건조부(40)의 유입구(41a)를 연결하는 배관 라인을 설명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배출구(31b)를 통해 커피 찌꺼기(C1)를 상기 유입구(41a)측으로 자유 낙하시킬 수도 있으므로, 상기 유입구(41a)와 상기 배출구(31b)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습 몸체(31)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이송 스크류(33)의 가압 이송에 따라 상기 커피 찌꺼기(C1)로부터 수분 배출시 그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드레인시키기 위한 드레인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드레인 배출구에는 드레인 호스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건조부(40)는 상기 제습부(30)와 상기 제 1 공급라인(31b, 41a)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공급라인(31b, 41a)을 통해 공급되는 수분이 제거된 커피 찌꺼기(C1')를 건조시키는 것으로, 건조 몸체(41), 제 2 구동부(42), 교반날개(43), 제 3 구동부(44), 송풍팬(45), 회전판(46)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건조 몸체(41)는 상기 제 1 공급라인(31b, 41a)을 통해 수분이 배출된 상기 커피 찌꺼기(C1')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구동부(42)는 상기 건조 몸체(41)의 저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축(42a)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개(43)는 상기 제 2 구동부(42)의 구동축(42a)에 결합되면서 상기 건조 몸체(41)의 내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구동부(42)의 구동에 따라 상기 건조 몸체(41)내에 투입되는 수분이 제거된 커피 찌꺼기(C1')를 교반하는 것이며, 이는 상기 구동축(42a)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3 구동부(44)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로서, 상기 건조 몸체(41)의 외주면 일단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송풍팬(45)은 상기 제 3 구동부(44)의 구동에 따라 히팅부(미도시)의 가열에 따른 열풍을 상기 건조 몸체(41)의 내부로 송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판(46)은 상기 건조 몸체(41)내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 2 구동부(42)의 구동축(42a)에 결합되는 원판형 회전 구조물로 하나의 토출구(46a)를 가지며, 이는 상기 제 2 구동부(42)의 구동에 따라 교반날개(43)가 수분이 제거된 커피 찌꺼기(C1')를 교반시키면서 건조시 그 건조되는 커피 찌꺼기(C1")를 상기 토출구(46a)를 통해 상기 성형부(50)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건조 몸체(41)에는 함수율 측정센서(S2)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수율 측정센서(S1)는 상기 건조 몸체(41)내에서 열풍 건조되는 상기 커피 찌꺼기(C1")의 함수율을 측정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20)로 출력하는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함수율 측정센서(S2)에 의해 측정된 함수율이 기준 함수율 고형화된 성형물로 성형하기 위한 약 10∼15%의 함수율에 도달시 상기 제 2 및 제 3 구동부(42, 44)의 구동을 오프 제어하여 건조 공정을 종료시키는 것이다.
상기 성형부(50)는 상기 건조부(40)와 제 2 공급라인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 2 공급라인을 통해 낙하되는 건조된 커피 찌꺼기(C1")를 압축 성형하여 고형화시킨 성형물(C2)을 생성하는 것으로, 하부금형(51), 제 4 구동부(52), 제 5 구동부(53), 상부 금형(54), 잠금부(55)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공급라인은 건조된 커피 찌꺼기(C1")를 자유 낙하시키도록 상기 건조 몸체(41)로부터 인출되는 복수의 배출관(41b, 41c)을 설명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호스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금형(51)은 회전형 구조물로서, 상기 제 2 공급라인(41b, 41c)을 통해 공급되는 건조된 커피 찌꺼기(C1")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형홈(51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4 구동부(52)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성형홈(51a)에 건조된 커피 찌꺼기(C1")가 순차적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하부금형(51)을 회전시키는 것이며, 이는 모터(52a)와 구동벨트(52b) 및 회전축(52c)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모터(52a)의 구동축과 상기 회전축(52c)의 풀리(54d)를 상기 구동벨트(52b)로 연결하여, 상기 모터(52a)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52c)에 전달하면서, 상기 회전축(52c)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51)이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 금형(51)의 회전은 하나의 성형홈(51a)에 건조된 커피 찌꺼기(C1')가 수용시 다음 성형홈(51a)으로 건조된 커피 찌꺼기(C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5 구동부(53)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53a)이고, 상기 모터(53a)에는 스크류 타입의 구동축(53b)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금형(54)은 상기 제 5 구동부(53)의 구동에 따라 가이드로드(54b)를 따라 승하강되는 것이며, 상기 성형홈(51a)에 수용되는 건조된 커피 찌꺼기(C1")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고형화된 성형물로 성형하도록 열선 내장형의 가압돌기(54a)를 가진 것이다.
상기 잠금부(55)는 상기 성형홈(51a)의 바닥면을 이룬 것으로, 상기 가압돌기(54a)에 의해 건조된 커피 찌꺼기가 고형화된 성형물(C2)로 성형 완료시, 상기 성형물(C2)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받는 모터 타입의 제 6 구동부(55a)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것이다.
즉, 상기 잠금부(55)는 상기 성형홈(51a)의 바닥면을 이룬 것으로서 힌지(h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개폐판(55b)과, 상기 개폐판(55b)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스크류 타입의 핀부(55c), 그리고 상기 핀부(55c)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송시키는 상기 제 5 구동부(55a)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중량 감지부(60)는 상기 성형부(50)에 의해 성형된 고형화된 성형물(C2)이 낙하시 그 중량을 체크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로드셀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중량 감지부(60)에 고형화된 성형물(C2)이 쌓이면 이를 진공 포장하고, 진공 포장된 성형물(C2)은 별도의 정해진 수거 업체에서 수거할 수 있게 되면서, 매장 입장에서는 폐기물인 커피 찌꺼기의 처리에 따른 쓰레기 봉투의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중량 감지부(60)에는 상기 성형부(50)를 통해 고형화된 성형물(C2)이 낙하시 이를 수용하는 별도의 수거함(70)이 올려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함체(10)에는 상기 중량 감지부(60)에 의해 고형화된 성형물(C2) 중량이 기준 수거 중량에 도달시,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처리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람 처리부(80)는 매장 관리자가 수시로 고형화된 성형물(C2)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면서, 성형물(C2)이 중량 감지부(60) 또는 상기 수거함(70)에 쌓이면서 설정된 기준 수거 중량에 도달시 이를 매장 관리자가 인지하도록 알람을 발생시키고, 이에따라 매장 관리자는 기준 수거 중량으로 쌓인 고형화된 성형물(C2)을 수거한 후 진공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함체(10)에는 상기 중량 감지부(60)에 의해 체크되는 고형화된 성형물(C2)의 중량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통신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90)는 수거 플랫폼 시스템에 포함되는 매장내 관리자의 통신단말(200) 또는 원격지 서버(300)와 통신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고형화된 성형물(C2)이 기준 수거 중량에 도달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통신부(90)의 통신 제어를 통해 상기 고형화된 성형물(C2)이 수거 업체에 의해 신속하게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매장내에서 커피 판매 후 커피 찌거기(C1)가 발생시,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커피 찌꺼기(C1)를 매장내에 설치된 고형화 장치(100)의 제습부(30)에 형성되는 투입구(31)에 투입한다.
그러면, 상기 투입구(31)측에 마련되는 투입감지센서(S1)가 상기 커피 찌꺼기(C1)의 투입 상태를 감지한 후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20)에 전송 처리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어부(20)는 제습부(30)와 건조부(40) 및 성형부(50)의 구동을 순차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습부(30)는 상기 투입구(31)를 통해 투입되는 약 80%의 함수율을 가진 상기 커피 찌꺼기(C1)가 약 10∼15%의 함수율을 가지도록 함수율 측정센서(S2)에 의해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이를 상기 건조부(40)에 공급하는 것이고, 상기 건조부(40)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수분이 제거된 약 10∼15%의 함수율을 가진 커피 찌꺼기(C1')를 건조시킨 후 이를 상기 성형부(50)에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면,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성형부(50)에서는 공급되는 약 10∼15%의 함수율을 가진 건조된 커피 찌꺼기(C1")를 하부 금형(51)과 상부 금형(54)을 통해 성형하여, 고형화된 성형물(C2)을 배출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배출되는 고형화된 성형물(C2)은 중량 감지부(60) 위에 낙하되거나 또는 수거함(70)에 수거되어 중량이 감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량 감지부(60)에 의해 고형화된 성형물(C2)의 중량이 기준 수거 중량에 도달되면 그 정보가 제어부(20)에 전송되고, 이에 상기 제어부(20)는 알람 처리부(80)를 알람을 발생시키게 되면서, 매장내 관리자가 고형화된 성형물(C2)을 진공 포장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100)에 마련되는 통신부(90)는 매장내 관리자의 통신단말(200)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통신단말(200)에는 모니터링 어플(201)이 탑재되어 있으므로, 상기 어플(201)은 상기 고형화 장치(100)에 의한 커피 찌꺼기의 고형화에 따른 성형물(C2)의 중량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 그 모니터링 정보를 원격지 서버(300)에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원격지 서버(300)는 상기 통신단말(200)과 통신 연결되면서 상기 통신단말(200)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되, 수집된 고형화된 성형물(C2)의 중량 정보가 설정된 수거 기준 중량에 도달시 호출 신호를 수거 서버(400)에 송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격지 서버(300)에 구축된 성형물 관리 처리부(301)는 수집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고형화된 성형물(C2)의 실시간 생산량을 누적 집계하면서, 일 생산량, 월 생산량, 연간 생산량을 확인하여, 상기 고형화 장치(100)가 설치되는 매장내 고형화된 성형물(C2)의 재고량, 예상 수거 일정, 수거 주기를 산출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원격지 서버(300)에 구축된 재고 관리 처리부(302)는 상기 성형물 관리 처리부(301)에 의해 산출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고형화 장치(100)가 설치되는 매장으로 납품되는 커피, 그리고 납품된 커피의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면서, 커피 납품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원격지 서버(300)에 의해 호출신호가 송출시 이를 수신하는 상기 수거 서버(400)는 고형화된 성형물(C2)을 수거하기 위한 배차신호를 수거 차량 운전자용의 배차 단말(500)에 송출하게 되면서, 상기 배차 단말(500)을 소지한 수거 차량 운전자는 수거 차량을 통해 진공 포장된 고형화된 성형물(C2)을 자동 수거할 수 있게 되면서, 수거된 고형화된 커피 찌꺼기의 성형물(C2)은 고형 연료의 주원료로 재활용하거나 친환경적인 고형 연료를 제조, 또는 고형연료 이외에 퇴비나 방향제 등 여러 다양한 제품의 원료로 재활용하는 업체로 바로 배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함체 20; 제어부
30; 제습부 31; 제습몸체
31a; 투입구 32; 제 1 구동부
33; 이송 스크류 40; 건조부
41; 건조 몸체 42; 제 2 구동부
42a; 구동축 43; 교반날개
44; 제 3 구동부 45; 송풍팬
46; 회전판 46a; 토출구
50; 성형부 51; 하부금형
51a; 성형홈 52; 제 4 구동부
53; 제 5 구동부 54; 상부 금형
54a; 가압돌기 55; 잠금부
55a; 제 6 구동부 60; 중량 감지부
70; 수거함 80; 알람 처리부
90; 통신부 100; 고형화 장치
200; 통신단말 201; 모니터링 어플
300; 원격지 서버 301; 성형물 관리 처리부
302; 재고 관리 처리부 400; 수거 서버
500; 배차 단말 C1, C1',C1"; 커피 찌꺼기
C2; 성형물 S1; 투입 감지센서
S2; 함수율 측정센서

Claims (24)

  1. 함체에 적층 형성되면서 제어부의 순차 제어를 통해 구동하는 것으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커피 찌꺼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
    상기 제습부와 제 1 공급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공급라인을 통해 낙하되는 수분이 제거된 커피 찌꺼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와 제 2 공급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공급라인을 통해 낙하되는 건조된 커피 찌꺼기를 압축 성형하여 고형화시키는 성형부; 및,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고형화된 성형물이 낙하시 그 중량을 체크하는 중량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측에는 상기 제습부와 상기 건조부 및 상기 성형부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순차 제어되도록 상기 커피 찌꺼기의 투입을 감지한 후 그 투입 감시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투입감지센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감지센서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감지부에는 상기 성형부를 통해 고형화된 성형물이 낙하시 이를 수용하는 수거함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중량 감지부에 의해 고형화된 성형물의 중량이 기준 수거 중량이 도달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상기 중량 감지부에 의해 체크되는 고형화된 성형물의 중량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감지부는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다단을 이루는 제 1 내지 제 4 적층 격벽을 형성하되, 상기 제습부는 상기 함체의 외부 상면인 상기 제 1 적층 격벽에 형성하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함체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적층 격벽에 형성하며, 상기 성형부는 상기 함체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3 적층 격벽에 형성하고, 상기 함체부의 내부 바닥면을 이루는 최하단의 상기 제 4 적층 격벽에는 상기 중량 감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는 제습 몸체;
    상기 제습 몸체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하는 제 1구동부;
    상기 제습 몸체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부의 구동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커피 찌꺼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상기 커피 찌꺼기를 상기 제 1 공급라인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제 1 공급라인을 통해 수분이 배출된 상기 커피 찌꺼기를 공급받는 건조 몸체;
    상기 건조 몸체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
    상기 제 2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건조 몸체내에 투입되는 수분이 제거된 커피 찌꺼기를 교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교반날개;
    상기 건조 몸체의 외주면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 3 구동부;
    상기 제 3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히팅부의 가열에 따른 열풍을 상기 건조 몸체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팬; 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 몸체에는 상기 커피 찌꺼기의 함수율을 측정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함수율 측정센서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수율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함수율이 기준 함수율에 도달시 상기 제 2 및 제 3 구동부의 구동을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몸체내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2 공급라인으로 건조된 커피 찌꺼기를 토출하는 하나의 토출구를 가진 회전판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제 2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연동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제 2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건조된 커피 찌꺼기를 수용하는 성형홈이 형성되는 회전형의 하부금형;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하부금형을 회전시키는 제 4 구동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 5 구동부;
    상기 제 5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성형홈에 수용되는 건조된 커피 찌꺼기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고형화된 성형물로 성형하도록 열선 내장형의 가압돌기를 가지는 상부 금형; 및,
    상기 성형홈의 바닥면을 이루며,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건조된 커피 찌꺼기가 고형화된 성형물로 성형 완료시, 상기 성형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제 6 구동부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잠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12. 통신부를 가지며, 커피 찌꺼기를 성형하여 고형화시키는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
    상기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고형화 장치에 의한 커피 찌꺼기의 고형화에 따른 성형물의 중량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어플이 설치되는 매장내 관리자의 통신단말;
    상기 통신단말과 통신 연결되면서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고형화된 성형물의 중량 정보가 설정된 수거 기준 중량에 도달시 호출 신호를 송출하는 원격지 서버;
    상기 원격지 서버에 의해 송출되는 호출신호에 따라 고형화된 성형물을 수거하기 위한 배차신호를 송출하는 수거 서버; 및,
    상기 수거 서버에 의해 송출되는 배차신호를 수신하는 수거 차량 운전자용의 배차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서버는 수집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고형화된 성형물의 실시간 생산량을 누적 집계하면서, 일 생산량, 월 생산량, 연간 생산량을 확인하여, 상기 고형화 장치가 설치되는 매장내 고형화된 성형물의 재고량, 예상 수거 일정, 수거 주기를 산출하는 성형물 관리 처리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서버에는 상기 성형물 관리 처리부에 의해 산출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고형화 장치가 설치되는 매장으로 납품되는 커피, 그리고 납품된 커피의 사용량을 파악하는 재고 관리 처리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는,
    함체에 적층 형성되면서 제어부의 순차 제어를 통해 구동하는 것으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커피 찌꺼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
    상기 제습부와 제 1 공급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공급라인을 통해 낙하되는 수분이 제거된 커피 찌꺼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와 제 2 공급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공급라인을 통해 낙하되는 건조된 커피 찌꺼기를 압축 성형하여 고형화시키는 성형부; 및,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고형화된 성형물이 낙하시 그 중량을 체크하는 중량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측에는 상기 제습부와 상기 건조부 및 상기 성형부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순차 제어되도록 상기 커피 찌꺼기의 투입을 감지한 후 그 투입 감시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투입감지센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플랫폼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감지센서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감지부에는 상기 성형부를 통해 고형화된 성형물이 낙하시 이를 수용하는 수거함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상기 중량 감지부에 의해 고형화된 성형물의 중량이 기준 수거 중량이 도달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감지부는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는 제습 몸체;
    상기 제습 몸체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하는 제 1구동부;
    상기 제습 몸체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부의 구동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커피 찌꺼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상기 커피 찌꺼기를 상기 제 1 공급라인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제 1 공급라인을 통해 수분이 배출된 상기 커피 찌꺼기를 공급받는 건조 몸체;
    상기 건조 몸체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
    상기 제 2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건조 몸체내에 투입되는 수분이 제거된 커피 찌꺼기를 교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교반날개;
    상기 건조 몸체의 외주면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 3 구동부;
    상기 제 3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히팅부의 가열에 따른 열풍을 상기 건조 몸체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팬; 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 몸체에는 상기 커피 찌꺼기의 함수율을 측정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함수율 측정센서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수율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함수율이 기준 함수율에 도달시 상기 제 2 및 제 3 구동부의 구동을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몸체내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2 공급라인으로 건조된 커피 찌꺼기를 토출하는 하나의 토출구를 가진 회전판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제 2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연동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제 2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건조된 커피 찌꺼기를 수용하는 성형홈이 형성되는 회전형의 하부금형;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하부금형을 회전시키는 제 4 구동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 5 구동부;
    상기 제 5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성형홈에 수용되는 건조된 커피 찌꺼기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고형화된 성형물로 성형하도록 열선 내장형의 가압돌기를 가지는 상부 금형; 및,
    상기 성형홈의 바닥면을 이루며,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건조된 커피 찌꺼기가 고형화된 성형물로 성형 완료시, 상기 성형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제 6 구동부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잠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KR1020200066528A 2020-06-02 2020-06-02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KR102441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528A KR102441329B1 (ko) 2020-06-02 2020-06-02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528A KR102441329B1 (ko) 2020-06-02 2020-06-02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463A true KR20210149463A (ko) 2021-12-09
KR102441329B1 KR102441329B1 (ko) 2022-09-08

Family

ID=7886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528A KR102441329B1 (ko) 2020-06-02 2020-06-02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147A (ko) 2022-02-22 2023-08-29 주식회사 포어스코리아 커피찌꺼기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144A (ko) * 1999-09-17 2001-04-06 엄완영 음식물쓰레기 자동감량화기기.
KR20100072158A (ko) * 2010-06-11 2010-06-30 김성호 커피찌꺼기 자동 건조/포장장치
KR101444893B1 (ko) * 2012-05-30 2014-09-26 해표산업 주식회사 펠릿성형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621268B1 (ko) 2014-08-08 2016-05-31 나용훈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고형 연료의 제조방법
KR101699537B1 (ko) * 2014-10-13 2017-01-24 나용훈 커피찌꺼기 수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피찌꺼기 수거방법
KR20180060204A (ko) 2016-11-28 2018-06-07 이태은 맥반석을 함유한 커피찌꺼기 숯의 제조 방법
KR101914102B1 (ko) 2017-07-25 2018-11-01 주식회사 창의산업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KR101954679B1 (ko) 2018-05-23 2019-03-06 김민준 커피 찌꺼기를 이용한 재활용 연료 펠릿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144A (ko) * 1999-09-17 2001-04-06 엄완영 음식물쓰레기 자동감량화기기.
KR20100072158A (ko) * 2010-06-11 2010-06-30 김성호 커피찌꺼기 자동 건조/포장장치
KR101444893B1 (ko) * 2012-05-30 2014-09-26 해표산업 주식회사 펠릿성형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621268B1 (ko) 2014-08-08 2016-05-31 나용훈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고형 연료의 제조방법
KR101699537B1 (ko) * 2014-10-13 2017-01-24 나용훈 커피찌꺼기 수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피찌꺼기 수거방법
KR20180060204A (ko) 2016-11-28 2018-06-07 이태은 맥반석을 함유한 커피찌꺼기 숯의 제조 방법
KR101914102B1 (ko) 2017-07-25 2018-11-01 주식회사 창의산업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KR101954679B1 (ko) 2018-05-23 2019-03-06 김민준 커피 찌꺼기를 이용한 재활용 연료 펠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147A (ko) 2022-02-22 2023-08-29 주식회사 포어스코리아 커피찌꺼기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329B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0332U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2441329B1 (ko)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US20150276312A1 (en) Was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212923615U (zh) 一种压砖机的自动布料装置
CN107442235A (zh) 一种具有烘干功能的物料自动精细粉碎机
DK2986139T3 (en) SYSTEM FOR TREATMENT OF PRIMARY FOOD WASTE FOR SECONDARY FOOD.
CN105329678A (zh) 组合喂料定量秤
KR101844863B1 (ko)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CN110721987A (zh) 一种安全环保自喷漆罐回收装置
WO2011015966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metering and adding fibres to a cement matrix
CN206315849U (zh) 一种具有冷却装置的塑料粉碎装置
CN105589378B (zh) 一种环保材料的智能生产系统
CN109732810B (zh) 塑料物品回收柜及其回收方法
CN108311200A (zh) 一种工业生产废料干燥捣碎再利用设备
CN202781492U (zh) 用于回收塑料泡沫的移动式压缩机
KR102358780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CN206598519U (zh) 塑料箱生产线的自动配料系统
CN209036784U (zh) 一种上料报警装置
CA3017914C (en) Composting apparatus and process of use thereof
CN109436396A (zh) 一种预包装食品称重装置及其使用方法
CN102848490A (zh) 用于回收塑料泡沫的移动式压缩机
CN101004322B (zh) 再生聚酯瓶片的连续干燥方法及其专用干燥装置
CN207061239U (zh) 大型容器分类回收机
KR101107054B1 (ko)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CN200996782Y (zh) 一种再生聚酯瓶片的连续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