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102B1 -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102B1
KR101914102B1 KR1020170094373A KR20170094373A KR101914102B1 KR 101914102 B1 KR101914102 B1 KR 101914102B1 KR 1020170094373 A KR1020170094373 A KR 1020170094373A KR 20170094373 A KR20170094373 A KR 20170094373A KR 101914102 B1 KR101914102 B1 KR 101914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moke
coffee
accommodating
coffee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남
조순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의산업
Priority to KR1020170094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45Steam treatment, e.g.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r oxidation
    • B09B3/00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30Incineration ashes
    • B09B2220/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를 추출 후 남은 원두 찌꺼기를 수집 및 건조하여 훈연 및 훈제를 위한 연료로 활용하여 식품에 커피향을 더할 수 있고 원두 찌꺼기를 통해 숯가루를 제조 및 성형하여 3D 프린터 필라멘트나 친환경 숯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SYSTEM FOR RECYCLING COFFEE BEAN RESIDUE}
본 발명은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커피를 추출 후 남은 원두 찌꺼기를 수집 및 건조하여 훈연 및 훈제를 위한 연료로 활용하여 식품에 커피향을 더할 수 있고 원두 찌꺼기를 통해 숯가루를 제조 및 성형하여 3D 프린터 필라멘트나 친환경 숯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음료를 추출한 후 발생하는 원두찌꺼기는, 15 내지 25%의 오일을 함유하고 그 고형분은 ㎏당 6000㎉ 이상의 고열량을 가진 에너지 자원으로 재활용 가능성이 있으나 아직까지 일부만 유기질 비료의 원료로 사용되고 대부분은 일반 쓰레기와 같이 소각되거나 매립처리 되는 실정이다.
특히 원두찌꺼기는 통상 80 내지 85%의 함수율을 갖게 되므로 일반적인 방법으로 건조 및 소각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매연의 발생뿐 아니라 매립 폐기시 높은 함수율에 따른 폐액이 수질이나 토양을 오염시킬 우려가 높다.
이에 따라 민간을 중심으로 버려지는 원두 찌꺼기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탈취/제습/방향제, 묵은 때나 기름기 제거, 벌레 퇴치, 화초영양분 등 다양한 활용법이 알려지고 있으나 소량의 찌꺼기를 재활용할 수 있되 여전히 폐기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방식일 뿐이다.
이에 원두 찌꺼기를 농업부산물이나 톱밥 등과 같은 가연성 원료와 혼합하여 연료로서 재활용하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으나 완전한 수분제거 등의 공정이 매우 번거로운 가운데 이로 인한 연소 시 불완전 연소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와 같은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여 이용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8233호 (2016.02.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를 추출 후 남은 원두 찌꺼기를 수집 및 건조하여 훈연 및 훈제를 위한 연료로 활용하여 식품에 커피향을 더할 수 있고 원두 찌꺼기를 통해 숯가루를 제조 및 성형하여 3D 프린터 필라멘트나 친환경 숯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은 훈연 대상 식품이 놓이는 망상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측면과 상부 및 하부로 공간을 형성하며 지지체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훈연처리부; 내측으로 커피찌꺼기가 투입 및 수용되되 교반수단이 구비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전기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수용부에서 발생하는 연기 중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와, 수분이 제거된 연기를 상기 훈연처리부로 배출하는 송풍부와, 상기 훈연처리부 내부에서 연기를 유동시키는 순환부와, 상기 훈연처리부를 순환한 연기를 배출하되 연기필터를 구비한 배출부를 구비하는 연기생성부; 상기 교반수단과 가열부와 송풍부와 순환부를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기생성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커피찌꺼기를 살균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부를 통한 공기흐름을 역류시켜 상기 수용부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전환부와, 훈연 처리중 상기 수용부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상기 수분제거부로 흐르도록 하고 훈연 처리 후 상기 수용부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며 커피찌꺼기를 가열하여 숯가루를 제조하는 숯제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기생성부는 상기 교반수단 및 송풍부가 분리되며 상기 수용부가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커피 숯가루에 첨가제를 투입하는 약품투입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측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된 숫가루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구비하는 필렛제조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버려지는 원두 찌꺼기를 재활용함에 있어 훈연 및 훈제를 위한 연료로 활용하여 다양한 훈제 식품에 커피향을 더할 수 있고 원두 찌꺼기를 통해 숯가루를 제조 및 성형하여 3D 프린터 필라멘트나 친환경 숯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많은 커피 전문점 등 국내 통계 연간 15만 톤 수준으로 발생하는 커피찌꺼기의 처리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 부분을 절개한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 - B' 부분을 절개한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숯 제품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같은 목적은 위한 본 발명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로서, 본 발명은 커피 전문점이나 카페 또는 가정에서 커피를 추출 후 남은 원두 찌꺼기를 수집 및 건조하여 재활용하되 우선적으로 훈연 및 훈제를 위한 연료로 활용하여 다양한 훈제 식품에 커피향을 더할 수 있도록 한 뒤 이를 통해 숯가루를 제조 및 성형하여 3D 프린터 필라멘트나 친환경 숯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이를 원스탑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 부분을 절개한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먼저 본 발명의 1 실시예는 커피 원두 찌꺼기를 훈연 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훈연처리부(10)와 연기생성부(20) 및 제어부(50)의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훈연처리부(10)는 훈연 대상 식품을 내부에 수용하여 훈연 처리하는 통 형상의 구조체로서, 내측으로 훈연 대상 식품이 놓이는 망상의 지지체(11)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체(11)를 통해 훈연 대상 식품이 측면과 상부 및 하부로 연기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통 형상의 훈연처리부(10)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수용된 재료 전면에 대한 훈연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훈연은 통상 목재를 불완전 연소시켜 발생한 연기를 식품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대상 식품은 축육이나 어육 등 다양한 훈제품 재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재 대신 커피를 추출하고 남은 원두찌꺼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고기제품에 커피 냄새를 주며 제품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고기 표면에 특유의 훈연색을 주며 고기조직에 염지육색을 고정시키고 제품의 보존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연기생성부(20)는 통 형상의 훈연처리부(20) 개구부를 덮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커피찌꺼기가 투입 및 수용되되 교반수단(22)이 구비된 수용부(21)와, 상기 수용부(21)를 전기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부(23)가 구비되어, 투입된 커피찌꺼기를 가열하여 불완전 연소시키되 가열중 지속적으로 커피찌꺼기를 교반하여 연료에 대한 전체적으로 고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열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로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의 수용부(21) 내측에 커피찌꺼기를 넣은 후, 상기 수용부(21) 하측에 구비된 가열부(23)를 통해 수용된 커피찌꺼기를 가열하게 되고, 상기 수용부(21) 내측으로 교반날개가 위치하도록 상부에 분리 형성된 교반수단(22)을 동작시켜 투입된 커피찌꺼기에 대한 고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커피찌꺼기의 연소 중 발생하는 열에 대해서는 적절한 단열재를 활용한 단열처리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며, 발명의 취지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커피 추출시 남은 물이 커피찌꺼기에 포함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수용부(21)에서 발생하는 연기 중 포함된 수분이 원활한 훈연을 방해할 수 있음에 따라 이를 제거하는 수분제거부(24)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수분을 화학적으로 제거하는 드라이어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격벽이 간격을 두고 겹쳐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1)에서 생성된 연기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격벽에 충돌하며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생성된 연기에 포함된 수분입자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격벽에서 응결함으로 수분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송풍부(25)가 구비되어 수분이 제거된 연기를 상기 훈연처리부(10)로 배출하는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훈연처리부(10) 내부에서 연기를 유동시켜 훈연 효과를 높이는 순환부(26)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송풍팬이 구비된다. 이때 송풍팬은 수용부(21)에서 생성되는 연기가 상기 수분제거부(24)를 거쳐 훈연처리부(1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나, 수분을 포함한 연기가 직접적으로 송풍팬에 닿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첨부된 도면과 같이 상기 연기생성부(20) 상측에 흡입구를 형성하고 그 아래쪽에 송풍팬을 설치하되 송풍팬 하측에 수용부(21)가 위치하도록 하여 흡입된 공기가 수용부(21)에서 발생한 연기와 함께 수분제거부(24)를 지나 훈연처리부(10)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원활한 훈연을 위해 연기가 상기 훈연처리부(10)의 내벽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기생성부(20)의 하부 외측으로 연기 유입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부(26)는 연기 유입구와는 구분되어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킴으로 유입된 연기가 유동 및 순환하여 효율적인 훈연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풍부(25)에 구비된 송풍팬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별도의 경로를 통해 연기 유입구에 인접한 공기 유입구 측으로 소량 불어 넣어 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원료가 되는 커피찌꺼기를 커피 추출 후 즉시 사용하는 경우가 아닌 이상, 별도의 수집과정이나 건조과정을 거치는 동안 세균이 증식할 우려가 있다. 물론 훈연을 위한 가열과정에서 세균이 사멸될 수 있으나 초기 투입과정을 비롯하여 가열 초기에는 세균이 수분과 함께 송풍팬 등 여타의 구조물에서 증식할 우려가 있음에 따라 상기 연기생성부(20)는 상기 수용부(21)에 수용된 커피찌꺼기를 살균하는 전처리부(30)를 더 포함하게 된다.
다양한 살균수단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송풍팬이 위치한 부분에 UV 램프를 설치함으로 송풍부(25)의 입구측과 수용부(21) 전체에 걸친 UV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처리부(30)가 구성된다.
도 4는 도 2의 B - B' 부분을 절개한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훈연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훈연처리부(10)를 순환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27)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즉 앞서 언급한 구성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연기생성부(20)의 내벽 측으로 형성되어 연기가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구성하되 연기필터(28)를 통해 배출되는 연기에 포함된 공기 이외의 물질, 특히 냄새를 발생하는 물질을 최대한 흡착하여 가능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간단하게는 상용의 공기 필터로부터 높은 흡착율을 갖는 활성탄 필터를 활용하여 연기필터(28)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통상 상기 연기생성부(20)에 내장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컨트롤러 방식으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상기 교반수단(22)과 가열부(23)와 송풍부(25)와 순환부(26)와 전처리부를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하게 되며, 원활한 제어동작을 위해 타이머(54)나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55)가 구비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숯 제품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2 실시예에서는 커피찌꺼기를 훈연을 위한 용도 외에 숯가루로 제조함으로 3D 프린터의 필라멘트나 다양한 숯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숯제조부(52)와 필렛제조부(40)가 구비된다.
최근 3D 프린팅의 재료가 되는 필라멘트 제조사의 일부에서 커피 찌꺼지 필라멘트 제품을 만든 것이 언론을 통해 알려졌으며, 이는 PLA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모든 3D 프린터기에서 사용 가능할 뿐 아니라 1킬로그램당 약 49달러(한화 약 5만 8천원) 수준으로 판매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는 필라멘트가 고온의 3D 프린터로 지나면서 커피향을 발생시키는 특징이 있어 커피향이나는 컵을 비롯한 다양한 미니어쳐, 모형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송풍부(25)를 통한 공기 흐름을 역류시켜 상기 수용부(21)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전환부(51)와, 훈연 처리중 상기 수용부(21)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상기 수분제거부(24)를 통해 훈연처리부(10)로 흐르도록 하고, 훈연 처리 후 상기 수용부(21)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전환부(51)를 제어하며 상기 가열부(23)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커피찌꺼기를 가열하여 숯가루를 제조하는 숯제조부(52)를 더 포함하게 된다.
즉 커피찌꺼기를 훈연을 위한 원료로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재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훈연 후 수용부(21)에 남아있는 잔여물은 여전히 버려지거나 퇴피 용도 등으로 활용할 수밖에 없다.
이에 훈연 처리 후 지속적으로 수용부(21)에 남은 커피찌꺼기를 가열부(23)를 통해 가열하여 숯가루를 생성하되, 이때 발생하는 연기가 훈연처리부(10)로 유입되지 않고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송풍팬을 역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송풍부(25)의 입구측에 별도의 연기센서(53)를 설치하여 연기의 농도를 통해 숯가루의 생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가열부(23) 및 송풍부(25)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1 실시예에도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나, 2 실시예에서는 필렛과 같은 숯제품을 동일한 장치를 통해 원스탑 공정으로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첨부된 도 5과 같은 연기생성부(20)의 분리구조가 이루어진다. 분리 구조는 예시로서 분리된 구조의 구체적인 탈착 구조는 다양한 공지의 방식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이러한 분리구조에서 상기 연기생성부(20)는 상측 커버와 더불어 상기 교반수단(22) 및 송풍부(25)가 별도로 분리되며 상기 수용부(21)가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21)에 수용된 커피 숯가루에 첨가제를 투입하는 약품투입부(41)가 형성되어 상기 숯제조부(52)를 통해 생성된 숯가루를 고형화할 수 있는 첨가제를 상기 수용부(21) 측으로 넣을 수 있도록 하되, 필요에 따라 상기 교반수단(22)을 결합하여 숯가루와 첨가제가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첨가제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나 무기 바인더 ,Ca 계열 바인더 또는 Si 계열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a 계열 바인더로는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산화칼슘, 과산화칼슘, 규산칼슘, 인산칼슘, 글루콘산칼슘, 개미산칼슘, 아세트산칼슘 또는 프로피온산칼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Si 계열 바인더는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 바인더는 상기 혼합단계에서 커피찌꺼기 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 수준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송풍팬과 교반수단(22)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21)의 개방된 측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된 숫가루를 압착하는 압착부(42)를 구비하는 필렛제조부(40)가 설치되여 첨가제와 혼합된 숯가루를 상기 가열부(23)를 이용한 가열과 함께 압착하여 숯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상기 압착부(42)는 나사 회전방식으로 승하강하며 수용부 상측에 고정된 상태로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단순하면서도 의미 있는 형상, 예를 들어 원두와 같은 복잡하지 않은 성형틀 모양으로 상기 수용부(21)와 압착부(42)의 압착면 형태를 구성함으로 특정 형상의 숯제품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훈연처리부 11: 지지체
20: 연기생성부 21: 수용부
22: 교반수단 23: 가열부
24: 수분제거부 25: 송풍부
26: 순환부 27: 배출부
28: 필터 30: 전처리부
40: 필렛제조부 41: 약품투입부
42: 압착부 50: 제어부
51: 전환부 52: 숯제조부
53: 연기센서 54: 타이머

Claims (4)

  1. 훈연 대상 식품이 놓이는 망상의 지지체(11)와, 상기 지지체(11)의 측면과 상부 및 하부로 공간을 형성하며 지지체(11)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훈연처리부(10);
    내측으로 건조된 커피찌꺼기가 투입 및 수용되되 교반수단(22)이 구비된 수용부(21)와, 상기 수용부(21)를 전기가열 방식으로 가열하여 불완전 연소시켜 연기를 발생시키는 가열부(23)와, 상기 수용부(21)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격벽에 충돌하며 진행하며 연기에 포함된 수분입자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격벽에서 응결하도록 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24)와, 수분이 제거된 연기를 상기 훈연처리부(10)로 배출하는 송풍부(25)와, 상기 훈연처리부(10) 내부에서 연기를 유동시키는 순환부(26)와, 상기 훈연처리부(10)를 순환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되 연기에 포함된 냄새를 발생하는 물질을 흡착하는 연기필터(28)를 구비한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 형상의 훈연처리부(20) 개구부를 덮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연기생성부(20);
    상기 교반수단(22)과 가열부(23)와 송풍부(25)와 순환부(26)를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생성부(20)는 상기 수용부(21)에 수용된 커피찌꺼기를 살균하는 전처리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송풍부(25)를 통한 공기흐름을 역류시켜 상기 수용부(21)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전환부(51)와, 훈연 처리중 상기 수용부(21)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상기 수분제거부(24)로 흐르도록 하고 훈연 처리 후 상기 수용부(21)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전환부(51)를 제어하며 커피찌꺼기를 가열하여 숯가루를 제조하는 숯제조부(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생성부(20)는 상기 교반수단(22) 및 송풍부(25)가 분리되며 상기 수용부(21)가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부(21)에 수용된 커피 숯가루에 첨가제를 투입하는 약품투입부(41)와, 상기 수용부(21)의 개방된 측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된 숫가루를 압착하는 압착부(42)를 구비하는 필렛제조부(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KR1020170094373A 2017-07-25 2017-07-25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KR101914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373A KR101914102B1 (ko) 2017-07-25 2017-07-25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373A KR101914102B1 (ko) 2017-07-25 2017-07-25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102B1 true KR101914102B1 (ko) 2018-11-01

Family

ID=6439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373A KR101914102B1 (ko) 2017-07-25 2017-07-25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463A (ko) 2020-06-02 2021-12-09 주식회사 픽스텍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203Y1 (ko) * 2005-01-21 2005-04-08 이순자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
KR101579115B1 (ko) * 2015-01-13 2015-12-21 공정애 커피부산물을 이용한 연료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203Y1 (ko) * 2005-01-21 2005-04-08 이순자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
KR101579115B1 (ko) * 2015-01-13 2015-12-21 공정애 커피부산물을 이용한 연료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463A (ko) 2020-06-02 2021-12-09 주식회사 픽스텍 커피 찌꺼기 고형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커피 찌꺼기 수거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42553B (zh) 厨余处理设备
CA2634023A1 (en) Pellet-fired smoke generator
KR20150094585A (ko) 고기 또는 해산물을 냉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9024107A1 (zh) 厨余处理设备
KR101914102B1 (ko) 커피 원두 찌꺼기 재활용 시스템
KR101449894B1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용기
JP2001082873A (ja) 乾燥装置及びその乾燥方法
KR101910103B1 (ko) 회전형 구이장치
US20230160580A1 (en) Device for heating and/or cooking food
KR101744782B1 (ko) 애벌레건조장치
KR101835805B1 (ko)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KR101452163B1 (ko) 시래기 덕음장치
KR200486314Y1 (ko) 사각 하향식 로스터
KR101596886B1 (ko) 냉각용 이송기 사용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KR101871419B1 (ko) 구이용 육류의 잡냄새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0474981Y1 (ko) 육류 구이장치
KR20090030394A (ko) 업소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798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6226662A (ja) 含水物処理装置
KR2014003512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979811B1 (ko) 가공육의 훈제방법 및 그 장치
KR101035477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KR101596884B1 (ko) 정선기 이용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KR101596881B1 (ko)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참기름
JP2003024899A (ja) 生ごみ乾燥法、生ごみ乾燥機および乾燥処理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