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054B1 -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054B1
KR101107054B1 KR1020100055368A KR20100055368A KR101107054B1 KR 101107054 B1 KR101107054 B1 KR 101107054B1 KR 1020100055368 A KR1020100055368 A KR 1020100055368A KR 20100055368 A KR20100055368 A KR 20100055368A KR 101107054 B1 KR101107054 B1 KR 101107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unit
compression
roll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563A (ko
Inventor
손범석
이국현
박성삼
Original Assignee
(주)엠지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지에스 filed Critical (주)엠지에스
Priority to KR1020100055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05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30B9/325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between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 Y10S100/902Can cru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재활용 대상물이 투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재활용 대상물의 투입경로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선단부가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쌍의 압착편을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 대상물을 1차 압착하는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1 압착롤러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치차부를 포함하는 제1 압착부와, 상기 본체의 투입구로부터 상기 제1 압착부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이송판과, 상기 제1 압착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압착롤러와 상기 제2 압착롤러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2 치차부를 포함하는 제1 압착유닛과, 상기 제2 압착롤러의 부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압착롤러와 상기 제3 압착롤러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제2 치차부와 치차결합되는 제3 치차부를 포함하는 제2 압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착롤러에 의해 압착된 상기 재활용 대상물을 2차 압착하며, 상기 제2 치차부 및 상기 제3 치차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치차부가 치차결합되는 제2 압착부와, 상기 제1 및 제2 압착유닛 중 어느 하나의 압착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일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압착유닛 중 어느 하나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되게 편심결합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압착유닛이 회전함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한쌍의 제1 링크와, 상기 한쌍의 제1 링크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제1 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제2 링크와,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의 타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2 링크가 직선운동하는 경우 펌프작용을 통해 상기 토출구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압착유닛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상기 재활용 대상물을 탈거하는 공기분사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압착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부에 압착된 재활용 대상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된 재활용 대상물의 형상을 변형시킴과 아울러 1차 압착한 후 제2 압착부를 통해 2차 압착하도록 함으로써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장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Pressing apparatus for recycle unit}
본 발명은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장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음료수 캔이나 PET병을 제조하기 위한 원자재의 생산량이 극히 적어 거의 전량을 해외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물자 절약과 재활용에 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쓰고난 캔이나 PET병을 수거하여 이를 재활용하고자 하는 운동이 일고 있으나, 사실상 수거율이 극히 미미한 상태로 대부분 폐기처분되면서 오히려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취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수거율이 저조한 원인 중 하나로 음료를 마신 후 음료를 담았던 캔이나 PET병이 곧바로 압착시켜 수거되지 못하고 원형 상태로 수거되기 때문에 부피를 많이 차지할 뿐 아니라 막대한 운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으로 추정되는 바 최근에는 캔이나 PET병을 압착하고 일정시간 저장할 수 있는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를 개발하여 생활공간 일측에 구비하고, 캔이나 PET병을 수거하는 경우 쿠폰발행등 그에 합당한 보상하도록 함으로써 캔이나 PET의 수거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 318590호에서는 투입되는 빈 캔을 상호 맞물린 한쌍의 드럼사이에 투입되는 빈 캔이 유입되도록 하여 빈 캔을 압착한 후 수거하는 "전기식 음료수 빈 캔 압착기"를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318590호의 전기식 음료수 빈 캔 압착기는 한쌍의 드럼사이에 빈 캔이 유입되어 압착되는 경우 외형이 원통인 빈 캔이 한쌍의 드럼에 의해 압착되지 못하고 겉돌면서 빈 캔의 압착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 아니라 압착되지 않은 빈 캔이 누적되면서 고장율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된 재활용 대상물의 형상을 변형시킴과 아울러 1차 압착한 후 제2 압착부를 통해 2차 압착하도록 함으로써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장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재활용 대상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재활용 대상물을 압착하여 저장하는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재활용 대상물이 투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재활용 대상물의 투입경로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선단부가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쌍의 압착편을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 대상물을 1차 압착하는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1 압착롤러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치차부를 포함하는 제1 압착부와, 상기 본체의 투입구로부터 상기 제1 압착부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이송판과, 상기 제1 압착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압착롤러와 상기 제2 압착롤러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2 치차부를 포함하는 제1 압착유닛과, 상기 제2 압착롤러의 부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압착롤러와 상기 제3 압착롤러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제2 치차부와 치차결합되는 제3 치차부를 포함하는 제2 압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착롤러에 의해 압착된 상기 재활용 대상물을 2차 압착하며, 상기 제2 치차부 및 상기 제3 치차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치차부가 치차결합되는 제2 압착부와, 상기 제1 및 제2 압착유닛 중 어느 하나의 압착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일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압착유닛 중 어느 하나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되게 편심결합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압착유닛이 회전함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한쌍의 제1 링크와, 상기 한쌍의 제1 링크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제1 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제2 링크와,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의 타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2 링크가 직선운동하는 경우 펌프작용을 통해 상기 토출구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압착유닛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상기 재활용 대상물을 탈거하는 공기분사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압착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부에 압착된 재활용 대상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압착유닛은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 및 제3 압착롤러는 발열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된 재활용 대상물의 형상을 변형시킴과 아울러 1차 압착한 후 제2 압착부를 통해 2차 압착하도록 함으로써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장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설치된 선별부 및 압착부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착부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착부의 측면도,
도5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와, 연결링크와, 제2 링크 및 공기분사부의 사시도,
도8a 내지 도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설치된 선별부 및 압착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재활용 대상물을 빈 캔으로 대체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1)는 본체(10)와, 선별부(20)와, 압착부(30) 및 저장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사각형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빈 캔을 투입하는 투입구(1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후술하는 선별부(20)와 압착부(30) 및 저장부(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전면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개방되었을 경우 설치공간(12)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를 통해 선별부(20)와 압착부(30) 및 저장부(40)를 설치 또는 교체 및 수리작업을 행할 수 있다.
선별부(20)는 본체(10)의 내부 중 투입구(11) 부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투입된 빈 캔이 안착되는 컨베이어 방식의 안착판(21)과, 안착판(21)과 연결되어 안착판(2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구동수단(22)과, 안착판(21)에 안착된 투입물이 금속성 재질인 경우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금속감지센서(23) 및 안착판(21)에 안착된 투입물의 중량을 검출하고 중량에 따라 중량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중량감지센서(24) 및 금속감지센서(23) 및 중량감지센서(24)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신호에 따라 동력구동수단(22)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안착판(21)의 후단에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입방지판(2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투입된 투입대상물이 빈 캔인지를 판단하고 빈 캔인 경우 후술하는 압착부(3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선별부(20)는 안착판(21)에 투입대상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금속감지센서(23)로부터 검출신호가 발생되고, 중량감지센서(24)로부터 중량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25)는 검출신호와 중량감지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중량감지신호에 따른 투입대상물의 중량이 미리 설정된 중량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투입대상물을 빈 캔으로 판단하고, 인입방지판(25)을 상방으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안착판(21)이 투입구(1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력구동수단(22)을 제어하여 빈 캔이 후술하는 압착부(30)로 이송되도록 하며, 투입대상물의 미리 설정된 중량 범위를 벗어나거나 금속감지센서(23)로부터 검출신호를 인가받지 못한 경우 안착판(21)을 투입구(11)방향으로 회전시켜 투입된 투입대상물이 투입구(11)로 반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인입방지판(25)은 제어부(미도시)에서 안착판(21)에 안착된 투입대상물이 빈 캔인지 판단하기 전에 투입대상물이 압착부(30)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압착부(30)는 선별부(20)로부터 선별된 빈 캔을 1차 및 2차 압착하여 후술하는 저장부(40)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은 압착부(30)의 설명은 도2 및 도3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부(40)는 압착부(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압착부(30)로부터 압착된 빈 캔을 수거한 후 일정시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저장부(40)는 압착부(30)의 하부에 형성된 본체(10)의 공간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체(10)의 청결과 빈 캔의 수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0)와 별도록 압착부(3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착부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착부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착부(30)는 상기한 선별부(20)로부터 이송되는 빈 캔의 이송경로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빈 캔을 1차 압착하는 제1 압착부(31)와, 본체(10)의 투입구로부터 제1 압착부(31)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판(90)과, 제1 압착부(31)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1 압착부(31)에 의해 1차 압착된 빈 캔을 2차 압착하는 제2 압착부(32) 및 제1 압착부(31)와 제2 압착부(3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 제공수단(3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빈 캔을 1차 및 2차 압착하여 저장부(40)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압착부(31)는 빈 캔이 이송되는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는 제1 압착롤러(31a)와, 제1 압착롤러(31a)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치차부(31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선별부(20)로부터 이송되는 빈 캔을 1차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1 압착롤러(31a)는 상호 대항하는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한쌍의 압착편(31aa)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압착편(31aa)은 선단부가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1 압착롤러(31a)가 회전하는 경우 빈 캔의 외면을 가압하여 빈 캔을 압착하면서도 원통형인 빈 캔의 외형을 변형하여 빈 캔이 제2 압착롤러(32a) 및 제3 압착롤러(32ba) 사이에서 겉돌지 않도록 하여 빈 캔의 압착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송판(90)은 본체(10)의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대상물이 제1 압착부(31)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압착부(32)는 제1 압착롤러(31a)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압착유닛(32a)과, 제1 압착유닛(32a) 부근에 설치되는 제2 압착유닛(32b) 및 제1 압착유닛(32a)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제공수단(3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압착부(31)에 의해 1차 압착된 빈 캔을 2차 압착하여 저장부(40)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압착유닛(32a)은 제1 압착롤러(31a)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압착롤러(32aa)와, 제2 압착롤러(32aa)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제1 치차부(31b)와 치차결합되 제2 치차부(32a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 압착유닛(32b)과 동반회동하면서 빈 캔을 2차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압착유닛(32b)은 제1 압착롤러(31a)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압착롤러(32aa)와, 제2 압착롤러(32aa)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제1 치차부(31b)와 치차결합되 제2 치차부(32a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3 치차부(32bb)가 제2 치차부(32ab)와 치차결합되어 동반회전하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압착유닛(32a)과 빈 캔을 2차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2 압착롤러(32aa)와 제3 압착롤러(32ba)는 각각 외주면에 요철부(32aa')가 형성되어 제2 압착부(32)에 의해 압착되는 빈 캔의 압착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력 제공수단(33)은 제1 압착유닛(32a)과 벨트로 연결되어 제1 압착유닛(32a)에 회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압착부(31) 및 제2 압착부(32)가 구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5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투입구(11)를 통해 빈 캔이 투입되면 투입된 빈 캔이 안착판(21)에 안착된다.
이때, 금속감지센서(23)로부터 검출신호가 발생되고, 중량감지센서(24)로부터 중량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25)는 검출신호와 중량감지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중량감지신호에 따라 투입대상물을 빈 캔으로 판단하고, 투입대상물의 중량이 미리 설정된 중량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투입대상물을 빈 캔으로 판단하여 빈 캔을 압착부(30)로 이송시킨다.
압착부(30)로 이송되는 빈 캔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압착롤러(31a)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1 압착롤러(31a)가 회전하면 압착편(31aa)이 빈 캔을 가압함으로써 원통형의 빈 캔 형상이 변형됨과 아울러 1차 압착되고, 1차 압착된 빈 캔은 제2 압착롤러(32a) 및 제3 압착롤러(32ba) 사이로 이송된다.
제2 압착롤러(32a) 및 제3 압착롤러(32ba) 사이로 이송된 빈 캔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압착롤러(32a) 및 제3 압착롤러(32ba)가 회전되면서 2차 압착되고, 하방으로 자유낙하하여 제2 압착부(32)의 하부에 위치한 저장부(40)로 수거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재활용 대상물이 빈 캔인 경우 제1 압착부(31)로부터 이송된 빈 캔이 제2 압착부(32)에 의해 용이하게 압착될 수 있도록 제2 및 제3 압착롤러(32aa, 32ba)가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재활용 대상물이 PET병인 경우 압착 전 PET를 예열할 수 있도록 제2 및 제3 압착롤러(32aa, 32ba)를 발열롤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와, 연결링크와, 제2 링크 및 공기분사부의 사시도이고, 도8a 내지 도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1 내지 도6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제2 압착부(32)로부터 배출되는 빈 캔이 제2 또는 제3 압착롤러(32ba)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일단부가 제1 압착유닛(32a)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되게 편심결합된 한쌍의 제1 링크(50)와, 한쌍의 제1 링크(50)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링크(60)와, 일단부가 연결링크(60)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제2 링크(70) 및 일단부에 토출구(81)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개방되어 제2 링크(7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공기분사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빈 캔이 배출되는 제2 또는 제3 압착롤러(32ba)에 공기를 분사하여 빈 캔이 제2 또는 제3 압착롤러(32ba)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8a 내지 도8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8a 내지 도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압착롤러(32a) 및 제3 압착롤러(32ba)가 회전하면서 빈 캔을 압착하면 제1 링크(50)가 제1 압착유닛(32a)의 회전에 동반회전하며, 연결링크(60)에 힌지결합된 제2 링크(70)가 직선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링크(70)가 직선운동하는 경우 공기분사부(80)에 결합된 제2 링크(70)의 타단부가 펌프작용함으로써 공기분사부(80)의 토출구(81)를 통해 제2 또는 제3 압착롤러(32ba)로 공기가 분사 공기가 분사되며, 분사된 공기가 제2 또는 제3 압착롤러(32ba)에 부착된 빈 캔을 제2 또는 제3 압착롤러(32ba)로부터 탈거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별도의 동력원없이 제2 치차부(32ab)의 회전력만으로 제2 또는 제3 압착롤러(32ba)에 공기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유지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면서도 제2 또는 제3 압착롤러(32ba)로부터 빈 캔이 용이하게 탈거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10 : 본체
11 : 투입구 12 : 설치공간
20 : 선별부 21 : 안착판
22 : 동력구동수단 23 : 금속감지센서
24 : 중량감지센서 25 : 인입방지판
30 : 압착부 31 : 제1 압착부
31a : 제1 압착롤러 31aa : 압착편
31b : 제1 치차부 32 : 제2 압착부
32a : 제1 압착유닛 32aa : 제2 압착롤러
32aa' : 요철부 32ab : 제2 치차부
32b : 제2 압착유닛 32ba : 제3 압착롤러
32bb : 제3 치차부 32ba' : 요철부
33 : 회전력 제공수단 40 : 저장부
50 : 제1 링크 60 : 연결링크
70 : 제2 링크 80 : 공기분사부
81 : 토출구

Claims (5)

  1. 재활용 대상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재활용 대상물을 압착하여 저장하는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재활용 대상물이 투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재활용 대상물의 투입경로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선단부가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쌍의 압착편을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 대상물을 1차 압착하는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1 압착롤러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치차부를 포함하는 제1 압착부와;
    상기 본체의 투입구로부터 상기 제1 압착부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이송판과;
    상기 제1 압착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압착롤러와 상기 제2 압착롤러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2 치차부를 포함하는 제1 압착유닛과, 상기 제2 압착롤러의 부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압착롤러와 상기 제3 압착롤러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제2 치차부와 치차결합되는 제3 치차부를 포함하는 제2 압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착롤러에 의해 압착된 상기 재활용 대상물을 2차 압착하며, 상기 제2 치차부 및 상기 제3 치차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치차부가 치차결합되는 제2 압착부와;
    상기 제1 및 제2 압착유닛 중 어느 하나의 압착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일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압착유닛 중 어느 하나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되게 편심결합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압착유닛이 회전함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한쌍의 제1 링크와;
    상기 한쌍의 제1 링크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제1 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제2 링크와;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의 타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2 링크가 직선운동하는 경우 펌프작용을 통해 상기 토출구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압착유닛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상기 재활용 대상물을 탈거하는 공기분사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압착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부에 압착된 재활용 대상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압착유닛은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압착롤러는 발열롤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5. 삭제
KR1020100055368A 2010-06-11 2010-06-11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KR101107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368A KR101107054B1 (ko) 2010-06-11 2010-06-11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368A KR101107054B1 (ko) 2010-06-11 2010-06-11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563A KR20110135563A (ko) 2011-12-19
KR101107054B1 true KR101107054B1 (ko) 2012-02-16

Family

ID=4550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368A KR101107054B1 (ko) 2010-06-11 2010-06-11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429A (ko) 2022-01-25 2023-08-01 (주)초록별 재활용품 압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336B1 (ko) * 2022-04-22 2022-11-25 정한인프라(주)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2516U (ko) * 1994-05-10 1995-12-14 자동 2단 캔압착 분리수거 기기
KR19990007988U (ko) * 1998-11-11 1999-02-25 이상수 깡통 처리장치
JP2005205065A (ja) 2004-01-26 2005-08-04 Tosen Machinery Corp ロール仕上機における巻付き防止方法、およびエアー式巻付き防止装置
KR100827007B1 (ko) * 2006-06-28 2008-05-06 김종삼 페트병 열 압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2516U (ko) * 1994-05-10 1995-12-14 자동 2단 캔압착 분리수거 기기
KR19990007988U (ko) * 1998-11-11 1999-02-25 이상수 깡통 처리장치
JP2005205065A (ja) 2004-01-26 2005-08-04 Tosen Machinery Corp ロール仕上機における巻付き防止方法、およびエアー式巻付き防止装置
KR100827007B1 (ko) * 2006-06-28 2008-05-06 김종삼 페트병 열 압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429A (ko) 2022-01-25 2023-08-01 (주)초록별 재활용품 압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563A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11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ushing and compaction
CN105764680A (zh) 用于将有机材料挤压出废弃物的装置和方法
US10640309B2 (en) Material waste sorting system and method
KR101107054B1 (ko)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CN105599338B (zh) 一种饮料瓶回收系统
US6468019B1 (en) Apparatus for use with waste compactor/baler machines
KR100962713B1 (ko) 패트병과 캔 처리장치를 가진 크린하우스
CN205364603U (zh) 一种垃圾压缩机
KR102318620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JP5874065B2 (ja) 飲料用容器の減容設備および資源回収システム
CN109332353A (zh) 一种能够自动称重计量的垃圾回收分选打包系统及其工作流程
US6796225B1 (en) Apparatus for compacting objects
KR100215297B1 (ko) 캔 압축기
CN114850175A (zh) 一种满足保级回收再生的易拉罐回收设备及运行流程
CN113264297A (zh) 一种小区废纸回收装置
KR101052720B1 (ko) 캔 압축장치
CN212423707U (zh) 一种果酱生产用出箱装置
CN215853184U (zh) 一种自动粉碎分类垃圾装置
KR200437984Y1 (ko) 공용압축기를 구비한 재활용품 선별장치
EP3381671A1 (en) Compa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waste material and use of the compac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80125762A (ko) 음료용기 압축 처리장치
CN219729651U (zh) 一种废旧金属输送机
CN216188641U (zh) 一种用于垃圾处置的高效设备
CN216682896U (zh) 一种塑料水瓶简易回收机
CN217141491U (zh) 一种高分子包装容器重塑预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