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336B1 -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336B1
KR102470336B1 KR1020220050038A KR20220050038A KR102470336B1 KR 102470336 B1 KR102470336 B1 KR 102470336B1 KR 1020220050038 A KR1020220050038 A KR 1020220050038A KR 20220050038 A KR20220050038 A KR 20220050038A KR 102470336 B1 KR102470336 B1 KR 10247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yclables
compression
unit
separation
recyc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혁수
Original Assignee
정한인프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인프라(주) filed Critical 정한인프라(주)
Priority to KR102022005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0Roller-and-ring machines, i.e. with roller disposed within a 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 B30B11/201Roller-and-ring machines, i.e. with roller disposed within a 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for extru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30B9/325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between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12Coding means to aid in recycling
    • B65F2210/1123Bar-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재활용품(RC)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111)가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품(RC)을 압착하는 압착부(120); 및 상기 압착부(120)가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1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압착된 재활용품을 분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압착된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압착된 재활용품을 분리하는 재활용품 분리부(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The separating and shrinking apparatus for recycling materials}
본 발명은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활용품의 종류 또는 재질 등에 따라 구분되어 압착시킬 수 있어 압착 효율을 증대시켜 재활용품의 분리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컵 등의 일회용 컵 사용량이 증가되면서 커피 자판기 등의 주변에는 사용한 종이컵을 수거하기 위한 컵 수거장치가 비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컵 수거장치는 기본적으로 기다란 배관 형태의 수거배관이 받침대 상에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사용한 컵을 수거배관 상단 입구를 통해 내부로 투입하면 컵이 수거배관의 내부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하단부까지 자중에 의해 낙하 되고 이후 사용한 컵도 동일한 방식으로 낙하 되어 이전에 투입되어 있는 컵 내부에 끼워져 차례차례 적층된 상태로 수거배관 내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컵이 수거배관의 상단부까지 쌓이게 되면 수거배관을 상부로 들어 올려서 쌓여있는 컵과 분리시킨 뒤, 쌓여있는 상태의 컵들을 그대로 이동시켜 회수 처리한 후 수거배관을 다시 받침대 상에 세운 상태에서 새로운 컵들이 다시 투입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컵 수거장치는 컵들이 정확히 직선방향으로 낙하 되어야지만 상호 정확하게 끼워져 일렬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는데, 수거배관은 컵의 원활한 낙하를 위해 내경이 컵의 외경보다 크게 제작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만약 컵을 최초 낙하시키거나 수거배관 내 컵의 적층량이 적은 상태일 경우, 그만큼 컵의 낙하구간이 길기 때문에 낙하하는 과정에서 기울어질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해 낙하 과정에서 컵의 상하 테두리가 수거배관 내부면과의 마찰로 인해 낙하하지 못하고 기울어진 상태로 중간지점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다른 컵을 추가로 투입할 경우, 해당 컵은 수거배관 중간에 걸려 있는 컵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게 되고, 이후 투입되는 컵들도 역시 상호 끼워지지 못하고 아래쪽 컵의 상단 테두리에 걸쳐진 상태로 불규칙하게 쌓이게 된다. 따라서 수용배관의 컵 수용량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 된다.
이렇게 컵들이 일렬로 배열되지 못할 경우 컵을 외부로 회수처리하기 위해 수거배관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불규칙하게 쌓여 있는 컵이 무너져 사용자가 다시 컵들을 수작업으로 정리해야하는 현상도 빈번하게 발생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10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용품의 종류 또는 재질 등에 따라 구분되어 압착시킬 수 있어 재활용품의 압착 효율을 증대시켜 재활용품의 분리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10)는 전면에 재활용품(RC)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111)가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품(RC)을 압착하는 압착부(120); 및 상기 압착부(120)가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1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압착된 재활용품을 분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압착된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압착된 재활용품을 분리하는 재활용품 분리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압착부(120)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압착롤러(122); 상기 한 쌍의 압착롤러(122) 중 하나의 압착롤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123); 및 상기 압착롤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기어(124a) 및 제2 기어(124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124a) 및 제2 기어(124b)는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되어 상기 동력부(123)를 통해 상기 하나의 압착롤러에 구동력을 제공하면 상기 한 쌍의 압착롤러(122)가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10)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 인식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모듈(112); 및 상기 투입구(11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된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 모듈(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활용품 분리부(130)는 상기 압착부(1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압착된 재활용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분리 하우징(131); 상기 분리 하우징(131)의 하면에 구비되어 확장 수축 구동하는 엑추에이터(132); 상기 엑추에이터(132)에 연결되는 풀리구동부(133); 및 상기 풀리구동부(133)에 연결되어 상기 엑추에이터(132)의 구동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압착된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적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재활용품 분리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착부(120)는 상기 바코드 인식 모듈을 통해 상기 재활용품(RC)이 인식되면 상기 재활용품이 상기 압착부(120)로 투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투입도어(1211)를 구비하는 압착부 하우징(12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재활용품 분리부(130)의 하단에는 상기 재활용품 분리부(130)를 압착되어 분리된 재활용품을 수용하는 재활용품 수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활용품(RC)은 재활용컵, 재활용알루미늄 캔, 종이 및 재활용플리스틱 용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는 재활용품의 종류 또는 재질 등에 따라 구분되어 압착시킬 수 있어 압착 효율을 증대시켜 재활용품의 분리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테이크 아웃매장 또는 프렌차이즈 매장에서 받은 종이컵 내지 플라스틱을 분리회수를 통해 자원 재활용의 효용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착부 투입도어의 개폐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재활용품 분리부의 재활용품 분리구가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의 후면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착부 투입도어의 개폐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재활용품 분리부의 재활용품 분리구가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의 후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10)는 재활용품의 종류 또는 재질 등에 따라 구분하여 압착시킬 수 있어 압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케이스(110), 압착부(120), 분리부(130) 및 재활용품 수용부(14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투입구(111), 사용자 인식모듈(112), 바코드 인식 모듈(113) 및 디스플레이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투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재활용품(RC)을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사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모듈(112)은 케이스(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 인식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정보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 인식정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 인식모듈(112)은 이와 같은 사용자 인식정보를 스캔할 수 있는 장치로 형성된다. 또는 사용자 인식모듈(112)은 사용자가 매장에서 구매할 때에 수령하는 영수증에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바코드 인식 모듈(113)은 투입구(111)의 내측에 구비되어 투입된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바코드 인식 모듈(113)을 통해 투입된 재활용품을 인식하게 되면 기 설정된 분류방식에 따라 분리부(130)의 작동방식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바코드 인식 모듈(113)은 테이크 아웃매장 또는 프렌차이즈 매장 등에서 사용하는 일정한 재질의 테이크 아웃용 컵에 고유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각 테이크 아웃매장 또는 프렌차이즈 매장에서 사용하는 컵의 재활용 분리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4)는 케이스(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 정도, 재활용품 정보 및 재활용품 수용부(140)에 수용되어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압착부(12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품(RC)을 압착하는 것으로서, 압착부 하우징(121), 압착롤러(122), 동력부(123), 제1 기어(124a) 및 제2 기어(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압착부 하우징(121)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전면에 바코드 인식 모듈(113)을 통해 재활용품(RC)이 인식되면 재활용품이 압착롤러(122) 로 투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투입도어(1211)를 구비한다.
이때, 투입도어(1211)는 도 3a와 같이 일측면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되거나 도 3b와 같이 상하로 슬라이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a와 같이 투입도어(1211)의 일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1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투입도어(1211)는 바코드 인식 모듈(113)을 통해 재활용품(RC)이 인식되면 자동으로 리니어구동부(1214)가 구동하면서 투입도어(1211)를 가이드레일(1213)을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투입도어(1211)를 통해 재활용품(RC)의 투입이 인식되면 반대로 구동하면서 투입도어(1211)가 닫히게 된다.
도 3b의 경우에는 투입도어(1211)가 상하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에 투입도어(1211)는 도 3a의 경우와는 다르게 엑추에이터(1215)를 통해 투입도어(1211)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투입되는 재활용품(RC)이 압착롤러(122)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제품안내구(12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품안내구(1212)는 한 쌍이 압착부 하우징(121)의 내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압착롤러(122)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대략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압착부 하우징(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압착롤러(12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압착롤러(122)에는 복수의 압착날(1221)이 축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데, 압착날(1221)은 회전하는 방향으로 감기도록 형성됨으로써, 압착롤러(122) 사이에 재활용품(RC)이 배치되면 재활용품(RC)을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게 된다.
동력부(123)는 한 쌍의 압착롤러(122) 중 하나의 압착롤러(122a)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동력부(123)는 풀리(1231)를 통해서 구동될 수 있으며, 직접 기어로 연결된 상태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구동력 제공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어(124a) 및 제2 기어(124b)는 동력부(123)가 연결되는 한 쌍의 압착롤러(122)의 타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1 기어(124a) 및 제2 기어(124b)는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동력부(123)를 통해 하나의 압착롤러(122a)에 구동력을 제공하면 한 쌍의 압착롤러(122)가 동시에 구동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구동시스템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재활용품 분리부(130)는 압착부(120)가 구비되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압착된 재활용품을 분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압착된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압착된 재활용품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분리 하우징(131), 엑추에이터(132), 풀리구동부(133) 및 재활용품 분리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하우징(131)은 재활용품 분리부(130)는 압착부(1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압착된 재활용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분리 하우징(131)은 압착부 하우징(121)과 연통되도록 상하로 배치되며, 후술하는 재활용품 분리구(134)의 회전각을 제한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회동각 제어구(13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분리 하우징(131)은 압착부 하우징(121)과 연통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엑추에이터(132)는 분리 하우징(131)의 하면에 구비되어 확장 수축 구동한다. 이때, 엑추에이터(132)는 바코드 인식 모듈(113)을 통해 재활용품(RC)이 인식될 때에, 재활용품(RC)을 고려하여 확장 또는 수축 하도록 구동하여 후술하는 풀리구동부(133)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재활용품 분리구(134)는 풀리구동부(133)에 연결되어 엑추에이터(132)의 구동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압착된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적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재활용품 분리구(134)는 납작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회동각 제어구(1311)에 걸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엑추에이터(132)가 확장하면서 풀리구동부(133)가 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재활용품 분리구(134)를 시계방향(도 4a)으로 회전하면서 재활용품(RC)을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엑추에이터(132)가 수축하면서 풀리구동부(133)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재활용품 분리구(134)를 반시계방향(도 4b)으로 회전하면서 재활용품(RC)을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재활용품 수용부(140)는 재활용품 분리부(130)의 하단에 배치되며, 재활용품 분리부(130)를 통해 압착되어 분리된 재활용품을 수용할 수 있다. 재활용품 수용부(140)는 2 가지의 압착된 재활용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재활용품 수용부(140)는 분리 하우징(13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데, 분리 하우징(131)의 하단에는 통과된 압착 재활용품을 카운팅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해 카운팅되는 압착 재활용품의 양은 디스플레이부(114)를 통해서 제공될 수 있다. 재활용품 수용부(140)에 기설정된 양 이상의 압착 재활용품이 쌓이에 되면, 압착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알람을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재활용품(RC)은 재활용컵, 재활용알루미늄 캔, 종이 및 재활용플리스틱 용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는 재활용품의 종류 또는 재질 등에 따라 구분되어 압착시킬 수 있어 압착 효율을 증대시켜 재활용품의 분리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테이크 아웃매장 또는 프렌차이즈 매장에서 받은 종이컵 내지 플라스틱을 분리회수를 통해 자원 재활용의 효용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110 : 케이스 111 : 투입구
112 : 사용자 인식모듈 113 : 바코드 인식 모듈
114 : 디스플레이부 120 : 압착부
121 : 압착부 하우징 122 : 압착롤러
123 : 동력부 124a : 제1 기어
124b : 제2 기어 130 : 분리부
131 : 분리 하우징 132 : 엑추에이터
133 : 풀리구동부 134 : 재활용품 분리구
140 : 재활용품 수용부
RC : 재활용품

Claims (6)

  1.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10)에 있어서,
    전면에 재활용품(RC)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111)가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품(RC)을 압착하는 압착부(120); 및
    상기 압착부(120)가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1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압착된 재활용품을 분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압착된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압착된 재활용품을 분리하는 재활용품 분리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용품 분리부(130)는,
    상기 압착부(1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압착된 재활용품을 분리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분리 하우징(131);
    상기 분리 하우징(131)의 하면에 구비되어 확장 수축 구동하는 엑추에이터(132);
    상기 엑추에이터(132)에 연결되는 풀리구동부(133); 및
    상기 풀리구동부(133)에 연결되어 상기 엑추에이터(132)의 구동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압착된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적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재활용품 분리구(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120)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압착롤러(122);
    상기 한 쌍의 압착롤러(122) 중 하나의 압착롤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123); 및
    상기 압착롤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기어(124a) 및 제2 기어(124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124a) 및 제2 기어(124b)는,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되어 상기 동력부(123)를 통해 상기 하나의 압착롤러에 구동력을 제공하면 상기 한 쌍의 압착롤러(122)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 인식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모듈(112); 및
    상기 투입구(11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된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 모듈(1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120)는,
    상기 바코드 인식 모듈(113)을 통해 상기 재활용품(RC)이 인식되면 상기 재활용품이 상기 압착부(120)로 투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투입도어(1211)를 구비하는 압착부 하우징(121);을 구비하고,
    상기 재활용품 분리부(130)의 하단에는 상기 재활용품 분리부(130)를 통해 압착되어 분리된 재활용품을 수용하는 재활용품 수용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품(RC)은,
    재활용컵, 재활용알루미늄 캔, 종이 및 재활용플리스틱 용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KR1020220050038A 2022-04-22 2022-04-22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KR10247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038A KR102470336B1 (ko) 2022-04-22 2022-04-22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038A KR102470336B1 (ko) 2022-04-22 2022-04-22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336B1 true KR102470336B1 (ko) 2022-11-25

Family

ID=8423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038A KR102470336B1 (ko) 2022-04-22 2022-04-22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3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002A (ko) * 1998-05-19 1998-08-17 박성택 재활용 가능한 자원 회수방법과 그 장치
KR20110135563A (ko) * 2010-06-11 2011-12-19 (주)엠지에스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KR20130001043A (ko) 2011-06-24 2013-01-03 송재현 컵 수거 장치
KR102296093B1 (ko) * 2020-11-05 2021-08-31 사회적협동조합 소셜벤처기술 재활용품 분리 수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002A (ko) * 1998-05-19 1998-08-17 박성택 재활용 가능한 자원 회수방법과 그 장치
KR20110135563A (ko) * 2010-06-11 2011-12-19 (주)엠지에스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KR20130001043A (ko) 2011-06-24 2013-01-03 송재현 컵 수거 장치
KR102296093B1 (ko) * 2020-11-05 2021-08-31 사회적협동조합 소셜벤처기술 재활용품 분리 수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994B1 (ko) 반납된 도서의 분류 보관 기능을 가지는 도서 반납기
KR101964972B1 (ko) 보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리수거함
WO1997031848A1 (en) Cassette based document handling system
CN106228688A (zh) 一种智能大型多规格商品售货系统及其方法
KR101730741B1 (ko) 재활용품의 적재가 용이한 분리 수거 장치
KR101181888B1 (ko) 자동 재활용품 수거 장치
JPS5916094A (ja) 紙幣受入装置
KR102470336B1 (ko) 재활용품 분리 압착 장치
JP2011005459A (ja) 飲料容器自動分別減容回収機
CN105976518A (zh) 一种饮料瓶回收系统
RU2716187C1 (ru) Аппаратно-программный комплекс п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му приему макулатуры
US4790476A (en) Money-collecting device
KR101667785B1 (ko) 복합 분리 수거함
KR20170094812A (ko) 자동 분리 수거 장치
CN210244478U (zh) 自动化分拣装置
CN110641873A (zh) 具有防盗功能的智能回收箱
CN204079034U (zh) 一种纸张类集积装置
CA2293438C (en) Recycling machine with container compacting system
RU2727549C1 (ru) Аппаратно-программный комплекс по приему полиэтиленовых бутылок и алюминиевых банок
CN205983655U (zh) 自动售笔机
CN205644760U (zh) 纸币自动分类装置
KR102508447B1 (ko) 지폐처리장치
KR20090041921A (ko)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시스템
KR102253817B1 (ko)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KR950003793B1 (ko) 주화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