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817B1 -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817B1
KR102253817B1 KR1020190121318A KR20190121318A KR102253817B1 KR 102253817 B1 KR102253817 B1 KR 102253817B1 KR 1020190121318 A KR1020190121318 A KR 1020190121318A KR 20190121318 A KR20190121318 A KR 20190121318A KR 102253817 B1 KR102253817 B1 KR 102253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pty bottle
sapper
slots
flap
fl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036A (ko
Inventor
배태관
Original Assignee
배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태관 filed Critical 배태관
Priority to KR1020190121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8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52Material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5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12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가능한 공병을 무인으로 수거하고 적재하기 위한 공병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병의 적재가 안전하게 자동으로 진행되는 동시에, 적재된 공병의 관련 정보를 기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공병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병회수장치는, 공병의 분류 및 적재가 자동으로 진행되며, 투입된 공병이 어느 슬롯의 어느 위치에 적재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병회수장치에는 어느 정도의 공병이 채워져 있는지, 어느 사용자가 얼마만큼의 공병을 제공하고, 어느 곳에 보관되어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공병의 낙하시에 공병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파손, 훼손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Smart Collecting Apparatus of Recycled Product}
본 발명은 재활용 가능한 공병을 무인으로 수거하고 적재하기 위한 공병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병의 적재가 안전하게 자동으로 진행되는 동시에, 적재된 공병의 관련 정보를 기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공병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활용품은 국민소득이 증가할수록 질적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활동이 이루어짐으로써 각종 재활용품이 급증하고 있다. 더구나 공업화, 산업화에 따른 도시의 인구집중 현상은 도시 폐기물의 배출량을 급증시킴으로써 환경오염은 물론 처리에 따른 사회문제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당면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활용이 되는 제품은 주로 공병, 종이, 플라스틱,알루미늄 캔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공병은 다시 재생되어 병으로 만들어지며,플라스틱은 재생 공정을 거쳐 새로운 제품으로 생산되고, 종이는 질에 따라 사용처가 달라진다. 맥주병, 소주병, 음료수병과 같은 공병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은, 종류별로 수거되기 쉽지 않고,제조 회사에서 다시 수거하는 경우 외에는 일반쓰레기와 같이 버려지는 점이다.
공병은 마트나 편의점에서 유료로 수거되고 있으나, 점원이 이를 하나하나 구분 및 카운트하여 보상해줘야 하고, 이를 보관할 공간도 마련해야 하므로, 불가피한 인력과 공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어, 꺼려지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최근에는 공병을 무인으로 수거하기 위한 자판기 형태의 수거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수집된 공병의 적재 상태나, 공병 가격에 대한 보상 대상자가 제대로 관리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병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공병이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공병 낙하시 충격에 의해 공병이 깨지지 않도록 완충시키는 기능에 대한 필요성도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81888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병의 분류 및 적재가 자동으로 진행되며, 투입된 공병이 어느 슬롯의 어느 위치에 적재되고, 해당 공병회수장치에는 어느 정도의 공병이 채워져 있는지, 어느 사용자가 얼마 만큼의 공병을 제공하고 보상을 받으며, 어느 곳에 보관되어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병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공병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0); 상기 투입구(120)로 투입된 공병(B)을, 다수의 슬롯(S)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슬롯(S)의 상단에 위치된 경사판이 개방되면, 개방된 위치로 공병(B)이 이동되도록 하는 분류부(130); 및 상기 다수의 슬롯(S)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패널부(141)와 플랩(142)이 배치되는 적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투입구는: 병을 눕힌 형상처럼 좌우 중 어느 한쪽은 넓고, 다른 한쪽은 좁은 형태의 개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구의 내측에는, 공병(B)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넓은 개방공간측 방향으로 공병의 바닥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구의 내측에는, 공병(B)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안착 공간 하부 방향으로는 공병의 무게를 감지하는 감지부(126)를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 투입된 공병의 종류를 입력받기 위한 종류별 입력부(111)가 형성되어, 제어부는 감지된 공병의 무게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공병의 종류를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부(140)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패널부(141); 및 상기 패널부(141)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며 다수 배치되는 플랩(142)을 포함하고, 상기 플랩(142)은: 초기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상플랩(1422), 및 초기에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는 하플랩(14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플랩(1422)은: 중심부의 지지부(1422b)로부터 일방을 통해 연장되며 돌출되는 연장부(1422c)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플랩(1423)은: 중심부의 수평부(1423b)로부터 타방을 통해 연장되며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연장부(1423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플랩(1423)은: 중심부의 수평부(1423b)로부터 일방을 통해 연장되며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방연장부(1423c)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부들의 사이사이 상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공병의 위치 내지는 공병까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150)를 구비하여, 최상단의 공병이 상기 패널부들 사이의 슬롯 중 몇 번째 층에 위치했는지가 판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병회수장치는, 공병의 분류 및 적재가 자동으로 진행되며, 투입된 공병이 어느 슬롯의 어느 위치에 적재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병회수장치에는 어느 정도의 공병이 채워져 있는지, 어느 사용자가 얼마 만큼의 공병을 제공하고, 어느 곳에 보관되어 있는지, 어떠한 보상을 받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공병의 낙하시에 공병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파손, 훼손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가 적용되는 분리수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병회수장치 내부를 투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병회수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투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분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분류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경사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패널부와 플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공병 적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공병 적재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공병회수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투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공병회수장치에서 수집된 공병 적재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가 적용되는 분리수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시스템(50)은 하나 이상의 공병회수장치(100), 서버(200) 및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공병회수장치(100), 서버(200) 및 단말기(300)는 공지된 다양한 통신 수단, 즉, 유무선 인터넷, 적외선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UWB, 지그비, 데이터 이동통신망 등의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공병회수장치(100)는 사용자가 배출하는 공병을 수거 및 보관하는 것으로, 음료 자동판매기와 같은 정도의 크기와 외관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사람들의 왕래가 잦거나 공병의 회수가 쉬운 곳, 예를 들면, 대형 마트, 관공서, 자동판매기, 버스정류장, 역 주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서버(200)는 공병회수장치(100)가 수거하는 공병 관련 정보를 전달받아, 이에 대한 회수 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회수 금액을 사용자의 계정으로 지급하고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공병회수장치(100) 내에 얼마나 많은 공병이 보관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공병 회수자의 단말기로 이를 안내해 줄 수도 있다.
단말기(300)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이동통신단말기, 태블릿단말기, 스마트폰 등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한 것으로, 공병 수거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공병회수장치(100) 또는 서버(300)와 통신, 접속하고,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공병회수장치 내부를 투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공병회수장치(100)는 공병의 외관 또는 공병에 부착된 바코드나 사용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에 표현된 바코드, QR코드 등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110)와, 공병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0)를 구비한다.
투입구(120)를 통해 투입된 공병(B)은, 분류부(130)를 거치며 병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슬롯(S)으로 투입 및 하강되며 적재부(140) 내에 수직으로 나란히 적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병회수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병(B)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기(110)를 통해 태그한다. 그 후 공병(B)을 투입구(120)로 삽입한다. 투입된 공병(B)이 감지되면 이는 분류부(130) 내에서 경사를 따라 구르며, 적절한 슬롯(S)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낙하되어 적재부(140)의 지정된 위치에 적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투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분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투입구(120)로 투입된 공병(B)은 수용부(121)에 안착되며, 이 때 감지센서(124)를 통해 투입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감지센서(124)를 통해 크기, 무게, 형상 등을 파악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공병(B)의 종류를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감지센서(124)에 의해 공병(B)의 투입이 감지되면, 개폐부(123)가 모터(125)에 의해 상방 회동되며 개방되고, 공병(B)은 경사를 따라 우측 방향의 프레임(136) 쪽으로 굴러가게 된다. 이를 위해 수용부(121) 내의 바닥면은 개폐부(123) 방향으로 하방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분류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경사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분류부(130)에는 개폐를 위해 회동 가능한 다수의 경사판(131,132,133,134)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경사판(131,132,133,134)의 하부는 각각의 슬롯(S)이 되며, 경사판(131,132,133,134) 중 어느 하나가 회동되며 개방되면 해당 슬롯(S)의 상방이 개방되므로, 공병(B)이 해당 슬롯(S) 내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도면상 1, 2, 3, 4, 5번 위치의 5개 슬롯이 구비되고, 그 상단에 경사판(131,132,133,134)과 플레이트(135)가 배치된다. 공병(B)의 종류가 4번 위치 슬롯에 보관해야 하는 것이면, (a)와 같이 해당 경사판(134)이 개방되어 슬롯의 상단을 오픈한다. 만약 각 슬롯에 해당되는 것이 없으면, 경사판(131,132,133,134)은 모두 미세한 경사의 수평 상태로 닫혀 있으므로, 공병(B)은 계속 굴러 플레이트(135)의 위치까지 오게 되어 하강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각 박스 형태의 프레임(136) 내에는 일렬로 다수의 경사판(131,132,133,134)이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경사판(131,132,133,134)은 모터(m)에 의해 회동된다.
도 9의 1)번 도면에 따르면, 수용부(121)에 투입된 공병(B)은 개폐부(123)에 의해 지지되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경사판(131,132,133,134)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안착되어 있다. 경사판(131,132,133,134)은 각각 2도 정도의 하방 경사를 개폐부(123)로부터 먼 방향을 향해 갖도록 한다.
판단된 공병(B)의 종류에 따라, 공병(B)의 적재되어야 할 슬롯이 결정되면, 2)번 도면과 같이 해당 슬롯의 경사판(134)이 개방되고, 3)번 도면과 같이 개폐부(123)가 개방된다. 개폐부(123)의 지지가 사라지면서 공병(B)은 낮은 위치의 경사판(131,132,133,134) 쪽으로 내려와 4)번 도면과 같이 구르기 시작하며, 개방된 개폐부(123)의 슬롯(S)으로 내입되어 하강하게 되고, 경사판(134)은 다시 닫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패널부와 플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각의 슬롯(S)은 다수의 패널부(141)와 플랩(142)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된다. 슬롯(S)의 경계는 수직의 패널부(141)에 의해 결정되고, 슬롯(S) 내부로는 층을 이루도록 다수의 플랩(142)이 위치된다.
플랩(142)은 2가지 기능을 하게 되는데, 낙하하는 공병(B)의 낙하속도를 감소시켜 파손을 방지하고, 최종 적재된 공병(B)의 상면을 커버하여 안착시키며 보호한다.
플랩(142)은 분리된 2개의 플레이트인 상플랩(1422)과 하플랩(1423)이 축(1421)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며, 그 사이에는 스프링(1424)이 상호 힘을 전달한다. 최초 상태에서 하플랩(1423)은 수평을 이루고, 상플랩(1422)는 수직을 이루며 90도 정도의 내각을 이루고 있다.
공병(B)이 하락하게 되면, 하플랩(1423)에 공병(B)이 먼저 접촉하게 되어 충격을 전달하는데, 이 충격 및 하중에 의해 하플랩(1423)이 하방으로 회동된다. 층층으로 다수 구비된 하플랩(1423)으로 인해 공병(B)의 낙하 속도는 제한되며, 계속적인 지지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하플랩(1423)이 하방으로 90도 정도 회동하게 되면서, 토션 스프링(1424)의 일 단부를 누르게 되면 토션 스프링(1424) 다른 단부가 상플랩(1422)을 회동시키고자 가압하게 된다. 토션 스프링(1424)은 탄성이 있으므로, 하플랩(1423)의 하방 회동과 동시에 상플랩(1422)을 회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시간차 지연이 있는 상태에서 회동된다. 이러한 방식은 본 발명자의 기존 발명인 특허 제10-1730741호의 도면 16 및 17에도 비슷하게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 발명에 비해 개선된 점은, 상플랩(1422)과 하플랩(1423)의 형상을 변형하여, 공병(B)의 낙하 충격을 좀더 저감시킬 수 있게 된 점이다. 상플랩(1422)의 지지부(1422b)에는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연장부(1422c)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1422c)는 패널(141)의 경계면보다 더 외측 즉, 도면상 좌측까지 노출되어 있으므로, 공병(B)이 어느 높이까지 적재되어 있는지 외부에서 쉽게 육안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 부분을 향해 초음파 또는 광센서 등의 센서(미도시)를 향하도록 하여, 어느 층 상플랩(1422)의 연장부(1422c)가 수평으로 누워 있는지 또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지를 파악하여, 공병(B)의 적재량 내지는 실시간 공병(B)의 적재 위치를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지지부(1422b)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공병(B)의 면과 지지부(1422b)가 이물질이나 새어나온 음료에 의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하플랩(1423)은 공병(B)의 낙하 충격을 가장 먼저 받게 되는 부분인데, 수평 위치되는 수평부(1423b)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전방연장부(1423c), 경사연장부(1423a)가 형성되도록 한다.
전방연장부(1423c)는 수평부(1423b)로부터 전방에 상향 경사 형성된 부분인데, 연장부(1422c) 보다는 덜 돌출되는 길이와 각도로 형성된다. 후방연장부(1423a)는 수평부(1423b)로부터 후방에 상향 경사 형성된 부분이다. 전방연장부(1423c), 경사연장부(1423a)는 어느 하나만 형성되거나, 또는 둘 다 형성될 수도 있다.
공병(B)이 낙하하게 되면, 기존에는 공병(B)의 측면이 바로 수평부(1423b)를 타격하였는데, 개선된 형상에 따르면 그 전에 먼저 공병(B)의 상하단 모서리가 전방연장부(1423c), 경사연장부(1423a)에 1차 접촉한 후, 공병(B)의 측면이 수평부(1423b)에 2차 접촉하게 된다.
1차 접촉시 낙하 속도가 1차 감소하고, 다시 위치가 미세하게 조정되며 2차 접촉시 낙하 속도가 2차 감소하므로, 단계별 낙하 높이가 분산되고, 줄어드는 동시에, 전방연장부(1423c), 경사연장부(1423a)의 경사면을 따라 선형적으로 미끌어지며 낙하 하중 및 충격을 분산시키고 낙하 속도를 감소시키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공병(B)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방연장부(1423c), 경사연장부(1423a)에 의해, 공병(B)의 위치가 전방이나 후방으로 빠지거나 치우치지 않도록 가이드 해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공병 적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낙하하는 공병(B)은 수평 위치된 하플랩(1423)에 먼저 접촉하고, 하플랩(1423)이 하방으로 회동된 이후에, 순차적으로 약 100~130도의 각도를 이루며 상플랩(1422)이 공병(B)의 상방을 감싸며 지연 회동된다. 공병(B)이 최종 위치까지 낙하하여 안착되면, 하플랩(1423)은 하방을 향하는 수직 상태가 되고, 공병(B)의 상방에는 상플랩(1422)이 수평하게 위치된다.
플랩(142)은 공병(B)의 지름에 맞춰 상하방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며, 공병(B)이 충분히 하방 이동되고 나면, 하플랩(1423)이 공병(B)에 의해 밀려 하방 수직 상태가 되면서, 토션 스프링(1424)의 작용에 의해 상플랩(1422)도 수평이 되도록 회동시킨다.
도 12는 본 발명의 공병 적재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공병회수장치에서 수집된 공병 적재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패널부(141)의 사이사이 슬롯(S)을 향해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는 각 슬롯별 다수의 센서(150)를 더 구비한다.
센서(150)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단으로부터 가장 마지막에 적재된 공병(B)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하면, 공병(B)이 어디까지 적재되어 있고, 어디부터 비어 있는지 알 수 있게 되며, 마지막에 적재된 공병(B)의 위치를 추적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적재위치는 슬롯(SLOT)과 스택(STACK)으로 좌표 정리되어, 서버에 기록되어 저장, 관리될 수 있다.
즉, 투입정보 기록을 위해 행렬 기록이 가능하도록 격자형 적재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적재된 공병의 위치를 기록할 수 있는 적재위치 기록 알고리즘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공병(B) 투입시 투입자의 정보, 공병의 정보, 공병의 적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ID, 슬롯, 바코드, 상태, 사용자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서버에 저장되어 후속 보상 관리, 재고 관리, 회수 관리, 불량 관리를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적재된 공병(B)을 수거하는 업자의 단말기에는, 도 19와 같이 적재된 공병(B)의 종류, 수량을 전달되어, 적절한 회수 시기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지능형 적재공간 알고리즘은 적재된 공병의 순서를 어레이 상의 좌표로 투입된 공병의 위치를 지정하여, 해당 적재 칸으로 보낼 수도 있다. 적재가 완료되면 알고리즘은 공병의 위치정보와 사용자 ID, 공병 바코드 정보를 합하여, 문자열로 만든 뒤 지정된 서버로 전송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공병회수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투입구(120)의 형상이 다르게 변경되어 있는데, 투입구(120)를 공병(B)의 좌우 비대칭 형상처럼 수평 배치시킴으로써, 공병(B)의 투입 방향이 혼동되거나 섞이지 않도록 하여, 적재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도 2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투입구(120)에 공병(B)을 앞으로 넣을지 뒤로 넣을지 가이드하거나 제한하는 것이 없으므로, 결국 적재된 공병(B)은 투입된 방향대로 앞뒤를 향해 섞여 있을 수도 있다. 그런데 도 13과 같이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동일한 방향으로 공병(B)이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공병(B)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굴러가게 되므로, 대신 적재부(140)는 측방으로 오픈되도록 하여야 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투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투입구(120)는 병이 누워있는 상태의 비대칭 외관 형상이며, 좌측은 상하 폭이 넓고, 우측은 상하 폭이 작도록 좌우 장형으로 형성된다. 이 때 투입구(120) 내의 좌측단에는 버튼이나 센서 형태의 접촉감지부(127)가 구비될 수 있다.
그 상측에는 다수의 버튼부(111)가 있는데, 이는 병의 종류별 버튼이다. 공병(B)의 바코드를 인식기(110)에 인식시킨 후, 공병(B)을 투입구(120)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일방향으로 눕혀 투입시킨다.
공병(B)을 투입한 상태로 좌측으로 밀어 공병(B)의 바닥이 접촉감지부(127)를 터치하거나 누르거나, 감지되도록 하면, 내부 하측에 구비된 로드셀 등의 감지부(126)가 공병(B)의 무게를 감지하게 된다. 접촉감지부(127)는 투입구(120) 내측 안착 공간의 좌측 벽체에 구비되도록 하여, 공병(B)을 좌측으로 밀착 배치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바코드 인식 결과 및/또는 무게 감지 결과에 따라, 공병(B)이 맥주병인지, 소주병인지, 음료수병인지가 판단되고, 사용자는 버튼부(111) 중 맥주병, 소주병, 음료수병 버튼을 하나 누르게 된다.
판단된 결과에 따른 병의 종류와 사용자가 누른 버튼에 다른 병의 종류가 일치되면, 내측의 개폐부(123)가 열리고, 공병(B)은 분류부(130) 내로 굴러 들어가게 된다. 공병의 종류를 단순히 감지값에만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의 선택과 판단까지 복합 판단되도록 하므로써, 공병(B)의 분류 신뢰도를 높히고, 적절한 적재 및 보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개폐부(123)는 전술한 실시예처럼 회동하는 대신에, 수직 슬라이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공병회수장치 110: 인식기
111: 버튼부 120: 투입구
121: 수용부 123: 개폐부
124: 감지센서 125: 모터
126: 감지부 127: 접촉감지부
130: 분류부 131,2,3,4: 경사판
135: 플레이트 136: 프레임
140: 적재부 141: 패널부
142: 플랩 1421: 축
1422: 상플랩 1422b: 지지부
1422c: 연장부 1423: 하플랩
1423a: 경사연장부 1423b: 수평부
1423c: 전방연장부 150: 센서
S: 슬롯 B: 공병
m: 모터

Claims (9)

  1. 공병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0);
    상기 투입구(120)로 투입된 공병(B)을, 다수의 슬롯(S)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슬롯(S)의 상단에 위치된 경사판이 개방되면, 개방된 위치로 공병(B)이 이동되도록 하는 분류부(130); 및
    상기 다수의 슬롯(S)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패널부(141)와 플랩(142)이 배치되는 적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입구는:
    병을 눕힌 형상처럼 좌우 중 어느 한쪽은 넓고, 다른 한쪽은 좁은 형태의 개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의 내측에는, 공병(B)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넓은 개방공간측 방향으로 공병의 바닥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공병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0);
    상기 투입구(120)로 투입된 공병(B)을, 다수의 슬롯(S)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슬롯(S)의 상단에 위치된 경사판이 개방되면, 개방된 위치로 공병(B)이 이동되도록 하는 분류부(130); 및
    상기 다수의 슬롯(S)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패널부(141)와 플랩(142)이 배치되는 적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입구는:
    병을 눕힌 형상처럼 좌우 중 어느 한쪽은 넓고, 다른 한쪽은 좁은 형태의 개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의 내측에는, 공병(B)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안착 공간 하부 방향으로는 공병의 무게를 감지하는 감지부(126)를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 투입된 공병의 종류를 입력받기 위한 종류별 입력부(111)가 형성되어,
    제어부는 감지된 공병의 무게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공병의 종류를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5. 삭제
  6. 공병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0);
    상기 투입구(120)로 투입된 공병(B)을, 다수의 슬롯(S)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슬롯(S)의 상단에 위치된 경사판이 개방되면, 개방된 위치로 공병(B)이 이동되도록 하는 분류부(130); 및
    상기 다수의 슬롯(S)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패널부(141)와 플랩(142)이 배치되는 적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재부(140)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패널부(141); 및
    상기 패널부(141)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며 다수 배치되는 플랩(142)을 포함하고,
    상기 플랩(142)은:
    초기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상플랩(1422), 및
    초기에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는 하플랩(14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플랩(1422)은:
    중심부의 지지부(1422b)로부터 일방을 통해 연장되며 돌출되는 연장부(1422c)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7. 공병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0);
    상기 투입구(120)로 투입된 공병(B)을, 다수의 슬롯(S)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슬롯(S)의 상단에 위치된 경사판이 개방되면, 개방된 위치로 공병(B)이 이동되도록 하는 분류부(130); 및
    상기 다수의 슬롯(S)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패널부(141)와 플랩(142)이 배치되는 적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재부(140)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패널부(141); 및
    상기 패널부(141)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며 다수 배치되는 플랩(142)을 포함하고,
    상기 플랩(142)은:
    초기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상플랩(1422), 및
    초기에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는 하플랩(14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플랩(1423)은:
    중심부의 수평부(1423b)로부터 타방을 통해 연장되며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연장부(1423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8. 공병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0);
    상기 투입구(120)로 투입된 공병(B)을, 다수의 슬롯(S)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슬롯(S)의 상단에 위치된 경사판이 개방되면, 개방된 위치로 공병(B)이 이동되도록 하는 분류부(130); 및
    상기 다수의 슬롯(S)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패널부(141)와 플랩(142)이 배치되는 적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재부(140)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패널부(141); 및
    상기 패널부(141)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며 다수 배치되는 플랩(142)을 포함하고,
    상기 플랩(142)은:
    초기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상플랩(1422), 및
    초기에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는 하플랩(14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플랩(1423)은:
    중심부의 수평부(1423b)로부터 일방을 통해 연장되며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방연장부(1423c)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9. 공병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0);
    상기 투입구(120)로 투입된 공병(B)을, 다수의 슬롯(S)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슬롯(S)의 상단에 위치된 경사판이 개방되면, 개방된 위치로 공병(B)이 이동되도록 하는 분류부(130); 및
    상기 다수의 슬롯(S)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패널부(141)와 플랩(142)이 배치되는 적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재부(140)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패널부(141); 및
    상기 패널부(141)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며 다수 배치되는 플랩(142)을 포함하고,
    상기 플랩(142)은:
    초기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상플랩(1422), 및
    초기에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는 하플랩(14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널부들의 사이사이 상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공병의 위치 내지는 공병까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150)를 구비하여,
    최상단의 공병이 상기 패널부들 사이의 슬롯 중 몇 번째 층에 위치했는지가 판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KR1020190121318A 2019-10-01 2019-10-01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KR102253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318A KR102253817B1 (ko) 2019-10-01 2019-10-01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318A KR102253817B1 (ko) 2019-10-01 2019-10-01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036A KR20210039036A (ko) 2021-04-09
KR102253817B1 true KR102253817B1 (ko) 2021-05-18

Family

ID=7544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318A KR102253817B1 (ko) 2019-10-01 2019-10-01 지능형 적재공간 활용 공병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8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741B1 (ko) * 2015-12-30 2017-05-11 배응준 재활용품의 적재가 용이한 분리 수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888B1 (ko) 2012-03-29 2012-09-11 이동조 자동 재활용품 수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741B1 (ko) * 2015-12-30 2017-05-11 배응준 재활용품의 적재가 용이한 분리 수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036A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0990114Y (zh) 饮料罐有偿回收设备
KR100946617B1 (ko)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CN205257115U (zh) 智能垃圾回收系统
KR101730741B1 (ko) 재활용품의 적재가 용이한 분리 수거 장치
CN105205921A (zh) 一种智能废品回收机装置及方法
CN102150184B (zh) 纸币存取款机
CN201142101Y (zh) 图书馆自助终端柜机结构
CN107657753A (zh) 智能快递存件取件柜及其快递存件取件方法
CN208622166U (zh) 一种智能垃圾回收柜
CN201126603Y (zh) 图书馆自助还书分拣机
KR100973548B1 (ko)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CN206546593U (zh) 生活垃圾智能分类回收云识别系统
CN106056226A (zh) 生活垃圾智能分类回收云识别系统及方法
KR101181888B1 (ko) 자동 재활용품 수거 장치
CN106355755A (zh) 租售一体自动控制方法
CN101295419A (zh) 图书馆自助服务系统
KR20070108828A (ko) 재활용품 무인 수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비즈니스 방법
CN112623562B (zh) 一种瓶类物品分类回收方法
US201300242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etizing Recyclable Plastics
CN105857992A (zh) 一种智能瓶类分类回收机
CN205574778U (zh) 智能垃圾回收箱
KR20220087217A (ko) 재활용 분리 수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4955289A (zh) 智能垃圾分类回收及管理方法和智能分类垃圾桶
CN110992580A (zh) 一种智能饮料瓶自动回收机
CN201152995Y (zh) 图书馆自助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