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351A - 청소가 용이한 고속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청소가 용이한 고속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351A
KR20210149351A KR1020200066270A KR20200066270A KR20210149351A KR 20210149351 A KR20210149351 A KR 20210149351A KR 1020200066270 A KR1020200066270 A KR 1020200066270A KR 20200066270 A KR20200066270 A KR 20200066270A KR 20210149351 A KR20210149351 A KR 20210149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us
dust collecting
middle cov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833B1 (ko
Inventor
윤남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833B1/ko
Priority to CN202022698804.7U priority patent/CN214984734U/zh
Publication of KR2021014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버스 차량에서 전기집진 플레이트의 청소를 위해 쉽게 탈 거 할 수 있도록 한 청소가 용이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로, 버스 선반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케이스(100)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100)와 제1 탈부착수단(T1)에 의해 결합되는 미들 케이스(200와; 상기 미들커버 케이스(200)와 제2 탈부착수단(T2)에 의해 결합되는 집진플레이트(300); 및 상기 미들커버 케이스(300)와 제3 탈부착수단(T3)에 의해 탈부착 되는 리턴그릴커버(40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탈부착수단(T1)은 상기 베이스케이스(100) 양측면과 전후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후크(110); 및 상기 결합후크(110)가 결합되기 위해 미들커버 케이스(200)에 형성되는 걸림턱(201);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탈부착수단(T2)은 상기 미들커버 케이스(200)의 하부에 양측 형성되는 결합돌기(210)와; 상기 집진플레이트(30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안내레일(310)과 상기 안내레일에 형성되는 커팅부(311);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탈부착수단(T3)은 상기 집진플레이트(300)의 하단 양측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결합구멍(321)과 상기 결합구멍(32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후크(410)가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리턴그릴커버(4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청소가 용이한 고속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EASILY CLEANABLE ELECTRIC PRECIPITATION AIR CLEANER FOR BUS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청소가 용이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속버스 차량에서 전기집진 플레이트의 청소를 위해 쉽게 탈 거 할 수 있도록 한 청소가 용이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를 비롯한 다양한 자동차의 실내는 공조 설비에 의하여 정화가 되면서 온도 조절이 될 수 있고, 공조 과정에서 실외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외 공기는 다양한 필터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지만 일부 미세 입자는 여과가 되지 않고, 실내로 유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PM25 또는 그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입자는 여과되지 않고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승객의 출입이 빈번한 버스의 경우 여과가 되지 않은 실외 공
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를 비롯한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실외 공기가 실내에서 순환이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승객이 미세먼지를 비롯한 오염물질의 흡입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버스의 실내를 순환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비롯한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식 공기청정기(이하, '공기청정기'라 칭함)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0)는 차량 선반에 볼트(30)에 의해 고정되며 내부에 집진플레이트(40)가 설치된 베이스케이스(20)와, 상기 베이스케이스(20)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플레이트(40)를 보호하기 위한 리턴 그릴커버(return grille cover)(50)가 설치된다.
상기 그릴커버(50)의 어느 한쪽에는 후크(5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후크(51)와 대향하는 반대쪽에는 연결링크(52)가 설치되어 그릴커버(50) 개폐시 일정한 부분까지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청정기(10)는 집진플레이트(40)를 탈 거 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커버(50)를 탈 거하기 위해 후크(51)를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면 베이스케이스(20)로부터 상기 그릴커버(50)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 거된다.
이후, 베이스케이스(20)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30)를 해제한 후,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플레이트(40)를 탈거하여 청소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청정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케이스(20)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30)가 선반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기 볼트(30)가 선반과 덕트 안쪽에 위치되어 있어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해체하기가 여간 까다로운 작업이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의 개폐장치 구조를 개선하여 쉽게 탈 거 시킬 수 있도록 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의 개폐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고속버스 차량에서 전기집진 플레이트의 청소를 위해 쉽게 탈 거 할 수 있도록 베이스케이스를 차량 선반 내측에 슬라이딩 구조로 하여 집진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베이스케이스에 설치되는 집진플레이트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에 결합하는 그릴커버의 전면 양측에 후크를 설치하여, 탈 거 시에는 베이스케이스의 커팅된 부위로 집진플레이트의 플랜지가 빠져나오도록 한 청소가 용이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 청소가 용이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는;
버스 선반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케이스(100); 및
상기 베이스 케이스(100)와 제1 탈부착수단(T1)에 의해 결합되는 미들커버 케이스(200); 및
상기 미들커버 케이스(200)와 제2 탈부착수단(T2)에 의해 결합되는 집진플레이트(300); 및
상기 미들커버 케이스(300)와 제3 탈부착수단(T3)에 의해 탈부착 되는 리턴그릴커버(400);
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탈부착수단(T1)은;
상기 베이스케이스(100) 양측면과 전후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후크(110); 및
상기 결합후크(110)가 결합되기 위해 미들커버 케이스(200)에 형성되는 걸림턱(201);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탈부착수단(T2)은;
상기 미들커버 케이스(200)의 하부에 양측 형성되는 결합돌기(210); 및
상기 집진플레이트(30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안내레일(310)과 상기 안내레일에 형성되는 커팅부(311);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가 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커팅부를 통해 탈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3 탈부착수단(T3)은;
상기 집진플레이트(300)의 하단 양측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결합구멍(321); 및
상기 결합구멍(32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후크(410)가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리턴그릴커버(400);
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고속버스 차량에서 공기청정기의 집진 플레이트와 제어기 정비를 위해 빠르고 쉽게 탈거할 수가 있다.
둘째, 집진 플레이트만 별도로 탈 거 할 수 있는 구조 이외에 공기청정기의 전기적인 정비를 위한 집진 플레이트와 제어부(센서, 컨버터, 디스플레이, 컨트롤 보드)와 미들커버 케이스를 베이스케이스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음.
셋째, 베이스케이스에 성형된 후크 형상이 미들커버 케이스의 걸림턱에 체결되어 마운팅 되고, 후크의 하중을 가해 체결력을 해체시켜 집진 플레이트와 제어부(센서, 컨버터, 디스플레이,컨트롤 보드)와 미들 커버 케이스를 한 번에 분리할 수가 있음.
도 1의 (a) 내지 (c)는 종래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공기청정기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b)는 후크의 작동에 의해 그릴커버가 탈거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볼트 해제 후 집진플레이트를 탈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의 개폐장치가 차량 선반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의 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로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부분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C-C선 요부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 청소가 용이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베이스케이스(100), 미들커버 케이스(200), 집진플레이트(300), 리턴그릴커버(400)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케이스(100)와 미들커버 케이스(200)는 제1 탈부착수단(T1)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미들커버 케이스(200)와 집진플레이트(300)는 제2 탈부착수단(T2)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집진플레이트(300)와 리턴그릴커버(400)는 제3 탈부착수단(T3)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1 탈부착수단(T1)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케이스(100) 양 측면과 전후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후크(110)와, 상기 결합후크(110)가 결합되기 위해 미들커버 케이스(200)에 형성되는 걸림턱(20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탈부착수단(T2)은 도 3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커버 케이스(200)의 하부에 양측 형성되는 결합돌기(210)와 집진플레이트(30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안내레일(310) 및 상기 안내레일(310)에 형성되는 커팅부(311)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210)가 안내레일(31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커팅부(311)를 통해 탈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미들커버 케이스(200)의 하부 바깥쪽에는 도 3의 요부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구멍(22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22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220)은 집진플레이트(30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보(330)에 볼트(331)에 의해 체결된다.
물론 상기 고정보(330)에는 상기 볼트(331)가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20)의 상면에는 직사각형상의 구멍(202)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케이스(10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후크(110)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3 탈부착수단(T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플레이트(300)의 하단 양측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결합구멍(321)과 상기 결합구멍(32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후크(410)가 형성된 리턴그릴커버(400)로 구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케이스(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 그리고 양 측면 하부에 결합후크(11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후크(11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걸림턱(201)은 미들커버 케이스(200)의 하단부의 전면과 후면 그리고 양 측면에 상기 결합후크(110)와 동일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들커버 케이스(200) 상단 내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L"형상을 가지는 결합돌기(2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집진플레이트(300)의 상단에는 안내레일(310)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210) 상에 얹혀진 상태로 놓이게 구성된다.
따라서. 결합시 안내레일(310)에 형성된 커딩부(311)를 상기 결합돌기(210)에 위치시켜 통과시킨 후,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탈거 시는 반대로 잡아기면 상기 안내레일(310)이 결합돌기(210)를 따라 슬라이딩 되다가 상기 커팅부(311)에 위치하면 아래로 이탈됨으로써, 탈거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턴그릴커버(400) 내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후크(410)가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후크(410)는 집진플레이트(300)의 하단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결합구멍(321)에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청소가 용이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의 청소시, 먼저, 리턴그릴커버(400)의 어느 한쪽면을 잡아 당기면 상기 리턴그릴커버(400)의 내측에 돌출형성된 고정후크(410)가 상기 집진플레이트(300)의 하단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결합구멍(321)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탈거된다.
이어서, 상기 집진플레이트(300)의 측면에 나사맞춤된 볼트(331)을 풀어서 제거한다.
다음 집진플레이트(300)를 잡아당기면 상기 집진플레이트(300)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레일(310)이 결합돌기(210)를 따라 슬라이딩 되다가 상기 커팅부(311)에 위치하면 아래로 이탈됨으로써, 집진플레이트(300)의 탈거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미들커버 케이스(200)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3의 요부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구멍(202)을 통해 결합후크(110)와 미들커버 케이스(200)에 형성된 결합돌기(210)를 해제함으로써, 탈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를 부위별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예들 들면, 집진 플레이트(300)만 별도로 탈 거 할 수 있는 구조 이외에 공기청정기의 전기적인 정비를 위한 집진 플레이트(300)와 제어부(센서, 컨버터, 디스플레이, 컨트롤 보드)(도시하지 않음)와 미들커버 케이스(200)를 베이스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으며, 베이스케이스(100)에 성형된 결합후크(110)가 미들커버 케이스(200)의 걸림턱(201)에 체결되어 마운팅 되어, 결합후크(110)에 하중을 가함으로써, 체결력을 해체시켜 집진 플레이트(300)와 제어부(센서, 컨버터, 디스플레이,컨트롤 보드)와 미들커버 케이스(200)를 한꺼번에 분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베이스케이스 110 : 결합후크
200 : 미들커버 케이스 201 : 걸림턱
202 : 구멍 210 : 결합돌기
220 : 고정브라켓 221 : 볼트구멍
300 : 집진플레이트 310 : 안내레일
311 : 커팅부 320 : 플레이트
321 : 결합구멍 400 : 리턴그릴커버
410 : 고정후크 T1 : 제1 탈부착수단
T2 : 제1 탈부착수단 T3 : 제1 탈부착수단

Claims (4)

  1. 버스 선반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케이스; 및
    상기 베이스 케이스와 제1 탈부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미들 케이스; 및
    상기 미들커버 케이스와 제2 탈부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집진플레이트; 및
    상기 미들커버 케이스와 제3 탈부착수단에 의해 탈부착 되는 리턴그릴커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부착수단은;
    상기 베이스케이스 양측면과 전후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후크; 및
    상기 결합후크가 결합되기 위해 미들커버 케이스에 형성되는 걸림턱;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탈부착수단은;
    상기 미들커버 케이스의 하부에 양측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집진플레이트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에 형성되는 커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가 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커팅부를 통해 탈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탈부착수단은;
    상기 집진플레이트의 하단 양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구멍; 및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 고정되도록 리턴그릴커버 내측 면에 고정후크가 돌출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청소가 용이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
KR1020200066270A 2020-06-02 2020-06-02 청소가 용이한 고속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 KR10239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270A KR102392833B1 (ko) 2020-06-02 2020-06-02 청소가 용이한 고속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
CN202022698804.7U CN214984734U (zh) 2020-06-02 2020-11-20 容易清洁的公共汽车空调用电气集尘空气净化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270A KR102392833B1 (ko) 2020-06-02 2020-06-02 청소가 용이한 고속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351A true KR20210149351A (ko) 2021-12-09
KR102392833B1 KR102392833B1 (ko) 2022-05-02

Family

ID=7886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270A KR102392833B1 (ko) 2020-06-02 2020-06-02 청소가 용이한 고속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2833B1 (ko)
CN (1) CN214984734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4002B2 (ja) * 1991-03-20 1997-06-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天井吊形空気清浄機
KR19990001057A (ko) * 1997-06-12 1999-01-15 오상수 루프형 에어컨의 에어필터 설치구조
JP2015137842A (ja) * 2014-01-24 2015-07-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CN110525176A (zh) * 2019-08-28 2019-12-03 罗萍 一种汽车用新风增氧空气净化顶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4002B2 (ja) * 1991-03-20 1997-06-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天井吊形空気清浄機
KR19990001057A (ko) * 1997-06-12 1999-01-15 오상수 루프형 에어컨의 에어필터 설치구조
JP2015137842A (ja) * 2014-01-24 2015-07-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CN110525176A (zh) * 2019-08-28 2019-12-03 罗萍 一种汽车用新风增氧空气净化顶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984734U (zh) 2021-12-03
KR102392833B1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833B1 (ko) 청소가 용이한 고속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
US6036737A (en) Safety cabinet having easily attachable and detachable transition boot
JP2616269B2 (ja) 換気装置
JP3609997B2 (ja) エアフィルタ
KR102439556B1 (ko) 바스켓이 구비된 암레스트형 공기청정기
KR20080071829A (ko)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JP5894816B2 (ja)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KR101264373B1 (ko) 전동차용 공기청정기의 유해가스 제거 필터 교환구조
JP2593715Y2 (ja) 空調装置のフィルター取付構造
KR20040056146A (ko) 공기청정기
JP2790484B2 (ja) 空気清浄機のグリル着脱装置
KR100753448B1 (ko) 공기조화기
CN214791729U (zh) 空气净化装置和空调器
CN214254814U (zh) 供电组件、空气净化装置和空调器
WO2022165998A1 (zh) 空气净化装置和空调器
JP3081875U (ja) 循環式塗装ブース装置
JPH11321299A (ja) ベントルーフ
JPH09276735A (ja) 電気集塵器着脱式空気調和装置
US20240141854A1 (en) Air cleaners and air disinfectors for mass transit vehicles
JPS6237060Y2 (ko)
JPH0638245Y2 (ja) 空気調和機
JPH0259010A (ja) エアフィルタの取付装置
JP2596225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464517B1 (ko) 공기청정기
JPH10216561A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