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517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517B1
KR100464517B1 KR10-2002-0082706A KR20020082706A KR100464517B1 KR 100464517 B1 KR100464517 B1 KR 100464517B1 KR 20020082706 A KR20020082706 A KR 20020082706A KR 100464517 B1 KR100464517 B1 KR 100464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body case
main body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6155A (ko
Inventor
김승철
채경호
이재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51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필터의 장착 및 인출을 한번 누름에 의해서 쉽고 간편하게 수행하고, 또한, 임의의 필터에 대한 개별 장착 및 인출이 가능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전면이 개방되고, 하면에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와 공기토출구 사이에서 상기 본체케이스에 횡으로 장착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와,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를 장착 및 인출시키는 착탈장치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에 대응하는 수의 착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중 대응하는 임의의 필터를 한번 누름에 의해 개별적으로 고정 및 인출할 수 있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필터의 장착 및 교환이나 세척을 위한 인출이 간편해지고, 필터의 분리장착에 따른 필터의 배열 위치에 대한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의 세척이나 교체 시에 필터를 쉽고 간편하게 인출하고, 또한, 임의의 필터를 개별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 등을 걸러 내어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장치로, 통상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와,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부와, 순환하는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을 걸러 내기 위한 필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필터부 및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공기토출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소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집진된 먼지가 필터에 쌓이게되어 필터의 집진효율 및 공기청정기의 작동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청정기를 쾌적하고 적정한 상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적절한 주기로 필터를 분리하여 교환 또는 세척을 해 주어야 한다.
그런데 통상의 공기청정기는 필터를 분리 인출하기 위해서는 본체의 일 측면을 이루는 패널을 분리한 후,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필터를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기능의 차이가 있는 다수개의 필터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임의의 필터를 교체하거나 청소를 수행하기 위해서 교체나 청소의 필요성이 없는 필터까지 분리하고 차후 재장착할 시에 필터의 배열 위치를 고려하여 순서적으로 장착하여야 하는데서 오는 불편 및 혼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필터를 간편하게 장착 및 인출할 수 있고, 둘째, 임의의 필터를 개별적으로 장착 및 인출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공기청정기의 송풍부와 필터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송풍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필터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고정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안내홈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7은 도5의 고정유닛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케이스 101: 탁자부
102: 공기흡입구 103: 공기토출구
104: 지지다리부 105: 개방부
106: 커버패널 107: 조작패널
108: 안내레일 200: 송풍부
201: 송풍케이스 202: 출구
203: 송풍팬 204: 모터
300: 필터부 301: 필터케이스
302, 303, 304: 필터 302a, 302b, 302c: 후크
305: 이동부재 306: 스프링(306)
307: 걸림부재 307a: 후크부
307b: 돌기 307c: 힌지결합
310: 레일홈 311: 안내홈
311a: 1단걸림턱 311b: 2단걸림턱
311c: 1단후진걸림턱 311d: 2단후진걸림턱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전면이 개방되고, 하면에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와 공기토출구 사이에서 상기 본체케이스에 횡으로 장착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와,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를 장착 및 인출시키는 착탈장치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에 대응하는 수의 착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중 대응하는 임의의 필터를 한번 누름에 의해 개별적으로 고정 및 인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필터부는 전면과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필터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와 상기 착탈장치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면을 통해서 인출 가능한 착탈식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필터케이스의 외측 양 측면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측 내면은,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안내홈과 안내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동일 작용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 도면상에 동일 부호를 표기하도록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도1과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기나 꽃병 등을 올려 둘 수 있도록 상부에 소정면적의 평면으로 된 탁자부(101)가 마련된 본체케이스(100)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체케이스(100)는 전면이 개방되고 하면에는 공기흡입구(도2, 102)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의 상자형상으로 마련되며,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의 상부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10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하단에는 주변의 공기가 공기흡입구(102)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지지다리부(104)를 제외한 사방에 개방부(105)가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는 공기토출구(103)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실내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부(200)와, 이 송풍부(200)의 하측에 순환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부(300)가 마련된다.
먼저, 상기 송풍부(20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이 개방되고 그 측면에 공기토출구(103)와 대응하는 출구(202)가 형성되는 상자형상의 송풍케이스(201)와, 이 송풍케이스(201)의 내측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익형 원심팬으로 이루어지는 송풍팬(203) 및 이 송풍팬(203)을 구동시키는 모터(204)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송풍부(200)는 본체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하거나 본체케이스(100)에 다시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본체케이스(100)의 측면 중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필터부(30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고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면과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으로서 그 폭이 상술한 송풍케이스(201)와 대응하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필터케이스(301)와, 이 필터케이스(301)에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필터(302, 303, 304) 및 이 복수의필터(302, 303, 304)를 고정 및 인출할 수 있는 착탈장치로 구성되며, 이러한 필터(302, 303, 304) 각각에는 필터 후단의 좌우 양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된 후크(302a / 302b / 30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필터(302, 303, 304) 각각은 상호 다른 기능을 가지고 다른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부호 302에 의해서 표기되는 필터는 미세집진필터, 부호 303에 의해서 표기되는 필터는 전기집진식 정전필터, 부호 304에 의해서 표기되는 필터는 항균프리필터이며, 이들의 사용 적정기간도 각 필터마다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착탈장치는 상기 임의의 필터(302 / 303 / 304)의 교환 또는 세척 주기에 따라 각각에 대응되어 임의적인 필터(302 / 303 / 304)를 각각 독립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세 개의 착탈유닛으로 구성된다. 또, 또 이러한 필터부(30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전면이 커버패널(106)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커버패널(106)은 상기 본체케이스(100)에 힌지결합 되어 도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개폐된다.
한편, 상기 세 개의 착탈유닛은 각각 대응되는 필터를 후측으로 한번 눌러줌에 의해 필터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착탈유닛의 구성에 대한 일예로서 본 실시례에 적용된 구성에 대하여 도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상기 필터에 대응하여 상기 착탈유닛 각각은 상기 임의적인 필터(302 / 303 / 304) 후 측으로 상기 필터(302 / 303 / 304)를 지지하며 진퇴 가능한 이동부재(305)와, 이 이동부재(305)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인 스프링(306)과, 전단이 상하로 자유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후크(302a / 302b / 302c)에 대응되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부(307a) 및 외측으로 형성되는 돌기(307b)로 구성되고 후단은 상기 이동부재의 일 측에 힌지결합(307c) 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두개의 걸림부재(307)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양 측면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307b)가 삽입됨으로서 상기 걸림부재(307) 전단의 상하 및 전후진 움직임을 안내하고 또한 상기 이동부재의 전후진 움직임을 제어하는 폐곡선형의 안내홈(3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폐곡선형의 안내홈(311)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가 전진했을 시에 상기 돌기(307b)가 걸리는 1단걸림턱(311a), 상기 이동부재가 후퇴되었을 시에 상기 돌기(307b)가 걸리는 2단걸림턱(311b), 사용자가 필터를 누를 때 상기 돌기(307b)의 후진을 제지하는 1단후진걸림턱(311c) 및 2단후진걸림턱(311d)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필터부(300)는 공기청정기의 오랜 사용으로 인해 청소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본체케이스(10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인출 및 장착 가능한 착탈식으로 구성시키기 위해, 상기 필터케이스(301)의 외측 양 측면과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양측 내면은,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안내홈(310)과 안내레일(108)이 형성되어 있다.
도1 및 도2의 부호 107은 공기청정기의 동작제어를 위한 것으로 다수의 조작버튼과 동작표시를 위한 표시부를 갖춘 조작패널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사용 시에 상기 착탈장치의 작용을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7의 (a)는 필터가 장착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동부재가 스프링(306)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 상태에 있고, 이러한 전진 상태에서 상기 돌기(307b)는 상기 안내홈(311)의 1단걸림턱(311a)[돌기(307b)는 a지점]에 걸려 있어 상기 이동부재의 과도한 전진 상태를 제지한다. 또한, 점선으로 도시되어져 있듯이 필터의 후크(302a / 302b / 302c)와 걸림부재(307)의 후크부(307a)는 상호 간섭을 일으키기 않도록 벌어져 있다. 차후 사용자가 필터의 장착을 위해 필터를 후측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307)의 후단은 이동부재에 힌지결합(307c) 되어 있기 때문에 후측으로 수평이동하는 데 반하여, 전단은 상하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측으로 경사진 A 화살표의 경로와 방향을 따라 후진 및 상하 이동을 병행하게 되어 도7의 (b)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307b)는 1단후진걸림턱(311c)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밀리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더 이상 힘을 가하지 아니하면 돌기(307b)는 스프링(306)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B경로를 따르는 소정의 이동이 있게 되어 2단걸림턱[311b, 돌기(307b)는 c지점]에 걸리게 되는 도7의 (c)상태가 된다. 따라서 돌기(307b)는 스프링(306)의 탄성력에 의한 지속적인 전진력을 받게 되지만 똑같은 힘의 반작용력을 2단걸림턱(311b)이 주게 되므로 c지점에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때,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의 후크(302a / 302b / 302c)와 걸림부재(307)의 후크부(307a)가 맞물려 필터가 고정 장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은 사용자가 필터를 후측으로 한번 눌러줌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동작으로서, 한번 누름에 의해서 화살표 A 방향으로 돌기(307b)의 상하 및 전후진 병행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필터의 고정 장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공기청정기의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필터의 교체가 필요하거나 청소가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도7의 (c)상태에 있는 필터를 다시 후측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돌기(307b)는 화살표 C경로를 따라 상하 및 전후진 병행운동을 하면서 d지점까지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돌기(307b)는 2단후진걸림턱(311d)에 걸리게 되어 도7의 (d)상태가 된다. 따라서 더 이상의 후진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사용자는 더 이상 힘을 가하지 아니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돌기(307b)는 스프링(306)의 탄성력에 의한 전진력을 받게되어 화살표 D 경로를 따라 소정의 전진운동을 하면서 a지점까지 전진하게 되므로 처음 장착 초기 상태인 도7의 (a)상태와 동일한 도7의 (e)상태가 되게 된다. 따라서 돌기(307b)는 1단걸림턱(311a)에 다시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도6의 (e)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후크(302a / 302b / 302c)와 후크부(307a)의 맞물림 결합이 다시 풀어지게 되어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아니하므로 필터는 더 이상의 구속을 받지 아니한 상태에서 이동부재에 의해 밀리는 힘 및 이동부재가 정지했을 시에는 움직이던 관성력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나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분리 인출하고자 하는 임의의 필터만을 개별적으로 한번 누름에 의하여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균등영역 안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의 설명에 국한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여 교체 또는 청소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교체 또는 청소를 필요로 하는 필터만을 임의로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터 교환이나 청소 후의 재 장착시에도 필터의 배열 위치에 대한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전면이 개방되고, 하면에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와 공기토출구 사이에서 상기 본체케이스에 횡으로 장착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와,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를 장착 및 인출시키는 착탈장치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에 대응하는 수의 착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중 대응하는 임의의 필터를 한번 누름에 의해 개별적으로 고정 및 인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전면과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필터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와 상기 착탈장치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면을 통해서 인출 가능한 착탈식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의 외측 양 측면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측 내면은,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안내홈과 안내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02-0082706A 2002-12-23 2002-12-23 공기청정기 KR100464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706A KR100464517B1 (ko) 2002-12-23 2002-12-23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706A KR100464517B1 (ko) 2002-12-23 2002-12-23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155A KR20040056155A (ko) 2004-06-30
KR100464517B1 true KR100464517B1 (ko) 2005-01-03

Family

ID=3734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706A KR100464517B1 (ko) 2002-12-23 2002-12-23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871B1 (ko) * 2021-04-26 2021-07-28 이세창 미스트 세퍼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155A (ko)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761B1 (ko) 공기청정기
JP4110375B2 (ja) 空気調和機
JP4780326B2 (ja) 空気調和機
JP4563877B2 (ja) 空気調和機
KR101349310B1 (ko) 공기조화기
KR100910842B1 (ko) 공기청정기
JP2005300154A5 (ko)
KR100492317B1 (ko) 공기청정기
KR101185250B1 (ko) 공기청정기
KR100464517B1 (ko) 공기청정기
JP4692571B2 (ja) 空気調和機
JP2006292364A (ja) 空気調和機
KR100464516B1 (ko) 공기청정기
KR100485578B1 (ko) 공기청정기
JP2015111043A (ja) 空気調和機
KR100464511B1 (ko) 공기청정기
KR20080055461A (ko) 공기조화기
KR100464510B1 (ko) 공기청정기
KR20080055014A (ko) 공기조화기
CN210980084U (zh) 清洁结构及空调
KR102529763B1 (ko) 공기청정장치
KR101988945B1 (ko) 제습형 공기 청정기
KR20080055011A (ko) 공기조화기
KR101926375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제습형 공기 청정기
KR100492316B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