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014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014A
KR20080055014A KR1020060127829A KR20060127829A KR20080055014A KR 20080055014 A KR20080055014 A KR 20080055014A KR 1020060127829 A KR1020060127829 A KR 1020060127829A KR 20060127829 A KR20060127829 A KR 20060127829A KR 20080055014 A KR20080055014 A KR 20080055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wer supply
supply terminal
purifying unit
pur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유기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7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5014A/ko
Publication of KR2008005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한 후 토출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부 및 공기 배출부가 형성된 송풍기와; 상기 본체의 공기 흡입구와 상기 송풍기의 공기 흡입부의 사이에 설치된 정화 유닛 홀더와; 상기 정화 유닛 홀더에 착탈되고 하면부에 전원 인가 단자가 구비된 정화 유닛과; 상기 정화 유닛의 장착시 전원 인가 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정화 유닛 홀더의 하부에 구비된 전원 공급 단자를 포함하여,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인가 단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정화 유닛으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정화 유닛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본체, 송풍기, 정화 유닛 홀더, 정화 유닛, 전원 공급 단자, 전원 인가 단자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
도 3은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전면부를 전방으로 열고 내측 하부를 개방였을 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정화 기구의 사시도,
도 7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정화 유닛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송풍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회동체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회전되었을 때의 정화 유닛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브래킷이 마그네트에 자력 결합되었을 때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전방으로 열리고 회동체가 경 사지게 배치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회동체에서 정화 유닛을 경사 방향으로 인출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3,4: 공기 흡입구
5,6,7: 공기 토출구 20: 전면 패널
110: 송풍기 115: 팬 하우징
116: 오리피스 118: 고전압 발생기
160: 개구부 162: 내측 커버
191: 전방측 정화 유닛 192: 중앙측 정화 유닛
193: 전기 집진기 193′: 전원 인가 단자
194: 정화 유닛 홀더 200: 고정체
250,252: 힌지홈부 300: 회동체
322,323,324,332,333,334: 슬라이딩 가이드
343: 전원 공급 단자 344: 단자 홀더
345: 관통홀 350,352: 힌지 축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화 유닛이 슬라이딩 착탈됨과 아울러 정화 유닛이 슬라이딩 착탈되는 정화 유닛 홀더의 하면부에 정화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자가 상향 돌출되게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나 전기 집진기 등의 정화 유닛을 흡입 그릴의 배면이나 베이스나 송풍기측에 장착하는 추세이고, 공개특허공보 10-2005-0083415에는 베이스의 상부에 복수개의 필터를 착탈되고, 송풍기의 전방에 전기 집진기를 착탈되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정화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복수개의 필터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착탈되는 필터 프레임이 장착된다.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전기 집진기를 장착한 공기조화기는, 송풍기의 전방 상부에 전기 집진기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홀더가 장착되고, 송풍기의 전방 하부 에 전기 집진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홀더가 장착되며, 전기 집진기는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의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착탈된다.
상기 상부 홀더에는 고전압을 전기 집진기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집진기에는 입력 단자에 접촉되도록 상부 홀더의 대향면 일측에 출력 단자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전기 집진기를 장착한 공기조화기는 전기 집진기를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의 사이로 밀어 넣어 장착하므로, 전기 집진기가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의 사이로 충분히 삽입되지 못하게 설치된 경우, 전기 집진기의 출력 단자와 상부 홀더의 입력 단자의 접촉 불량이 발생될 수 있고, 전기 집진기가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의 사이로 충분히 삽입되었더라도 전기 집진기나 하부 홀더의 처짐이 발생할 경우 전기 집진기의 출력 단자와 상부 홀더의 입력 단자의 접촉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필터가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필터 프레임의 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착탈되고, 전기 집진기가 송풍기의 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착탈되어 전기 집진기와 필터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므로, 전기 집진기와 복수개의 필터를 착탈하기 위해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와 필터 프레임가 필요하여 총 3개의 구조물이 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수가 많고 조립 공정이 복잡하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화 유닛의 장착시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인가 단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정화 유닛으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한 후 토출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부 및 공기 배출부가 형성된 송풍기와; 상기 본체의 공기 흡입구와 상기 송풍기의 공기 흡입부의 사이에 설치된 정화 유닛 홀더와; 상기 정화 유닛 홀더에 착탈되고 하면부에 전원 인가 단자가 구비된 정화 유닛와; 상기 정화 유닛의 장착시 상기 전원 인가 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정화 유닛 홀더의 하부에 구비된 전원 공급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 단자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 공급 단자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화 유닛은 전리부와 포집부로 이루어진 전기 집진기이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전선으로 연결되는 고전압 발생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정화 유닛 홀더의 하측 위치에 상기 고전압 발생기가 체결되는 고전압 발생기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정화 유닛 홀더는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장착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정화 유닛의 슬라이딩을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회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 단자는 상기 정화 유닛 홀더의 하부에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정화 유닛 홀더는 상기 전원 공급 단자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정화 유닛 홀더에 착탈되고 상기 전원 공급 단자가 장착되는 단자 홀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한 후 토출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부 및 공기 배출부가 형성된 송풍기와; 상기 본체의 공기 흡입구와 상기 송풍기의 공기 흡입부의 사이에 설치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체와; 상기 고정체와 회동체 중 적어도 하나에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유닛과; 상기 회동체에 착탈되고 하면부에 전원 인가 단자가 구비된 전기 집진기와; 상기 전기 집진기의 장착시 상기 전원 인가 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회동체의 하부에 상향 돌출되게 구비된 전원 공급 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한 후 토출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정화 유닛 홀더와; 상기 정화 유닛 홀더에 착탈되고 하면부에 전원 인가 단자가 구비된 정화 유 닛과; 상기 정화 유닛의 장착시 상기 전원 인가 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정화 유닛 홀더의 하부에 구비된 전원 공급 단자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한 후 토출되도록 공기 흡입구(3)(4)와 공기 토출구(5)(6)(7)가 형성된다.
본체(1)는 공기 흡입구(3)(4)와 공기 토출구(5)(6)(7)가 형성된 공조부(10)와, 공조부(10)의 전면 일부 혹은 전부를 여닫도록 공조부(10)에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패널(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조부(10)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조를 위한 열교환기 등이 설치되는 일종의 케이싱으로서, 베이스(30)와, 캐비닛(40)과, 상부 패널(50)과, 하부 패널(70)(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30)는 전면 패널(20)을 공조부(10)의 전면부에 나란하게 배치시켜 닫았을 때 전면 패널(20)의 하단과 실내의 바닥면(S) 사이에 틈이 크지 않도록 전면 패널(20)의 하부로 단턱부(32)가 돌출 형성된다.
상부 패널(50)은 좌측부에 좌측 공기 토출구(5)가 형성되고, 우측부에 우측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며, 전면 상부와 상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성된다.
이하, 상부 패널(50)은 상면부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부 패널(50)에는 좌측 공기 토출구(5)를 개폐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토출구(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좌측 토출구 베인(5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토출구 베인(5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토출구 베인모터가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우측 공기 토출구(6)를 개폐함과 아울러 우측 공기 토출구(6)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우측 토출구 베인(52)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우측 공기 토출구 베인(52)을 회전시키는 우측 공기 토출구 베인모터가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상측 공기 토출구(7)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측 공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상측 토출구 베인(53)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측 공기 토출구 베인(53)을 회전시키는 상측 공기 토출구 베인모터가 설치된다.
하부 패널(70)(80)은 상부 패널(50)의 좌측부과 베이스(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가 형성된 좌측 하부 패널(70)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부와 베이스(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된 우측 하부 패널(80)로 이루어진다.
좌측 하부 패널(70)에는 좌측 공기 흡입구(3)를 개폐하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7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7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모터가 설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좌측 필터(72)가 장착된다.
우측 하부 패널(80)에는 우측 공기 흡입구(4)를 개폐하는 우측 공기 흡입구 베인(8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8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모터가 설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우측 필터(82)가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참조 부호 27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서, 전면 패널(20)의 여러 위치 중 일측에 선택적으로 고정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패널(20)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전면부를 전방으로 열고 내측 하부를 개방였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전면 패널(20)은 공조부(10)의 전면 일부 혹은 전부를 여닫도록 설치된 일종의 도어로서, 베이스(30)의 전방 상부에서부터 상부 패널(50)의 전면부 상단까지를 개폐하는 높이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21)와, 글래스(21)의 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 패널(22)과,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을 조립하는 커버(23)를 포함한다.
커버(23)는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의 모서리부를 둘러싸고 글래스 패널(22)에 후크나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된다.
커버(23)는 단면이 대략 ‘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의 좌,우,상,하 네 모서리부에 각각 씌워지는 좌,우,상,하측의 네 개의 커버로 이루어지고,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의 모서리부를 따라 전체적으로 대략 ‘ㅁ’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전면 패널(20)은 글래스(21)의 배면에 소정 색상이나 문양을 갖는 불투명부(24)가 인쇄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불투명 시트가 글래스(21)의 배면에 별도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불투명부(24)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전면 패널(20)은 좌,우 중 일측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회전되도록 그 상부와 하부 각각이 공조부(10)의 전방부측에 힌지 연결된다.
전면 패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중 일측의 대략 중앙부가 공조부(10) 특히, 상부 패널(50)에 연결 기구로 연결되되, 연결기구는 전면 패널(50)이 급격하게 여닫히지 않고 부드럽게 동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연결 기구는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일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슬라이드부재(25)로 이루어지고,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일측에는 슬라이드 부재(25)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54)가 형성되며,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타측에는 슬라이드 부재(25)가 안내되는 슬라이드 안내 부(26)가 형성된다.
전면 패널(20)은 그 회전시 슬라이드부재(25)가 힌지 연결부(54)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슬라이드 안내부(26)를 따라 슬라이드되고, 슬라이드부재(25)에는 슬라이드시 마찰력이 작용되며, 전면 패널(20)은 슬라이드 부재(25)의 마찰력에 의해 그 급격한 여닫힘이 제한된다.
즉, 전면 패널(20)은 좌,우 중 일측의 상부,중앙부,하부가 공조부(10)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된다.
전면 패널(20)에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27)가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경우, 디스플레이(27)에 직접 연결되어 디스플레이(27)를 위치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무빙 기구(28)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무빙 기구(28)는 수동 방식의 무빙 기구가 디스플레이(27)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도 적용 가능하고, 모터와 기어 등이 포함된 자동 방식의 무빙 기구가 디스플레이(27)를 자동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것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면 패널(2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기(R)가 수납되는 원격 조작기 박스(29)가 설치된다.
원격 조작기 박스(29)는 전면 패널(20)을 닫았을 때 본체(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면 패널(20)의 배면측에 구비된다.
원격 조작기 박스(29)는 디스플레이(27)와 디스플레이 무빙 기구(28)와 전면 패널(20)과 함께 전면 패널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여기서, 원격 조작기 박스(29)는 원격 조작기(R)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할 경우, 즉 전면 패널(20)의 상하 길이 방향과 나란할 경우 원격 조작기(R)의 삽입/인출 동작시 원격 조작기(R)가 전면 패널(20)의 배면과 접촉될 수 있어 원격 조작기(R) 외관이 손상되기 쉽고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지 않는 반면에, 원격 조작기(R)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경우, 즉 전면 패널(20)의 상하 길이 방향과 나란하지 않을 경우 원격 조작기(R)의 손상이 최소화됨과 아울러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게 되는 바, 원격 조작기(R)를 전면 패널(20)의 배면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 방향으로 삽입하고 전면 패널(20)의 후방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 방향으로 인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베이스(3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20)의 좌,우 중 일측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힌지 브래킷(34)이 체결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된다.
베이스(30)에는 하부 힌지 브래킷(34)의 일부 특히, 베이스(30)에 체결되는 부분을 덮는 하부 브래킷 커버(35)가 설치된다.
베이스(30)에는 후술하는 청소 기구(90)의 더스트 박스(95)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착탈되는 박스 착탈부(36)가 형성된다.
캐비닛(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후방부 상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전면과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좌,우 측면부(41)(42)가 배면부(43)와 경사지게 형성된다.
캐비닛(40)의 상측에는 상면 패널(44)이 배치된다.
상부 패널(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및 배면이 개방되고, 좌,우 측면부(55)(56)가 전면부(57)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면부(58)가 전면부(57)와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부 패널(5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20)의 좌,우 중 일측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힌지 브래킷(59)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상부 힌지 브래킷(58)의 일부를 덮는 상부 브래킷 커버(60)가 구비된다.
좌측 하부 패널(70)과 우측 하부 패널(80)에는 좌측 필터(72)와 우측 필터(82)가 각각 고정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73)이 설치된다.
한편, 공조부(1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필터(72)(82)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청소 유닛(90)이 설치된다.
청소 유닛(9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필터(72)(82)를 따라 이동되도록 좌측 하부 패널(70)과 우측 하부 패널(80)측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좌,우 필터(72)(82)의 먼지를 수집하는 필터 키트(91)와, 상기 필터 키트(91)와 더스트 호스(9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흡입 필터(92)의 먼지 등 필터 이물질이 흡입되게 하는 키트 송풍기(93)와, 상기 흡입된 필터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는 사이클론(94)과, 상기 사이클론(94)에서 분리된 필터 이물질을 집진하는 더스트 박스(95)와,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을 제어하는 키트 컨트롤 박스(9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공조부(1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냉각시키는 열교환기(100)와, 공조부(10)의 외부 공기를 공조부(10)의 내부로 흡입하여 열교환기(100)를 통하도록 한 후 다시 공조부(10)의 외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110)가 설치된다.
열교환기(100)는 캐비닛(40)의 상부와 상부 패널(50)의 사이에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캐비닛(50)과 송풍기(11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된다.
송풍기(110)는 열교환기(1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캐비닛(40)에 장착된다.
송풍기(110)는 캐비닛(40)의 하부에 장착된 송풍모터(111)와, 송풍모터(111)의 연결된 송풍팬(112)과, 전면부에 개구부(113)가 형성되고 상면부에 토출부(114)가 형성되며 캐비닛(40)에 장착된 팬 하우징(115)과, 팬 하우징(115)의 전면에 배치된 오리피스(116)를 포함한다.
팬 하우징(115)의 상부에는 열교환기(10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고 열교환기(100)가 올려져 지지되는 드레인 팬(117)이 형성된다.
오리피스(116)는 중앙에 팬 하우징(115)으로 공기가 흡입되게 하는 공기 흡입부(116A)가 형성된다.
한편, 공조부(10)에는 베이스(30)와 상부 패널(50)과 좌,우 하부 패널(70)(80) 사이에 개구부(160)가 형성되는 바, 개구부(160)를 통해 후술하는 정화 유닛(191)(192)(193)를 출입시켜 정화 유닛(191)(192)(193)의 청소나 교체를 할 수 있고, 아울러 공조부(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키트 송풍기(93)나 키트 컨트롤 박스(96) 등의 각종 구성품의 서비스를 한다.
공조부(10)에는 개구부(160)를 막아 전면 패널(20)을 전방으로 열었을 때 미 관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성을 높이도록 개구부(160)를 막는 내측 커버(162)가 구비된다.
내측 커버(162)는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부 패널(50)의 하부 등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커버(162)에는 전면 패널(20)을 닫았을 때 원격 조작기 박스(29)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원격 조작기 박스(29)를 회피하는 박스 회피홈부(164)가 후방으로 움푹 패이게 형성된다.
한편, 공조부(10)의 내부에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170)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다.
제어부(170)는 키트 컨트롤 박스(96)나 송풍모터(111)나 디스플레이(27) 등과 전선 등의 케이블로 연결되고, 전면 패널(20)을 전방으로 열고 내측 커버(160)를 공조부(10)에서 분리하였을 때 개구부(16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 예를 들면 송풍기(11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1) 특히, 공조부(10)의 내부에는 송풍팬(112)의 회전시 오리피스(116)로 흡인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기구(180)가 설치된다.
정화 기구(18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정화 유닛(191)(192)(193)과, 적어도 하나의 정화 유닛(191)(192)(193)이 착탈되는 정화 유닛 홀더(1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화 유닛(191)(192)(193)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정화물이 공기를 단계적으로 정화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나, 공기중의 큰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 필터와, 미세 먼지를 거르는 고성능 필터인 헤파 필터와, 탈취나 항균 성능이 우수한 나노 필터와,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황사 필터나 탈취 필터 등의 옵션 필터와, 부직포와 조밀도가 다른 복수개의 폴리 우레탄 등이 조합된 하이브리드 필터와, 먼지를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플라즈마 전기 집진기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하, 정화 유닛(191)(192)(193)은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황사 필터나 탈취 필터 등의 옵션 필터(191)와, 미세 먼지를 거르는 고성능 필터인 헤파 필터(192)와, 공기 중의 먼지를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193)가 전후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정화 유닛(191)(192)(193) 중에서 전기 집진기(19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부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 받는 전원 인가 단자(193′)가 구비된다.
정화 유닛 홀더(194)는 전면과 좌,우측면과 상면과 하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배면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정화 유닛 홀더(194)는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할 경우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동작시 송풍기(110)의 전면이나 드레인 팬(117)과 접촉될 수 있어 정화 유닛(191)(192)(193)가 손상되기 쉬울 뿐 아니라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지 않고,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할 경우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 /인출 동작을 위해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반면에,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경우, 정화 유닛(191)(192)(193)의 손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게 되는 바, 정화 유닛(191)(192)(193)를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인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정화 유닛 홀더(194)는 고정체(200)와, 상기 고정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정화 유닛(191)(192)(193)이 착탈되는 회동체(300)로 이루어지고, 회동체(300)의 하부가 고정체(200)의 하부에 힌지 연결된다.
고정체(200)는 본체(1) 특히, 공조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 공조부(10)의 개구부(160)와 송풍기(110)의 공기 흡입부(116A)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즉, 고정체(200)는 송풍기(110)의 공기 흡입부(116A) 전방에 위치되도록 송풍기(110)의 전면부에 설치된다.
회동체(3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집진기(193)의 집진기 단자(193′)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자(343)가 설치된다.
전원 공급 단자(343)는 회동체(300)의 하부에 후크 등에 의해 착탈되는 단자 홀더(344)에 올려져 설치된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정화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정화 유닛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 된 송풍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회동체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회전되었을 때의 정화 유닛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브래킷이 마그네트에 자력 결합되었을 때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전방으로 열리고 회동체가 경사지게 배치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회동체에서 정화 유닛을 경사 방향으로 인출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정화 유닛(191)(192)(193)은 공기가 전후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화 유닛(191)(192)(193)의 케이스는 전체적으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로 이루어져 내부가 전후로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각종 필터체나 먼지의 포집을 위한 구조물이 내장된다.
정화 유닛(191)(192)(193)은 필터 케이스의 좌,우 측면부에 리브(191a)(192a)(193a)가 돌출 형성된다.
정화 유닛(191)(192)(193)은 필터 케이스의 상면부에 손잡이(191b)(192b)(193b)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정화 유닛 홀더(194)는 적어도 두 면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한 면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유동 구조로 이루어지고, 정화 유닛(191)(192)(193)이 일면으로 착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정화 유닛 홀더(194)는 고정체(200)가 전체적으로 상면과 전면이 개방되고, 회동체(300)가 전체적으로 상면과 배면이 개방되며, 회동체(30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거나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20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대략 경사지게 배치된다.
정화 유닛 홀더(194)는 회동체(30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치될 때 정화 유닛(191)(192)(193)이 송풍기(110)의 공기 흡입 방향과 직교하게 설치된 정화 모드이고, 회동체(300)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될 때 정화 유닛(191)(192)(193)이 전방 상부 방향으로 인출되거나 후방 하부 방향으로 장착되는 착탈 모드로 이루어진다.
고정체(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부(210)와, 상기 후방 프레임부(210)와 직교하게 형성된 좌,우 프레임부(220)(230)와, 상기 후방 프레임부(210) 및 좌,우 프레임부(220)(230)와 직교하는 하부 프레임부(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동체(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부(310)와, 상기 전방 프레임부(310)과 직교하게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정화 유닛(191)(192)(193)이 슬라이딩 안내되는 좌,우 프레임부(320)(330)와, 상기 전방 프레임부(310) 및 좌,우 프레임부(320)(330)와 직교하게 형성된 하부 프레임부(340)를 포함한다.
즉, 정화 유닛 홀더(194)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정화 유닛(191)(192)(193)의 착탈이나 식별이 가능하고, 좌,우측부과 하측부 각각이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시의 강도가 높게 된다.
한편, 정화 유닛 홀더(194)는 정화 유닛 홀더(194) 외부의 공기가 그 상측부 과 좌측부과 우측부과 하측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전면부를 통해 흡입되어 정화 유닛 홀더(194)의 내측 공간을 통과하고 정화 유닛 홀더(194)의 배면부를 통해 정화 유닛 홀더(194)의 후방으로 유동되는 구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고정체(200)는 후방 프레임부(210)에 공기 배출 개구부(211)가 형성되고 좌,우 프레임부(220)(230)와, 하부 프레임부(240)의 각각에 공기 흡입 개구부(221)(231)(241)가 형성되고, 회동체(300)는 전방 프레임부(310)와, 좌,우 프레임부(320)(330)와 하부 프레임부(340)의 각각에 공기 흡입 개구부(311)(321)(331)(341)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 고정체(2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정체(200)는 공조부(10)의 개구부(160)와 송풍기(110)의 공기 흡입부(116A)의 사이인 송풍기(110)의 공기 흡입부(116A)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바, 특히 송풍기(110)의 전면부에 체결 나사 등의 체결부재(212)(213)(214)(215)로 체결된다.
고정체(200)는 후방 프레임부(210)의 상부 좌,우와 하부 좌,우 각각에는 송풍기(110)에 체결부재(212)(213)(214)(215)로 체결되도록 체결공 (216a)(217a)(218a)(219a)이 형성된 체결부(216)(217)(218)(219)가 돌출된다.
그리고, 송풍기(110)에는 상부 좌측 체결부(216)와 상부 우측 체결부(217)와 하부 좌측 체결부(218)와 하부 우측 체결부(219)의 각각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121)(122)(123)(124)이 각각 형성되고, 복수개의 체결공(121)(122)(123)(124) 중에서 특히 하부 우측 체결공(123)의 주변에는 하부 좌측 체결부(218)가 올려지는 하부 좌측 리브(125)가 전방으로 돌출되며, 하부 우측 체결공(124)의 주변에는 하부 우측 체결부(219)가 올려지는 하부 우측 리브(126)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송풍기(110)는 하부 좌측 리브(125)와 하부 우측 리브(126)가 팬 하우징(115)과 오리피스(116) 중 어느 하나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바, 이하 오리피스(116)의 전면에 하부 좌측 체결부(218) 및 하부 우측 체결부(219)의 외곽 형상과 같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송풍기(110)는 복수개의 체결공(121)(122)(123)(124)이 오리피스(116)와 팬 하우징(115)에 각각에 형성되어, 체결부재(212)(213)(214)(215) 각각이 고정체(200)와 오리피스(116)와 팬 하우징(115)을 함께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오리피스(116)에는 체결공(121a)(122a)(123a)(124a)이 형성되고, 팬 하우징(115)에는 오리피스(116)의 체결공(121a)(122a)(123a)(124a)과 대응되는 체결공(121b)(122b)(123b)(124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체(200)는 고정체(200)의 좌측 하부 체결부(218)를 하부 좌측 리브(215)에 올림과 아울러 우측 하부 체결부(219)를 하부 우측 리브(216)에 올리고, 고정체(200)의 후방 프레임부(210)를 송풍기(110)의 전면부와 나란한 방향 즉, 송풍기(110)의 공기 흡입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배치시키면, 고정체(200)의 체결부(216)(217)(218)(219)에 형성된 체결공(216a)(217a)(218a)(219a)은 송풍기(110)의 체결공(121)(122)(123)(124)과 전후 일치된다.
즉, 고정체(200)의 체결부(216)(217)(218)(219)에 형성된 체결공(216a)(217a)(218a)(219a)은 오리피스(116)의 체결공(121a)(122a)(123a)(124a) 및 팬 하우징(115)의 체결공(121b)(122b)(123b)(124b)과 전후 방향으로 일치되고, 체결부재(212)(213)(214)(215)를 체결부(216)(217)(218)(219)의 체결공(216a)(217a)(218a)(219a)과, 오리피스(116)의 체결공(121a)(122a)(123a)(124a)과, 팬 하우징(115)의 체결공(121b)(122b)(123b)(124b)에 체결하면, 고정체(200)는 송풍기(110)를 구성하는 오리피스(116) 및 팬 하우징(115)에 함께 조립되고 견고하게 장착된다.
이하, 상기 회동체(3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동체(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프레임부(320)(330)의 각각에 정화 유닛(191)(192)(193)의 슬라이딩 착탈을 돕는 슬라이딩 가이드(322)(323)(324)(332)(333)(334)가 형성된다.
회동체(300)의 좌측 프레임부(320)에는 좌측 전방 슬라이딩 가이드(322)의 복수개가 상하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고, 좌측 중앙 슬라이딩 가이드(323)의 복수개가 상하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며, 좌측 후방 슬라이딩 가이드(324)가 좌측 프레임부(320)에 직교함과 아울러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체(300)의 우측 프레임부(330)에는 우측 전방 슬라이딩 가이드(323)의 복수개가 상하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고, 우측 중앙 슬라이딩 가이드(333)의 복수개가 상하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며, 우측 후방 슬라이딩 가이드(334)가 우측 프레임부(330)에 직교함과 아울러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좌측 전방 슬라이딩 가이드(322) 및 우측 전방 슬라이딩 가이드(332)는 회동체(300)의 전방 프레임부(310)와 전방측 정화 유닛(191)의 두께 보다 큰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그 각각은 전방측 정화 유닛(191)과 중앙측 정화 유닛(192)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상부가 삼각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좌측 중앙 슬라이딩 가이드(323) 및 우측 중앙 슬라이딩 가이드(333)는 좌측 전방 슬라이딩 가이드(322) 및 우측 전방 슬라이딩 가이드(332)와 중앙측 정화 유닛(192)의 두께 보다 큰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좌측 후방 슬라이딩 가이드(324) 및 우측 후방 슬라이딩 가이드(334)와 후방측 정화 유닛(193)의 두께 보다 큰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그 각각은 중앙측 정화 유닛(192)과 후방측 정화 유닛(193)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상부가 삼각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동체(300)는 정화 유닛(191)(192)(193)의 슬라이딩 장착시 리브(191a)(192a)(193a)가 타고 넘으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정화 유닛(191)(192)(193)이 슬라이딩 장착된 이후에 리브(191a)(192a)(193a)가 상향 걸리도록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탄성 걸림부(335)(336)(337)(345)(346)(347)가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 걸림부(335)(336)(337)(345)(346)(347)는 슬라이딩 가이드(322)(323)(324)(332)(333)(334)의 사이 위치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 및 그 주변이 탄성적으로 눌리도록 돌기 주변에 형성된 탄성홈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동체(300)는 하부 프레임부(340)의 전방에 개구부(341)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고, 후방부가 판체부(342)로 이루어진다.
회동체(300)에는 전기 집진기(193)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343)가 복수개 설치되는 바, 전원 공급 단자(343)는 회동체(300)의 하부 프레임(340)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전원 공급 단자(343)는 전기 집진기(193)를 회동체(300)에 슬라이딩 장착할 때 그 충격을 완화함과 아울러 전기 집진기(193)가 회동체(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흔들리더라도 그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원 공급 단자(343)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회동체(300)의 하부 프레임(340) 하부에 후크 등에 의해 착탈되는 단자 홀더(344)에 올려지며, 회동체(300)의 하부 프레임(340)에 형성된 관통홀(345)을 관통하여 회동체(300)의 하부 프레임(340)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전원 공급 단자(343)는 그 서비스시 단자 홀더(344)를 정화 유닛 홀더(194)에서 분리하여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원 공급 단자(343)는 전기 집진기(193)에 의한 압축시 그 상단을 제외한 대부분이 관통홀(345)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어, 전기 집진기(193)가 정화 유닛 홀더(194)에 깊숙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게 하고, 전기 집진기(193)의 하면부와 정화 유닛 홀더(194) 특히 회동체(300)의 하면부 사이의 틈은 최소화되며, 전 기 집진기(193)를 통과하지 않고 전기 집진기(193)의 하면부와 정화 유닛 홀더(194) 특히 회동체(300)의 하면부 사이의 틈을 통해 새나가는 공기는 최소화된다.
아울러 전원 공급 단자(343)는 전기 집진기를 슬라이딩 장착하였을 때 전원 공급 단자(343)의 상부가 전기 집진기(193)의 전원 인가 단자(193′)의 대략 중앙측과 접촉되고, 전기 집진기 중에서 전원 인가 단자(193′)의 주변 부분과 접촉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단자 홀더(344)는 하면부 또는 둘레부에 전원 공급 단자(343)의 일부가 관통되는 단자 관통홀부(344a)가 형성되고, 전원 공급 단자(343)는 일부가 단자 관통홀부(344a)를 관통하여 단자 홀더(344) 외부로 돌출된다.
한편, 회동체(300)는 회동체(300)의 회전시 정화 유닛(191)(192)(193)이 회동체(300)와 함께 고정체(200)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그 회전 중심이 전방 하부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회동체(300)는 전방 하부 양측이 고정체(140)의 전방 하부 양측에 힌지 연결되는 바, 고정체(200)와 회동체(300) 중 어느 하나의 전방 하부 양측에는 힌지 축(350)(352)이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전방 하부 양측에는 힌지 축(350)(35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지지부(250)(252)가 형성된다.
이하, 회동체(300)의 좌,우 측면부(320)(330) 전방 하부 각각에는 힌지 축(350)(352)이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고, 고정체(200)의 좌,우 측면부(220)(230)의 전방 하부 각각에는 축 지지부(250)(252)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회동체(300)는 좌,우 힌지 축(350)(352) 중 어느 하나(350)가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352)가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353)와, 돌출부(353)의 단부에 돌출부(353)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걸림턱(35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체(200)는 좌,우 축 지지부(250)(252) 중 어느 하나가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로만 이루어진 힌지 축(350)이 옆에서 삽입되는 좌우 힌지홈부(250)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252)가 돌출부(352)와 걸림턱(354)으로 이루어진 힌지축(352)의 앞에서 삽입되는 전후 힌지홈부(252)로 이루어진다.
고정체(200)는 전후 힌지홈부(252)에 지지된 힌지축(352)이 전방으로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전후 힌지홈부(252)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회동체(300)는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로만 이루어진 힌지축(352)를 좌우 힌지홈부의 옆에서 삽입하면서, 돌출부(352)와 걸림턱(354)으로 이루어진 힌지축(352)의 돌출부(353)가 전후 힌지홈부(252)의 전방에서 전후 힌지홈부(252)로 하향 경사 방향으로 삽입되고, 힌지축(352)은 돌출부(353)가 전후 힌지홈부(252)의 하단에 올려짐과 아울러 걸림턱(354)이 전후 힌지홈부(252)의 주변에 좌우 방향으로 걸리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화 유닛 홀더(194)는 회동체(300)가 고정체(200)의 내부로 삽입되게 연결되는데, 힌지축(350)(352) 중 어느 하나(350)가 힌지 홈부(250)(252) 중 어느 하나(250)에 옆에서 삽입되면서 힌지축(350)(352) 중 다른 하나(352)가 힌지 홈부(250)(252)의 다른 하나(252)의 앞에서 삽입되는 구 조로 이루어져, 그 힌지 연결이 용이하고 회동체(300)와 고정체(200)의 힌지 연결을 위해 고정체(200)의 양측을 과다하게 벌릴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회동체(300)는 상단에 손잡이(360)가 형성된다.
손잡이(360)는 회동체(300)의 전방 프레임부(310)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손잡이(360)는 정화 유닛(191)(192)(193)을 회동체(300)에 장착했을 때 정화 유닛(191)(192)(193)과 손잡이(360)의 사이로 손가락 등이 들어갈 수 있도록 정화 유닛(191)(192)(193)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바, 전방 프레임부(310)의 상부에 전방으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한편, 정화 유닛 홀더(194)는 회동체(300)의 회전을 안내함과 아울러 회동체(300)가 경사 배치되거나 수직 배치되도록 구속하는 가이드수단(400)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수단(400)은 회동체(300)와 고정체(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410)와, 회동체(300)와 고정체(2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회동체(300)의 회전시 돌기(410)를 안내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체(300)의 수직 배치시 돌기(410)가 후방 방향으로 걸리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체(300)의 경사 배치시 돌기(410)가 전방 방향으로 걸리는 가이드 레일(4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돌기(410)와 가이드 레일(420)는 회동체(300)와 고정체(200)의 하부 이외를 연결하는 연결부로서, 회동체(300)의 대략 중앙부와 고정체(200)의 대략 중 앙부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회동체(300)는 그 하부가 고정체(200)의 하부에 힌지 연결됨과 아울러 그 중앙부가 고정체(200)의 중앙부에 슬라이드 연결된다.
돌기(410)는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420)은 전후 방향으로 대략 유선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홀부로서, 회동체(300)가 수직하게 배치될 때 돌기(410)가 가이드 레일(420)의 선단에 전방 방향으로 걸리게 형성되고, 회동체(300)가 경사지게 배치될 때 돌기(410)가 가이드 레일(420)의 후단에 후방 방향으로 걸리게 형성된다.
즉, 가이드 레일(420)는 회동체(210)의 전방측 과회전과 후방측 과회전을 제한하는 일종의 스토퍼의 기능을 함께 하게 된다.
돌기(410)와 가이드 레일(420)은 회동체(300)가 보다 안정감있게 회전/지지될 수 있도록 정화 유닛 홀더(194)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돌기(410)가 회동체(300)의 좌,우 프레임부(320)(330) 각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420)은 고정체(200)의 좌,우 프레임부(220)(230)에 각각 대향되게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정화 유닛 홀더(194)는 고정체(200)와 회동체(30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회동체(300)의 경사 배치 상태인 착탈 모드를 유지시키는 경사 유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경사 유지부(500)는 고정체(200)와 회동체(300) 중 어느 하나에 설 치된 영구자석과,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영구자석과 부착되는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고정체(200)와 회동체(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후크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후크가 탄성적으로 걸림/해제되는 후크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돌기(410)가 타고 넘을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돌기(410)가 타고 넘은 이후에 원상태로 복원되어 돌기(410)의 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체(200)와 회동체(300)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 형성된 탄성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경사 유지부(500)는 탄성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경사 유지부(500)는 회동체(300)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돌기(410)가 가이드 레일(420)의 선단을 향해 이동될 때 돌기(410)에 의해 하측으로 눌리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돌기(410)가 가이드 레일(420)의 선단에 위치될 때 원래 형태로 복원되어 돌기(410)가 가이드 레일(420)의 중앙을 향해 임의 이동되는 것을 막는 것에 의해 회동체(300)의 경사 배치 상태를 유지시키고, 돌기(410)가 가이드 레일(420)의 선단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420)의 중앙을 향해 이동될 때 돌기(410)에 의해 하측으로 눌리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돌기(410)가 타고 넘은 이후에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가이드 레일(420)의 대략 전방부측에 형성된다.
경사 유지부(500)는 고정체(200)에 일체 형성되는 바, 가이드 레일(420)의 하부에 돌출된 돌출부(502)와, 상기 돌출부(502) 및 그 주변이 탄성적으로 눌리도록 가이드 레일(270)과 통하도록 형성된 탄성홈부(504)로 이루어진다.
한편, 정화 유닛 홀더(194)는 고정체(200)와 회동체(30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회동체(300)의 수직 배치 상태인 정화 모드를 유지시키는 수직 유지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 유지부(510)는 고정체(200)와 회동체(3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영구자석(512)과,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영구자석(512)과 자력 결합되는 브래킷(514)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고정체(200)와 회동체(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후크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후크가 탄성적으로 걸림/해제되는 후크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돌기(410)가 타고 넘을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돌기(410)가 타고 넘은 이후에 원상태로 복원되어 돌기(410)의 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체(200)와 회동체(300)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 형성된 탄성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수직 유지부(510)는 영구자석(512)과 브래킷(514)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수직 유지부(510)는 회동체(300)가 전방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고정체(200)와 회동체(300)의 대략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유지부(510)는 고정체(200)에 영구자석(512)이 장착되고, 회동체(300)에 브래킷(514)이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회동체(300)에 영구자석(512)이 장착되고, 고정체(200)에 브래킷(514)이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고정체(200)에 영구자석(512)이 장착되고, 회동체(300)에 브래킷(514)이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수직 유지부(510)는 정화 유닛 홀더(194)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회동체(300)의 수직 배치 상태를 좌우 안정감있게 유지한다.
고정체(200)에는 후방 프레임부(210)의 배면과의 사이에 영구자석(512)이 끼워지는 영구자석 끼움부(260)가 형성된다.
회동체(300)에는 후방측 슬라이딩 가이드(324)(334)의 상부에 브래킷(514)이 끼워지는 브래킷 끼움부(360)가 좌우 방향으로 판체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정화 유닛 홀더(194)는 고정체(200)와 회동체(30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고정체(200)와 회동체(300)의 좌우 흔들림을 제한하는 유동 방지부(520)가 형성된다.
유동 방지부(520)는 고정체(200)의 후방 프레임부(210)에 형성된 단턱홈부(522)와, 회동체(399)의 좌,우 측면부(320)(330)에서 형성되어 단턱홈부(522)에 삽입되고 단턱홈부(522)에 좌,우 걸리는 판체부(524)로 이루어진다.
유동 방지부(520)는 정화 유닛 홀더(194)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회동체(300)의 좌,우 흔들림을 최소화한다.
도 3과 도 8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참조부호 118은 복수개의 정화 유닛(191)(192)(193) 중 하나인 전기 집진기(193)로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발생기이다.
그리고, 도 3과 도 8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참조 부호 118a는 회동체(300)측에 설치된 전원 공급 단자(343)측과 고전압 발생기(118)를 연결하는 전선 으로서, 고정체(200)의 하부 프레임부(240)의 공기 흡입 개구부(241)를 통과하여 전원 공급 단자(343) 중에서 회동체(200)의 하부 프레임부(240)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참조 부호 119a는 고전압 발생기(118)가 나사 등의 체결부재(119b)로 체결되도록 고정체(200)의 하측 위치인 송풍기(110)의 전면부 하부에 돌출 형성된 고전압 발생기 체결부로서, 체결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운전이나 공기 정화 운전시 송풍기(110)의 송풍모터(111)는 송풍팬(112)을 회전시키고, 실내의 공기는 송풍팬(112)의 회전에 의해 공조부(10)의 공기 흡입구(3)(4)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좌측 필터(72)와 우측 필터(82)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걸러진다.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송풍팬(112)의 부압에 의해 오리피스(116)의 전방으로 모이는데, 이때, 공기는 정화 유닛 홀더(194)의 전방 및 상,하,좌,우에서 정화 유닛 홀더(194)의 내부를 향하여 유동되고, 정화 유닛 홀더(194)의 전방, 좌, 우, 하측 공기 흡입 개구부(221)(231)(241)(311)(321)(331)(341)와 정화 유닛 홀더(194)의 상면을 통해 내부로 흡입되며, 정화 유닛(191)(192)(193)의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정화 유닛 홀더(194)의 배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 개구부(211)를 통해 후방으로 배출된다.
즉, 정화 기구(190)는 전면 뿐만 아니라 좌,우,상,하면을 통해서도 공기가 흡입되므로, 공기가 전면으로만 공기가 흡입되는 경우 보다 더 많은 공기가 신속하게 흡입되고, 정화 성능은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공기는 정화 유닛 홀더(195)의 배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 개구부(211)를 통과하여 오리피스(116)의 흡입부로 흡입되고 송풍팬(112)에 의해 상부로 송풍된다.
상부로 송풍된 공기는 열교환기(100)와 접촉되어 열교환되거나 열교환기(100)와의 열교환 없이 공조부(10)의 상부로 송풍되고, 공기 토출구(5)(6)(7)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송풍팬(112)의 회전과 그에 따른 공기의 정화시, 공조부(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 일부는 복수개의 정화 유닛(191)(192)(193) 중 전방측 정화 유닛(191)을 통과하지 않거나 전방측 정화 유닛(191)과 중앙측 정화 유닛(192)을 통과하지 않고 전기 집진기(193)만을 통과하여 정화될 수 있으나, 실내 공기가 일정시간 순환/정화되면 전방측 정화 유닛(191)과 중앙측 정화 유닛(192)을 적어도 1회 통과하게 되고, 실내 청정도는 점차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정화 유닛(191)(192)(193)의 청소,교체,수리 등의 서비스를 위해 정화 유닛(191)(192)(193)을 인출할 경우 사용자 등은 전면 패널(20)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공조부(10)의 전면을 개방하고, 내측 커버(162)를 분리하면, 공조부(10)는 그 내측 하부가 개방되고 정화 유닛 홀더(194) 등은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 등이 공조부(10)의 개구부(160)로 손을 집어 넣어 회동체(300)의 손 잡이(360)를 잡고 마그네트(512)의 자력 보다 강하게 손잡이(36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거나 하측으로 내리면, 정화 유닛 홀더(194)는 브래킷(514)이 마그네트(512)와 분리되고, 회동체(3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경사 배치되게 회전되며, 정화 유닛(191)(192)(193)은 회동체(300)와 같이 전방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경사 배치시 정화 유닛(191)(192)(193)은 그 대략 상부가 공조부(10)의 개구부(160)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고, 사용자 등은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정화 유닛(191)(192)(193)을 잡은 다음 경사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정화 유닛(191)(192)(193)은 경사 배치된 회동체(300)에 안내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되고, 공조부(10)의 개구부(160)를 통과하여 공조부(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즉, 사용자 등은 허리를 구부리거나 엎드리지 않은 편안한 자세로 정화 유닛(191)(192)(193)을 한 방향 즉, 경사 방향으로 들어올려 공조부(10) 특히 회동체(300)에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화 유닛(191)(192)(193)의 슬라이딩 인출시, 특히 전기 집진기(193)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전원 공급 단자(343)는 탄성력에 의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형태로 복원되어 회동체(300)의 하부 프레임부(340)에 상향으로 돌출 된다.
그리고, 정화 유닛(191)(192)(193)을 본체(1) 특히, 공조부(10)에 장착할 경 우, 정화 유닛(191)(192)(193)을 경사 배치된 회동체(300)에 경사 방향으로 삽입시키면, 정화 유닛(191)(192)(193)은 회동체(300)를 따라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정화 유닛(191)(192)(193)의 슬라이딩 장착시 특히, 전기 집진기(193)는 그 자중에 의해 전원 인가 단자(193′)가 전원 공급 단자(343)와 접촉되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단자(243)를 압축하고, 전기 집진기(193)는 전원이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때 전원 인가 단자(193′)와 전원 공급 단자(243)는 전기 집진기(193)의 자중에 의해 항상 밀착된 상태이므로 그 접촉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정화 유닛(191)(192)(193)을 회동체(300)에 깊숙이 삽입한 후 회동체(300)를 후방으로 밀거나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회동체(300)는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이때, 브래킷(514)은 마그네트(512)의 자력에 의해 마그네트(512)와 자력 결합되고, 회동체(300)의 판체부(524)는 고정체(200)의 단턱홈부(522)로 삽입되어 단턱홈부(522)에 좌우로 걸리게 배치된다.
즉, 회동체(300)는 브래킷(514)과 마그네트(512)의 자력 결합에 의해 그 수직 배치 상태가 유지됨과 아울러 판체부(524)가 단턱홈부(522)에 삽입됨에 따라 그 임의 회전이 제한되며, 회동체(300)는 정화 유닛 홀더(194)로 전달된 진동 등에 의해 회동체(300)가 쉽게 열리지 않게 된다.
한편, 정화 유닛(191)(192)(193)은 회동체(300)와 함께 고정체(200)의 내측 공간으로 이동하여 수직하게 배치되고 송풍기(110)의 공기 흡입 방향과는 직교하게 된다.
그런 다음, 내측 커버(162)로 공조부(10)의 개구부(160)를 막고, 전면 패널(20)을 공조부(10)의 전면부와 나란하게 회전시키면 정화 유닛(191)(192)(193)의 서비스는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정화 유닛의 하면부에 전원 인가 단자가 구비되고, 정화 유닛 홀더의 하면부에 전원 인가 단자가 접촉되는 전원 공급 단자가 구비되어, 전원 인가 단자와 전원 공급 단자가 정화 유닛의 자중에 의해 접촉되므로,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인가 단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정화 유닛으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정화 유닛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전원 공급 단자가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회동체의 슬라이딩 장착할 때 그 충격을 완화하므로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인가 단자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전기 집진기나 정화 유닛 홀더의 진동시에도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인가 단자의 접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정화 유닛이 전리부와 포집부로 이루어진 전기 집진기로 이루어지고, 전원 공급 단자와 전선으로 연결되는 고전압 발생기가 송 풍기 중에서 정화 유닛 홀더의 하측 위치에 체결되므로, 전선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전원 공급 단자가 정화 유닛 홀더의 하부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정화 유닛이 정화 유닛 홀더의 내측 하단 위치까지 장착되지 않고 내측 하단 위치보다 약간 높게 장착되더라도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인가 단자가 접촉되므로, 정화 유닛이 공기를 정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정화 유닛 홀더가 송풍기의 전방에 장착된 고정체와; 고정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정화 유닛의 슬라이딩을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어, 회동체가 전방으로 틸팅되게 회전시킨 후 정화 유닛을 정화 유닛에 경사 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으므로 필터의 착탈을 위해 허리를 무리해서 구부릴 필요 없고, 정화 유닛을 손쉽게 착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정화 유닛 홀더에 전원 공급 단자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므로 전원 공급 단자가 관통홀 내측으로 압축되어 정화 유닛이 정화 유닛 홀더에 최대한 깊숙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고, 공기가 정화 유닛 홀더의 하면부와 정화 유닛의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새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정화 유닛 홀더에 착탈되고 전원 공급 단자가 장착되는 단자 홀더를 더 포함하여 전원 공급 단자의 서비스시 단자 홀더를 분리하여 전원 공급 단자를 서비스할 수 있으므로, 전원 공급 단자의 서비스시 정화 유닛을 인출할 필요가 없고, 전원 공급 단자로 전선 등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한 후 토출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부 및 공기 배출부가 형성된 송풍기와;
    상기 본체의 공기 흡입구와 상기 송풍기의 공기 흡입부의 사이에 설치된 정화 유닛 홀더와;
    상기 정화 유닛 홀더에 착탈되고 하면부에 전원 인가 단자가 구비된 정화 유닛과;
    상기 정화 유닛의 장착시 상기 전원 인가 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정화 유닛 홀더의 하부에 구비된 전원 공급 단자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자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자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
    인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은 전리부와 포집부로 이루어진 전기 집진기이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전선으로 연결되는 고전압 발생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풍기는 상기 정화 유닛 홀더의 하측 위치에 상기 고전압 발생기가 체결되는 고전압 발생기 체결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 홀더는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장착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정화 유닛의 슬라이딩을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회동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자는 상기 정화 유닛 홀더의 하부에 돌출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 홀더는 상기 전원 공급 단자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정화 유닛 홀더에 착탈되고 상기 전원 공급 단자가 장착되는 단자 홀더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한 후 토출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부 및 공기 배출부가 형성된 송풍기와;
    상기 본체의 공기 흡입구와 상기 송풍기의 공기 흡입부의 사이에 설치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체와;
    상기 고정체와 회동체 중 적어도 하나에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유닛과;
    상기 회동체에 착탈되고 하면부에 전원 인가 단자가 구비된 전기 집진기와;
    상기 전기 집진기의 장착시 상기 전원 인가 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회동체의 하부에 상향 돌출되게 구비된 전원 공급 단자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한 후 토출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정화 유닛 홀더와;
    상기 정화 유닛 홀더에 착탈되고 하면부에 전원 인가 단자가 구비된 정화 유닛과;
    상기 정화 유닛의 장착시 상기 전원 인가 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정화 유닛 홀더의 하부에 구비된 전원 공급 단자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60127829A 2006-12-14 2006-12-14 공기조화기 KR20080055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829A KR20080055014A (ko) 2006-12-14 2006-12-1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829A KR20080055014A (ko) 2006-12-14 2006-12-1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014A true KR20080055014A (ko) 2008-06-19

Family

ID=3980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829A KR20080055014A (ko) 2006-12-14 2006-12-1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50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26086A (zh) * 2008-10-29 2010-06-0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柜式空调器的过滤网支架结构
WO2015064956A1 (ko) * 2013-11-01 2015-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용 필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26086A (zh) * 2008-10-29 2010-06-0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柜式空调器的过滤网支架结构
WO2015064956A1 (ko) * 2013-11-01 2015-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용 필터장치
KR20150050851A (ko) *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용 필터장치
EP3015785A1 (en) * 2013-11-01 2016-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device for air conditioning
CN105683676A (zh) * 2013-11-01 2016-06-15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用过滤装置
EP3015785A4 (en) * 2013-11-01 2017-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device for air conditioning
US10234150B2 (en) 2013-11-01 2019-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device for air conditio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371B2 (en) Indoor device of separable air conditioner
US7266971B2 (en) Air conditioner
US7670414B2 (en)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349310B1 (ko) 공기조화기
KR101166379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61636A (ko) 공기조화기
KR10125216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55014A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461A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012A (ko) 공기조화기
KR20090084474A (ko) 공기조화기
KR101280374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015A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011A (ko) 공기조화기
KR101280373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010A (ko) 공기조화기
KR100753448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10086A (ko) 실내기의 프론트패널 개폐구조
KR20040056146A (ko) 공기청정기
KR20080056509A (ko) 공기조화기
KR10068821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65129A (ko) 공기조화기
KR20060010085A (ko) 실내기의 프론트패널 개폐구조
KR100596528B1 (ko) 공기조화기
KR1005913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