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842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842B1
KR100910842B1 KR1020070031666A KR20070031666A KR100910842B1 KR 100910842 B1 KR100910842 B1 KR 100910842B1 KR 1020070031666 A KR1020070031666 A KR 1020070031666A KR 20070031666 A KR20070031666 A KR 20070031666A KR 100910842 B1 KR100910842 B1 KR 100910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s
case
guide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8850A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1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8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8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의 용이한 탈거를 위해 복수 개의 필터 중 일부 필터가 탈거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착탈되는 복수 개의 필터와, 상기 일부 필터가 탈거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가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의 탈거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상기 필터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터 탈거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탈거 대상 필터를 손쉽게 잡을 수 있고, 상기 필터를 상기 필터 가이드로부터 수월하게 빼내거나 장착할 수 있어, 상기 필터의 취급이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공기청정기, 필터, 필터 가이드, 필터 탄성체, 필터 스토퍼,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도어 닫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도어 열림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와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착탈 과정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도어 열림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와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 정기의 필터 착탈 과정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스 4 ; 필터
8 ; 도어 10 ; 리어 케이스
12 ; 오리피스 14 ; 프론트 케이스
16 ; 데코 커버 20 ; 도어 가이드
22 ; 도어 가이드 바 30 ; 필터 가이드
40 ; 필터 탈거 수단 42 ; 필터 탄성체
44 ; 필터 스토퍼 46 ;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의 용이한 탈거를 위해 필터 착탈 수단이 구비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에 장착되거나 실내와 덕트를 통해 연통되어, 실내의 공기 중에 함유된 각종 먼지, 가스, 악취, 연기와 같은 오염물을 걸려내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에는 공기 중에 함유된 오염물을 걸려내기 위해 필터가 장착된다.
상기 공기청정기에 적용되는 필터는 상기 오염물의 종류 및 크기 등이 다양한데, 하나의 필터가 모든 오염물의 종류 및 크기 등에 부합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오염물의 종류 및 크기 등에 따라 여러 유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오염물의 종류 및 크기가 다양하고, 상기 오염물 제거 능력이 제품의 신뢰성을 좌지우지하는 바, 통상적으로 공기청정기에는 복수 개의 필터가 장착된다.
상기 공기청정기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필터 중 적어도 일부는 교환 또는 청소 등 취급이 용이토록, 착탈 가능토록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청정기는 상기 필터의 착탈을 위한 도구가 필요하거나, 소비자의 손이나 도구, 착탈되는 필터가 인접한 필터 등 주변과 간섭되거나 마찰이 심하면, 상기 필터의 착탈 작업이 쉽지 않고, 복수 개의 필터 중 어느 하나의 ??터를 탈거하기 위해 여러 필터를 탈거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 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탈거될 때, 복수 개의 필터 중 일부 필터가 탈거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탈거될 때,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적어도 일부의 필터가 상기 필터의 장착 정 위치에서 탈거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가 무 동력을 탈거방향을 향해 자동 돌출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착탈되는 복수 개의 필터와; 상기 일부 필터가 탈거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가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의 탈거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상기 필터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터 탈거 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 탈거 수단은 상기 필터의 착탈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필터 스토퍼와; 상기 필터 스토퍼의 제한이 없으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상기 필터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터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필터 스토퍼를 겸하도록, 상기 필터 장착시 적어도 상기 필터 탄성체의 작용을 받는 필터와 접촉토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탈거 수단은 상기 필터 탄성체와 상기 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회동될 수 있는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탈거 수단은 상기 필터의 착탈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필터 스토퍼 와; 상기 필터 스토퍼의 제한이 없으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상기 필터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터 탄성체와; 상기 필터 탄성체와 상기 필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 가이드에 회동 가능토록 결합된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은 상기 필터 가이드의 회동 중심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착탈되는 복수 개의 필터와; 상기 일부 필터가 탈거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가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의 탈거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상기 필터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터 탈거 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케이스에 착탈되는 복수 개의 필터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를 출입토록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필터의 착탈을 안내하는 필터 가이드와; 상기 일부 필터가 탈거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가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의 탈거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상기 필터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터 탈거 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를 기준으로 상하방 향, 좌우방향, 전후방향을 지시하고, 상하방향은 화살표 Z, 좌우방향은 화살표 Y, 전후방향은 화살표 X로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도어 닫힘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도어 열림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 및 도 5와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착탈 과정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공기 유로 상에 착탈 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2)를 출입하는 공기를 정화토록 구비하는 복수 개의 필터(4)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는 전면이 개방된 리어 케이스(10)와, 상기 리어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을 차폐토록 설치되고 공기 출입구(12A)가 형성된 오리피스(12)와, 상기 오리피스(12)의 앞쪽에 배치된 프론트 케이스(14)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4)의 앞쪽에 배치된 데코 커버(16)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 케이스(10)의 일측, 특히 상기 리어 케이스(10)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스(4) 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부(1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출입구(12A)는 후술할 송풍기(20)와 대응토록 위치된다.
상기 데코 커버(16)의 일측, 특히 상기 데코 커버(16)의 전면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케이스(4)로 흡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1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의 개구부(18A)는 상기 데코 커버(16)의 앞쪽에 배치되는 도어(8)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8)는 상기 개구부(18A)의 개폐를 위해, 볼트,후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2)에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고, 슬라이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2)에 장착된 상태로 회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어(4)의 하측부가 상기 케이스(2)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도어(4)가 상기 케이스(2)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8)가 상기 케이스(2)에 힌지 결합된 경우, 상기 도어(8)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가이드(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이드(20)는 상기 도어(8)와 상기 케이스(2) 특히 오리피스(12) 중 어느 한쪽에는 회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그 나머지 쪽에는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는 도어 가이드 바(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도어 가이드 바(22)는 일측이 상기 도어(20)에 구비된 제1 도어 가이드 바 결합부(24)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오리피스(12)에 구비된 제2 도어 가이드 바 결합부(26)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도어 가이드 바 결합부(24) 또는 상기 제2도어 가이드 바 결합부(26)와 결합되는 부분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슬롯(22A)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8)는 공기가 상기 도어(8)를 통해 상기 케이스(2)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부(8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 내부 일측, 특히 상기 리어 케이스(10)와 오리피스(12) 사이에는 공기가 상기 흡입부(8A)에서 상기 토출부(10A)를 향해 송풍될 수 있도록 송풍기(20)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기(20)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원심형으로 구비되는 것 이외, 축류형, 횡류형 등 다양한 유형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의 내부 일측, 특히 상기 오리피스(12)에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부인 컨트롤 박스(28)가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2)의 외측, 특히 상기 프론트 케이스(14)의 상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 현 조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등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28)와 연결된 컨트롤 패널(29)이 설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필터(4)로는 곰팡이, 항균 처리가 가능하고 큰 먼지를 거르는 프리 필터, 광촉매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황사, 냄새, 알레르기 원인 물질을 제거하는 광촉매 플라즈마 필터, 알레르기(Allergy)를 일으키는 알레르겐을 흡착하여 분해하고 냄새 제거 및 항균 효과를 갖는 알레르겐 필터, 분진, 진드기 사체, 꽃가루, 담배연기입자, 부유 곰팡이균, 동물 털 등과 같은 미제 먼지를 거르는 고성능 필터인 헤파 필터, 전기를 먼지를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전기 집진 필터, 오물이나 냄새분자 등을 거르는 항균 필터, 담배 연기 등의 연기 냄새, 음식 쓰레기, 화장실 등 생활 악취 등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 필터, 탈취나 항균 성능이 우수한 나노 필터, 공기 중 부유 세균을 제거하는 AI 필터 등이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필터(4)는 교환, 청소 등 취급이 용이토록 상기 케이스(2)에 장착시 상기 케이스(2)의 공기 유로 일측에 군집된다. 상기 복수 개의 필터(4)는 서로 다른 종류의 오염물이 순차적으로 정화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를 출입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일렬 배열된다.
상기 복수 개의 필터(4)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의 착탈이 용이토록 필터 손잡이(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복수 개의 필터(4)는 상기 케이스(2)에 착탈될 때, 필터 가이드(30)에 의해 안내받을 수 있다.
상기 필터 가이드(30)는 상기 케이스(2)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도어(8)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터 가이드(30)는 상기 케이스(2) 또는 도어(8)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움직임 가능토록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터 가이드(30)가 상기 케이스(2) 또는 도어(8)에 움직임 가능토록 장착되는 경우, 슬라이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2)에 장착된 상태로 회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필터 가이드(30)가 상기 케이스(2)의 개구부(18A)를 통해 상기 케이스(2)를 출입토록 상기 케이스(2) 또는 상기 도어(8)에 회동 가능토록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특히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도어(8)가 상기 케이스(2)에 힌지 결합된 경우, 상기 필터 가이드(30)는 상기 도어(8)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도어(8)와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필터 가이드(30)가 상기 케이스(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면, 상기 필터 가이드(30)가 상기 케이스(2)의 개구부(18A)를 통해 상기 케이스(2)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하방향(화살표 Z)에 대하여 전방 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4)가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가이드(30) 가 상기 도어(8)에 고정 장착됨으로써,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회동을 위해 별도의 구조를 구축할 필요 없어진다.
상기한 필터 가이드(30)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착탈될 때,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상측부를 통해 대략 상하방향(화살표 Z)으로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가이드(30)는 공기가 상기 필터 가이드(30)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필터 가이드(30)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의 출입을 위해 상면이 개방되고, 공기의 출입이 가능토록 전,후면이 각각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필터 가이드(30)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의 유동 방지 등의 목적을 위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다. 즉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복수 개의 필터(4) 삽입공간의 두께는 대략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의 두께의 합과 같다.
상기 필터 가이드(30)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의 착탈 용이 등의 목적을 위해 복수 개의 필터(4)가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다. 즉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높이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4)보다 짧다.
상기 복수 개의 필터(4)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중 일부 필터가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의 탈거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탈거될 수 있도록, 후술할 필터 탈거 수단(40)과 조합된다. 상술한 복수 개의 필터(4)의 탈거 방향은 보다 더 명확히 설명하면, 상 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상측을 통해 상기 필터 가이드(3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이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의 탈거 방향은 대략 상방향이다.
상기 필터 탈거 수단(40)은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필터(4) 탈거시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복수 개의 필터(4)의 착탈 방향은 보다 더 명확히 설명하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상측을 통해 상기 필터 가이드(30)에 삽입되거나 상기 필터 가이드(3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이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의 착탈 방향은 대략 상하방향(화살표 Z)이다.
이러한 필터 탈거 수단(40)은 본 실시 예와 같이, 탄성력을 이용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탈거 수단(40)은 구조가 간소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고, 동력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자동 동작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한 필터 탈거 수단(40)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4)를 상기 필터(4)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터 탄성체(42)와, 상기 필터(4)의 탈거시에만 상기 필터(4)가 상기 필터 탄성체(42)의 탄성력의 작용을 받아 상기 필터(4)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토록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의 착탈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필터 스토퍼(44)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탄성체(42)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탄성체(42)는 본 실시 예 이외,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판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고무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외 탄성력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탄성체(42)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필터(4)와 필터 가이드(30) 사이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 상기 필터 탄성체(42)는 상기 필터(4)와 상기 케이스(2) 사이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경우 후술할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의 회전 축(46A)과 상기 필터 가이드(30) 사이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탄성체(42)는 상기 필터(4)의 탈거가 보다 더 용이하도록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필터(4)가 상기 필터(4)의 탈거 방향 즉 대략 상방향을 향해 이동토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탄성체(42)는 상기 필터(4)의 하측에서 상기 필터(4)와 필터 가이드(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4)의 착탈 방향(대략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탄성체(42)에 의해 상기 필터(4)가 상기 필터(4)의 탈거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필터(4)의 탈거가 도움받을 수 있어 상기 필터(4)의 탈거가 보다 더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물론 상기 필터 탄성체(42)는 본 실시 예 이외, 상기 필터(4)가 상기 필터(4)의 장착 방향 즉 대략 하방향을 향해 이동토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탄성체(42)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의 배열방향 즉 대략 전후방향(화살표 X)을 따라 본 실시 예와 같이 하나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터 탄성체(42)는 상기 각각의 필터(4)의 폭 방향 즉 대략 좌우방향 (화살표 Y)을 따라 본 실시 예와 같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터 탄성체(42)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및 후술할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터 탄성체(42)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필터 가이드(30)에 구비된 필터 탄성체 장착부(41)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필터 탄성체 장착부(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탄성체 장착부(41) 때문에 상기 필터 탄성체(42)의 위치 결정 및 조합이 용이하고, 상기 필터 탄성체(42)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필터 탄성체(42)의 탄성 변형이 가이드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필터 탄성체 장착부(41)는 상기 필터 가이드(30)와 일체화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구조물로 성형되어 상기 필터 가이드(30)에 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터 탄성체 장착부(41)는 필터 탄성체(42)와 상기 필터(4)의 간섭 회피 및 상기 필터(4)가 상기 필터 가이드(30)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 탄성체(42)는 상기 필터 탄성체 장착부(41)의 도움없이 상기 필터 가이드(30)에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터 스토퍼(44)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필터(4)가 상기 케이스(2) 내 필터(4)의 장착 정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중 적어도 상기 필터 탄성체(42)의 작용을 받는 필터와 접촉되고, 상기 필터(4)가 상기 케이 스(2) 내 필터(4)의 장착 정 위치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필터(4)와 이격되는 둔턱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 내 필터(4)의 장착 정 위치를 보다 더 명확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상기 필터 가이드(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가이드(30)가 상기 케이스(2)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케이스(2)에 대하여 대략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이다.
상기 필터 스토퍼(44)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케이스(2)가 상기 필터 스토퍼 기능을 겸하도록 상기 케이스(2)와 일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2)가 상기 필터 스토퍼 기능을 겸함으로써, 구조가 간소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필터 탈거 수단(40)은 상기 필터 탄성체(42)와 상기 필터(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4)의 착탈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를 전부 지지토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로 인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전부가 동시에 상기 필터(4)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상기 필터(4)의 착탈 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물론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는 본 실시 예 이외,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중 일부만 지지토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필터 탈거 회 동 플레이트(46)의 회동 중심이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회동 중심,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어(8)의 회동 중심과 상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는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의 회동 중심이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회동 중심과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의 회동 중심이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최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모두 상기 필터(4)의 장착 방향 또는 상기 필터(4)의 탈거 방향을 향해 일률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는 본 실시 예 이외,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의 회동 중심이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최전방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중 일부는 상기 필터(4)의 장착 방향으로 이동되고 나머지는 상기 필터(4)의 탈거 방향으로 이동토록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의 회동 중심이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최전,후방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앞쪽에 위치될수록 상기 필터(4)의 탈거 방향을 향해 더 많이 돌출토록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의 회동 중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 이외,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뒤쪽에 위치될수록 상기 필터(4)의 탈거 방향을 향해 더 많이 돌출토록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의 회동 중심이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필터 탈거 수단(40)은 본 실시 예 이외, 척력의 원리 등 자력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수동 또는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랙&피니언 구조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수동 또는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피스톤 구조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필터 스토퍼(44)는 본 실시 예 이외, 상기 필터(4)의 장착시 자력에 의해 상기 필터(4)의 장착 정 위치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필터(4)의 탈거시 자력을 해제하는 방법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터 스토퍼(44)는 로크&스트로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4)의 장착시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의 회동을 제한하고, 상기 필터(4)의 탈거시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의 회동 제한을 해제하는 방법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터 스토퍼(44)는 스위치 방식으로 회동 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필터(4)의 장착시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필터(4) 또는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와 걸림될 수 있는 후크 구조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공기 청정 과정을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상기 케이스(2) 내 필터(4)의 장착 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20)가 구동되면, 외부 공기가 상기 도어(8)에 구비된 흡입부(8A)를 통해 본 공기 청정기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도어(8)에 구비된 흡입부(8A)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4)를 앞쪽에서 뒤쪽을 향해 차례로 통과하면서 집진/탈취/항균/여과 등 정화된 다.
상기 정화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12)에 형성된 공기 출입구(12A)를 통해 상기 송풍기(20)로 유동된다.
상기 송풍기(30)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송풍기(30)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2)에 구비된 토출부(10A)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본 공기청정기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에 의해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쾌적한 실내 환경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탈거 과정을 차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상기 케이스(2) 내 필터(4)의 장착 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중 어느 하나라도 탈거할려면, 먼저 상기 도어(8)를 잡고 상기 도어(8)를 상기 케이스(2)로부터 상기 케이스(2)의 전방을 향해 회동시킨다.
그러면,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8)와 함께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장착된 필터 가이드(30)가 상기 도어(8)와 일체로 회동되면서 상기 케이스(2)의 개구부(18A)를 통해 상기 케이스(2)로부터 인출되어, 상하방향(화살표 Z)에 대하여 상기 케이스(2)로부터 상기 케이스(2)의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가이드(30)가 상기 케이스(2)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복 수 개의 필터(4)가 상기 케이스(2)로부터 이격되는 순간, 상기 필터 스토퍼(44)의 구속으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 탄성체(42)가 대략 상방향을 향해 인장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가 상기 필터 탄성체(42)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가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 위에 놓여진 복수 개의 필터(4)가 단계적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중 앞쪽에 위치된 필터(4)일수록 상기 필터(4)의 탈거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의 돌출 높이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필터(4)의 배열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복수 개의 필터(4) 중 어느 필터(4)라도 그 인접한 필터(4)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손쉽게 잡고 상기 필터 가이드(30)로부터 상측으로 빼내어 탈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상기 필터 탈거 수단(40)에 의해 도움 받아서 상기 필터(4)의 탈거 방향을 향해 이동되었고,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단계적으로 돌출되었기 때문에,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상기 필터 탈거 수단(40)에 의해 도움을 받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볼 빼, 상기 필터(4) 간 마찰 및 상기 필터(4)와 필터 가이드(30) 간 마찰이 상당히 감소되어 상기 필터(4)의 탈거가 용이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장착 과정을 차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복수 개의 필터(4)를 장착할려면, 먼저 상기 도어(8)를 열어서 상기 도어(8)와 함께 상기 필터 가이드(30)가 상기 케이스(2)로부터 상기 케이스(2)의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가 되게 한다. 이 때 상기 필터 탄성체(42)는 인장된 상태이고,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는 상기 필터 탄성체(42)에 의해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바닥으로부터 회동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상측에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4)를 하나씩 상기 필터 가이드(30)에 삽입한다.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모두 상기 필터 가이드(30)에 삽입되면,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단계적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열된다. 이 때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각각 일부만 상기 필터 가이드(30)에 삽입되면 되므로, 상기 필터(4) 간 마찰 및 상기 필터(4)와 필터 가이드(30) 간 마찰이 작아서 상기 필터(4)의 장착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필터를 누른다. 가능한 상기 복수 개의 필터(4) 중 가장 앞쪽에 위치된 필터(4)를 누르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를 통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46)가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바닥면을 향해 회동되어 상기 필터 가이드(30)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상기 필터 탄성체(42)가 압축된다. 따라서 상 기 복수 개의 필터(4) 모두가 수월하게 상기 필터 가이드(30)에 완전히 삽입 장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상기 필터 가이드(30)에 완전히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8)를 상기 케이스(2)를 향해 회동시키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상기 필터 가이드(30)와 함께 상기 케이스(2)의 개구부(18A)를 통해 상기 케이스(2)에 삽입되면서 상기 케이스(2)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2)가 상기 필터 스토퍼(44)를 겸하게 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필터(4)를 누르던 사용자의 손을 빼더라도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상기 필터 가이드(30)에 완전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8)가 완전히 닫혀지면, 상기 복수 개의 필터(4)가 상기 케이스(2) 내 필터(4)의 장착 정 위치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필터 스토퍼(44)에 의해 상기 케이스(2) 내 필터(4)의 장착 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도어의 개폐 구조와, 필터 가이드가 케이스에 회동 가능토록 구비된 것과, 상기 필터 탈거 수단 이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와 동일,유사한 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도어 열림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와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필터 착탈 과정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케이스(100)의 정면에 개구부(100A)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좌,우측면에 각각 흡입부(100B)가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 후방에 토출부(100C)가 위치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는 상기 케이스(2)에 좌우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도어(102)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케이스(100) 내 후방에는 공기가 상기 흡입부(100B)에서 상기 토출부(100C)를 향해 송풍될 수 있도록 송풍기(104)가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100) 내 전방에는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통해 상기 케이스(100)를 출입토록 상기 케이스(10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필터 가이드(11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 가이드(110)의 회동 중심(110A)은 전후방향으로 중앙쯤에 위치된다.
상기 필터 가이드(110)에는 상기 케이스(100)를 출입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복수 개의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필터(120)는 상기 필터 가이드(110)의 상측을 통해 상기 필터 가이드(110)에 삽입 장착되거나, 상기 필터 가이드(10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필터(120)는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탈거될 때 후술할 필터 탈거 수단(130)에 의해 도움 받을 수 있다.
상기 필터 탈거 수단(130)은 상기 케이스(100)와 일체화된 필터 스토퍼(132)와, 상기 복수 개의 필터(120)와 상기 필터 가이드(110) 사이에서 상하 회동토록 상기 필터 가이드(110)에 힌지 결합된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134)와,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134)가 상기 필터 가이드(110)의 바닥으로부터 상향 회동토록 지지하는 필터 탄성체(136)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134)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120) 중 뒤쪽에 위치된 필터가 상대적으로 상기 필터(120)의 탈거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가이드(110)의 전방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탄성체(136)는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탄성체(136)는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134)의 힌지 축(134A)에 권선되어일측이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134)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필터 가이드(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필터 탈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필터(120)의 탈거시에는 먼저, 상기 도어(102)를 열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부(100A)가 개방되게 한 후, 상기 복수 개의 필터(120)가 장착된 상기 필터 가이드(110)를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통해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 외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복수 개의 필터(120)가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이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134)가 상기 필터 탄성체(136)에 의해 상 향 회동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필터(120)가 단계적으로 돌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 개의 필터(120)는 뒤쪽에 위치될수록 상기 필터(120)의 탈거 방향을 향해 돌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복수 개의 필터(120)가 상기 필터 가이드(110)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필터 장착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102)가 열리고, 상기 필터 가이드(110)가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통해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 외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120)를 상기 필터 가이드(110)에 삽입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 가이드(110)에 삽입 장착된 상기 복수 개의 필터(120)를 눌러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120)가 상기 필터 가이드(110)에 완전 삽입되게 한 후, 상기 필터 가이드(110)를 상기 케이스(100) 내부를 향해 회동시켜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120)가 상기 케이스(100) 내 필터의 장착 정 위치에 위치되게 한다. 그 다음, 상기 도어(102)를 닫으면 상기 필터(120)의 장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 탈거 수단에 의해 복수 개의 필터 중 일부 필터가 탈거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를 탈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어 느 하나의 필터를 그 인접한 필터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손쉽게 잡을 수 있고, 이와 같은 이점으로 인해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탈거 대상의 필터만 골라서 탈거할 수 있어, 상기 필터의 탈거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필터 탈거 수단에 의해 복수 개의 필터 중 일부 필터가 탈거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를 탈거하거나,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필터 간 마찰 및 상기 필터와 필터 가이드 간 마찰 저항이 작아져서, 상기 필터 착탈 작업이 보다 더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필터 탈거시,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적어도 일부의 필터가 상기 필터 탈거 수단의 도움을 받아 상기 필터의 장착 정 위치에서 탈거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필터의 탈거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필터 탈거 수단이 탄성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필터 탈거 수단의 동작을 위한 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상기 필터의 탈거시 상기 필터 탈거 수단이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고, 구조가 간소하고, 상기 필터 탈거 수단의 장착 공간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필터 탈거 수단이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를 포함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필터가 상기 필터 탈거 수단에 의해 각각 이동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복수 개의 필터가 일체로 상기 필터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간소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필터 탈거 수단이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를 포함한 경우, 상기 필터 가이드와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가 상호 제한을 주지 않도록 상기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이 상기 필터 가이드의 회동 중심과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구조 설계 및 구조 설계 변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삭제
  2.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착탈되는 복수 개의 필터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필터 탈거시 상기 복수개의 필터가 상기 케이스에서 이격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각 필터를 착탈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터 탄성체; 및
    상기 복수개의 필터와 필터 탄성체 사이에 위치하면서 필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필터의 착탈방향으로의 이동거리가 상이하도록 이동시키는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3.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케이스에 착탈되는 복수 개의 필터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를 출입토록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필터의 착탈을 안내하는 필터 가이드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필터 탈거시 상기 복수개의 필터가 상기 케이스에서 이격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각 필터를 착탈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터 탄성체; 및
    상기 복수개의 필터와 필터 탄성체 사이에 위치하면서 필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필터의 착탈방향으로의 이동거리가 상이하도록 이동시키는 필터 탈거 회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착탈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필터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터 스토퍼는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공기청정기.
  6. 삭제
  7. 삭제
KR1020070031666A 2007-03-30 2007-03-30 공기청정기 KR100910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666A KR100910842B1 (ko) 2007-03-30 2007-03-30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666A KR100910842B1 (ko) 2007-03-30 2007-03-30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850A KR20080088850A (ko) 2008-10-06
KR100910842B1 true KR100910842B1 (ko) 2009-08-06

Family

ID=40150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666A KR100910842B1 (ko) 2007-03-30 2007-03-30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8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1400A1 (en) * 2020-10-12 2022-04-14 Awexome Ray, Inc. Modular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11965674B2 (en) 2020-04-21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device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982B1 (ko) * 2010-12-23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8931762B2 (en) 2010-12-23 2015-01-1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WO2017179743A1 (ko) * 2016-04-12 2017-10-19 디케이산업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JP6898281B2 (ja) * 2018-09-06 2021-07-07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空気清浄機
JP7063797B2 (ja) * 2018-12-20 2022-05-09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110925911B (zh) * 2019-12-30 2021-11-23 派洛奇科技(广东)有限公司 空气净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734A (en) * 1978-06-30 1980-01-16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ozone
JPH09299735A (ja) * 1996-05-09 1997-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吸着装置
JP2002219327A (ja) * 2001-01-30 2002-08-06 Denso Corp 除湿装置
KR20060112758A (ko) * 2005-04-28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734A (en) * 1978-06-30 1980-01-16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ozone
JPH09299735A (ja) * 1996-05-09 1997-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吸着装置
JP2002219327A (ja) * 2001-01-30 2002-08-06 Denso Corp 除湿装置
KR20060112758A (ko) * 2005-04-28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5674B2 (en) 2020-04-21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device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US20220111400A1 (en) * 2020-10-12 2022-04-14 Awexome Ray, Inc. Modular electrostatic precipit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850A (ko) 2008-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842B1 (ko) 공기청정기
AU2007200171B2 (en) Vacuum cleaner filter cleaning mechanisms
US7794518B2 (en) Filter system for an air cleaner
CN103654617A (zh) 真空清洁器
RU2386383C1 (ru) Пылесос
US20140237763A1 (en) Backflush Filter Clea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EP1839549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158576B1 (ko) 공기청정기
JP2007021083A5 (ko)
KR101006820B1 (ko) 공기 청정기
EP1985216B1 (en) Vacuum cleaner having apparatus for giving off fragrant odor
US20230136405A1 (en) Vacuum cleaner
US20090178233A1 (en) Vacuum cleaner having dust-separating apparatus with shutter unit
JP2012026692A (ja) 空気清浄装置
JP4747643B2 (ja) 手乾燥装置
KR100492317B1 (ko) 공기청정기
CN110878990A (zh) 空气净化器
KR100606761B1 (ko) 공기 청정기
KR101152459B1 (ko) 공기청정기
KR100751764B1 (ko) 진공 청소기용 배기 필터
KR100765336B1 (ko) 공기청정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CN111351206B (zh) 空气净化器
KR100820587B1 (ko) 공기청정기
KR100612094B1 (ko) 공기청정기
KR20040056137A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