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272A - 마스크,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272A
KR20210149272A KR1020200065888A KR20200065888A KR20210149272A KR 20210149272 A KR20210149272 A KR 20210149272A KR 1020200065888 A KR1020200065888 A KR 1020200065888A KR 20200065888 A KR20200065888 A KR 20200065888A KR 20210149272 A KR20210149272 A KR 20210149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ask
filter
line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의찬
손혜림
손영광
Original Assignee
손의찬
손혜림
손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의찬, 손혜림, 손영광 filed Critical 손의찬
Priority to KR1020200065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9272A/ko
Publication of KR2021014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적층된 복수의 필터지와, 상기 복수의 필터지가 고정되기 위해 융착되어 형성되는 결합영역을 포함하는 필터부; 및 상기 결합영역에서 양단과 인접한 부분이 융착되어 상기 필터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걸이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필터부의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필터부의 세로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로결합선과,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세로결합선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끈의 양단과 인접한 부분은, 상기 한 쌍의 가로결합선에 의해서 각각 융착된다.

Description

마스크,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MASK, MASK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본 발명은 마스크와,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와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병원균이나 바이러스의 비말전파를 차단하거나, 공기 흡입시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호흡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해 마스크가 사용된다. 최근 코로나-19와 같은 호흡기 전염병이 대유행하는 시기에는, 전염병 예방과 공중위생을 위해 굉장히 많은 수량의 마스크의 공급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마스크들은 낱개로 제작되어, 위생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각 포장되어 제공된다. 그러나 낱개로 제작 및 포장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한계가 있고, 운반시에도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되어 애로사항이 있다.
대량으로 마스크를 운반함과 동시에 부피를 줄이기 위해 개별포장된 마스크의 포장을 제거하는 경우, 마스크를 파지하여 착용하는 과정에서 위생상태의 유지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대량으로 생산 및 운반이 가능한 마스크,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적층된 복수의 필터지와, 상기 복수의 필터지가 고정되기 위해 융착되어 형성되는 결합영역을 포함하는 필터부 및 상기 결합영역에서 양단과 인접한 부분이 융착되어 상기 필터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걸이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필터부의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필터부의 세로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로결합선과,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세로결합선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끈의 양단과 인접한 부분은, 상기 한 쌍의 가로결합선에 의해서 각각 융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는, 적층된 복수의 필터지와, 상기 복수의 필터지가 고정되기 위해 융착되어 형성되는 결합영역을 포함하는 필터부; 및 상기 결합영역에서 융착되어 상기 필터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걸이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필터부의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필터부의 세로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상기 걸이끈을 융착하는 복수의 가로결합선과,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세로결합선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와 상기 걸이끈에는, 상기 복수의 가로결합선 중 한 쌍씩의 가로결합선을 포함하되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마스크를 각각 분리하도록,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나열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절취선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작방법은, 복수의 필터지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필터지의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걸이끈을 상기 필터지의 가로방향을 따라 이격시켜 상기 복수의 필터지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필터지와 상기 한 쌍의 걸이끈을 융착하여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부와 상기 걸이끈에, 상기 복수의 가로결합선 중 한 쌍씩의 가로결합선을 포함하는 마스크를 분리하도록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나열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절취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대량으로 마스크를 생산 및 운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에서 가로절취선에 의해 낱개의 마스크가 분리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에서 세로절취선에 의해 봉입선이 포함된 부분이 분리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서 세로절취선에 의해 봉입선을 포함하는 부분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가 롤 형태로 말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 형태로 말린 마스크 조립체가 디스펜서에 의해 제공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를 제작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100)에서 가로절취선(142)에 의해 낱개의 마스크(1)가 분리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100)에서 세로절취선(141)에 의해 봉입선(13)이 포함된 부분이 분리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에서 세로절취선(141)에 의해 봉입선(13)을 포함하는 부분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100)는 마스크(1)들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각각의 마스크(1)는, 필터부(10)와 걸이끈(21)을 포함하고, 가로절취선(142)에 의해서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마스크 조립체(100)는 복수의 마스크(1)가 세로방향(D1)을 따라 나열 및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낱개의 마스크(1)를 마스크 조립체(100)에 형성된 가로절취선(142)을 따라 절취하여 마스크 조립체(100)로부터 하나씩 분리할 수 있다. 가로절취선(142) 및 후술할 세로절취선(141)의 경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소정의 간격마다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파선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해당 절취선(14)에 의해서 구분된 두 부분을 상기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리하기에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로절취선(142)은 필터부(10)와 걸이끈(21)에 형성될 수 있다. 가로절취선(142)은, 복수의 가로결합선(122) 중 한 쌍씩의 가로결합선(122)을 포함하되 세로방향(D1)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마스크(1)를 각각 분리하도록, 가로방향(D2)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복수로 형성될 경우 세로방향(D1)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마스크 조립체(100)를 형성하기 위해 일체의 필터부(10)와 걸이끈(21)이 융착된 후, 각각의 마스크(1)를 구분하기 위해 가로절취선(142)이 형성되어 일체로 배치된 필터부(10)와 걸이끈(21)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분리된 낱개의 마스크(1)에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
필터부(10)
필터부(10)는 사용자의 안면 중 입과 코를 가리기 위해 배치되는 부분으로, 적층된 복수의 필터지(11)와, 복수의 필터지(11)가 고정되기 위해 융착되어 형성되는 결합영역(12)을 포함한다. 마스크(1) 사용시 필터부(10)의 일면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하고, 타면은 사용자의 안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게 된다.
필터지(11)는 공기를 통과시키되 이물질이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걸러질 수 있도록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종류의 부직포가 아닌 두 개 이상의 종류의 부직포가 필터지(11)로 사용될 수 있다.
필터지(11)는 가로방향(D2)을 따라 나란한 줄을 형성하며 세로방향(D1)을 따라 주름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지(11)가 주름을 가지므로, 마스크(1)를 안면에 착용할 때 주름이 펴지면서 세로방향(D1)으로 필터지(11)가 늘어날 수 있다.
결합영역(12)은 직선을 따라 필터지(11)가 융착되어 형성되는 가로결합선(122)과 세로결합선(121)을 포함한다. 가로결합선(122)은 필터부(10)의 가로방향(D2)을 따라 연장되되 필터부(10)의 세로방향(D1)을 따라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세로결합선(121)은 한 쌍이 세로방향(D1)을 따라 연장되되, 가로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세로결합선(121)과 가로결합선(122)은 서로 만나 직사각형의 닫힌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결합선(121)이 상기 직사각형의 영역의 세로방향(D1)의 양 변이 되고, 한 쌍의 가로결합선(122)이 상기 직사각형의 영역의 가로방향(D2)의 양 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10) 중 세로결합선(121)과 가로결합선(122)에 의해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영역에 위치한 필터지(11)들이 벌어져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적층된 상태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가로결합선(122)은 세로결합선(121)으로부터 가로방향(D2)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영역(12)은 'ㅍ'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로결합선(122)에는 걸이끈(21)의 양단과 인접한 영역을 결합할 수 있다. 결합영역(12)이 아직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지(11)에서 가로결합선(122)이 형성될 위치에 걸이끈(21)을 두고, 융착이 이루어져서 복수의 필터지(11)들이 융착됨과 동시에 이러한 필터지(11)들에 걸이끈(21) 역시 융착이 일어날 수 있다. 걸이끈(21)의 위치에 대해서는, 걸이끈(21)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필터부(10)는 봉입선(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봉입선(13)은 가로방향(D2)을 기준으로 복수의 필터지(11)가 한 쌍의 세로결합선(121)보다 외측에서 세로방향(D1)을 따라 융착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봉입선(13)은 걸이끈(21)의 외측에서 형성되어, 걸이끈(21)이 필터지(11) 사이에 봉입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결합영역(12)과 상기 한 쌍의 봉입선(13)은 가로방향(D2)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10)에는 한 쌍의 세로절취선(14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세로절취선(141)은, 한 쌍의 봉입선(13)이 형성된 부분을, 걸이끈(21)이 가로결합선(122)에 의해 결합된 부분과 분리하도록 세로방향(D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영역(12)과 한 쌍의 봉입선(13)이 이격된 한 쌍의 영역에 한 쌍의 세로절취선(14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로방향(D2)향을 기준으로 봉입선(13)이 형성된 양 외측부분을, 중심부분으로부터 세로절취선(141)을 따라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양 외측부분을 절취함에 따라, 봉입선(13)과 세로절취선(141) 사이에서 필터지(11)에 봉입되어 있던 걸이끈(21)을 외측으로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걸이끈(21)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걸이끈(21)은 마스크(1)를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양 귀에 걸릴 수 있도록 제공되는 끈이다. 다양한 두상에 대응하고 사용자의 귀에 지나친 압력을 주지 않도록, 걸이끈(21)은 탄성을 가지는 고무밴드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신축성 및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걸이끈(21)은 양 귀에 걸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되, 세로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가로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각 걸이끈(21)의 세로방향(D1) 양단과 인접한 영역이, 세로방향(D1)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결합선(122)에 각각 융착되어 필터부(10)에 고정된다. 걸이끈(21)의 양단 사이에 위치한 영역이 귓바퀴 후측에 걸려서 필터부(10)를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다만 양 귀가 아닌 머리에 걸 수 있도록, 걸이끈(21)이 가로방향(D2)을 따라 배치되되, 가로방향(D2) 양단과 인접한 부분이 세로결합선(121)에 융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걸이끈(21)은, 가로방향(D2)을 기준으로 한 쌍의 세로결합선(12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세로결합선(121)의 외측으로 돌출된 가로결합선(122)의 일부분에 한 쌍의 걸이끈(21)의 양단과 인접한 부분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걸이끈(21)은, 복수의 필터지(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필터지(11)가 4개로 구성되고, 2개의 필터지(11) 및 다른 2개의 필터지(11) 사이에 걸이끈(21)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걸이끈(21)은 내측 필터지(112)가 외측 필터지(111)에 적층된 뒤 그 위에 적층되고, 이후 걸이끈(21)과 필터지(11) 위에 다른 2개의 필터지(11)인 내측 필터지(112)와 외측 필터지(111)가 적층된 뒤 융착이 이루어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걸이끈(21)은, 한 쌍의 세로결합선(121)과 한 쌍의 봉입선(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로결합선(121), 봉입선(13) 및 복수의 필터지(11)들에 의해서 걸이끈(21)이 봉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1) 사용시 세로절취선(141)을 이용해 봉입선(13)이 형성된 부분을 제거하여 한 쌍의 걸이끈(21)을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자가 걸이끈(21)을 파지해 귀에 걸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100)가 롤 형태로 말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 형태로 말린 마스크 조립체(100)가 디스펜서(DP)에 의해 제공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100)는 세로방향(D1)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조립체(100)를 도 6에서와 같이 롤 형태로 말아서 공간을 절약하면서도 대량으로 유통할 수 있다. 마스크 조립체(100)가 롤 형태가 되므로, 도 7에서와 같이 디스펜서(DP)를 이용해 마스크(1)를 하나씩 배분할 수 있다. 디스펜서(DP)에는 롤 형태의 마스크 조립체(100)를 잡아줄 수 있는 부분과, 마스크 조립체(100)의 말단에 위치한 마스크(1)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통과하는 슬롯이 배치될 수 있다. 슬롯의 경계에는, 낱개의 마스크(1)가 분리되기 용이하도록 마스크 조립체(100)를 가압하는 누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롤 형태 외에도, 마스크 조립체(100)는 페이퍼 타올과 같이, 2개의 마스크(1)가 연결되고 가로절취선(142)을 따라 접힌 형태로 형성되되, 다른 마스크 조립체(100)들의 하나의 마스크(1)부분을 접힌 포켓 사이에 배치한 형태로 적층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마스크 조립체(100)에는 마스크(1)에 대한 정보와 사용설명 등을 기재한 띠(101)가 더 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되, 추가 걸이끈(22, 23)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더 설명한다.
추가 걸이끈(22, 23)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한 쌍의 걸이끈(21)보다 외측에서 각각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가로결합선(122)에 의해서 각각 융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추가 걸이끈(22, 23)과 그 외측에 제2 추가 걸이끈(22, 23)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추가 걸이끈(22, 23)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가 걸이끈(22, 23)도 걸이끈(21)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걸이끈(21)의 탄성계수보다 추가 걸이끈(22, 23)의 탄성계수가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추가 걸이끈(22)의 탄성계수보다 제2 추가 걸이끈(23)의 탄성계수가 작을 수 있다. 즉 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추가 걸이끈(22, 23)의 탄성계수가 걸이끈(21)보다 높으므로, 외측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동일한 외력이 가해져도 더 잘 늘어나도록 하여, 걸이끈(21)에 비해 추가 걸이끈(22, 23)이 더 큰 두상을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추가 걸이끈(22, 23)을 가지고, 추가 걸이끈(22, 23)이 여러 개 배치되어, 다양한 크기의 두상에 마스크(1)가 대응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3)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3)는 걸이끈(321)과 제1 추가 걸이끈(322) 및 제2 추가 걸이끈(323)을 포함하는 등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와 동일하나 투광부(31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더 설명한다.
필터부(31)가 투광부(312)를 더 포함한다. 세로방향(D1)을 따라 필터부(31)의 일단과 인접하게, 투광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투광부(312)는 사용자의 한 쌍의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투광부(312)는 투명한 필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필터지에는 투광부(3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필터지의 구멍에 투명 필름이 안착된 상태에서 융착이 이루어져 투광부(312)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3)와 고글을 별도로 착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3)만을 착용하여, 사용자의 입, 코 및 눈을 같이 보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100)를 제작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100)를 제작하기 위하여, 마스크 제작 장치(40)를 통해 필터지(11)의 적층 단계, 걸이끈(21)의 배치 단계, 융착단계 및 절취선(14) 형성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필터지(11)가 적층된다. 복수의 필터지(11)는 각각 제1 롤러(41)와 제2 롤러(42)에 의해서 배출되어 적층 롤러(44)에 도달해 적층될 수 있다. 제1 롤러(41)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걸이끈(2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롤러(42) 역시 한 쌍으로 구성되어 걸이끈(2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41)에 의해서 제공되는 외측 필터지(111)가 제2 롤러(42)에 의해서 제공되는 내측 필터지(112)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롤러(41)에 의해 제공되는 외측 필터지(111)는 일반적인 부직포이고, 제2 롤러(42)에 의해 제공되는 내측 필터지(112)는 필터 기능이 강화된 부직포일 수 있다.
세로방향(D1)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걸이끈(21)을 가로방향(D2)을 따라 이격시켜 복수의 필터지(11) 사이에 배치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적층 롤러(44)에 중간 롤러(43)로부터 전달된 걸이끈(21)이 전달되어, 위아래로 필터지(11)가 배치되도록 필터지(11)와 같이 적층될 수 있다. 즉 필터지(11)와 걸이끈(21)은 동시에 적층될 수 있다.
적층 롤러(44)에 의해 적층된 복수의 필터지(11)와 한 쌍의 걸이끈(21)은 융착 장치(45)로 진입하여 융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융착되는 부분은 상술한 결합 영역일 수 있다. 융착은 해당 부위에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열융착일 수도 있으나,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융착일 수도 있다. 필터지(11)의 융착에 의해 필터부(10)가 형성된다.
융착을 통해 형성된 필터부(10)와 걸이끈(21)이 절취 장치(46)로 진입하여, 절취선(14)이 형성될 수 있다. 절취 장치(46)는 복수의 가로결합선(122) 중 한 쌍씩의 가로결합선(122)을 포함하는 마스크(1)를 분리할 수 있도록 가로절취선(142)을 필터부(10)와 걸이끈(21)에 형성한다. 또한 절취 장치(46)는 봉입선(13)이 형성된 부분이 마스크(1)로부터 분리되어 걸이끈(2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세로절취선(141)을 필터부(10)에 형성할 수 있다. 절취선(14)의 형성을 위해, 프레스를 이용한 톰슨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절취선(14)의 형성을 위한 방법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절취선(14)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100)가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 조립체(100)는 종단 롤러(47)에 의해서 감겨 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2, 3 : 마스크
10, 31 : 필터부
11 : 필터지
12 : 결합영역
13 : 봉입선
14 : 절취선
21, 321 : 걸이끈
22, 322 : 제1 추가 걸이끈
23, 323 : 제2 추가 걸이끈
40 : 마스크 제작 장치
41 : 제1 롤러
42 : 제2 롤러
43 : 중간 롤러
44 : 적층 롤러
45 : 융착 장치
46 : 절취 장치
47 : 종단 롤러
100 : 마스크 조립체
101 : 띠
111 : 외측 필터지
112 : 내측 필터지
121 : 세로결합선
122 : 가로결합선
141 : 세로절취선
142 : 가로절취선
312 : 투광부
D1 : 세로방향
D2 : 가로방향
DP : 디스펜서

Claims (10)

  1. 적층된 복수의 필터지와, 상기 복수의 필터지가 고정되기 위해 융착되어 형성되는 결합영역을 포함하는 필터부; 및
    상기 결합영역에서 양단과 인접한 부분이 융착되어 상기 필터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걸이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필터부의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필터부의 세로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로결합선과,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세로결합선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끈의 양단과 인접한 부분은, 상기 한 쌍의 가로결합선에 의해서 각각 융착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이끈은, 상기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세로결합선의 외측에 위치하는,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이끈은, 상기 복수의 필터지 사이에 배치되는,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필터지가 상기 한 쌍의 세로결합선보다 외측에서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융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봉입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이끈은, 상기 세로결합선과 상기 봉입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에는, 상기 한 쌍의 봉입선이 형성된 부분을, 상기 걸이끈이 결합된 부분과 분리하도록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한 쌍의 세로절취선이 형성되는,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영역과 상기 한 쌍의 봉입선은 상기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결합영역과 상기 한 쌍의 봉입선이 이격된 한 쌍의 영역에 상기 한 쌍의 세로절취선이 각각 형성되는,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결합선과 상기 가로결합선은 서로 만나 직사각형의 닫힌 영역을 형성하는,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이끈보다 외측에서 각각 양단과 인접한 부분이 상기 한 쌍의 가로결합선에 의해서 각각 융착되는 한 쌍의 추가 걸이끈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이끈과 상기 추가 걸이끈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걸이끈의 탄성계수보다 상기 추가 걸이끈의 탄성계수가 작은, 마스크.
  9. 적층된 복수의 필터지와, 상기 복수의 필터지가 고정되기 위해 융착되어 형성되는 결합영역을 포함하는 필터부; 및
    상기 결합영역에서 융착되어 상기 필터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걸이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필터부의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필터부의 세로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상기 걸이끈을 융착하는 복수의 가로결합선과,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세로결합선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와 상기 걸이끈에는, 상기 복수의 가로결합선 중 한 쌍씩의 가로결합선을 포함하되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마스크를 각각 분리하도록,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나열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절취선이 형성되는, 마스크 조립체.
  10. 복수의 필터지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필터지의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걸이끈을 상기 필터지의 가로방향을 따라 이격시켜 상기 복수의 필터지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필터지와 상기 한 쌍의 걸이끈을 융착하여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부와 상기 걸이끈에, 상기 복수의 가로결합선 중 한 쌍씩의 가로결합선을 포함하는 마스크를 분리하도록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나열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절취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작방법.
KR1020200065888A 2020-06-01 2020-06-01 마스크,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KR20210149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888A KR20210149272A (ko) 2020-06-01 2020-06-01 마스크,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888A KR20210149272A (ko) 2020-06-01 2020-06-01 마스크,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272A true KR20210149272A (ko) 2021-12-09

Family

ID=7886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888A KR20210149272A (ko) 2020-06-01 2020-06-01 마스크,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92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479B1 (ko) 내붕괴성 마스크
JP5383712B2 (ja) 何人(なんぴと)にも適合させ得る顔面マスク
JP2011143277A (ja) 使い捨て立体マスク
JP5292583B2 (ja) 使い捨てマ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18346636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JP7121235B2 (ja) フェイス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54493A (ko) 마스크 및 마스크 제작 방법
JP2006320629A (ja) 簡易マスク包装体
KR20210149272A (ko) 마스크,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JP7408275B2 (ja) マスク
JP4732954B2 (ja) マ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81567A (ko) 와이어리스 보건 의료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7064260B2 (ja) マスク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備えたマスク
JP7491150B2 (ja) マスク
JP2021181635A (ja) マスクカバー
JP2004173777A (ja) マスク
JP7463920B2 (ja) マスク用シート、マスク、マスク用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TWI775418B (zh) 口罩
JP6928979B1 (ja) マスクカバー
JP7386760B2 (ja) マスクの製造方法
JP2023109016A (ja) マスク、マスクの包装体およびマスクの包装体の製造方法
KR20220144062A (ko) 가드부를 구비한 덴탈마스크
CN213992529U (zh) 一种立体口罩
WO2023008429A1 (ja) マスク
KR20220144061A (ko) 가드부를 구비한 2d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