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766A - 유성 화장료 - Google Patents

유성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766A
KR20210145766A KR1020217032856A KR20217032856A KR20210145766A KR 20210145766 A KR20210145766 A KR 20210145766A KR 1020217032856 A KR1020217032856 A KR 1020217032856A KR 20217032856 A KR20217032856 A KR 20217032856A KR 20210145766 A KR20210145766 A KR 20210145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oil
oily
copolymer
prefe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히토 우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21014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7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성이나 마무리를 훼손하는 일 없이, 2차 부착없음 효과가 우수하고, 색 지속력이 좋은 유성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당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는 다음 성분 (A) 내지 (D)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분 (A)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진 유제; 성분 (B) 탄소수 18 이상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 및 성분 (C) 페닐 변성 실리콘; 성분 (D) 휘발성 유제.

Description

유성 화장료
본 발명은, 유성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담감을 수반하지 않고 우수한 2차 부착없음(secondary adhesiveless) 효과나 색 지속력이 얻어지고, 또한 끈적거림이 없는 가볍고 매끈한 퍼짐성을 지니고, 양호한 윤기감이 있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입술연지, 볼연지나 아이섀도 등의 메이크업 제품은, 입술이나 볼, 눈꺼풀과 같은 도포부에 색미를 부여하여, 얼굴의 인상을 화려하게 마무리하는 아이템이다. 이들은, 색의 선명함이나 화장 지속력의 점에서 유성 화장료로 제공될 경우가 많다. 발색이나 윤기감, 사용감에 더해서, 최근에는 화장 지속 기능이 매우 수요가 높은 기능으로 되어 있다. 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소재의 조합이 검토되어 있다. 예를 들면, 휘발성 화합물과 폴리비닐피롤리돈 중합체의 혼합물을 함유함으로써 "전이 없음" 특성을 발휘하는 기술(특허문헌 1 참조)이나, 페닐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수지와 (비닐피롤리돈/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일정한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화장 지속력을 높이는 기술(특허문헌 2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JP H10-67618 A JP 2016-117701 A 그러나, 휘발성 화합물과 폴리비닐피롤리돈 중합체의 조합에서 "전이 없음" 특성을 발휘하는 기술에서는, 막이 생길 때의 부담감이 크고, 윤기감도 그렇게 높아지지 않는 등 만족스러운 제품이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페닐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수지와 (비닐피롤리돈/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기술에 있어서는, 사용감이 무거워지기 쉽고, 부담감을 느끼고, 2차 부착없음 효과도 충분하지 않은 등, 만족스러운 제품이 얻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사용성이나 마무리를 훼손하는 일이 없고, 2차 부착없음 효과가 우수하고, 색 지속력이 좋은 유성 화장료의 개발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정에 있어서,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유성 화장료에 있어서, 분자 중에 수산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유제(oil agent)와 탄소수 18 이상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를 조합시킴으로써 겔화될 수 있는 것, 또 겔화에 의해 피막이 형성될 때의 부담감이 종래의 겔화제를 이용했을 경우와 비교해서 경감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성분과 페닐 변성 실리콘 및 휘발성 유제를 조합시켜서 사용함으로써, 부담감을 수반하지 않고 2차 부착없음 효과 및 색 지속력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되고, 게다가, 매끈한 퍼짐성을 지니고, 윤기감도 우수한 유성 화장료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이다.
[1] 다음 성분 (A) 내지 (D);
성분 (A)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진 유제
성분 (B) 탄소수 18 이상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
성분 (C) 페닐 변성 실리콘
성분 (D) 휘발성 유제
를 함유하는 유성 화장료.
[2]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이 화장료 전량 중 3 내지 20질량%인, [1]에 기재된 상기 유성 화장료.
[3] 상기 성분 (B)에 대한 상기 성분 (A)의 함유 질량비율((A)/(B))이 0.5 내지 10인, [1] 또는 [2]에 기재된 상기 유성 화장료.
[4] 성분 (E) 탄소수 16 이하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를 더 함유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유성 화장료.
[5] 상기 성분 (E)가 (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인, [4]에 기재된 상기 유성 화장료.
[6] 상기 성분 (A)가 중합도 3 내지 20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유성 화장료.
[7] 상기 성분 (B)가 (VP/에이코센) 공중합체 및/또는 트라이아콘타닐 PVP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유성 화장료.
[8] 성분 (F)인 왁스를 더 함유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유성 화장료.
[9] 유성 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유성 화장료.
[10] 성분 (A)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진 유제 및 성분 (B) 탄소수 18 이상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유성 겔 조성물.
[11] 탄소수 18 이상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진 유제에 대한 유성 겔화제.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는, 부담감을 수반하지 않고 우수한 2차 부착없음 효과 및 색 지속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끈적거림 없는 가볍고 매끈한 퍼짐성을 지니고, 윤기감도 우수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지"는 그 전후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하고, 특별히 기재가 없을 경우의 "%"는 "질량%"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A) 분자 중에 수산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유제는,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산, 아미노산 등의 산과, 글리세린 또는 이의 중합체,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이의 중합체, 자당 또는 이의 중합체 등과의 에스터 등을 들 수 있고, 최종 생성물로서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구조 중에 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A)의 수산기는, 분자 중에 2개 이상 존재하고 있으면, 그 위치나 수산기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스터의 경우, 알코올에 수산기를 2개 이상 가지고 있어도 되고, 지방산에 수산기를 2개 이상 가지고 있어도 되지만, 알코올에 수산기를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자 중의 수산기수는 2개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성분과 조합시켰을 때의 친화성의 점에서 2 내지 10이 바람직하고, 2 내지 7이 보다 바람직하며, 2 내지 3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데카아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수산기 2개), 노나아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수산기 3개), 데카에틸헥산산 데카글리세릴(수산기 2개), 펜타아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수산기 7개), 아이소스테아르산 다이글리세릴(수산기 3개), 다이아이소스테아르산 다이글리세릴(수산기 2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성분 (A)를 중합도 3 내지 20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 함으로써, 색 지속력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구성하는 지방산은, 색 지속력 등의 관점에서 분기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탄소수가 8 내지 18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8 내지 40%가 보다 바람직하며, 8 내지 30%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매끈한 퍼짐성이나, 부담감 없음, 색 지속력이 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B)인 탄소수 18 이상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는,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탄소수 18 이상의 α-올레핀으로서는, 1-옥타데센, 1-에이코센, 1-도코센, 1-테트라코센, 1-트라이아콘텐 등을 들 수 있고, 비닐피롤리돈과 공중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B)의 α-올레핀은, 탄소수 20 내지 30이 바람직하며, 1-에이코센, 1-트라이아콘텐을 이용한 (VP/에이코센) 공중합체, 트라이아콘타닐 PVP가 2차 부착없음 효과나 색 지속력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VP/에이코센) 공중합체는, 보다 부담감 없음이나 매끈한 퍼짐성의 점에서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성분 (B)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 내지 20%가 바람직하고, 5 내지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매끈한 퍼짐성이나 2차 부착없음 효과, 색 지속력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에서는, 성분 (B)에 대한 성분 (A)의 함유 질량비율((A)/(B))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A)/(B)가 0.5 내지 10이면 바람직하고, 1 내지 7.5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A)와 성분 (B)의 비율이 이 범위이면, 부담감 없음이나 색 지속력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C)인 페닐 변성 실리콘은, 폴리실록산의 일부에 페닐기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C)는,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페닐다이메티콘,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트라이메틸실록시페닐다이메티콘, 트라이메틸펜타페닐트라이실록산, 페닐트라이메티콘, 페닐메티콘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의 예 로서는, 다이페닐다이메티콘: KF-54(신에츠카가쿠코교사(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KF-56(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트라이메틸실록시페닐다이메티콘: BELSIL PDM 1000(아사히카세이 웨커 실리콘사(Wacker Asahikasei Silicone Co., Ltd.) 제품), 트라이메틸펜타페닐트라이실록산: DOWSIL PH-1555 HRI Cosmetic Fluid(토레·다우코닝사(Toray Dow Corning)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필요에 따라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다이페닐다이메티콘, 트라이메틸펜타페닐트라이실록산은, 윤기감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C)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내지 40%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35%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윤기감이 우수하고, 2차 부착없음 효과가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D)인 휘발성 유제는, 인화점이 약 40 내지 100℃인 유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D)는,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소도데칸이나 경질 유동 아이소파라핀 등의 탄화수소오일류, 사이클로테트라다이메틸실록산이나 사이클로펜타다이메틸실록산, 트라이실록산, 메틸트라이메티콘, 다이메티콘 등의 실리콘 오일류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필요에 따라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휘발성 탄화수소오일이 2차 부착없음 효과가 보다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며, 특히 아이소도데칸이 2차 부착없음 효과가 보다 우수하고, 또한 윤기감, 부담감 없음, 매끈한 퍼짐성, 색 지속력에 있어서도 보다 양호한 것이 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D)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내지 30%가 바람직하고, 5 내지 2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매끈한 퍼짐성이 우수하고, 부담감이 없고, 색 지속력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는 성분 (E) 탄소수 16 이하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 (E)를 함유함으로써, 윤기감이나 색 지속력의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탄소수 16 이하의 α-올레핀으로서는, 1-헥사데센이나, 1-테트라데센, 1-도데센 등을 들 수 있고, 비닐피롤리돈과 공중합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E)의 α-올레핀은, 탄소수 10 내지 16이 바람직하며, 1-헥사데센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인 (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가 윤기감이나 색 지속력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E)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 내지 20%가 바람직하고, 5 내지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매끈한 퍼짐성이나 색 지속력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는 성분 (F)인 왁스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왁스란, 판 형상으로 형성된 결정의 카드 하우스(card-house) 구조의 공극에 유제를 보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 (F)를 함유함으로써, 매끈한 퍼짐성, 색 지속력이 좋은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F)는,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합성 탄화수소, 천연 및 합성 왁스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그 융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차주사형 열량계(DSC)를 이용해서, 시료를 질소분위기하 -10℃에서 5분간 보유한 후, 10℃/분으로 승온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융해흡열곡선의 가장 고온 측에 관측되는 피크의 피크 탑으로서 정의되는 융점(Tm)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파라핀 왁스, 세레신 왁스, 오조케라이트 왁스(ozokerite wax), 미세결정성 왁스, 피셔-트롭시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칸데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비즈 왁스, 라이스 왁스, 목랍, 경랍, 지랍(ozokerite), 몬탄왁스, 스테아릴변성 메틸폴리실록산, 베헤닐변성 메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피셔-트롭시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및 칸데릴라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끈적거림 없는 가볍고 매끈한 퍼짐성과 형상 안정성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F)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내지 25%가 바람직하고, 7 내지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색 지속력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는, 상기 성분 (A) 내지 (F) 이외에,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성분 (A) 내지 (F) 이외의 유성 성분, 분체, 계면활성제, 섬유, 수성 성분, 자외선 흡수제, 퇴색방지제, 산화 방지제, 소포제, 미용성분, 방부제, 향료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는, 통상 공지의 제법으로 얻을 수 있다. 이하에 제조 방법의 예를 나타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성분 (A) 내지 (F)를 110℃로 가열 용해시키고, 그 밖의 성분을 첨가하고, 용기에 충전, 필요에 따라서 성형을 거쳐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입술연지, 립 그로스, 입술연지 베이스 코트, 입술연지 오버코트, 볼연지, 아이 컬러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입술연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는, 유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성, 바깥층을 유제의 연속 상으로 하는 유중수형에 적용될 수 있지만, 유제나 유용성 화합물인 유성성분을 연속 상으로 하는, 물의 함유량이 1%이하인, 혹은 실질적으로 물을 포함하지 않는 유성이 바람직하다. 성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상, 반고형 형태, 고형 형태 등을 들 수 있고, 고형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스틱 형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성 겔 조성물은, 상기 성분 (A)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진 유제 및 상기 성분 (B) 탄소수 18 이상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다. 성분 (A) 및 (B)로서 바람직한 성분이나, 성분 (A)와 (B)의 함유 질량비율 등은, 상기 유성 화장료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유성 겔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하고, 겔화되어 피막을 형성할 때, 유연하고 추종성이 높고 부담감이 적은 피막을 형성한다. 그 때문에, 각종 화장료에 함유할 수 있고, 특히 유성 화장료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성분 (C) 및 (D)를 함유하는 유성 화장료 중에 이용하면, 2차 부착없음 효과나 색 지속력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나 윤기감도 우수한 것으로 된다. 화장료 중의 유성 겔 조성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 내지 80%가 바람직하며, 5 내지 60%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성 겔 조성물은, 실시예에 기재된 유성 겔의 조정 방법 및 겔 강도의 평가 방법에 따라서 조제·측정된 겔 강도가, 색 지속력이라는 관점에서, 1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성 겔화제는, (B) 탄소수 18 이상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이며, (A)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진 유제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겔을 형성한다. 성분 (A) 및 (B)의 바람직한 성분이나 성분 (A)와 (B)의 함유 질량비율 등은, 상기 유성 화장료와 마찬가지이다. 형성된 유성 겔은, 유연하고 추종성이 풍부하고 피부에 대한 부담감이 적은 것이다. 유성 겔의 겔 강도 등의 물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로 설정되는 것이지만,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유성 겔의 조정 방법 및 겔 강도의 평가 방법에 따라서 조제·측정된 겔 강도가, 색 지속력 효과 등의 관점에서, 5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 이들은 본 발명을 하등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성 겔의 조정]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조성물을 각각 100℃로 가열 용융시켜 단지(jar) 용기에 따라 넣어 얻어진 겔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겔 강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도 아울러서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평가 방법)
겔 강도에 대해서, 각 시료를 25℃, 1시간 정치 후, FUDOH사 제품인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10㎜의 블런저(blunger)를 사용해서, 6 ㎝/분으로 2㎜의 거리를 바늘 주입했을 때의 겔 강도를 측정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5N 이상이 되는 조합으로 이용하면, 색 지속력의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7: 유성 고형 입술연지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조성의 유성 고형 입술연지를 하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해서 얻어진 유성 고형 입술연지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a) 윤기감, (b) 부담감 없음, (c) 매끈한 퍼짐성, (d) 2차 부착없음 효과, (e) 화장 지속력에 대해서 평가했다. 이 결과도 아울러서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13)을 100℃ 내지 110℃에서 가열 용해시킨다.
B: A에 성분 (14) 내지 (23)을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C: B를 탈포 후, 성분 (24) 내지 (26)을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D: C를 90℃로 가열해서 용기에 직접 유입하고, 냉각 후, 유성 고형 입술연지를 얻었다.
(평가 방법)
하기 평가 항목 (a) 내지 (e)의 항목에 대해서, 각 시료에 대해서 전문 패널20명에 의한 사용 테스트를 행하였다. 패널 각인이 각 시료를 입술에 도포하고, 하기 절대 평가 기준으로 평점을 부여하고, 패널 전원의 평점합계를 산출하여, 하기판정 기준에 의해 판정했다.
또, 평가 항목 (a), (b), (c), (d)는 도포 직후에 평가하고, 평가 항목 (e)에 대해서는, 시료를 입술에 도포하고, 패널에게 통상의 생활을 하게 한 후 8시간 후에 평가했다.
<평가 항목>
(a) 윤기감
(b) 부담감 없음
(c) 매끈한 퍼짐성
(d) 2차 부착없음
(e) 색 지속력
<절대 평가 기준>
(평점): (평가)
4점: 매우 양호
3점: 양호
2점: 다소 나쁨
1점: 나쁨
<판정 기준>
(판정): (평점의 합계)
◎: 65점 이상
○: 50점 이상 64점 이하
△: 35점 이상 49점 이하
×: 34점 이하
표 2 및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5는, 매끈한 퍼짐성, 윤기감, 부담감 없음, 2차 부착없음, 색 지속력, 모든 평가 항목에 있어서 우수한 양호한 것이었다. 한편, 성분 (A)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2, 3에서는, 2차 부착없음 효과나 색 지속력이 얻어지지 않아 효과가 불충분했다. 성분 (B)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4에서도 2차 부착없음 효과나 색 지속력이 얻어지지 않아 효과가 불충분했다. 성분 (B) 대신에 피막형성제인 아이소스테아르산 덱스트린을 함유하는 비교예 5에서는, 사용감이 무겁고 끈적거림을 지녀버려, 부담감도 느끼고, 2차 부착없음 효과도 충분하지 않았다. 또 성분 (C) 대신에 다이메티콘을 함유하는 비교예 6은, 윤기감이 부족하고, 2차 부착없음이나 색 지속력의 점에서도 충분히 만족스러운 것이 얻어지지 않았다. 성분 (D)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7에서는, 입술연지가 단단해져, 매끈한 퍼짐성이 얻어지지 않고, 2차 부착없음 효과도 얻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16: 유성 유입 아이 컬러
(성분) (%)
1.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3
2. 미세결정성 왁스 2
3. 라이스(rice) 왁스 1.5
4. 데카아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수산기 2개) 22
5. (VP/에이코센) 공중합체*1 10
6. (헥사데센/VP) 공중합체*8 5
7. 헥사아이소노난산 다이펜타에리트리톨 8
8. 이량체 다이리놀산(피토스테릴/아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
5
9. 말산 다이아이소스테아릴 잔량
10. 메틸페닐폴리실록산*13 5
11. 트라이메틸실록시페닐다이메티콘*14 15
12. 2,6-다이-터셔리부틸-파라크레졸 0.01
13. 다이메틸실릴화 실리카*15 1
14. 1,3-부틸렌글리콜 0.5
15. 적색 202호 0.2
16. 군청 0.1
17. 이산화티타늄 1
18. 흑색 산화철 0.01
19. 산화티타늄 피복붕규산(Ca/Al)*16 5
20. 은·산화티타늄 피복붕규산(Ca/Al)*17 3
21. 초산 토코훼롤 0.1
22. 하이알루론산 0.1
23. 콜라겐 0.1
24. 다이메티콘(2CS)*18 5
25. 향료 0.1
* 13: KF-56(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 14: BELSIL PDM 1000(아사히카세이 웨커 실리콘사 제품)
* 15: AEROSIL R976S(닛폰아에로질사(Nippon Aerosil Co., Ltd.) 제품)
* 16: Microglas Metashine MT1080RB(니혼이타가라스사 제품)
* 17: MMicroglas Metashine MC2080PS(니혼이타가라스사 제품)
* 18: KF-96A-2cs(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9)를 100℃ 내지 110℃에서 가열 용해시킨다.
B: A에 성분 (10) 내지 (23)을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C: B를 탈포 후, 성분 (24)·(25)를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D: C를 110℃로 가열해서 금속 접시에 직접 유입하고, 방랭 후, 유성 유입 아이 컬러를 얻었다.
실시예 16의 아이 컬러는, 매끈한 퍼짐성, 윤기감, 부담감 없음, 2차 부착없음, 색 지속력의 모든 점에서 만족스러운 것이었다.
실시예 17: 유성 스틱 형상 볼연지
(성분) (%)
1.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2.5
2. 피셔-트롭시 왁스 3.8
3. 칸데릴라 왁스 에스터즈 1
4. 카르나우바 왁스 0.2
5. 폴리부텐 7.5
6. 데카에틸헥산산 데카글리세릴(수산기 2개) 8
7. 아이소스테아르산 다이글리세릴(수산기 3개) 7
8. 콘타닐 PVP *7 5
9.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 다이글리세릴 5
10. 트라이메틸펜타페닐트라이실록산*19 20
11. 페녹시 에탄올 0.3
12. 1,2-펜틸렌글리콜 0.2
13. 퓸드 실리카*20 2
14. 산화 아연 1
15. 나일론-12*21 5
16. 폴리메타크릴산 메틸*22 10
17. 운모 잔량
18. 퍼플루오로옥틸트라이에톡실란 3% 처리
운모 티타늄 5
19. 퍼플루오로옥틸트라이에톡실란 3% 처리
산화철 피복 운모 티타늄 2
20.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란 2% 처리 벵갈라 0.01
21.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란 2% 처리 황산화철 0.1
22.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란 2% 처리 흑산화철 0.001
23.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란 2% 처리 산화티타늄 0.2
24. 로즈메리 추출물 0.1
25. 수첨 폴리아이소부텐*23 10
* 19: FZ-3156(토레·다우코닝사 제품)
* 20: AEROSIL 380S (닛폰아에로질사 제품)
* 21: Orgasol 2002D (아르케마사(Arkema) 제품)
* 22: Ganzpearl GM-2800(아이카코교사(Aica Kogyo Co., Ltd.) 제품)
* 23: IP 솔벤트 1620 MU(이데미츠코산사(Idemitsu Kosan Co., Ltd.) 제품)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9)를 100℃ 내지 110℃에서 가열 용해시킨다.
B: A에 성분 (10) 내지 (24)를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C: B를 탈포 후, 성분 (25)를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D: C를 110℃로 가열해서 용기에 직접 유입하고, 냉각 후, 유성 스틱 형상 볼연지를 얻었다.
실시예 17의 볼연지는, 매끈한 퍼짐성, 윤기감, 부담감 없음, 2차 부착없음, 색 지속력의 모든 점에서 만족스러운 것이었다.
실시예 18: 유성 액상 입술연지
(성분) (%)
1.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2.5
2. 폴리에틸렌 왁스 5
3. 팔미트산 덱스트린*24 1
4. 데카2-에틸헥산산 데카글리세릴*2 15
5. (VP/에이코센) 공중합체*1 15
6. 라우로일글루탐산 다이(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25 5
7. 트라이에틸헥사노인 5
8. 옥틸도데칸올 3
9.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 다이글리세릴 잔량
10. 레시틴 0.2
11. 다이페닐다이메티콘 15
12. 다이메티콘(100CS)*11 5
13. 탤크 4
14.적색 226호 0.5
15.적색 104호 0.5
16.적색 218호 0.03
17. 황색 4호 1
18. 천연 비타민 E 0.1
19. 아르니카(arnica) 추출물 0.1
20. 아이소도데칸 15
* 24: 레오펄(Rheopearl) KL2(치바세이훈사 제품)
* 25: ELDEW PS-203(아지노모토사(Ajinomoto Co., Ltd.) 제품)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10)을 100℃ 내지 110℃에서 가열 용해시킨다.
B: A에 성분 (11) 내지 (19)를 가하고, 롤 밀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C: B를 탈포 후, 성분 (20)을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D: C를 실온에서 용기에 직접 따라 넣어, 유성 액상 입술연지를 얻었다.
실시예 18의 액상 입술연지는, 매끈한 퍼짐성, 윤기감, 부담감 없음, 2차 부착없음, 색 지속력의 모든 점에서 만족스러운 것이었다.
실시예 19: 유성 고형 아이브로우
(성분) (%)
1. 데카2-에틸헥산산 데카글리세릴 4
2. 테트라2-에틸헥산산 다이펜타에리트리톨 20
3. (VP/에이코센) 공중합체*1 10
4. 다이페닐다이메티콘 8
5.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35
6. (헥사데센/VP) 공중합체 3
7. 폴리에틸렌 왁스 4
8. 미세결정성 왁스 1
9. 트라이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잔량
10. 중공 실리카 5
11. 흑색 산화철 0.5
12. 황색 산화철 0.3
13. 벵갈라 0.2
14. 판테놀 0.001
15. 벚나무 잎 추출물 0.001
16. 녹차 추출물 0.001
17.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사이드 0.01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 (6) 내지 (9)를 100℃ 내지 110℃에서 가열 용해시킨다.
B: A에 성분 (10) 내지 (13)를 가하고, 롤 밀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C: B를 탈포 후, 성분 (5), (14) 내지 (17)를 가하고, 90℃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D: C를 접시형상 용기에 유입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켜, 유성 고형 아이브로우를 얻었다.
실시예 19의 유성 고형 아이브로우는, 매끈한 퍼짐성, 윤기감, 부담감 없음, 2차 부착없음, 색 지속력의 모든 점에서 만족스러운 것이었다.
실시예 20: 유성 립 에센스
(성분) (%)
1. 데카2-에틸헥산산 데카글리세릴 50
2. (VP/에이코센) 공중합체 20
3. 트라이메틸펜타페닐트라이실록산 10
4. 다이메틸폴리실록산(25℃ 동점도 2CS) 1
5.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4
6. 아이소스테아르산 덱스트린 3
7. 스쿠알란 0.1
8. 올리브유 0.01
9. 아르간 오일(Argane oil) 0.01
10. 동백오일 0.001
11. 다이아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잔량
12. 퓸드 실리카* 20 0.5
13.적색 104호 0.001
14. 알루미늄말 0.1
15. 자근 추출물(Lithospermum Erythrorhizon root extract)
0.001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3), (5) 내지 (11)을 100℃ 내지 110℃에서 가열 용해시킨다.
B: A에 성분 (12) 내지 (15)를 가하고, 롤 밀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C: B를 탈포 후, 성분 (4)를 가하고,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D: C를 튜브 용기에 실온에서 충전하여, 유성 립 에센스를 얻었다.
실시예 20의 유성 립 에센스는, 매끈한 퍼짐성, 윤기감, 부담감 없음, 2차 부착없음, 색 지속력의 모든 점에서 만족스러운 것이었다.
실시예 21: 링클 오일
(성분) (%)
1. 데카2-에틸헥산산 데카글리세릴 20
2. (VP/에이코센) 공중합체 25
3. 트라이메틸펜타페닐트라이실록산 잔량
4.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1
5. (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20
6. 칸데릴라 왁스 3
7. 폴리실리콘-15 2
8. 구 형상 실리카(평균 입자 직경 7㎛) 1
9. 나이아신 아마이드 1
10. 황색 산화철 0.3
11. 벵갈라 0.15
12. 흑색 산화철 0.05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3), (5) 내지 (7)을 90℃ 내지 100℃에서 가열 용해시킨다.
B: A에 성분 (8) 내지 (10)을 가하고, 롤 밀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C: B를 탈포 후, 성분 (4)를 가하고,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D: C를 단지 용기에 실온에서 충전하여, 링클 오일을 얻었다.
실시예 21의 링클 오일은, 매끈한 퍼짐성, 윤기감, 부담감 없음, 2차 부착없음, 색 지속력의 모든 점에서 만족스러운 것이었다.

Claims (11)

  1. 유성 화장료로서,
    다음 성분 (A) 내지 (D)를 함유하는, 유성 화장료:
    (A)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진 유제(oil agent)
    (B) 탄소수 18 이상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
    (C) 페닐 변성 실리콘
    (D) 휘발성 유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이 화장료 전량 중 3 내지 20질량%인, 유성 화장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에 대한 상기 성분 (A)의 함유 질량비율((A)/(B))이 0.5 내지 10인, 유성 화장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E)인 탄소수 16 이하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를 더 함유하는, 유성 화장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E)가 (VP/헥사데센) 공중합체인, 유성 화장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가 중합도 3 내지 20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인, 유성 화장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가 (VP/에이코센) 공중합체 및/또는 트라이아콘타닐 PVP인, 유성 화장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F)인 왁스를 더 함유하는, 유성 화장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성 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화장료.
  10. 유성 겔 조성물로서,
    성분 (A)인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진 유제 및 성분 (B)인 탄소수 18 이상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유성 겔 조성물.
  1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진 유제에 대한 유성 겔화제로서,
    탄소수 18 이상의 α-올레핀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성 겔화제.
KR1020217032856A 2019-03-28 2020-03-24 유성 화장료 KR202101457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3691 2019-03-28
JPJP-P-2019-063691 2019-03-28
PCT/JP2020/012862 WO2020196464A1 (ja) 2019-03-28 2020-03-24 油性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766A true KR20210145766A (ko) 2021-12-02

Family

ID=7261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856A KR20210145766A (ko) 2019-03-28 2020-03-24 유성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210145766A (ko)
CN (1) CN113613731A (ko)
SG (1) SG11202110359TA (ko)
TW (1) TW202102198A (ko)
WO (1) WO202019646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7618A (ja) 1996-07-17 1998-03-10 L'oreal Sa 揮発性化合物とポリビニルピロリドンのポリマーの混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この混合物の使用
JP2016117701A (ja) 2014-12-22 2016-06-30 エイボン・プロダクツ株式会社 固形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1785B1 (fr) * 1999-12-03 2002-09-2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sans transfert comprenant un compose non volatil silicone et une huile hydrocarbonee non volatile incompatible avec ce compose silicone
JP2005194220A (ja) * 2004-01-05 2005-07-21 L'oreal Sa 半結晶性ポリマーとポリビニルピロリド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を含有する外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021274B2 (ja) * 2006-11-06 2012-09-05 花王株式会社 アイメイクアップ化粧料
TWI476215B (zh) * 2009-02-27 2015-03-11 Kose Corp And a cosmetic cosmetic containing a cycloalkyl group-containing acrylic copolymer
EP2353584B1 (fr) * 2009-06-01 2017-08-23 L'Oréal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polymère séquencé et une huile ester non volatile
WO2011086073A2 (en) * 2010-01-14 2011-07-21 Basf Se Water-resistant cosmetic formulations comprising a hydrophobically modified vinylpyrrolidone copolymer
JP5657455B2 (ja) * 2011-03-31 2015-01-21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油性化粧料基剤および油性化粧料
JP5280490B2 (ja) * 2011-06-01 2013-09-04 株式会社 資生堂 唇用固形化粧料
FR3011178B1 (fr) * 2013-10-01 2017-01-13 Oreal Composition liquide comprenant une huile non volatile, de l'acide 12-hydroxystearique, une cire additionnelle, un copolymere de vinylpyrrolidone et un aerogel de silice
US20170290760A1 (en) * 2014-09-09 2017-10-12 Shiseido Company, Ltd. Solid lip cosmetics
FR3049439B1 (fr) * 2016-03-31 2019-04-12 L'oreal Dispositif d’application d’une composition sous forme d’emulsion comprenant un filmogene et des huiles non volatiles
KR20190139838A (ko) * 2017-04-28 2019-12-18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유성 화장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7618A (ja) 1996-07-17 1998-03-10 L'oreal Sa 揮発性化合物とポリビニルピロリドンのポリマーの混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この混合物の使用
JP2016117701A (ja) 2014-12-22 2016-06-30 エイボン・プロダクツ株式会社 固形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13731A (zh) 2021-11-05
JPWO2020196464A1 (ko) 2020-10-01
WO2020196464A1 (ja) 2020-10-01
SG11202110359TA (en) 2021-10-28
TW202102198A (zh) 2021-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1481A (e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cryl-silicone graft copolymer
US5219560A (en) Cosmetic composition
EP3192492B1 (en) Solid lip cosmetic
US20080171009A1 (en) Keratin fibre makeup kit
KR102147555B1 (ko) 경질 왁스 입자를 포함하는 케라틴 섬유의 코팅을 위한 화장용 조성물
US20060216257A1 (en) Makeup and/or care kit providing volumizing effect
JP2006265252A (ja) ボリュームアップ効果を与えることができるメイクアップ及び/またはケアキット
KR102235054B1 (ko) 끈적임이 개선된, 지속력 있고, 묻어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JPH02132141A (ja) ゲル組成物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CN112969506B (zh) 多层型彩妆保护化妆料
JP2019006727A (ja) 油性固形化粧料
KR101679212B1 (ko) 시클로알킬기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KR19980063318A (ko) 립스틱조성물
JP2008247879A (ja) 頭髪用着色料
JP6050679B2 (ja) 油中油型口唇化粧料
JP6158552B2 (ja) 化粧料
JP7149797B2 (ja) 油性口唇化粧料
JPWO2017170217A1 (ja) 化粧料セット
KR20210145766A (ko) 유성 화장료
JP7483686B2 (ja) 油性化粧料
US20230119917A1 (en) Oil-in-oil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CN104736132B (zh) 用于涂覆角蛋白纤维的包含硬蜡的化妆品组合物
JP3403352B2 (ja) 口紅組成物
JP5960477B2 (ja) 化粧料
CN115087426B (zh) 油性化妆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