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145A - 카본 나노튜브 플러렌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본 나노튜브 플러렌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145A
KR20210145145A KR1020217030180A KR20217030180A KR20210145145A KR 20210145145 A KR20210145145 A KR 20210145145A KR 1020217030180 A KR1020217030180 A KR 1020217030180A KR 20217030180 A KR20217030180 A KR 20217030180A KR 20210145145 A KR20210145145 A KR 20210145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llerene
carbon nanotube
battery
weight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히라마츠
타케조 나수노
Original Assignee
예, 샤오 젠
유지 히라마츠
우시오, 준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 샤오 젠, 유지 히라마츠, 우시오, 준이치 filed Critical 예, 샤오 젠
Publication of KR20210145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재료가 리튬 코발테이트(lithium cobaltate), 도전제(conductive agent), 접착제(binder), 집전체, 탄소나노튜브 슬러리(carbon nanotube slurry) 또는 그래핀(graphene)을 포함하고; 음극재료가 흑연 카본 블랙(graphite carbon black), 도전제, 접착제, 집전체, 풀러렌(fullerene)을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를 개시하였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양극재료의 도포 슬러리에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을 추가하고 음극재료의 도포 슬러리에 풀러렌을 추가하여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의 용량을 일반 배터리보다 1.2-2.7배 증가시켜 전류 밀도를 증가시키고 내부 저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쉽게 발열 및 연소되지 않고 관통되거나 파손 발생 시에 단락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사이클 주기를 1배 이상 증가시켰다.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배터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납산(plumbic acid), 니켈-카드뮴 및 니켈-수소 등의 전통적인 2차 배터리에 비해, 리튬 이온 배터리는 동작 전압이 높고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고 용량 밀도가 높고 메모리 효과가 없으며 오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자체 방전이 적고 수명주기가 긴 장점이 있다. 리튬 배터리는 갈수록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현재, 리튬 이온 배터리에 사용된 음극재료는 모두 카본 소재이며 이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및 메조카본 마이크로비드(mesocarbon microbeads)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카본 음극은 충전 및 방전 과정에 전압이 안정적이고 사이클 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흑연 소재의 이론적 용량이 372mAh/g에 불과하여 리튬 이온 배터리의 고용량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 특히 전동차가 요구하는 고성능 리튬 배터리를 만족할 수 없으므로 높은 용량 밀도를 갖는 음극재료를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며, 또한 기존의 음극재료는 내마모성이 좋지 않은 편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음극재료의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풀러렌 및 탄소나노튜브의 고용량 특징을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 용량을 증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를 통해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그 중, 양극재료 도포 슬러리가 리튬 코발테이트(lithium cobaltate), 도전제(conductive agent), 접착제(binder), 탄소나노튜브 슬러리(carbon nanotube slurry) 또는 그래핀(graphene)을 포함하고; 음극재료 도포 슬러리가 흑연 카본 블랙(graphite carbon black), 도전제, 접착제, 풀러렌(fullerene)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극재료 도포 슬러리는 리튬 코발테이트 2-10 중량부, 도전제 5-30 중량부, 접착제 1-15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또는 그래핀 2.5-30 중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극재료 도포 슬러리는 흑연 카본 블랙 1-20 중량부, 도전제 5-30 중량부, 접착제 1-15 중량부, 풀러렌 0.8-25 중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극은 알루미늄 호일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극은 동박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전제는 아세틸렌 블랙(acetylene black)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제는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이다.
본 발명은 상기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의 제조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1) 리튬 코발테이트, 도전제, 접착제, 탄소나노튜브 슬러리를 혼합하여 양극 슬러리를 얻고; 흑연 카본 블랙, 도전제, 접착제, 풀러렌을 혼합하여 음극 슬러리를 얻는 재료 배합 단계;
(2)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양극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에 도포하고;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음극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는 도포 단계;
(3) 다음, 압연(rolling), 슬리팅(slitting), 시이팅(sheeting), 와인딩(winding), 조립(assembling), 상부 밀봉(top-side sealing), 건조, 액체 주입 및 화성을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패키징(packaging)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1) 전에 카본분말을 산화환원로에 투입하고 통전하여 연소시킨 다음 노벽에 부착된 카본 블랙 미립자를 추출하고 정전기 가공을 통해 풀러렌을 얻는 풀러렌 추출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양극재료에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을 추가하고, 음극재료에 풀러렌을 추가하여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를 일반 배터리 용량보다 1.2-2.7배 증가시켜 전류 밀도를 증가시키고 내부 저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쉽게 발열 및 연소되지 않고 관통되거나 파손 발생 시에 단락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사이클 주기가 1배 이상 증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러렌 제조 시에 사용되는 정전기 로더(loader)의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흑연 카본 블랙은 흑연화 카본 블랙(graphitized carbon black)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인 경우, 음극 슬러리에 풀러렌을 첨가하므로 제품의 전반적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풀러렌의 첨가량이 0.04% 이상이면 구현 가능하며 소량으로 첨가한 풀러렌은 예상 밖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아래 실시예에서, 음극 슬러리에 첨가된 풀러렌은 70%의 정전하를 띤 풀러렌 및 30%의 부전하를 띤 풀러렌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정전하를 띤 풀러렌 조합은 3-7%의 질량비율로 배터리 음극 슬러리에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한 풀러렌은 톨루엔법(toluene method)에 의해 정제되지 않고 바로 배터리에 사용할 수 있다. 음극재료는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 사용수명 및 안전성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풀러렌을 음극에 사용하면 전하의 전도 속도, 전극간의 절연성을 향상하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충전 및 방전으로 인해 전극의 부피가 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용량이 더 높고 사용 수명이 더 길고 안전성(발화 및 폭발이 쉽게 일어나지 않음)이 더 높은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다. 현재 공업화 양산을 할 수 없는 고가의 풀러렌에 비해, 본 방법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저렴한 풀러렌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의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에서, 그 양극 도포 슬러리 재료는 리튬 코발테이트 2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5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1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2.5중량부를 포함하고; 음극 도포 슬러리 재료는 흑연 카본 블랙 1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5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1중량부, 풀러렌 0.8중량부를 포함하고, 양극 알루미늄 호일 및 음극 동박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의 제조방법은,
(1) 상기 중량부의 리튬 코발테이트, 아세틸렌 블랙,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탄소나노튜브 슬러리를 혼합하여 혼합 양극 슬러리를 얻고 상기 중량부의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풀러렌을 혼합하여 혼합 음극 슬러리를 얻는 재료 배합 단계;
(2) 도포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양극 슬러리를 알루미늄 호일 상에 도포하고 도포 장비를 이용하여 음극 슬러리를 동박 상에 도포하는 도포 단계;
(3) 다음, 압연(rolling), 슬리팅(slitting), 시이팅(sheeting), 와인딩(winding), 조립(assembling), 상부 밀봉(top-side sealing), 건조, 액체 주입 및 화성을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패키징(packaging)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다음 단계를 통해 풀러렌을 추출한다.
(1) 세라믹을 소성하는 산화환원로에 1톤 정도의 장작(오염되지 않은 소나무, 삼나무, 사이프러스(cypress)등)을 투입하여 연소시키고, 24시간 후 산화환원로의 내벽에 부착된 그을음을 1100g 추출하고;
(2) 상기 1100g의 그을음을 정전기 로더에 투입하고 정전기 가공하여 110g의 전도성 풀러렌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1)에서 연소하여 얻은 그을음을 정전기 발생 장치(즉, 정전기 로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은 GC50S-N이고 인가 전압이 AC100V50/60Hz이고 최대 출력 전압이 DC50kV(고정)이며 최대 출력 전류가 20μA이고, 소비 전력이 10VA이며 유효거리가 50~250mm이고 접지가 100Ω이하임)에 투입한다. 정전기 로더 내에서 양극성 또는 음극성에 따라 그을음을 각각 로딩하여 정전하를 띤 풀러렌과 부전하를 띤 풀러렌을 얻는다. 그런 다음, 이러한 전하를 띤 풀러렌 혼합 그을음을 톨루엔법으로 정제하되, 정제된 풀러렌 그을음을 정전하를 띤 것이 70%, 부전하를 띤 것이 30%의 비율로 혼합하여 음극 슬러리 중의 풀러렌 원료를 얻는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에서, 그 양극 도포 슬러리 재료는 리튬 코발테이트 10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30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15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30중량부를 포함하고, 음극 도포 슬러리 재료는 흑연 카본 블랙 20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30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5중량부, 풀러렌 25중량부를 포함하고, 양극 알루미늄 호일 및 음극 동박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제조방법을 사용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의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에서, 그 양극 도포 슬러리 재료는 리튬 코발테이트 5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15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8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15중량부를 포함하고, 음극 도포 슬러리 재료는 흑연 카본 블랙 10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15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5중량부, 풀러렌 13중량부를 포함하고, 양극 알루미늄 호일 및 음극 동박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제조방법을 사용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의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에서, 그 양극 도포 슬러리 재료는 리튬 코발테이트 5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15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8중량부, 그래핀 30중량부를 포함하고, 음극 도포 슬러리 재료는 흑연 카본 블랙 10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15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5중량부, 풀러렌 13중량부를 포함하고, 양극 알루미늄 호일 및 음극 동박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제조방법을 사용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의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에서, 양극은 양극 집전체(알루미늄 호일) 및 양극 집전체 상에 도포된 양극 슬러리를 포함하고; 음극은 음극 집전체(동박) 및 음극 집전체 상에 도포된 음극 슬러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양극 슬러리는 리튬 코발테이트 12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18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11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5중량부를 포함하고, 음극 슬러리는 흑연 카본 블랙 12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13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8중량부, 풀러렌 2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의 제조방법은,
(1) 상기 배합량의 리튬 코발테이트, 아세틸렌 블랙,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탄소나노튜브 슬러리를 혼합하여 혼합 양극 슬러리를 얻고, 상기 배합량의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풀러렌을 혼합하여 혼합 음극 슬러리를 얻는 재료 배합 단계;
(2) 도포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양극 슬러리를 알루미늄 호일 상에 도포하고 도포 장비를 이용하여 음극 슬러리를 동박 상에 도포하는 도포 단계;
(3) 다음, 압연(rolling), 슬리팅(slitting), 시이팅(sheeting), 와인딩(winding), 조립(assembling), 상부 밀봉(top-side sealing), 건조, 액체 주입 및 화성을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패키징(packaging)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극 슬러리에 사용되는 풀러렌은 이하 방법을 통해 제조한다.
① 세라믹을 소성하는 산화환원로에 오염되지 않은 1톤의 소나무를 투입하여 연소시키고 24시간 후 산화환원로의 내벽에 부착된 그을음을 1100g을 추출하고;
② 추출한 그을음을 정전기 로더에 투입하고 정전기 가공하여 전도성 풀러렌을 얻는다.
유의할 것은, 정전기 로더는 정전기 발생기(Electrostatic Generator)를 의미하며, 정전기 발생기는 연소 가능한 물체(예를 들어, 원목이 연소를 통해 숯으로 되면 원목은 연소 가능한 물체에 속하며, 광석 및 자갈류를 포함한다.)을 처리하여 정전기를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의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에서, 양극은 양극 집전체(알루미늄 호일) 및 양극 집전체 상에 도포된 양극 슬러리를 포함하고, 음극은 음극 집전체(동박) 및 음극 집전체 상에 도포된 음극 슬러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양극 슬러리는 리튬 코발테이트 7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27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10중량부, 그래핀 11중량부를 포함하고, 음극 슬러리 재료는 흑연 카본 블랙 18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22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11중량부, 풀러렌 3.5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의 제조방법은,
(1) 상기 배합량의 리튬 코발테이트, 아세틸렌 블랙,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탄소나노튜브 슬러리를 혼합하여 혼합 양극 슬러리를 얻고, 상기 배합량의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풀러렌을 혼합하여 혼합 음극 슬러리를 얻는 재료 배합 단계;
(2) 도포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양극 슬러리를 알루미늄 호일 상에 도포하고 도포 장비를 이용하여 음극 슬러리를 동박 상에 도포하는 도포 단계;
(3) 다음 압연(rolling), 슬리팅(slitting), 시이팅(sheeting), 와인딩(winding), 조립(assembling), 상부 밀봉(top-side sealing), 건조, 액체 주입 및 화성을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패키징(packaging)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극 슬러리에 사용되는 풀러렌은 이하 방법을 통해 제조한다.
① 세라믹을 소성하는 산화환원로에 오염되지 않은 사이프러스(cypress) 1톤을 투입하여 연소시키며 24시간 후 산화환원로의 내벽에 부착된 그을음을 850g 추출하고;
② 추출한 그을음을 정전기 로더에 투입하고 정전기 가공하여 전도성 풀러렌을 얻는다.
실시예 7
본 실시예의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에서, 양극은 양극 집전체(알루미늄 호일) 및 양극 집전체 상에 도포된 양극 슬러리를 포함하고, 음극은 음극 집전체(동박) 및 음극 집전체 상에 도포된 음극 슬러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양극 슬러리는 리튬 코발테이트 9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22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3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21중량부를 포함하고, 음극 슬러리 재료는 흑연 카본 블랙 17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13중량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14중량부, 풀러렌 1.5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의 제조방법은,
(1) 상기 배합량의 리튬 코발테이트, 아세틸렌 블랙,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탄소나노튜브 슬러리를 혼합하여 혼합 양극 슬러리를 얻고, 상기 배합량의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풀러렌을 혼합하여 혼합 음극 슬러리를 얻는 재료 배합 단계;
(2) 도포 장비를 통해 상기 양극 슬러리를 알루미늄 호일 상에 도포하고 도포 장비를 통해 음극 슬러리를 동박 상에 도포하는 도포 단계;
(3) 다음, 압연(rolling), 슬리팅(slitting), 시이팅(sheeting), 와인딩(winding), 조립(assembling), 상부 밀봉(top-side sealing), 건조, 액체 주입 및 화성을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패키징(packaging)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극 슬러리에 사용되는 풀러렌은 이하 방법을 통해 조제한다.
① 세라믹을 소성하는 산화환원로에 오염되지 않은 삼나무 1톤을 투입하여 연소시키며, 24시간 후 산화환원로의 내벽에 부착된 그을음을 950g 추출하고;
② 추출한 그을음을 정전기 로더에 투입하고 정전기 가공하여 전도성 풀러렌을 얻는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실시예 5와 비교할 때 음극 슬러리에 풀러렌이 포함되지 않은 점에서 다르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실시예 5와 비교할 때 음극 슬러리에 풀러렌의 함량이 단지 0.1중량부인 점에서 다르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에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배터리에 대하여, 배터리 용량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테스트용 배터리의 외형은 모두 25×37×76mm이고 테스트 방법은 일반적인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였다. 테스트 지표와 테스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배터리 용량 테스트 결과 기록표
배터리 용량
(mA)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1,050 1,000 985 990 1,010
배터리 용량
(mA)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비교예 2
975 950 750 880
표 1의 데이터로부터 풀러렌이 배터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배터리 용량은 비교예보다 20% 이상 향상되었다.
2. 파괴 테스트(destructive test) 결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에서 얻은 배터리(25×37×76mm의 규격)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파괴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1)해머 충격 테스트: 무게가 10kg인 해머를 1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킨 결과, 발화 및 폭발이 일어나지 않았다.
2)과충전 테스트: 발열하지 않고 폭발하지 않았다.
3)못 관통 테스트(nail penetration test): 3×8.0mm의 못으로 배터리를 직접 관통한 결과, 발화 및 폭발이 일어나지 않았다.
4)침수 테스트: 24시간 동안 침수한 결과, 성능에 변화가 없었다.
5)내열 충격 테스트: 온도 테스트 상자에 넣고 온도를 5℃에서 150℃까지 상승시킨 결과, 발화 및 폭발이 일어나지 않았다.
6)진동 테스트: 진동 테스트 장치 내에 넣고 30분 동안 왕복 진동한 결과, 외관 및 성능에 변화가 없었다.
7)압출 테스트: 압출기에 넣고 최대 17MPa의 압력을 가한 결과, 발화 및 폭발이 일어나지 않았다.
8)스크루드라이버 관통 테스트: 스크루드라이버로 배터리를 관통한 결과, 전압은 변하지 않고(일반적으로 배터리는 관통되어 단락이 발생하고 전압은 0으로 된다) 6-7분이 경과한 후 온도가 6-7℃ 상승하였다.
9)낙하 테스트: 배터리를 6m 높이에서 철판에 자유 낙하시킨 결과, 전압은 변하지 않았다.
상기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의 품질이 PSE, GB, UC 등 안전 인증 요구에 부함됨을 입증하였다.
이상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양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유의할 것은, 본 기술분야의 일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전제하에 다양한 변형과 개선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과 개선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10)

  1.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로서,
    그 양극재료 도포 슬러리가 리튬 코발테이트(lithium cobaltate), 도전제(conductive agent), 접착제(binder), 탄소나노튜브 슬러리(carbon nanotube slurry) 또는 그래핀(graphene)을 포함하고; 음극재료 도포 슬러리가 흑연 카본 블랙(graphite carbon black), 도전제, 접착제, 풀러렌(fuller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재료 도포 슬러리는 리튬 코발테이트 2-10 중량부, 도전제 5-30 중량부, 접착제 1-15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또는 그래핀 2.5-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재료 도포 슬러리는 흑연 카본 블랙 1-20 중량부, 도전제 5-30 중량부, 접착제 1-15 중량부, 풀러렌 0.8-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알루미늄 호일(aluminium foi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동박(copper foi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제는 아세틸렌 블랙(acetylene blac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렌은 70%의 정전하를 띤 풀러렌 및 30%의 부전하를 띤 풀러렌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difluor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는 한 항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의 제조방법으로서,
    (1) 리튬 코발테이트, 도전제, 접착제, 탄소나노튜브 슬러리를 혼합하여 양극 슬러리를 얻고; 흑연 카본 블랙, 도전제, 접착제, 풀러렌을 혼합하여 음극 슬러리를 얻는 재료 배합 단계;
    (2)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양극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에 도포하고;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음극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는 도포 단계;
    (3) 다음, 압연(rolling), 슬리팅(slitting), 시이팅(sheeting), 와인딩(winding), 조립(assembling), 상부 밀봉(top-side sealing), 건조, 액체 주입 및 화성(formation)을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패키징(packaging)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 전에, 카본 분말을 산화환원로에 투입하고 통전하여 연소시킨 다음 노벽에 부착된 카본 블랙 미립자를 추출하고 정전기 가공을 통해 풀러렌을 얻는 풀러렌 추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배터리의 제조방법.
KR1020217030180A 2019-02-22 2020-02-13 카본 나노튜브 플러렌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451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134214.0 2019-02-22
CN201910134214.0A CN111584864A (zh) 2019-02-22 2019-02-22 一种碳纳米管富勒烯电池及其制备方法
PCT/CN2020/075051 WO2020168973A1 (zh) 2019-02-22 2020-02-13 一种碳纳米管富勒烯电池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145A true KR20210145145A (ko) 2021-12-01

Family

ID=7211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180A KR20210145145A (ko) 2019-02-22 2020-02-13 카본 나노튜브 플러렌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527688A (ko)
KR (1) KR20210145145A (ko)
CN (1) CN111584864A (ko)
WO (1) WO20201689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6645A (zh) * 2020-09-21 2020-12-15 河南英能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负极极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8073A (zh) * 1997-01-17 1998-07-22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富勒烯族碳素材料的制备方法及其在电池电极材料中应用
JP4517560B2 (ja) * 2001-12-28 2010-08-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の使用方法
JP2004152662A (ja) * 2002-10-31 2004-05-27 Mitsubishi Chemicals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材料、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5183632A (ja) * 2003-12-18 2005-07-07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又は電池
JP2006111509A (ja) * 2004-10-18 2006-04-27 Mitsubishi Chemicals Corp フラーレン類多量体の製造方法及びフラーレン類多量体
CN101931074B (zh) * 2009-12-15 2012-09-05 辽宁弘光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电极的涂膜基料组成物及锂电池
CN102255081B (zh) * 2010-11-04 2014-05-07 耿世达 一种锂离子电池正负极极片材料及加工方法
JP5768968B2 (ja) * 2011-03-08 2015-08-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
JP5970978B2 (ja) * 2011-07-04 2016-08-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デバイス用正極活物質、電気デバイス用正極及び電気デバイス
JP6324783B2 (ja) * 2014-03-20 2018-05-16 株式会社日本触媒 電池用電極及び電池
CN105552310A (zh) * 2016-02-01 2016-05-04 宁波金和锂电材料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的搅浆工艺及应用
US11201327B2 (en) * 2016-06-13 2021-12-14 Nec Corporatio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N107978728A (zh) * 2017-10-31 2018-05-01 旭成(福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用涂布材料及涂布方法
CN108428929A (zh) * 2018-04-03 2018-08-21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2600mAh18650电芯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7688A (ja) 2022-06-03
WO2020168973A1 (zh) 2020-08-27
CN111584864A (zh)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30985B (zh) 一种高离子电导率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及其在全固态锂离子电池中的应用
CN101533900B (zh) 一种用于电化学可逆储锂的磷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810885B (zh) 一种正极极片及锂离子电池
CN1841820A (zh) 非水电解液二次电池
CN101582522A (zh) 大倍率充放电动力锂离子电池
CN105336943A (zh) 一种基于镍锰酸锂与钛酸锂构成的锂电池及其制备方法
CN106602067B (zh) 一种石墨基复合材料、其制备方法及包含该复合材料的锂离子电池
CN101197442A (zh) 一种磷酸铁锂锂离子电池
KR20210148121A (ko) 인산철 리튬 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02208678A (zh) 一种安全型锂离子电池
JP2007335360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CN102130359A (zh) 一种锂硫电池及其制备方法
CN103187556A (zh) 锂离子电池及其负极材料、制备方法
CN103545502A (zh) 一种复合元素掺杂改性钛酸锂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094536A (zh) 高容量锂离子二次电池负极炭材料
CN101901936A (zh) 一种新型铁锂电池制备方法
CN111082028A (zh) 一种容量高的负极材料、制备方法及锂离子电池
KR20210145145A (ko) 카본 나노튜브 플러렌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CN106920997A (zh) 一种利用压电陶瓷提高锂离子电池循环寿命的方法
CN108539121A (zh) 一种锂离子电池负极浆料及锂离子电池
WO2020168975A1 (zh) 一种锂聚合物电池及其制备方法
KR20110078307A (ko) 금속계 아연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CN109411759B (zh) 一种高温型锂离子动力电池及其预化成方法
CN103531767A (zh) 一种锂电池专用改性钛酸锂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122318A (zh) 一种负极极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