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259A -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염 및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염을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 - Google Patents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염 및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염을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259A
KR20210143259A KR1020217034195A KR20217034195A KR20210143259A KR 20210143259 A KR20210143259 A KR 20210143259A KR 1020217034195 A KR1020217034195 A KR 1020217034195A KR 20217034195 A KR20217034195 A KR 20217034195A KR 20210143259 A KR20210143259 A KR 20210143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cid
alkaline earth
earth metal
alkali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르스텐 디이츠
말테 지트쩬
말테 지트?b
마르쿠스 슈뢰더
프랑크 브라운스
크리스 데초우
Original Assignee
코스파텍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파텍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코스파텍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43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6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0Aromatic or araliphatic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01N37/04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polybas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및 (b)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은 벤조산, 살리실산, 소르브산, 신남산 및 p-메톡시벤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는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b)는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화장품, 피부과 또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서의 이의 미생물 성장 억제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염 및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염을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
본 발명은 레불린산과 같은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염 및 p-메톡시벤조산과 같은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염을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 및 화장품 분야에서의 이들의 용도, 특히 화장품 및 관련 조성물 및 제품에서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로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의 산업적 생산은 재료 비용, 저장 공간, 운송 비용을 줄이고 비판을 받는 원자재를 대체하고 직업 안전을 높이기 위해, 성분들의 지속적인 개선을 필요로 한다.
병원성 박테리아, 효모, 곰팡이 균주와 같은 미생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항균 물질은 제품을 부패로부터 보호하므로 화장품 제형에 필수불가결한 성분이다. 지역 규제 법령에 수록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 외에도, 항균 효율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긍정적인 효과를 결합한 소위 "다기능성" 원료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원료 중 한 가지 중요한 범주는 전통적으로 수십 년 동안 화장품에 사용되어 온 중간 강도의 유기산이다. 지난 수년간, 특히 4-옥소발레르산(레불린산)과 p-메톡시벤조산(아니스산)이 화장품 산업에서 상당한 관심을 받아왔다. 레불린산(CAS #123-76-2)은 주로 향수 및 피부 컨디셔닝 기능을 위해 사용된다. 이 산의 또 다른 장점은 그램-양성균 및 그램-음성균에 대한 강력한 항균 효율성이다(표 1). 레불린산은 일반적으로 마스킹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p-메톡시벤조산(CAS #100-09-4)과 결합된다. 레불린산에 비해, p-메톡시벤조산은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한 강력한 효율을 포함하여 훨씬 더 강력한 항균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는 표 1(US 2003/0147930 A1)에 제공된 데이터에 의해 설명된다.
Figure pct00001
그러나 우수한 항균 효과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 사용의 용이성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두 가지 유기산은 모두 단점이 있다: 즉 레불린산은 실온에서 결정형 고체이며 사용하기 전에 용융되어야 하므로 추가 시간과 에너지 자원을 필요로 한다. p-메톡시벤조산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20℃에서 0.2 g/L. (Echa Registration Dossier for p-Methoxybenzoic acid:
https://echa.europa.eu/de/registration-dossier/-/registered-dossier/24279/4/9)
퍼스널 케어 제형의 개발자는 성분의 취급 및 적용 편의성에 대한 요구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이 특히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중대한 결점이 있는 원료는 대체물이 있는 경우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용해도 문제를 피하기 위해 미리 혼합된 블렌드의 형태로 사용된다.
EP-A-1 709 955는 글리세린과 같은 폴리올 및 물과의 부분적으로 중화된 미리 혼합된 블렌드를 기반으로 하는 수계 응용에 있어서의 레불린산 및 p-메톡시벤조산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폴리올이 없는 용액에 비해 물에 이들 두 산을 더 높은 농도로 용해시킬 수 있으므로, 광범위한 항균 효율을 갖는 사용자 친화적인 혼합물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 혼합물은 산의 농도가 여전히 낮은 반면 많은 양의 물과 폴리올을 추가로 포함하다. 후자의 두 성분은 용해도 문제를 개선하고 응고를 방지하지만, 그 자체로 항균 활성은 없다. 결과적으로, 이 액체 혼합물의 75%가 물과 글리세린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항균 효과를 달성하려면 액체 혼합물의 약 4%의 적용 농도가 필요하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단점, 즉:
- 혼합물의 일부로서 다량의 물과 글리세린을 운송하는데 따른 운송비 증가 및 환경적 부담
- 추가 저장 공간 차단
- 추가 포장재의 필요성
- 천연 글리세린이 종종 비판적으로 판단되는 식물 공급원인 팜유에서 유래한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
유럽에서는 트럭 km당 운송 비용이 0.5~1.5유로이다. 독일 연방 환경청(독일 연방 환경청, TREMOD 계산, 2017)의 데이터에 기반할 때, 화물 운송의 배출 데이터는 하기 표 2와 같다:
Figure pct00002
물과 글리세린으로 활성 성분을 희석하는데 따른 추가 운송 비용과 환경 부담이 막대하다. 현행의 레불린산 및 p-메톡시벤조산 사용에 대한 보다 생태학적인 대체물이 요구된다는 것이 점차 명백해지고 있으며, 이는 특히 이들 두 원료가 합성 방부제에 대한 친환경 대안이라고 주장하면서 재생 가능한 자원에서 제조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 그러하다.
EP-A-1 709 955의 교시에 따라, EP-A-2 065 025의 저자는 Dermosoft 1388®라 칭해지던, 당시 시판 제품으로 입수할 수 있었던 글리세린 및 물 중 레불린산 나트륨 및 아니스산 나트륨에 기초한 액체 조성물을 보존제로 사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활성 성분으로서 특히 레불린산 및 p-메톡시벤조산, 또는 관련 산을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단점을 회피하는 것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특히 화장품 또는 관련 조성물 및 제품의 성분으로서 저장, 수송 및 가공에 편리한 형태로 존재하여야 한다.
발명의 개요
전술한 목적(들)은 (a) 레불린산과 같은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및 (b) p-메톡시벤조산과 같은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여기서 (a)는 상기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b)는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여기서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조성물은 레불린산과 같은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 및 p-메톡시벤조산과 같은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포함하는 액체 혼합물을 분무 건조시킴으로써 수득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조성물은 분말 형태의 레불린산과 같은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분말 형태의 p-메톡시벤조산과 같은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과 조합시키고 후속적으로 두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얻는데, 여기서 두 성분의 분말 입자 크기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에서는 레불린산과 같은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 및 p-메톡시벤조산과 같은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포함하는 액체 혼합물을, 상응하는 산을 용매에 첨가하고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을 추가로 첨가하여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분무 건조하여 분무 건조된 분말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한다.
따라서 놀랍게도 현재 기술 상태의 관련 이점, 즉 높은 용해도, 사용 용이성 및 광범위한 항균 효과를 유지하는 동시에 물/폴리올 용매의 필요성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적절한 예비 용액의 분무 건조 또는 단일 성분들의 분쇄 및 혼합으로 얻은 두 가지 산 모두의 염의 고체 혼합물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생성된 미세 분말은 수용성이 높고 사용하기 쉬운 혼합물로 광범위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물과 폴리올이 없으므로 현재 기술 상태를 상당히 개선시켜준다. 또한 글리세린을 배제하므로 팜유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들을 하기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개시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성분 및 방법의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사 "a"의 사용은 성분의 수를 "하나"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최종 pH 값이 5.5인 O/W 에멀젼에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챌린지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최종 pH 값이 5.5인 샴푸에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챌린지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 건조 공정을 예시한다.
도 4는 레불린산 및 4-메톡시벤조산의 나트륨염 혼합물의 특정한 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 (a)는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 좋기로는 좋기로는 C4 내지 C8 옥소카르복실산, 더욱 좋기로는 C4 내지 C6 옥소카르복실산 및 가장 좋기로는 레불린산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b)는 히드록실, 메톡시 또는 아크릴기 (-OH, -OCH3, -CHCHCOOH)에 의해, 더욱 좋기로는 히드록실 또는 메톡시에 의해, 가장 좋기로는 4-메톡시벤조산 (파라- 또는 p-메톡시벤조산 또는 p-아니스산이라고도 칭함)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 좋기로는 C6 내지 C8 방향족 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다. 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전술한 산의 구체적인 예는 레불린산, 벤조산, 살리신산, 소르브산, 신남산 및 4-메톡시벤조산이다. 금속염은 좋기로는 알칼리 금속염, 보다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및 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알칼리 금속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이다.
바람직한 활성 성분으로서 레불린산 및 p-메톡시벤조산염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혼합물의 항균 효율을, 유럽 약전(8.8.0)에 설명된 표준 절차에 따라 현행 기술에 따른 상응하는 액체 혼합물의 그것과 비교하였다. 결과를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액체 혼합물(회색 선)과 분말(검정색 선)은 모두 동일한 비율의 레불린산 및 p-메톡시벤조산염을 함유하다. 각 미생물들을 개별적으로 시험하여 제2, 7, 14 및 28일에 계수하였다. 시험을 위해, 레불린산 나트륨, p-메톡시벤조산 나트륨, 물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액체 혼합물 4.0%를 사용하고 레불린산 나트륨, p-메톡시벤조산 나트륨으로 구성된 1.0% 건조 분말과 비교하였다. 미생물 테스트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면 두 가지 항균 혼합물은 동일한 효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용매를 생략함으로써, 제품 그램당 항균 효율은 혼합액에 비해 400% 증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최종 pH 값이 5.5인 O/W 에멀젼의 챌린지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회색 선은 종래 기술로서 현재 설명되고 있는 바와 같은 물 및 글리세린에 용해된 4% 레불린산 나트륨 및 p-메톡시벤조산 나트륨 액체 혼합물을 나타낸다. 검은색 선은 레불린산 나트륨 및 p-메톡시벤조산 나트륨의 새로운 1.0% 분말을 나타낸다. 측정값들은 세균의 경우 1,000,000의 접종 농도, 효모 및 곰팡이의 경우 500,000의 접종 농도로 표준화시켰다.
또한, 도 2는 최종 pH 값이 5.5인 샴푸의 챌린지 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회색 선은 종래 기술로서 현재 설명되고 있는 바와 같은 물 및 글리세린에 용해된 4% 레불린산 나트륨 및 p-메톡시벤조산 나트륨 액체 혼합물을 나타낸다. 검은색 선은 레불린산 나트륨 및 p-메톡시벤조산 나트륨의 새로운 1.0% 분말을 나타낸다. 측정값들은 세균의 경우 1,000,000의 접종 농도, 효모 및 곰팡이의 경우 500,000의 접종 농도로 표준화시켰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혼합물의 용해도는 물 및 에멀젼, 샴푸 또는 샤워 젤과 같은 가장 일반적인 퍼스널 케어 제형 모두에서 우수하다. 예를 들어, p-메톡시벤조산 나트륨은 용해된 다음 pH 값 저하에 의해 항균 활성 산으로 트랜스퍼될 수 있는 반면, 이 화합물에는 낮은 용해도(이러한 조건에서)를 나타내고, 더 높은 농도 또는 낮은 온도에서 침전되는 경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형성 결정 변형이 존재한다(EP 1 709 955 A1 참조).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염 혼합물을 사용할 경우, 이러한 거동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론에 얽매이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두 가지 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의 물리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레불린산은 우수한 수용성과 낮은 융점(33-35℃)을 나타내는 반면, p-메톡시벤조산은 낮은 수용성과 높은 융점(183℃)을 나타낸다. p-메톡시벤조산 나트륨염이 제조하기가 더 쉬운데 이는 레불린산의 나트륨염이 훨씬 더 높은 흡습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레불린산염의 존재가, p-메톡시벤조산의 용해도가 낮은 결정 변형의 형성을 회피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이점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레불린산과 같은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조성물 총 질량에 대해, 20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은 40 내지 90 중량% 또는 더욱 좋기로는 60 내지 80 중량%이다. p-메톡시벤조산과 같은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조성물 총 질량에 대해, 5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양은 10 내지 60 중량% 또는 더욱 좋기로는 20 내지 4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두 가지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이들 방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산 혼합물, 즉 레불린산 및 파라메톡시벤조산의 염과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하기 개시내용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 (a) 및 (b)의 보다 일반적인 정의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레불린산 및 p-메톡시벤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특히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특히 나트륨염은 개별적으로 제조된 다음 후속적으로 두 성분을 분말 형태로 혼합함으로써 조합된다. 발생할 수 있는 두 가지 문제는: 1) 서로 다른 입자 크기로 인한 브라질 너트 효과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발생한다는 것과 2) 두 염의 흡습성이 다르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한 입자 크기가 얻어지도록 혼합물을 분쇄함으로써 브라질 너트 효과를 피할 수 있다. 물론, 당업자는 입자가 특정 크기 분포를 나타낼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분포는 상기 언급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좁다. 이것은 육안 검사 또는 정적 광산란(레이저 회절)과 같은 입자 크기 분포를 결정하는 잘 알려진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자 크기 분포는 3P Instruments GmbH & Co. KG(독일 오델즈하우젠 소재)에서 입수가능하고, 0.02 내지 2,600 μm 범위의 입자 크기 및 모양 측정에 적합한 Bettersizer 2600 기기를 분석기로 사용하여 ISO 13322 "입자 크기 분석 - 레이저 회절 방법"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레불린산 나트륨과 같은 흡습성이 높은 물질의 분쇄는 혼합 용기를 건조 공기,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무수분 기체 분위기에서 작동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기체의 수분 함량은 100 ppm 미만이어야 한다. 높은 온도는 수분 흡수를 촉진하므로 피해야 한다. 비흡습성 p-메톡시벤조산염의 존재는 혼합물의 흡습성을 감소시키는 데 추가로 도움이 된다. 혼합물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레불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은 40 내지 90 중량%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이다. p-메톡시벤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5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양은 10 내지 60 중량%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이다. Bettersizer 2600 및 DIN ISO 13320을 사용하여 측정시, 일반적으로 약 0.5 μm 내지 약 100 μm의 입자 크기 범위가 달성된다. 입자의 적은 비율은 표시된 범위를 상회 또는 하회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입자의 비율은 약 1%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입자 크기 분포는 다음 D 값을 특징으로 한다: D10: 4 - 10 μm; D50: 10 - 25 μm; D90: 30 - 50 μm. D 값은 표시된 값 이하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중량 백분율을 의미한다. 이것은 전술한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분무-건조에 의해 제조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 두 가지 산 모두를 물 및/또는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과 같은 적절한 용매에 첨가한다. p-메톡시벤조산은 물(20℃에서 0.3mg/ml)보다 에탄올(20℃에서 50mg/ml)에서 훨씬 더 나은 용해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대체 용매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혼합물은 70-90 중량% 물 및 10-30 중량% 알코올로 이루어진 수용액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 두 산 모두의 염이 형성될 때까지 알칼리 금속염기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기를 첨가하여 pH 값을 증가시킨다. 테스트 결과, 물이 용매로 사용되는 경우 산의 총 농도는 35 중량% 미만이어야 하는데, 이는 이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침전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용액의 적합한 조성은 30 중량% 산, 9.75 중량%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및 60.25 중량% 물로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이 혼합물을 분무 건조하다. 이러한 분무 건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무 건조 방법의 구체예를 예시한다. pH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레불린산과 p-메톡시벤조산을 물에 용해시키고 액체 용기(8)에 첨가한다. 혼합물을 디스펜서(4)로 펌핑하고 히터(6)와 결합된 팬(1)으로부터 받은 뜨거운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다. 건조된 입자는 팬(1)이 구비된 사이클론 분리기(2)에서 분리된다. 분무 건조 단계에서, 이 단계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일정량의 열은 전술한 두 가지 산의 염 형성 동안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이 구체예의 중요한 장점은, 한편으로 모든 입자가 두 산의 최종 혼합물로 구성되기 때문에 브라질 너트 효과가 일어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레불린산염이 존재함으로써 용해도가 낮은 p-메톡시벤조산염 결정의 형성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스널 케어 제형에서 레불린산 및 p-메톡시벤조산의 취급 및 적용이 크게 개선되었다. 운임 비용, 운송 매개 환경 영향, 포장 재료 및 보관 면적을 크게 줄이는 동시에 팜유 유래 원료를 피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항균력이나 사용편의성 면에서 흠잡을 데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기 실시예에 개시된 구체예들을 들어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에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퍼스널 케어 제형에서의 적용 예가 제공된다. 고체 항균 혼합물은 4:1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3:1 비율의 레불린산 나트륨 및 p-메톡시벤조산 나트륨의 조합이다. 분무 건조에 의해 솜털 같은 흰색 고체 혼합물이 생성되며 이것은 약 0.5 μm 내지 약 100 μm 범위의 입자 크기 분포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입자 크기 분포는 DIN 방법 ISO 13320에 따라, 0.02 내지 2,600 μm(습식 분산) 범위 및 0.1 내지 2,600 μm(높은 검출기 밀도(92개)로 큰 산란각 범위(0.016°내지 165°)에 걸친 건조 분산) 범위의 입도 측정치에 적합한 3P Instruments로부터 입수가능한 Bettersizer 2600을 사용하여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기기를 사용하여 결정된 특정 입자 크기 분포는 도 4에 재현되어 있다.
실시예 1 - 노화방지 세럼
실시예 1의 노화방지 세럼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3
이 제형은 실온에서 제조할 수 있다. 상 A의 모든 성분을 결합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다. Cosphaderm® LAAS 나트륨을 상 A에 첨가하고 필요한 경우 pH를 5.5 ± 0.05로 조정하다.
실시예 2 - 컨디셔닝 샴푸
실시예 2의 컨디셔닝 샴푸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4
상 A를 합하고 모두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상 B를 조합하고 두 상이 개별적으로 최대 50℃가 될 때까지 가열된다. 상 A는 가볍게 교반하면서 상 B에 첨가한다. 기포는 피해야 한다. pH를 5.0 ± 0.05로 조정한다.
실시예 3 - 미셀 워터(Micellar Water)
실시예 3의 미셀 워터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5
상 A의 모든 성분을 실온에서 천천히 교반하면서 혼합한다. 상 B를 상 A에 첨가한다. pH를 5.5 ± 0.05로 조정한다.
실시예 4 - 보습 데이크림
실시예 4의 보습 데이 크림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6
상 A: 모든 성분을 한데 혼합한다.
상 B: Cosphaderm® X 34 및 Aristoflex AVC를 격렬한 교반 하에 상 A에 천천히 첨가한다. 성분들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500rpm에서 약 15분 동안 교반을 계속한다. 그런 다음 80℃까지 가열한다.
상 C: 모든 성분을 한데 혼합하고 80℃까지 가열한다.
상 C를 상 A+B에 첨가하고 약 10분 동안 격렬한 교반을 통해 균질화한다.
상 D를 격렬한 교반 하에 40℃ 미만에서 첨가한다. 필요한 경우 pH를 조정한다.
실시예 5 - 민감 피부용 핸드워시(sensitive handwash)
실시예 5의 민감 피부용 핸드워시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7
이 제형은 실온에서 제조될 수 있다. 상 A를 조합하고 모든 성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다. 상 B을 혼합하고 상 A에 첨가한다. pH를 교반하면서 5.5 ± 0.05로 조정한다.
실시예 6 - 수딩 투인원-메이크업 리무버(Soothing 2-in-1Makeup Remover)
실시예 6의 수딩 투인원-메이크업 리무버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8
상 A의 모든 성분을 실온에서 천천히 교반하면서 혼합한다. 모든 성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상 B를 혼합하고 상 B를 상 A에 첨가하다. 상 A+B의 pH를 5.5 ± 0.05로 조정하다. 상 C를 합하고 교반 없이 상 A+B에 첨가한다.
도면 참조 부호
1: 팬
2: 건조 제품
3: 사이클론 분리기
4: 디스펜서
5: 건조실
6: 히터
7: 펌프
8: 액체 용기

Claims (15)

  1. (a)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및 (b)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a)는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b)는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2. (a)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및 (b)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은 벤조산, 살리실산, 소르브산, 신남산 및 p-메톡시벤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는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b)는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3. (a) 레불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및 (b) p-메톡시벤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a)는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b)는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성분 (a) 및 성분 (b), 특히 레불린산 및 p-메톡시벤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포함하는 액체 혼합물을 분무 건조함으로써 수득가능한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성분 (a), 특히 분말 형태의, 레불린산의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과 성분 (b), 특히 특히 분말 형태의, p-메톡시벤조산의 알칼리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조합한 다음 후속적으로 상기 두 가지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된 분말을 수득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여기서 최종 혼합물 중 상기 두 가지 성분의 분말 입자의 크기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조성물.
  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입자 크기는 약 0.5 μm 내지 약 100 μm의 범위이고, 정적 광산란에 의해 측정되는 D90 값은 특히 30 내지 50 μm의 범위인 조성물.
  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은 나트륨 또는 칼륨, 특히 나트륨인 조성물.
  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성분 (a) 및 (b)로 구성된 것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 및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포함하는 액체 혼합물을, 상응하는 산을 용매에 첨가하고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을 추가로 첨가하여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분무 건조하여 분무 건조된 분말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분말 형태의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및 분말 형태의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혼합하되, 상기 두 성분의 입자 크기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분무 건조에 사용된 액체 혼합물은 물 및 알코올, 특히 에탄올, 및 알칼리 금속염을 함유하는 용액이고, 여기서 알칼리 금속염은 특히 나트륨인 방법.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먼저 레불린산 및 p-메톡시벤조산을 물 및/또는 알코올, 특히 에탄올에 용해 및/또는 분산시킨 다음,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특히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분무 건조를 위한 액체 혼합물을 수득하는 방법.
  13. 제9항,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액체 혼합물은 다음 조성: 아니스산: 5-15 중량%, 레불린산: 15-40 중량%,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5-15 중량%을 갖는 것인 방법.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조성물 또는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으로부터 얻은 조성물의, 화장품, 피부과 또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서의 미생물 성장 억제용 용도.
  15. 제14항에 있어서,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레불린산 나트륨이고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p-메톡시벤조에이트 나트륨인 용도.
KR1020217034195A 2019-03-26 2020-03-25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염 및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염을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 KR202101432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65083.7A EP3714694A1 (en) 2019-03-26 2019-03-26 Powder compositions comprising salts of c4 to c10 oxocarboxylic acids and of unsaturated or aromatic c6 to c10 carboxylic acids
EP19165083.7 2019-03-26
PCT/EP2020/058364 WO2020193632A1 (en) 2019-03-26 2020-03-25 Powder compositions comprising salts of c4 to c10 oxocarboxylic acids and of unsaturated or aromatic c6 to c10 carboxylic aci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259A true KR20210143259A (ko) 2021-11-26

Family

ID=6599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195A KR20210143259A (ko) 2019-03-26 2020-03-25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염 및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염을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83288A1 (ko)
EP (2) EP3714694A1 (ko)
JP (1) JP2022524591A (ko)
KR (1) KR20210143259A (ko)
CA (1) CA3130127A1 (ko)
WO (1) WO202019363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8359B2 (ja) * 2001-05-01 2008-11-12 株式会社ディーエイチシー 美白化粧料
JP4919547B2 (ja) * 2001-07-10 2012-04-18 株式会社ディーエイチシー 美白化粧料
JP2003226641A (ja) 2001-12-10 2003-08-12 Microbiotech Co Ltd レブリン酸及びその誘導体を含んだ抗生剤、機能性化粧品及び機能性食品
DE502005001057D1 (de) 2005-04-08 2007-08-30 Straetmans Gmbh Dr Konzentrierte, wässrige Lösungen von p-Methoxybenzoesäure für den Einsatz in kosmetischen und dermatologischen Formulierungen
ITTO20070857A1 (it) * 2007-11-28 2009-05-29 Cristina Capelli Composizione conservante, metodo per la sua preparazione, suo uso e sua formulazione
JP2010270083A (ja) * 2009-05-25 2010-12-02 Cristina Capelli 防腐剤組成物、その使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製剤
KR101189344B1 (ko) * 2010-06-23 2012-10-0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자가-보존성 스킨케어 조성물
FI124441B (fi) * 2011-07-18 2014-08-29 Polar Glucan Oy Uudenlaisia viljatuotteita, niiden valmistus ja käyttö, ja niitä sisältäviä kosmetiikkaformulaatioita
GB201411913D0 (en) * 2014-07-03 2014-08-20 Lb46 Ltd Cosmetic methods and products
WO2016115159A1 (en) * 2015-01-12 2016-07-21 Silk Therapeutics, Inc. Preserved silk protein fragment compositions and articles
EP3520785A4 (en) * 2016-10-09 2020-05-27 Shenzhen Eulikan Biotechnology Co., Ltd. USE OF A FORMULA CONTAINING A BACTERIOSTATIC AGENT FOR THE PREPARATION OF A COMPOUND FOR VAGINAL APPLICATION AND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4591A (ja) 2022-05-09
EP3714694A1 (en) 2020-09-30
CA3130127A1 (en) 2020-10-01
EP3923720A1 (en) 2021-12-22
US20220183288A1 (en) 2022-06-16
WO2020193632A1 (en)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393B1 (ko) 미녹시딜 함유 제제
KR100883229B1 (ko)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조성물
EP3496534B1 (en) Liquid concentrate for preservation
TWI791684B (zh) 在內相中穩定化高含量爐甘石的水包油型化妝料組合物及其化妝品
JPH0777603B2 (ja) 粒子分散剤
KR20210143259A (ko) C4 내지 c10 옥소카르복실산의 염 및 불포화 또는 방향족 c6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염을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
JP2015227354A (ja) モメタゾンとプロピレングリコールとの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
TW201513790A (zh) 適用於嬰兒食品調配物之葉黃素組成物
KR100726720B1 (ko) 수난용성 활성물질을 하이드록시알킬화 사이클로덱스트린과리포좀으로 이중 안정화 시킨 나노캡슐 리포좀 조성물
US10322078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3-O-alkyl-L-ascorbic acid or salt thereof
US5275806A (en) Topical compositions for protection against ultraviolet radiation
JPWO2013065705A1 (ja) 粉末化粧料
TW202106282A (zh) 毛髮化妝材料
JPS59139920A (ja) 乳化組成物
KR101852249B1 (ko) 화장품용 에멀전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308381A (ja) 油中水乳化剤形の皮膚外用剤
JPH0372202B2 (ko)
US4122187A (en) Sorbic acid composition having improved quality
JPH11209231A (ja) 多価アルコール脂肪酸エステル組成物
BR112020012061A2 (pt) misturas estáveis para armazenamento
JP5303343B2 (ja) 着色紙、着色ペーパーモールド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04203835A (ja) フェルラ酸含有組成物
BR112020012070A2 (pt) misturas estáveis para armazenamento
JP2023096889A (ja) フェルラ酸溶液、フェルラ酸含有粒子の製造方法、フェルラ酸含有粒子、紫外線吸収剤、および、化粧品原料
JP2003171213A (ja)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