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151A -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 Google Patents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151A
KR20210143151A KR1020210158243A KR20210158243A KR20210143151A KR 20210143151 A KR20210143151 A KR 20210143151A KR 1020210158243 A KR1020210158243 A KR 1020210158243A KR 20210158243 A KR20210158243 A KR 20210158243A KR 20210143151 A KR20210143151 A KR 20210143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moving plate
elevat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742B1 (ko
Inventor
김인겸
Original Assignee
김인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겸 filed Critical 김인겸
Priority to KR102021015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74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Transfer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4Rollers, rails or oth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fo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동불편자의 목욕, 대소변 등이 가능한 다용도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용도 침대 상에 거동불편자 침대의 반대측으로 수발자가 들어갈 수 있는 출입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발자 혼자 거동불편자를 이동판에 올려 본체프레임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본체프레임의 전후측으로 복수의 출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거동불편자가 누워있는 방향에 관계없이 거동불편자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A Multifunctional Bed for Immovable Person}
본 발명은 거동불편자의 목욕, 대소변 등이 가능한 다용도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용도 침대 상에 거동불편자 침대의 반대측으로 수발자가 들어갈 수 있는 출입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발자 혼자 거동불편자를 이동판에 올려 본체프레임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본체프레임의 전후측으로 복수의 출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거동불편자가 누워있는 방향에 관계없이 거동불편자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불편자라 함은 여러 가지 이유로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워 타인(이하 '수발자'라 함)의 도움을 받아야만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하며, 와상 생활을 하는 노인, 중환자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거동불편자를 목욕시키는 일반적인 방법은 수발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거동불편자를 목욕을 위한 별도의 침대로 옮긴 후 목욕을 위한 공간으로 이송하고, 목욕이 끝난 후에도 다시 목욕을 위한 침대에서 일반침대로 옮기는 작업을 해야만 한다.
또한, 거동불편자를 옮기는 작업은 수발자 혼자 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최소한 두 명의 수발자가 환자의 머리쪽과 발쪽에서 어깨, 종아리 부분 등을 들어올려 옮기도록 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거동불편자에게 신체적인 불편함이나 무리함을 주게 되고 낙상의 위험이 있으며, 수발자에게도 큰 무리가 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거동불편자의 목욕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침대판을 이동시켜 환자의 이송을 편리하게 하는 침대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환자의 침대는 환자의 머리와 발측에도 안전을 위한 프레임이 세워져 있는바, 거동불편자를 환자 이송용 침대 위로 올려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수발자가 이송용 침대를 환자 침대 옆에 붙인 후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거동불편자를 침대판으로 올리고 다시 침대판을 이송용 침대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실시해야만 했다.
따라서, 거동불편자를 이동시키는데 여전히 불편함이 존재하였으며 거동불편자가 누워있는 침대 양측으로 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않는 한 수발자가 침대판 근처로 접근할 수 없어 침대판으로 환자를 이동시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027075호(2011.03.29. 등록)"환자 이동용 침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용도 침대 상에 거동불편자 침대의 반대측으로 수발자가 들어갈 수 있는 출입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발자 혼자 거동불편자를 이동판에 올려 본체프레임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의 전후측으로 복수의 출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거동불편자가 누워있는 방향에 관계없이 거동불편자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판에 파지부를 형성하여 이동판을 이용한 거동불편자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판의 중앙측에 개폐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거동불편자의 대소변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판을 본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동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거동불편자의 침대 높이에 따라 지지부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침대 높이에 상관없이 거동불편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는 바닥을 따라 이동하며, 이동판이 지지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며, 거동불편자의 침대에 안착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 및 가이드프레임 상을 이동하며, 거동불편자를 눕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형성되는 반대측을 통해 수발자가 들어갈 수 있는 출입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출입공간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이동판을 지지하며 이동판이 이동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본체프레임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지지부와, 본체프레임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지지부와, 상기 전단지지부 및 후단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본체프레임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형성되는 본체프레임의 일측에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형성되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수발자가 이동판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이동판의 중앙측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이동판의 중앙측에 관통형성되는 개방공과, 상기 개방공을 개폐하는 개폐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덮개는 파지가 가능한 삽입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는 상기 이동판을 본체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지지되어 회전하며,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에 있어서, 상기 걸림모듈은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고정공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수발자의 누름에 따라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누름부와, 상기 회전부와 누름부 사이에 형성되어 걸림모듈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부가 고정공을 향해 회전하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는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은 바닥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바닥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바닥이동부 및 중앙지지부 사이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되며, 중앙지지부를 지지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바닥이동부 및 중앙지지부에 형성되어 승강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지지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이 승강지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중앙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프레임 및 승강지지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전후 양측의 승강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바닥이동부 및 연결부재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그 작동에 따라 연결부재를 밀거나 당기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용도 침대 상에 거동불편자 침대의 반대측으로 수발자가 들어갈 수 있는 출입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발자 혼자 거동불편자를 이동판에 올려 본체프레임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의 전후측으로 복수의 출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거동불편자가 누워있는 방향에 관계없이 거동불편자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판에 파지부를 형성하여 이동판을 이용한 거동불편자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판의 중앙측에 개폐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거동불편자의 대소변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판을 본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동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거동불편자의 침대 높이에 따라 지지부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침대 높이에 상관없이 거동불편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이드프레임이 거동불편자 침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판이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거동불편자 침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이동판의 저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파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판의 평면도(a) 및 측단면도
도 7은 승강수단의 사시도
도 8은 승강수단의 측면도(a) 및 평면도(b)
도 9는 거동불편자 침대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침대로 거동불편자를 옮기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침대로부터 거동불편자 침대로 거동불편자를 옮기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를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다용도침대는 바닥을 따라 이동하며, 이동판(3)이 지지되는 본체프레임(1)과; 상기 본체프레임(1)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며, 거동불편자의 침대(B)에 안착되는 가이드프레임(2)과; 상기 본체프레임(1) 및 가이드프레임(2) 상을 이동하며, 거동불편자를 눕히는 이동판(3)과; 상기 이동판(3)을 본체프레임(1)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과; 상기 이동판(3)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침대는 도움을 받아야만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거동불편자의 목욕, 대소변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대상에 수발자가 거동불편자의 침대(B)로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발자 혼자서도 거동불편자를 거동불편자의 침대(B)에서 상기 다용도침대로 쉽게 옮길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수발자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침대를 거동불편자의 침대(B) 옆으로 옮겨 이동판(3)을 거동불편자 침대(B) 상으로 이동시키고, 다용도침대 상에서 거동불편자 침대(B)에 접근하여 이동판(3)에 거동불편자를 눕히도록 한 다음, 이동판(3)을 다시 다용도침대 상으로 옮겨 다용도침대 상에서 목욕, 대소변 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발자 혼자 큰 무리없이 신속하게 거동불편자의 목욕 등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의 A,B,C,D,E,F 방향을 상하좌우전후 방향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은 상기 이동판(3)을 지지하며, 바닥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으로, 일정 강성의 금속제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다용도침대의 지지골격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프레임(1)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이동판(3)을 지지하는 지지부(11)와, 지지부(11)와 가이드프레임(2)을 연결하는 연결부(12)와, 바닥에 형성되어 바닥을 따라 이동하는 바닥이동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는 이동판(3)을 지지하여 이동판(3) 상에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지지부(11)는 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수발자가 들어가 거동불편자 침대(B)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거동불편자를 이동판(3) 상에 옮기는 작업이 수발자 혼자서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부(11)는 이동판(3)을 지지하면서 이동판(3)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지지부(11) 상을 이동하는 이동판(3)은 거동불편자 침대(B) 상에 펼쳐지는 가이드프레임(2) 상을 따라 거동불편자 침대(B) 상에 안착되고, 수발자는 지지부(11)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 거동불편자 침대(B) 상에 안착된 이동판(3) 위로 거동불편자를 쉽게 옮길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11)는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전단지지부(11'), 중앙지지부(11''), 후단지지부(11''')를 포함하여, 지지부(11)의 전측과 후측에 수발자가 들어갈 수 있는 출입공간(111)을 두개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발자는 전측 또는 후측의 출입공간(111)에 들어가 거동불편자를 이동판(3) 상으로 옮길 수 있게 된다. 거동불편자를 이동판(3) 상에 옮기는 작업은 거동불편자의 머리를 포함한 상체를 옮기는 과정이 중요하고 힘이 많이 드는 과정으로, 거동불편자의 머리 위치에 따라 전측 또는 후측의 출입공간(111)으로 수발자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거동불편자의 머리 위치에 관계없이 거동불편자를 이동판(3) 상에 옮기는 과정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단지지부(11'), 중앙지지부(11''), 후단지지부(11''') 각각은 이동판(3)이 지지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레일(112)과, 거동불편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차단프레임(113)을 공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12)은 상기 이동판(3)이 지지되어 이동하는 구성으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동판(3)의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동판(3)의 이동부(31)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깊이 함입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차단프레임(113)은 이동판(3) 상에 누운 거동불편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2)의 반대측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거동불편자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12)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11) 각각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전단지지부(11'), 중앙지지부(11''), 후단지지부(11''')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 방향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부(12)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이 형성되는 측에만 형성되어 가이드프레임(2)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단지지부(11'), 중앙지지부(11''), 후단지지부(11''') 사이의 출입공간(111)으로 수발자가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닥이동부(13)는 바닥에 지지되어 바닥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으로, 바퀴 등이 형성되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이동부(13)와 지지부(11) 사이에는 상기 승강수단(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승강수단(5)의 작동에 따라 지지부(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수단(5)은 중앙지지부(11'')와 바닥이동부(13) 사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은 상기 본체프레임(1),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지지부(1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동판(3)에 의한 거동불편자의 이동시 외측으로 회전하여 거동불편자의 침대(B)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2)은 거동불편자 침대(B)에 안착된 가이드프레임(2) 상을 이동판(3)이 이동하여 거동불편자 침대(B)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측으로 이동레일(2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레일(21) 상을 이동판(3)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이동레일(21)은 상하 방향, 가이드프레임(2)이 거동불편자 침대(B)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레일(21) 상에 이동판(3)의 이동부(31)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21)은 전후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동판(3)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2)은 이동레일(21)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22)를 통해 이동레일(21)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판(3)은 상기 지지부(11) 상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1) 및 가이드프레임(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거동불편자를 다용도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판(3)은 지지부(11)의 가이드레일(112) 및 가이드프레임(2)의 이동레일(21)을 따라 거동불편자 침대(B) 측으로 이동하여 거동불편자 침대(B)에 안착되며, 이동판(3) 상에 거동불편자를 눕힌 상태에서 다시 지지부(11) 상으로 당기도록 하는데, 이때 이동판(3)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쉽게 당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판(3)의 중앙부에는 관통되는 지점을 형성하여 이동판(3) 상에서 거동불편자의 대변, 소변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판(3)은 이동부(31), 파지부(32), 개폐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31)는 이동판(3)의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3)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이동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31)는 가이드레일(112) 및 이동레일(21)에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2)는 이동판(3)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2)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이동판(3)에 거동불편자가 누운 상태에서 이동판(3)을 잡고 쉽게 당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지부(32)는 일 예로, 이동판(3)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파지공(3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파지공(321)을 잡고 이동판(3)을 쉽게 당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손잡이(322)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거동불편자의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파지부(32)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발자가 잡고 당길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3)는 이동판(3)의 중앙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동판(3)에 거동불편자가 누운 상태에서 대소변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부(33)는 이동판(3)을 관통하는 개방공(331)과 개방공(331)을 개폐하는 개폐덮개(3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폐덮개(332)에는 삽입공(332a)이 관통형성되어 개폐덮개(332)의 개폐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거동불편자는 상기 개방공(331)을 통해 누운 상태에서의 대소변이 가능하며, 개폐덮개(332)는 삽입공(332a)을 파지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거동불편자가 누운 상태에서 개폐덮개(332)와의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4)은 상기 이동판(3)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이동판(3)이 임의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판(3)은 가이드프레임(2)이 세워져 있는 경우 좌우 방향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으나, 거동불편자의 이동을 위해 가이드프레임(2)을 거동불편자 침대(B)에 안착시킨 경우에는 이동판(3)이 임의로 움직여 거동불편자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4)은 평상시 이동판(3)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며, 이동판(3)의 이동시에만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수단(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모듈(41), 고정공(42), 함입홈(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모듈(41)은 이동판(3)을 걸어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프레임(1), 더욱 정확하게는 중앙지지부(11'')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모듈(41)은 회전에 따라 이동판(3)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며, 평상시에는 이동판(3)을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수발자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에만 회전하여 이동판(3)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모듈(41)은 회전부(411), 누름부(412), 탄성체(413), 회전축(4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411)는 고정공(42)에 삽입되어 걸리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축(414)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411)는 그 끝단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단(411a)을 포함하여 걸림단(411a)이 고정공(42)에 삽입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이동판(3)이 움직이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부(4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걸림단(411a)이 고정공(4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413)에 의해 회전력을 받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411)는 걸림단(411a)의 반대측으로 누름부(41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누름부(412)를 누름에 따라 회전부(411)가 ⓑ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단(411a)을 고정공(42)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함으로써 이동판(3)을 거동불편자 침대(B)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부(412)는 회전부(411)와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에 따라 회전부(4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부(411)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412)는 수발자에 의해 더욱 쉽게 눌려 걸림단(411a)을 고정공(42)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체(413)는 상기 회전부(411)를 ⓐ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부(411)와 본체프레임(1)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회전축(414) 상에 형성되어 회전부(411)를 항상 ⓐ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413)는 상기 회전부(411)의 걸림단(411a)이 고정공(4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이동판(3)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축(414)은 상기 걸림모듈(41)의 회전중심이 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부(411)와 누름부(412)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411) 및 누름부(412)가 회전축(414)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14)은 상기 본체프레임(1)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누름부(412)를 누름에 따라 회전부(411)를 ⓑ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단(411a)이 고정공(4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공(42)은 상기 이동판(3) 상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부(411)의 걸림단(411a)이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상기 고정공(42)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이동판(3)이 거동불편자 침대(B)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함입홈(43)은 상기 이동판(3)의 끝단에서 일정길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2)의 반대측 끝단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입홈(43) 상에 상기 걸림모듈(41)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함입홈(43)은 고정공(42)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걸림모듈(41)에 의해 이동판(3)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함입홈(43)은 상기 걸림모듈(41)이 이동판(3)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이동판(3) 내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걸림모듈(41)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걸림모듈(41)이 이동판(3)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발자 등과의 부딪힘을 유발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수단(5)은 거동불편자 침대(B)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지지부(11)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이동부(13)와 중앙지지부(11'') 사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51), 승강지지프레임(52), 승강구동수단(53), 지지판(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51)은 그 회전에 따라 지지부(11)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한 쌍이 서로 교차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승강프레임(51)은 그 중심부가 연결되어 서로 교차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각 양 끝단이 바닥이동부(13) 및 지지부(11)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승강지지프레임(52)에 지지되어 승강지지프레임(5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51)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지부(11)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프레임(51)은 상기 승강구동수단(53)에 의해 당겨지거나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프레임(51)을 따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여 지지부(11)를 승강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프레임(51)은 양 끝단에 승강지지프레임(52)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삽입롤러(511)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롤러(511)는 상기 승강지지프레임(52)에 지지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승강지지프레임(52)의 후술할 수용단(521)에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삽입롤러(511)는 승강프레임(51)의 양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이동부(13) 및 지지부(11)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지지프레임(52)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지지프레임(52)은 바닥이동부(13) 및 지지부(11)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승강프레임(51)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승강프레임(51)의 좌우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지지프레임(52)은 바닥이동부(13) 및 지지부(11)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승강프레임(51)의 양 끝단을 지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승강프레임(51)과 같이 전후 방향으로도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승강프레임(5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지지프레임(52)은 승강프레임(51)의 지지를 위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수용단(521)이 상하단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승강프레임(51)의 삽입롤러(511)가 수용단(521)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53)은 상기 승강프레임(51)에 연결되어 승강프레임(51)을 밀거나 당기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에 따라 승강프레임(51)이 승강지지프레임(5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여 지지부(1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구동수단(53)은 승강실린더(531) 및 연결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531)는 지지부(11)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일단은 상기 연결부재(53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이동부(13)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531)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작동에 따라 연결부재(532)를 밀거나 당겨, 연결부재(532)와 결합된 승강프레임(51)이 밀리거나 당겨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실린더(531)는 별도의 조작수단과 연결되어 수발자에 의해 그 작동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32)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승강프레임(51)에 양단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승강실린더(531)에 의해 밀리거나 당겨지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532)는 그 중심측에 승강실린더(531)의 끝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승강실린더(531)의 작동에 따라 승강프레임(5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54)은 상기 지지부(11) 및 승강지지프레임(52)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너비의 판으로, 상기 중앙지지부(11'')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54)은 상기 중앙지지부(11'')가 승강지지프레임(52)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승강구동수단(53)에 의한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침대를 이용한 거동불편자의 이동과정을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거동불편자 침대(B)의 거동불편자를 다용도침대로 옮기기 위해서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침대를 거동불편자 침대(B)에 접근시켜 가이드프레임(2)이 거동불편자 침대(B)에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판(3)의 고정수단(4)을 해제하여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3)을 가이드프레임(2)을 따라 거동불편자 침대(B) 상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거동불편자는 모로 누운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발자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공간(111)에 들어가 모로 누운 거동불편자를 이동판(3) 상에 눕히게 되며,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동불판자를 이동판(3) 상에 완전히 눕힌 상태에서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3)의 파지부(32)를 당겨 이동판(3)을 지지부(11) 상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2)을 회전시켜 세우도록 하며, 목욕, 대소변 등을 위한 별도의 공간으로 다용도침대를 옮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목욕 등을 마친 거동불편자를 거동불편자 침대(B)로 옮기는 과정은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침대를 거동불편자 침대(B)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이드프레임(2)을 거동불편자 침대(B)로 내리도록 하며, 이때 고정수단(4)에 의해 임의로 이동판(3)이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4)을 해제하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3)을 가이드프레임(2)을 따라 이동시키며,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동불편자를 그대로 돌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동불편자 침대(B)에 모로 누운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발자는 이동판(3)을 다시 지지부(11) 상으로 이동시키며, 가이드프레임(2)을 올려 거동불편자의 이동이 완료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는 거동불편자 침대에 누워있는 거동불편자를 수발자 혼자서도 쉽게 다용도침대로 옮기거나 다용도침대에서 거동불편자 침대로 옮기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복수개로 형성되는 출입공간(111)을 통해 거동불편자가 누워있는 방향에 관계없이 거동불편자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본체프레임
11: 지지부 111': 전단지지부 111'': 중앙지지부
111''': 후단지지부 111: 출입공간 112: 가이드레일
113: 사이드차단프레임 12: 연결부 13: 바닥이동부
2: 가이드프레임 21: 이동레일 22: 지지부재
3: 이동판
31: 이동부 32: 파지부 321: 파지공
322: 손잡이 33: 개폐부 331: 개방공
332: 개폐덮개 332a: 삽입공
4: 고정수단
41: 걸림모듈 411: 회전부 411a: 걸림단
412: 누름부 413: 탄성체 414: 회전축
42: 고정공 43: 함입홈
5: 승강수단
51: 승강프레임 511: 삽입롤러 52: 승강지지프레임
521: 수용단 53: 승강구동수단 531: 승강실린더
532: 연결부재 54: 지지판

Claims (8)

  1. 바닥을 따라 이동하며, 이동판이 지지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며, 거동불편자의 침대에 안착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 및 가이드프레임 상을 이동하며, 거동불편자를 눕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형성되는 반대측을 통해 수발자가 들어갈 수 있는 출입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출입공간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이동판을 지지하며 이동판이 이동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본체프레임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지지부와, 본체프레임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지지부와, 상기 전단지지부 및 후단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본체프레임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형성되는 본체프레임의 일측에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형성되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수발자가 이동판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이동판의 중앙측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이동판의 중앙측에 관통형성되는 개방공과, 상기 개방공을 개폐하는 개폐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덮개는 파지가 가능한 삽입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침대는
    상기 이동판을 본체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지지되어 회전하며,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모듈은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고정공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수발자의 누름에 따라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누름부와, 상기 회전부와 누름부 사이에 형성되어 걸림모듈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부가 고정공을 향해 회전하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침대는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은 바닥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바닥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바닥이동부 및 중앙지지부 사이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되며, 중앙지지부를 지지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바닥이동부 및 중앙지지부에 형성되어 승강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지지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이 승강지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중앙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프레임 및 승강지지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전후 양측의 승강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바닥이동부 및 연결부재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그 작동에 따라 연결부재를 밀거나 당기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KR1020210158243A 2020-02-20 2021-11-17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KR102370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243A KR102370742B1 (ko) 2020-02-20 2021-11-17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125A KR102412077B1 (ko) 2020-02-20 2020-02-20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KR1020210158243A KR102370742B1 (ko) 2020-02-20 2021-11-17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125A Division KR102412077B1 (ko) 2020-02-20 2020-02-20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151A true KR20210143151A (ko) 2021-11-26
KR102370742B1 KR102370742B1 (ko) 2022-03-03

Family

ID=775021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125A KR102412077B1 (ko) 2020-02-20 2020-02-20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KR1020210158243A KR102370742B1 (ko) 2020-02-20 2021-11-17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125A KR102412077B1 (ko) 2020-02-20 2020-02-20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12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9871A (zh) * 2021-09-15 2021-12-07 李粮江 一种护理用卧床病人免翻身辅助护理床
KR102557649B1 (ko) * 2021-10-18 2023-07-19 현대로템 주식회사 의무후송 차량용 환자 승하차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720A (ja) * 1998-07-06 2000-01-18 Takeo Miyamoto 移動用装置
KR200343449Y1 (ko) * 2003-11-25 2004-03-04 강호철 환자용 침대
KR101027075B1 (ko) * 2010-05-03 2011-04-05 김우진 환자 이동용 침대
KR20120123932A (ko) * 2011-05-02 2012-11-12 전정애 환자 이동용 침대
JP5554877B2 (ja) * 2011-03-16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ベッド、及びその分離方法
KR101708454B1 (ko) * 2016-04-25 2017-02-22 (주)코리아베드 환자용 평면 이동침대
KR20170106900A (ko) * 2016-03-14 2017-09-22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휠체어
KR20200105038A (ko) * 2019-02-28 2020-09-0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720A (ja) * 1998-07-06 2000-01-18 Takeo Miyamoto 移動用装置
KR200343449Y1 (ko) * 2003-11-25 2004-03-04 강호철 환자용 침대
KR101027075B1 (ko) * 2010-05-03 2011-04-05 김우진 환자 이동용 침대
JP5554877B2 (ja) * 2011-03-16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ベッド、及びその分離方法
KR20120123932A (ko) * 2011-05-02 2012-11-12 전정애 환자 이동용 침대
KR20170106900A (ko) * 2016-03-14 2017-09-22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휠체어
KR101708454B1 (ko) * 2016-04-25 2017-02-22 (주)코리아베드 환자용 평면 이동침대
KR20200105038A (ko) * 2019-02-28 2020-09-0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077B1 (ko) 2022-06-21
KR20210106219A (ko) 2021-08-30
KR102370742B1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742B1 (ko)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US5148559A (en) Patient conveyance device
US6006376A (en) Patient lifting and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JP6733906B2 (ja) 入浴介護装置
JP2015058054A (ja) 移送装置
WO2018218331A1 (en) Bathing access device for disabled pers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452082B2 (ja) 特殊入浴システムならびに車椅子兼ストレッチャー
JP3034245B1 (ja) 車椅子用の座席ユニット及び車椅子
US11819466B2 (en) Safety system for a bathroom facility transfer system
KR20150004001A (ko) 환자용 목욕 장치
JPH08196573A (ja) 介護移動装置
JP3474094B2 (ja) 介護装置
JP3584263B2 (ja) 入浴システム
KR200450271Y1 (ko) 스탠딩 리프트
JP3862872B2 (ja) 操作容易な入浴装置
JPH04174664A (ja) 寝たきり身体障害者用の移送装置および浴槽
JPH09117478A (ja) 介護用ミニトランスファ装置
JP3202436U (ja) 移乗装置
JP7148123B2 (ja) 入浴用ストレッチャー及び寝位入浴方法
JP2015128523A (ja) 担架
JP2002186648A (ja) 車椅子
JP2963621B2 (ja) 入浴装置
JP4586207B2 (ja) 身体機能障害者の移動用椅子フレーム
TW200524571A (en) The equipment for moving patient without changing patient's pose
JP3063964B2 (ja) 歩行訓練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