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038A -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038A
KR20200105038A KR1020190023617A KR20190023617A KR20200105038A KR 20200105038 A KR20200105038 A KR 20200105038A KR 1020190023617 A KR1020190023617 A KR 1020190023617A KR 20190023617 A KR20190023617 A KR 20190023617A KR 20200105038 A KR20200105038 A KR 20200105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guide
patient
frame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희
박민수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3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5038A/ko
Publication of KR20200105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4Rollers, rails or oth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26Sliding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Transfer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침대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때, 여러 명이 환자를 들어서 옮길 필요 없이 환자가 침대에 머물러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다른 침대로 미끄러지듯이 이동시킴으로써,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환자를 편리하게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SLIP TYPED MEDICAL PURPOSE B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침대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때, 여러 명이 환자를 들어서 옮길 필요 없이 환자가 침대에 머물러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다른 침대로 미끄러지듯이 이동시킴으로써,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환자를 편리하게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사용하는 의료용 침대는 취침, 독서, 식사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침대의 등받이가 수직을 향하도록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상체를 일정부분 일으키거나, 또는 침대의 등받이가 수평을 향하도록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상체를 누이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의료용 침대의 양 옆에는 환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형 보호대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환자나 보호자가 상하로 움직여 사용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의 의료용 침대는 각종 의료시술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단순히 환자가 누워 있거나 또는 누운 상태에서 의료시술을 받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용 침대는 대부분 병실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인 의지로 신체를 가누지 못하는 척수손상, 뇌졸중, 골격계 환자 등과 같이 활동에 많은 제약이 수반되는 중증환자 또는 지체부자유자들은 위생, 수술,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 이동이 용이한 침대로 옮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환자를 의료용 침대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키는 경우, 종래에는 여러 명의 간호사나 보호자가 환자를 직접 들어서 옮겨야 하기 때문에 환자의 몸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피로도가 증가되고,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며, 환자를 다른 침대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낙상하여 다치거나 환자의 체위가 변동되면서 통증이 유발되어 2차적인 치료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침대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때, 환자를 들어서 옮기지 않고 환자가 침대에 머물러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다른 침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환자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를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때, 침대를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 상태에서 매트리스 및 침대 상판을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된 가이드를 통해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2-0123932호(2012.11.12.)는 환자 이동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조가이드레일을 수평상태로 하여 바퀴가 달린 침대판을 밀어 바퀴가 가이드레일과 보조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환자를 옆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보조가이드레일을 하향으로 회전시켜 환자가 침대로 올라가고 내려가기 편리하게 하고, 보조가이드레일을 상향으로 회전시켜 수직상태에서 고정시켜 환자 추락방지용 보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환자 이동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자력으로 거동할 수 없는 환자를 옆 침대로 이동시킬 때 환자가 누워 있는 침대판을 가이드레일과 환자 보호대의 보조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옆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는 환자 이동용 침대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708454호(2017.02.14.)는 환자용 평면 이동침대에 관한 것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부에 바퀴와, 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함과 더불어, 매트를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환자를 보다 용이하게 다른 침대로 옮기거나 다른 침대로부터 옮겨올 수 있는 환자용 평면 이동침대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환자를 다양한 수술 테이블 또는 검사 테이블로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고, 안전하고 빠르게 이송시킬 수 있는 매트를 갖는 환자용 평면 이동침대를 제공함으로써 자력으로 이동이 힘들거나 불가능한 응급환자, 중환자, 골절환자를 2차 손상의 위험 없이 다른 테이블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다수의 조력자 없이도 적은 힘으로 환자를 이송시킬 수 있는 환자용 평면 이동침대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상에서 선행기술들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선행기술들은 환자가 누워 있는 침대판을 가이드레일과 환자 보호대의 보조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옆 침대로 이동시키는 구성, 하부에 바퀴와, 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하여 환자를 보다 용이하게 다른 침대로 옮기거나 다른 침대로부터 옮겨올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침대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때, 환자를 들어서 옮기지 않고 환자가 침대에 머물러 있는 상태에서 침대를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 다음, 매트리스 및 침대 상판을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된 가이드를 통해서 다른 침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환자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들은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침대에서 다른 침대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침대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때, 침대를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 이동 등을 위하여 환자를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때, 환자를 들어서 옮길 필요 없이 환자가 침대에 머물러 있는 상태에서 매트리스 및 침대 상판을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된 가이드를 통해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침대가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어 구성된 경우, 일부 구획만을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일부 구획에 머무르는 동안 다른 침대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는, 하부에 침대용 바퀴가 결합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고, 침대 상판의 일 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 상에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침대 상판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2개의 의료용 침대를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특정 의료용 침대의 가이드에 끼워진 상기 침대 상판을 상기 롤러를 통해 다른 의료용 침대의 가이드에 끼워지도록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특정 의료용 침대에 위치한 환자를 들어 올리지 않고 상기 다른 의료용 침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측면에서 침대 내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가이드 상판, 및 상기 가이드 상판으로부터 소정 거리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형성된 가이드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 하판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는, 상기 침대 상판의 하부에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침대 상판이 상기 가이드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특정 의료용 침대에서 다른 의료용 침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는, 하부에 침대용 바퀴가 결합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고, 침대 상판의 일 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 상기 침대 상판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레일용 바퀴, 및 상기 가이드 상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용 바퀴가 결합되어 상기 침대 상판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2개의 의료용 침대를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특정 의료용 침대의 가이드에 끼워진 상기 침대 상판을 상기 레일용 바퀴 및 레일을 통해 다른 의료용 침대의 가이드에 끼워지도록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특정 의료용 침대에 위치한 환자를 들어 올리지 않고 상기 다른 의료용 침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 구성 방법은, 슬립형 의료용 침대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성 단계, 상기 프레임의 상부 측면에 가이드 상판과 가이드 하판을 포함한 가이드를 형성하는 가이드 구성 단계, 상기 가이드 하판의 상부 또는 상기 침대 상판의 하부에 롤러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침대 상판의 하부에 레일용 바퀴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하판의 상부에 레일을 설치한 다음 상기 레일용 바퀴를 상기 레일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슬라이딩 수단 구성 단계, 상기 침대 상판을 상기 가이드에 끼워 결합하는 침대 상판 결합 단계, 및 상기 침대 상판 상부에 매트리스를 올려놓고 고정시키는 매트리스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에 따르면, 검사, 이동 등을 위하여 환자를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때, 환자가 침대에 머물러 있는 상태에서 매트리스 및 침대 상판을 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를 통해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명의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환자를 들어서 옮길 필요가 없이 한 사람만으로도 환자를 손쉽게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침대를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여 환자를 다른 침대로 이동시키는 것은 물론, 2개의 침대를 종 방향으로 배치하여 환자를 다른 침대로 한 상태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병실 구조나 침대 배치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형 침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를 이용한 횡 방향으로의 환자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를 이용한 종 방향으로의 환자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형 침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동형 침대는 다리, 상판 등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어 환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 보호대(2)와, 상기 프레임(1)의 상부에 구비되는 매트리스(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상기 이동형 침대는 병실에 고정된 형태의 침대에 위치한 환자를 수술, 검사 등을 위해서 이동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환자를 상기 이동형 침대로 이동시킬 때 여러 명의 간호사나 보호자가 환자를 직접 들어 올려 옮기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환자를 상기 이동형 침대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인원이 동원되었고, 이동 과정에서 낙상이나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립형 의료용 침대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환자를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때, 들어서 옮기지 않고 환자가 침대에 머물러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즉 2개의 슬립형 의료용 침대를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 상태에서 매트리스 및 침대 상판을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된 가이드를 통해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100)는 프레임(110), 가이드 상판(121) 및 가이드 하판(122)을 포함하는 가이드(120), 롤러(130), 침대 상판(140), 매트리스(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립형 의료용 침대(10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침대 상판(140) 및 매트리스(150)를 고정하기 위한 락킹(locking) 부재, 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 부재, 2개의 침대를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환자를 이동시킬 때 인접한 침대 간의 높이가 일부 맞지 않더라도 상기 가이드(120)의 입구 부분을 상기 침대 상판(140)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 부재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립형 의료용 침대(100)는 침대의 사방에 칸막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칸막이는 탈부착이 가능하거나 상하로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침대에서 환자가 옮겨 가는데 지장이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슬립형 의료용 침대(10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상부에 침대 상판(140) 및 매트리스(150)가 위치하며, 하부에 침대용 바퀴가 결합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10)은 강철 재질의 단단한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측면에 침대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침대 상판(140)의 일 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때 간호사나 보호자 등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검사, 위생, 수술 등의 이유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침대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2개의 슬립형 의료용 침대(100)를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게 되면, 각 침대에 형성된 가이드(120)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간호사나 보호자가 상기 침대 상판(140) 및 매트리스(150)를 상기 가이드(120)에 끼워서 환자의 이동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120)의 입구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한 침대 간의 높이가 맞지 않는 경우에도 간호사나 보호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상기 침대 상판(140) 및 매트리스(150)를 상기 가이드(120)에 밀어 넣으면 되므로 환자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120)는 가이드 상판(121) 및 가이드 하판(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상판(121)은 상기 프레임(120)의 상부에서 침대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하판(122)은 상기 가이드 상판(121)으로부터 소정 거리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즉 침대 내측 공간)을 연결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하판(122)은 상기 침대 상판(140) 및 매트리스(150)는 물론, 환자의 몸무게를 감당할 수 있다면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 중앙부를 개방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120)는 상기 프레임(110)과 강철 등의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프레임(110)과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롤러(130)는 상기 가이드(120)에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120)에 끼워진 상기 침대 상판(140)이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즉 특정 침대에 위치한 환자를 검사, 이동 등을 위하여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때, 상기 침대 상판(140)의 일부를 상기 가이드(120)에 끼운 상태로 상기 롤러(130)의 슬라이딩을 통해 환자가 위치한 상기 침대 상판(140) 및 매트리스(150)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롤러(130)는 상기 가이드 하판(122)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이외에 상기 롤러(130)는 상기 가이드 하판(122)의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롤러(130)는 상기 가이드 하판(122)과의 결합 상태에 따라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만 움직이거나, 또는 종 방향 및 횡 방향 모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러(130)는 상기 가이드 하판(122)의 상부가 아닌 상기 침대 상판(140)의 하부에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침대 상판(140)의 일부를 상기 가이드(120)에 끼운 상태로 상기 침대 상판(140)을 슬라이딩시켜 환자를 특정 의료용 침대에서 다른 의료용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침대 상판(140)은 측면 일 측이 상기 가이드(120) 내에 삽입된 상태, 즉 상기 가이드 상판(121)의 하부와 상기 가이드 하판(122)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에 매트리스(150)가 놓여진다.
이때 상기 침대 상판(140)은 상기 프레임(120) 및 상기 가이드(130)와 마찬가지로 강철 등의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매트리스(150)는 통상적인 침대 매트리스로서, 상기 침대 상판(140)의 상부에 위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슬립형 의료용 침대(10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침대 상판(140)이 복수의 구획(예를 들어 3등분)으로 나누어 구성되는 경우, 일부 구획만을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일부 구획에 머무르는 동안 다른 침대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현재 사용하는 침대가 상, 중, 하의 3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환자가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이동 대상 침대를 현재 사용 침대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다음, 현재 사용 침대의 중앙 부분만을 이동 대상 침대로 옮겨가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100)는 상기 도 2에 적용된 롤러(130) 구성 대신에, 레일용 바퀴(160) 및 레일(170)을 적용한 실시예이다.
상기 프레임(110)은 하부에 침대용 바퀴가 결합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120)는 가이드 상판(121) 및 가이드 하판(122)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2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침대 상판(140)의 일 측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침대 상판(140)은 측면 일 측이 상기 가이드(120) 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상판(121)의 하부 및 상기 가이드 하판(122)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에 매트리스(150)가 놓여진다.
상기 매트리스(150)는 환자가 이용하는 침대 매트리스이며, 상기 침대 상판(14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레일용 바퀴(160)는 상기 침대 상판(14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레일(170) 내에 결합되며, 바퀴 구동을 통해 상기 침대 상판(140)의 일부를 상기 가이드(120)에 끼운 상태로 상기 침대 상판(140)을 슬라이딩시켜 환자를 특정 의료용 침대에서 다른 의료용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일(170)은 상기 가이드(120)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용 바퀴(160)가 결합되어 상기 침대 상판(140)이 상기 가이드(120)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레일용 바퀴(160)는 상기 침대 상판(140)의 하부 이외에,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레일(170)은 상기 가이드 하판(122)의 상부가 아닌 상기 가이드(120) 내부의 측면에 설치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를 이용한 횡 방향으로의 환자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를 이용한 종 방향으로의 환자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상기 도 4 및 도 5는 상기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환자의 횡 방향 이동을 설명하면, 환자를 다른 침대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간호사나 보호자는 비어 있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즉 이동 대상 침대)를 환자가 위치하고 있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즉 현재 사용 침대)와 횡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그러면 2개의 침대는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120)가 횡 방향으로 마주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간호사나 보호자는 환자가 위치한 침대 상판(140)을 손으로 잡고, 이동 대상 침대가 위치한 횡 방향으로 밀면, 상기 가이드 상판(121)과 가이드 하판(122) 사이의 가이드(120)에 일부가 끼워져 있는 침대 상판(140)이 상기 가이드 하판(122) 상부에 구비된 롤러(130)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현재 사용 침대에서 이동 대상 침대로 이동된다.
그리고 환자가 위치한 침대 상판(140) 및 매트리스(150)를 이동 대상 침대로 모두 이동시킨 다음, 락킹 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침대 상판(140) 또는 매트리스(150)를 고정시키면, 환자의 횡 방향 이동 작업이 마무리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환자의 종 방향 이동 작업을 설명하면, 환자를 다른 침대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간호사나 보호자는 이동 대상 침대를 환자가 위치하고 있는 현재 사용 침대와 종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그러면 2개의 침대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120)가 종 방향으로 마주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간호사나 보호자는 환자가 위치한 침대 상판(140)을 손으로 잡고, 이동 대상 침대가 위치한 종 방향으로 밀면, 상기 가이드 상판(121)과 가이드 하판(122) 사이의 가이드(120)에 일부가 끼워져 있는 침대 상판(140)이 상기 가이드 하판(122) 상부에 구비된 롤러(130)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현재 사용 침대에서 이동 대상 침대로 이동된다.
그리고 환자가 위치한 침대 상판(140) 및 매트리스(150)를 이동 대상 침대로 모두 이동시킨 다음, 락킹 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침대 상판(140) 또는 매트리스(150)를 고정시키면, 환자의 종 방향 이동 작업이 마무리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 구성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의료용 침대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본 발명에 적용된 슬립형 의료용 침대(10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슬립형 의료용 침대(100)의 구성 방법의 순서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먼저 슬립형 의료용 침대(100)의 몸체가 되는 프레임을 형성한다(S100).
예를 들어 다리 부분을 형성하는 수직 프레임 4개를 형성한 다음 각각의 수직 프레임 하부에 침대용 바퀴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수평 프레임으로 연결하여 프레임(11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S100 단계를 통해 상기 프레임(110)을 형성한 이후에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측면에 가이드 상판(121)과 가이드 하판(122)을 포함한 가이드(120)를 형성한다(S200).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20)의 상단에서 침대 내측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상판(121)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상판(121)에서 소정 거리 하부에 가이드 하판(122)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 하판(122)은 침대 전체에 걸쳐 판상으로 형성하거나,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S200 단계를 통해 상기 가이드(120)를 형성한 이후에는, 환자가 위치한 현재 침대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침대 상판(140)을 슬라이딩할 수 있는 구조물을 형성한다(S300).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하판(122)의 상부 또는 상기 침대 상판(140)의 하부에 롤러(130)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침대 상판(140)의 하부에 레일용 바퀴(160)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하판(122)의 상부에 레일(170)을 설치한 다음 상기 레일용 바퀴(160)를 상기 레일(170)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슬라이딩 구조물을 설치한 이후에는, 상기 침대 상판(140)을 상기 가이드(120)에 끼워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하판(122) 상부에 위치되도록 결합하고(S400), 상기 침대 상판(140)의 상부에 환자가 이용하는 매트리스(150)를 올려놓음으로써(S500), 상기 슬립형 의료용 침대(100)의 구성을 모두 마무리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검사, 이동 등을 위하여 환자를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때, 환자가 침대에 머물러 있는 상태에서 매트리스 및 침대 상판을 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를 통해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환자를 들어서 옮길 필요가 없이 손쉽게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침대를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여 환자를 다른 침대로 이동시키는 것은 물론, 2개의 침대를 종 방향으로 배치하여 환자를 다른 침대로 한 상태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병실 구조나 침대 배치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슬립형 의료용 침대 110 : 프레임
120 : 가이드 121 : 가이드 상판
122 : 가이드 하판 130 : 롤러
140 : 침대 상판 150 : 매트리스
160 : 레일용 바퀴 170 : 레일

Claims (6)

  1. 하부에 침대용 바퀴가 결합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고, 침대 상판의 일 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 상에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침대 상판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2개의 의료용 침대를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특정 의료용 침대의 가이드에 끼워진 상기 침대 상판을 상기 롤러를 통해 다른 의료용 침대의 가이드에 끼워지도록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특정 의료용 침대에 위치한 환자를 들어 올리지 않고 상기 다른 의료용 침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측면에서 침대 내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가이드 상판; 및
    상기 가이드 상판으로부터 소정 거리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형성된 가이드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 하판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침대 상판의 하부에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침대 상판이 상기 가이드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특정 의료용 침대에서 다른 의료용 침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
  5. 하부에 침대용 바퀴가 결합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고, 침대 상판의 일 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
    상기 침대 상판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레일용 바퀴; 및
    상기 가이드 상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용 바퀴가 결합되어 상기 침대 상판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2개의 의료용 침대를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특정 의료용 침대의 가이드에 끼워진 상기 침대 상판을 상기 레일용 바퀴 및 레일을 통해 다른 의료용 침대의 가이드에 끼워지도록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특정 의료용 침대에 위치한 환자를 들어 올리지 않고 상기 다른 의료용 침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
  6. 슬립형 의료용 침대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성 단계;
    상기 프레임의 상부 측면에 가이드 상판과 가이드 하판을 포함한 가이드를 형성하는 가이드 구성 단계;
    상기 가이드 하판의 상부 또는 상기 침대 상판의 하부에 롤러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침대 상판의 하부에 레일용 바퀴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하판의 상부에 레일을 설치한 다음 상기 레일용 바퀴를 상기 레일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슬라이딩 수단 구성 단계;
    상기 침대 상판을 상기 가이드에 끼워 결합하는 침대 상판 결합 단계; 및
    상기 침대 상판 상부에 매트리스를 올려놓고 고정시키는 매트리스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의료용 침대 구성 방법.
KR1020190023617A 2019-02-28 2019-02-28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 KR20200105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17A KR20200105038A (ko) 2019-02-28 2019-02-28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17A KR20200105038A (ko) 2019-02-28 2019-02-28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038A true KR20200105038A (ko) 2020-09-07

Family

ID=7247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617A KR20200105038A (ko) 2019-02-28 2019-02-28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50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392A (ko) * 2019-11-28 2021-06-0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이송이 가능한 의료용 베드
KR20210106219A (ko) * 2020-02-20 2021-08-30 김인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KR20220096504A (ko) * 2020-12-31 2022-07-07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환자이송용 침상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392A (ko) * 2019-11-28 2021-06-0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이송이 가능한 의료용 베드
KR20210106219A (ko) * 2020-02-20 2021-08-30 김인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KR20210143151A (ko) * 2020-02-20 2021-11-26 김인겸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KR20220096504A (ko) * 2020-12-31 2022-07-07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환자이송용 침상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7800B1 (en) Methods of using a body sling and patient handling sheets by a single caregiver
US9107510B2 (en) Hospital bed for automatically changing sheets
KR20200105038A (ko)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
US7921484B2 (en) Patient repositioning and limb management system
US20170056263A1 (en) Hospital bed with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hanging bed sheets without disturbing occupied person, also a method of preventing and relieving ulcers
US20090307841A1 (en) System for turning a patient
KR20120123932A (ko) 환자 이동용 침대
US20210346221A1 (en) Automated adjustments for patient support apparatus
US20220023121A1 (en) Method of positioning a patient
KR20200105987A (ko) 신체 위치 변환형 욕창 방지용 침대
US10667973B2 (en) Multi-purpose system for a hospital bed
KR102460807B1 (ko) 환자용 침대 시스템
KR20140055319A (ko) 환자 이송용 분리형 침대
US9700467B2 (en) Intrahospital vehicle for transport and transfer of obese patients
CN217987877U (zh) 组合式医用转运床
JP3207582U (ja) ストレッチャー
KR200464739Y1 (ko) 이동식 병상 세트
US20190151172A1 (en) Multifunctional multi-positional orthopedic mattress
US20220401278A1 (en) Patient Turning Device
KR20240003023A (ko) 변형 가능한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병원용 침대 시스템
WO2014128558A1 (en) A multifunctional bed
Ayrton et al. Ward 17
KR20230126268A (ko) 환자 이송 겸용 침대 및 이의 고정방법
JPH04124139U (ja) ベツドにおける床部構造
CN108113817A (zh) 可用于急救的护理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