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967A -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967A
KR20210137967A KR1020210154748A KR20210154748A KR20210137967A KR 20210137967 A KR20210137967 A KR 20210137967A KR 1020210154748 A KR1020210154748 A KR 1020210154748A KR 20210154748 A KR20210154748 A KR 20210154748A KR 20210137967 A KR20210137967 A KR 20210137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vehicle
displayed
driving
autonom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치 야마노우치
마사하루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1013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27Drive off, accelerating from standst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2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4Tou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60K2360/1442Emulation of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7Vehicle dynamics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5Autonomous driving
    • B60K2370/1434
    • B60K2370/1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6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buttons or a keyboard connected to the on-board proc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조작 장치는, 자동 운전 가능한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의 자동 운전 모드에 의한 주행을 개시시키는 발진 버튼 (50a) 및 자동 운전 모드 중에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 버튼 (50b) 의 적어도 일방,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의 외부를 향한 알림을 실행하기 위한 알림 버튼 (52), 그리고,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이 갖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을 표시 또는 확대시키기 위한 탭 스위치 (54) 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된 터치 패널 (28) 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OPERATION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
본 명세서는,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운전 가능한 자동 운전 차량이 알려져 있다. 자동 운전이란, 조작자 (오퍼레이터) 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가감속 제어, 브레이크 제어, 혹은 스티어링 제어 등을 포함하는 운전 제어를 컴퓨터가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 운전 차량에는, 오퍼레이터가 여러 가지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장치가 형성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6277에는, 자동 운전 차량이 갖는 기기 (공조 등) 를 조작하기 위한 기계식의 스위치가 대시보드 부근에 형성되고, 자동 운전의 온 오프를 실시하기 위한 자동화 온 오프 스위치가 운전석의 측방에 형성된 자동 운전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24521에는, 터치 패널을 구비한 자동 운전 차량으로서, 운전 모드의 변경을 터치 패널에 의해 실시하는 자동 운전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자동 운전 차량이 갖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을 터치 패널에 의해 실시하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기기 제어 버튼을 터치 패널에 표시시키고, 오퍼레이터가 이들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기기의 제어가 실현된다.
자동 운전 차량에 형성된 1 개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복수의 버튼이 필요해지는 경우, 혹은, 자동 운전 차량이 복수의 기기를 갖는 경우 등에는,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기기 제어 버튼의 수가 많아진다. 이와 같이, 터치 패널에 다수의 기기 제어 버튼이 표시되면, 터치 패널의 화면이 번잡화되어, 오퍼레이터가 조작하고자 하는 버튼을 찾는 데에 시간이 걸리는 등, 터치 패널의 조작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특히, 기기 제어 버튼에 추가하여, 발진 제어, 정지 제어, 및 가감속 제어를 포함하는 자동 운전 차량의 차속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차속 제어 버튼, 및, 윙커, 해저드, 혹은 혼의 동작 등의 차량 외부를 향한 알림을 실시하기 위한 알림 버튼을 터치 패널에 표시시키는 경우, 차속 제어 버튼 및 알림 버튼 모두, 조작 빈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거나, 혹은, 오퍼레이터가 재빠르게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상정된다. 따라서, 차속 제어 버튼 및 알림 버튼이 표시되는 터치 패널에 있어서, 복수의 기기 제어 버튼을 표시시킴으로써 터치 패널의 조작성이 저하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지 않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는, 자동 운전 차량의 차속 제어, 차량 외부를 향한 알림, 및 자동 운전 차량이 갖는 기기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터치 패널의 조작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양태는,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양태에 관련된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는, 자동 운전 가능한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의 자동 운전 모드에 의한 주행을 개시시키는 발진 버튼 및 자동 운전 모드 중에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 버튼의 적어도 일방,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의 외부를 향한 알림을 실행하기 위한 알림 버튼, 그리고,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이 갖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기기 제어 버튼군을 표시 또는 확대시키기 위한 탭 스위치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터치 패널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탭 스위치를 조작하기 전에는, 기기 제어 버튼군이 터치 패널에 표시되지 않거나, 혹은, 축소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차속 제어 버튼 (발진 버튼 및 감속 버튼의 적어도 일방) 및 알림 버튼을 포함하는 화면의 번잡화가 억제된다. 이로써, 터치 패널로 자동 운전 차량의 차속 제어 및 차량 외부를 향한 알림에 더하여, 자동 운전 차량이 갖는 기기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터치 패널의 조작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차속 제어 버튼, 알림 버튼, 및 탭 스위치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차속 제어 버튼 또는 알림 버튼을 조작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곧바로 탭 스위치를 조작하여 기기 제어 버튼군을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탭 스위치는,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이 갖는 기기에 대응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탭 스위치가 조작되면, 당해 탭 스위치에 대응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기기 제어 버튼군이 표시 또는 확대되어도 된다.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탭 스위치는, 화면의 상하 좌우 중 어느 단부 (端部) 에 표시되어도 되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화면 중앙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됨으로써, 상기 기기 제어 버튼군이 표시 또는 확대되어도 된다.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의 상태가 상기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어도 된다.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 버튼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표지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중첩되도록 표시 또는 확대되어도 된다.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 버튼군이 표시 또는 확대된 상태에서, 상기 발진 버튼 및 상기 감속 버튼의 적어도 일방, 또는, 상기 알림 버튼이 조작 가능해도 된다.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탭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탭 스위치가 형성되어도 되고, 상기 복수의 탭 스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기 제어 버튼군은, 동시에 표시 또는 확대 가능해도 된다.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탭 스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기와는 상이한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이 갖는 상설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설 기기 제어 버튼이 상기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에 의하면, 자동 운전 차량의 차속 제어, 차량 외부를 향한 알림, 및 자동 운전 차량이 갖는 기기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터치 패널의 조작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및 산업적 중요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며, 첨부된 도면에서 유사 부호는 유사 요소를 나타내며, 그리고 여기서: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 운전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 운전 차량의 차실 내를 나타내는 제 1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 운전 차량의 차실 내를 나타내는 제 2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 운전 차량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 는, 자동 운전 모드로서 자동 운전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의 터치 패널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자동 주행시의 터치 패널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탭 스위치를 슬라이드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기기 제어 윈도우가 표시된 터치 패널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복수의 기기 제어 윈도우가 표시된 터치 패널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외관도이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 있어서, 전 (FR) 및 후의 용어는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를 의미하고, 좌 (LH) 및 우의 용어는 앞을 향했을 때의 좌우를 의미하고, 상 (UP) 및 하는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의미한다.
자동 운전 차량 (10) 은, 대략 직방체로서 전후 대칭의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외관 의장도 전후 대칭으로 되어 있다. 평면에서 볼 때의 네 구석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필러 (12) 가 형성되어 있고, 각 필러 (12) 의 하측에 휠 (14) 이 형성되어 있다.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전후 좌우의 측면벽의 대부분은 반투명의 패널 (16) 로 되어 있다. 패널 (16) 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되어 있어도 되고, 거기에 문자 등이 표시되어도 된다.
좌측면의 일부의 패널 (16) 은 슬라이드 가능한 도어 (18) 로 되어 있고, 당해 도어 (18) 가 슬라이드하여 열림으로써 탑승자가 승강할 수 있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도어 (18) 의 하부에는 출납 가능한 슬로프가 수용되어 있다. 당해 슬로프는, 휠체어의 승강 등을 위해서 사용된다.
또, 자동 운전 차량 (10) 은, 자동 운전 가능한 차량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은, 자동 운전 모드, 반자동 운전 모드, 및 수동 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 모드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자동 운전 모드란, 운전 제어의 대부분을 자동 운전 차량 (10) 에 탑재된 컴퓨터 (운전 제어부 (후술)) 가 실시하는 운전 모드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운전 제어란, 기어 변경 제어, 차속 제어, 스티어링 제어, 혹은,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외부 (차 밖) 로의 알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차속 제어란, 자동 운전 차량 (10) 의 발진 제어, 정지 제어, 및 가감속 제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차 밖으로의 알림이란, 예를 들어, 윙커 동작, 해저드 동작, 혹은 혼의 명동 (鳴動) 등이 포함된다.
자동 운전 차량 (10) 은, 복수의 자동 운전 차량 (10) 을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 센터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고, 자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은, 관리 센터의 제어에 의해 미리 정해진 루트를 주행한다. 자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관리 센터로부터의 운전 지시에 따라서 컴퓨터에 의해 운전 제어가 실시되지만, 정지 상태로부터의 발진 제어만은 자동 운전 차량 (10) 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실시된다.
또, 자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 관리 센터로부터의 제어에 더하여,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서도 차속 제어 및 차 밖으로의 알림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주행 중에, 차속 제어 중 감속 제어가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물론, 감속 제어 이외의 차속 제어가 가능해도 된다. 또, 차 밖으로의 알림 중 윙커 및 해저드의 작동 및 정지, 그리고, 혼의 명동이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자동 운전 모드란, 자동 운전 모드와 동일하게,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운전 제어의 대부분을 자동 운전 차량 (10) 에 탑재된 컴퓨터가 실시하는 운전 모드이다. 반자동 모드에 있어서는, 관리 센터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지 않고, 자동 운전 차량 (10) 에 형성된 여러 가지의 센서 (예를 들어 카메라 혹은 라이더 등) 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컴퓨터가 운전 제어를 실시하고, 미리 정해진 루트를 주행한다. 반자동 운전 모드에 있어서도, 정지 상태로부터의 발진 제어만은 자동 운전 차량 (10) 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실시되고,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서도 차속 제어 및 차 밖으로의 알림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수동 운전 모드란, 자동 운전 차량 (10) 이 자동 운전을 실시하지 않고, 자동 운전 차량 (10) 에 승차한 오퍼레이터가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운전 제어를 실시하는 모드이다.
자동 운전 차량 (10) 은, 불특정 다수의 탑승자가 합승하는 승합형의 차량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은, 특정한 부지 내에 있어서, 규정된 루트를 따라 주행하면서, 승객을 수송하는 버스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자동 운전 차량 (10) 은, 비교적 고빈도로, 정차와 발진을 반복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또, 자동 운전 차량 (10) 은, 비교적 저속 (예를 들어 30 ㎞/h 이하) 으로의 주행이 상정되고 있다.
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이용 형태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예를 들어, 자동 운전 차량 (10) 은, 이동 가능한 비즈니스 스페이스로서 이용되어도 되고, 각종 상품을 진열 판매하는 소매점이나, 음식물을 조리 제공하는 음식점 등의 점포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 다른 형태로서, 자동 운전 차량 (10) 은, 사무 작업이나 고객과의 협의 등을 실시하기 위한 오피스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이용 분야는, 비즈니스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자동 운전 차량 (10) 은, 개인의 이동 수단으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주행 패턴이나 주행 속도도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자동 운전 차량 (10) 은, 원동기로서,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는 구동 모터를 갖는 전기 자동차이다. 당해 배터리는, 충방전 가능한 이차 전지이고, 정기적으로 외부 전력에 의해 충전된다. 또한, 자동 운전 차량 (10) 은, 전기 자동차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형식의 자동차여도 된다. 예를 들어, 자동 운전 차량 (10) 은, 원동기로서 엔진을 탑재한 엔진 자동차여도 되고, 원동기로서 엔진 및 구동 모터를 탑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여도 된다. 또한, 자동 운전 차량 (10) 은, 연료 전지로 발전한 전력으로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수소 자동차여도 된다.
도 2 및 도 3 은,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차실 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자동 운전 차량 (10) 은 버스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차실 내의 중앙부는, 서서 승차하는 탑승자를 위해 혹은 탑승자가 앉은 휠체어를 재치 (載置) 하기 위한 플로어 (20) 로 되어 있다. 또, 차실 내의 측벽을 따라, 탑승자용의 좌석 (22) 이 형성되어 있다.
자동 운전 차량 (10) 에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운전 제어, 차 밖을 향한 알림 (윙커, 해저드, 혼 등), 및, 자동 운전 차량 (10) 이 갖는 각 기기 (에어콘, 와이퍼, 헤드라이트, 테일라이트 등) 의 조작을 실시하는 오퍼레이터용의 오퍼레이터석 (24)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서는, 오퍼레이터석 (24) 의 시트부 (24a) 가 내려져 시트면 (24b) 이 나타난 상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시트부 (24a) 는 튕겨올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퍼레이터석 (24) 은, 차실 내의 좌측면으로서 도어 (18) 의 전측 근방에 형성되어 있지만, 오퍼레이터석 (24) 은, 차실 내의 우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오퍼레이터석 (24) 의 전측에는, 오퍼레이터석 (24) 에 앉은 오퍼레이터가 팔을 두기 위한 전후 방향으로 신장된 아암 레스트 (26)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퍼레이터석 (24) 이 차실 내의 좌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암 레스트 (26) 는 차실 내의 좌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석 (24) 이 차실 내의 우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아암 레스트 (26) 는 차실 내의 우측 단부에 배치된다. 아암 레스트 (26) 는, 착좌 가능 상태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석 (24) 의 시트면 (24b) 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아암 레스트 (26) 의 전단부에는, 아암 레스트 (26) 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세워 설치한 터치 패널 (28)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참조). 터치 패널 (28) 은, 표시면 (조작면) 이 후측 (요컨대 오퍼레이터석 (24) 측) 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석 (24) 에 앉고, 팔을 아암 레스트 (26) 에 두면서, 손으로 터치 패널 (28) 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터치 패널 (28) 에 의해, 차속 제어 지시의 입력, 차 밖으로의 알림 지시의 입력, 자동 운전 차량 (10) 이 갖는 기기에 대한 기기 제어 지시의 입력, 및, 운전 모드의 변경 지시의 입력 등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터치 패널 (28) 의 표시 화면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아암 레스트 (26) 에는, 자동 운전 차량 (10) 에 대해, 운전 제어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기계식 조작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도 된다. 기계식 조작부로는, 예를 들어 전후 좌우로 넘어뜨리는 것이 가능한 스틱상의 것이어도 된다. 기계식 조작부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어느 운전 모드에서도 조작 가능해도 되지만, 주로, 수동 운전 모드일 때에 사용된다.
차실 내의 전측 좌측 구석에는, 자동 운전 차량 (10) 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3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참조). 디스플레이 (30) 에는, 예를 들어,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차속, 외기온, 다음에 정지하는 정류소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조작 장치는, 터치 패널 (28) 및 기계식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자동 운전 차량 (10) 에는, 종래의 자동차 등에 형성되어 있었던, 액셀 페달 혹은 브레이크 페달과 같은, 차속 제어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발로 조작하는 풋 페달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4 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의 기능 블록도이다. 자동 운전 차량 (10) 은, 터치 패널 (28) 에 추가하여, 운전 모드 선택부 (40), 운전 제어부 (42), 및 표시 제어부 (44)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운전 모드 선택부 (40), 운전 제어부 (42), 및 표시 제어부 (44) 는, 프로세서 등의 하드웨어, 및, 당해 하드웨어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협동에 의해 실현된다.
운전 모드 선택부 (40) 는, 오퍼레이터가 터치 패널 (28) 로부터 입력한 운전 모드의 변경 지시에 기초하여, 자동 운전 모드, 반자동 운전 모드, 및 수동 운전 모드 중에서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운전 모드를 선택한다.
운전 제어부 (42) 는, 운전 모드 선택부 (40) 가 선택한 운전 모드에 따라, 터치 패널 (28) 또는 기계식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운전 제어 지시, 관리 센터로부터 수신한 운전 제어 지시, 자동 운전 차량 (10) 이 구비하는 여러 가지의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운전 제어를 실시한다.
표시 제어부 (44) 는, 터치 패널 (28) 에 여러 가지의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이하에, 터치 패널 (28) 의 여러 가지의 화면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들 화면은, 모두 표시 제어부 (44) 에 의한 제어에 의해 표시된다.
이하, 도 5 ∼ 도 9 를 참조하면서, 터치 패널 (28) 의 표시 화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이 자동 운전 모드로서 정지되어 있을 때의 터치 패널 (28) 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운전 모드가 자동 운전 모드인 경우의 터치 패널 (28) 의 표시 화면에 대해 설명하지만, 터치 패널 (28) 의 표시 화면은, 어느 운전 모드에서도 대부분은 동일하다.
터치 패널 (28) 에는, 자동 운전 차량 (10) 에 차속 제어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차속 제어 버튼 (50), 및, 차 밖을 향한 알림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알림 버튼 (52) 이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차속 제어 버튼 (50) 으로서, 자동 운전 차량 (10) 에 대해 발진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발진 버튼으로서의 GO 버튼 (50a) 이 표시된다. 자동 운전 차량 (10) 이 자동 운전에 의한 주행을 개시하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속 제어 버튼 (50) 으로서, GO 버튼 (50a) 대신에, 감속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감속 버튼으로서의 SLOWDOWN 버튼 (50b) 이 표시된다. 또한, SLOWDOWN 버튼 (50b) 을 계속해서 조작함으로써, 자동 운전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SLOWDOWN 버튼 (50b) 은, 자동 운전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지시를 입력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알림 버튼 (52) 으로서, 윙커의 작동/정지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윙커 버튼 (52a), 해저드의 작동/정지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해저드 버튼 (52b), 및, 혼의 명동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혼 버튼 (52c) 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알림 버튼 (52) 이 표시되지만, 알림 버튼 (52) 은 1 개여도 된다. 또, 상기 이외의 종류의 알림 버튼 (52) 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 터치 패널 (28) 에는, 탭 스위치 (54) 가 표시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탭 스위치 (54-1 및 54-2) 가 표시된다. 물론, 탭 스위치 (54) 는 1 개만, 혹은 3 개 이상 표시되어도 된다. 탭 스위치 (54) 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면, 자동 운전 차량 (10) 이 갖는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기기 조작 버튼군이 터치 패널 (28) 에 표시된다.
탭 스위치 (54) 는, 차속 제어 버튼 (50) 및 알림 버튼 (52) 과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된다. 여기서,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된다란, 오퍼레이터가 별도의 조작 (예를 들어 화면의 전환 조작 등) 을 할 필요 없이, 차속 제어 버튼 (50), 알림 버튼 (52), 및 탭 스위치 (54) 가 조작 가능하도록 터치 패널 (28) 에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속 제어 버튼 (50), 알림 버튼 (52), 및 탭 스위치 (54) 가 동시에 표시된 상태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터치 패널 (28) 에 있어서, 1 개의 화면에 복수의 분할 화면을 표시 가능한 경우, 오퍼레이터가 별도의 조작을 할 필요 없이 차속 제어 버튼 (50), 알림 버튼 (52), 및 탭 스위치 (54) 가 조작 가능하게 표시되는 한에 있어서, 이들 버튼이 복수의 분할 화면으로 분산되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도, 차속 제어 버튼 (50), 알림 버튼 (52), 및 탭 스위치 (54) 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탭 스위치 (54) 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이 갖는 기기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1 개의 탭 스위치 (54) 는, 1 개의 기기에 대응하고 있다. 도 5 의 예에서는, 탭 스위치 (54-1) 는 에어콘에 대응하는 것이고, 탭 스위치 (54-2) 는 와이퍼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다. 각 탭 스위치 (54) 가 어느 기기에 대응하고 있는지가 명시되어 있으면 된다. 도 7 의 예에서는, 에어콘에 대응하는 탭 스위치 (54-1) 에는 에어콘을 나타내는「A/C」의 문자가, 와이퍼에 대응하는 탭 스위치 (54-2) 에는, 와이퍼를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물론, 탭 스위치 (54) 는, 기기에 대응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1 개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기기 제어 버튼이 복수의 탭 스위치 (54) 에 할당되어 있어도 된다.
또, 탭 스위치 (54) 는, 터치 패널 (28) 의 화면의 단부에 표시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탭 스위치 (54) 는, 모두 화면의 좌단부에 표시되어 있지만, 우단부, 상단부, 혹은 하단부에 표시되어도 된다. 또, 탭 스위치 (54-1) 를 좌단부에, 탭 스위치 (54-2) 를 우단부에 표시시키는 등, 복수의 탭 스위치 (54) 를 서로 상이한 단부에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물론, 탭 스위치 (54) 는, 화면의 단부가 아니라, 화면의 중앙부에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탭 스위치 (54) 는, 차속 제어 버튼 (50) 또는 알림 버튼 (52) 보다 상측에 표시되면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 (28) 은, 오퍼레이터가 팔을 두는 아암 레스트 (26) 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아암 레스트 (26) 에 팔을 둔 상태라면, 오퍼레이터는, 터치 패널 (28) 의 상측보다 하측 쪽이 조작하기 쉽고, 또, 신속히 조작할 수 있다.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차속 제어, 및, 차 밖을 향한 알림은, 적어도 자동 운전 차량 (10) 이 갖는 기기의 제어보다 실행 빈도가 높고, 또, 보다 신속히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탭 스위치 (54) 를 차속 제어 버튼 (50) 또는 알림 버튼 (52) 보다 상측에 표시, 바꾸어 말하면, 차속 제어 버튼 (50) 또는 알림 버튼 (52) 을 탭 스위치 (54) 보다 하측에 표시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차속 제어 버튼 (50) 또는 알림 버튼 (52) 을 탭 스위치 (54) 보다 조작하기 쉬워지거나, 혹은, 보다 신속히 조작 가능해진다.
탭 스위치 (54) 의 조작 방법이나 기기 조작 버튼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터치 패널 (28) 에는, 운전 모드 변경 버튼 (56), 기어 변경 버튼 (58), P 브레이크 버튼 (60), 및, 상태 표지 (62) 가 표시된다.
운전 모드 변경 버튼 (56) 은,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운전 모드의 변경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운전 모드의 변경은 정차 중에만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 운전 차량 (10) 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운전 모드 변경 버튼 (56) 으로서, 자동 운전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자동 운전 모드 버튼, 반자동 운전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반자동 운전 모드 버튼, 수동 운전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수동 운전 모드 버튼이 표시된다. 한편, 주행 중에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모드 변경 버튼 (56) 으로는, 현재의 운전 모드에 대응하는 버튼 (도 6 의 예에서는 자동 운전 모드 버튼) 만이 표시된다. 또한, 운전 모드 변경 버튼 (56) 은, 현재의 운전 모드를 알 수 있는 양태로 표시되면 된다. 도 5 의 예에서는, 운전 모드가 자동 운전 모드이기 때문에, 자동 운전 모드 버튼이, 반자동 운전 모드 버튼 및 수동 운전 모드 버튼과는 상이한 양태 (도 5 의 예에서는 상이한 색) 로 표시되어 있다.
기어 변경 버튼 (58) 은, 자동 운전 차량 (10) 의 기어 (시프트) 를 변경하기 위한 버튼이다. 기어 변경 버튼 (58) 으로는, P (파킹), R (리버스), N (뉴트럴), D (드라이브) 의 각 기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이 표시된다. 기어 변경 버튼 (58) 은, 현재의 기어를 알 수 있는 양태로 표시되면 된다. 도 5 의 예에서는, 현재의 기어가 D 이기 때문에, 기어 D 에 대응하는 버튼이 다른 기어에 대응하는 버튼과는 상이한 양태 (도 5 의 예에서는 상이한 색) 로 표시되어 있다.
P 브레이크 버튼 (60) 은, 전동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해제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태 표지 (62) 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태 표지 (62) 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의 배터리 잔량, 도어 (18) 의 개폐 상태, 슬로프의 상태, 및 자동 운전 차량 (10) 에 형성된 각종 센서의 검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물론, 상태 표지 (62) 로는, 도면이 아니라 그 밖의 형식으로 표시되어도 되고, 또 상기 이외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어도 된다. 상태 표지 (62) 는, 어디까지나 표지로서 버튼은 아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조작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운전 모드 변경 버튼 (56) 에 있어서 현재의 운전 모드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고, 기어 변경 버튼 (58) 에 의해 현재의 기어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운전 모드 변경 버튼 (56) 이나 기어 변경 버튼 (58) 도,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태 표지 (62) 는, 탭 스위치 (54) 에서 보아 화면 중앙측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탭 스위치 (54) 가 터치 패널 (28) 의 화면의 좌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태 표지 (62) 는, 탭 스위치 (54) 의 우측에 표시된다.
운전 모드 변경 버튼 (56), 기어 변경 버튼 (58), 및, P 브레이크 버튼 (60) 은, 차속 제어 버튼 (50), 알림 버튼 (52), 및 탭 스위치 (54) 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면 된다. 이로써, 차속 제어 버튼 (50), 알림 버튼 (52), 및 탭 스위치 (54) 와, 운전 모드 변경 버튼 (56), 기어 변경 버튼 (58), 및, P 브레이크 버튼 (60) 사이에서, 조작의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상태 표지 (62) 도, 차속 제어 버튼 (50), 알림 버튼 (52), 및 탭 스위치 (54) 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면 된다. 상태 표지 (62), 혹은, 운전 모드 변경 버튼 (56) 이나 기어 변경 버튼 (58) 에 의해, 차속 제어 버튼 (50), 알림 버튼 (52), 및 탭 스위치 (54) 와 동일 화면 상에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상태가 표시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상태를 확인하고 바로, 차속 제어 버튼 (50), 알림 버튼 (52), 또는 탭 스위치 (54) 를 조작할 수 있다.
이하, 탭 스위치 (54) 의 조작 방법과, 기기 제어 버튼군의 표시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퍼레이터가 탭 스위치 (54) 를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기기 제어 버튼군이 표시된다. 또한, 슬라이드 조작이란, 오퍼레이터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이하 간단히「손가락」이라고 기재한다) 로 터치 패널 (28) 의 화면을 터치하고, 손가락과 화면의 접촉을 유지한 채로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조작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탭 스위치 (54) 가 터치 패널 (28) 의 화면의 단부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탭 스위치 (54) 를 화면 중앙 방향 (도 7 의 예라면 우측 방향) 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당해 탭 스위치 (54) 의 화면 중앙측에 기기 제어 버튼이 표시된다. 물론, 탭 스위치 (54) 의 조작 방법은 슬라이드 조작에 한정되지 않고, 탭 조작 (탭 스위치 (54) 를 손가락으로 1 회 터치하는 조작) 이나, 더블 탭 조작 (탭 스위치 (54) 를 단시간 내에 손가락으로 2 회 터치하는 조작) 등이어도 된다.
도 8 에, 기기 제어 버튼군 (64) (복수의 기기 제어 버튼 (64a)) 이 표시된 터치 패널 (28) 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 은, 에어콘에 대응하는 탭 스위치 (54-1) (도 5 참조) 가 조작된 경우의 화면이므로, 에어콘을 제어하기 위한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이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탭 스위치 (54) 가 조작되면,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을 포함하는 기기 제어 윈도우 (66) 가 표시된다. 또, 기기 제어 윈도우 (66) 는, 추가로 윈도우 소거 버튼 (68) 을 포함하고 있고, 윈도우 소거 버튼 (68) 이 조작되면, 기기 제어 윈도우 (66) 가 소거되고, 다시 탭 스위치 (54) 가 표시된다. 또한, 탭 스위치 (54) 가 조작된 경우에, 기기 제어 윈도우 (66) 를 표시시키지 않고,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을 화면에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탭 스위치 (54) 를 조작하기 전에는,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이 표시되어 있지 않고, 탭 스위치 (54) 가 조작된 후에,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이 표시된다. 이로써, 탭 스위치 (54) 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차속 제어 버튼 (50) 및 알림 버튼 (52) 을 포함하는 화면에 표시되는 기기 제어 버튼 (64a) 의 수가 저감되어, 화면의 번잡화가 억제된다. 따라서, 터치 패널 (28) 에 의해 기기를 제어 가능하게 한 것에서 기인하는, 차속 제어 버튼 (50) 및 알림 버튼 (52) 을 포함하는 화면의 조작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차속 제어 버튼 (50), 알림 버튼 (52), 및 탭 스위치 (54) 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차속 제어 버튼 (50) 또는 알림 버튼 (52) 과, 탭 스위치 (54) 의 사이에서, 조작의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차속 제어 버튼 (50) 또는 알림 버튼 (52) 을 조작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곧바로 탭 스위치 (54) 를 조작하여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을 표시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차속 제어 버튼 (50) 또는 알림 버튼 (52) 을 조작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곧바로 자동 운전 차량 (10) 이 갖는 기기의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탭 스위치 (54) 는 자동 운전 차량 (10) 이 갖는 기기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탭 스위치 (54) 를 조작함으로써, 당해 탭 스위치 (54) 에 대응하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을 합쳐서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기기를 제어할 때의 터치 패널 (28) 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탭 스위치 (54) 에 의해 표시되는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의 적어도 일부는, 상태 표지 (62) 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중첩되도록 표시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태 표지 (62) 가 탭 스위치 (54) 의 화면 중앙측, 즉 우측에 표시되고, 탭 스위치 (54) 가 화면 중앙측으로 슬라이드 조작됨으로써,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이 탭 스위치 (54) 의 화면 중앙측에 표시된다. 이로써,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의 일부의 기기 제어 버튼 (64a) 이 상태 표지 (62) 의 일부분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의 적어도 일부가 상태 표지 (62) 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중첩되도록 표시됨으로써, 터치 패널 (28) 에 표시된 다른 버튼 위에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이 중첩되는 것이 억제되어,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다른 버튼을 조작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억제된다. 특히,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은, 차속 제어 버튼 (50) 및 알림 버튼 (52) 위에 중첩되지 않게 표시되면 된다. 이로써,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도, 오퍼레이터는 차속 제어 버튼 (50) 및 알림 버튼 (52) 을 조작할 수 있다.
복수의 탭 스위치 (54) 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이 동시에 표시되어도 된다. 도 9 에, 탭 스위치 (54-1) (도 5 참조) 에 대응하는, 에어콘을 제어하기 위한 기기 제어 버튼군 (64-1) 을 포함하는 기기 제어 윈도우 (66-1), 및, 탭 스위치 (54-2) (도 5 참조) 에 대응하는, 와이퍼를 제어하기 위한 기기 제어 버튼군 (64-2) 을 포함하는 기기 제어 윈도우 (66-2) 가 동시에 표시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탭 스위치 (54) 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을 동시에 표시 가능하게 함으로써,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 (28) 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탭 스위치 (54) 의 조작 전에서는 터치 패널 (28) 에 표시되어 있지 않았던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이, 탭 스위치 (54) 가 조작 됨으로써 새롭게 표시되어 있었지만, 탭 스위치 (54) 의 조작 전에 있어서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을 축소 표시해 두고, 탭 스위치 (54) 가 조작되었을 경우에, 당해 탭 스위치 (54) 에 대응하는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을 확대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탭 스위치 (54) 의 조작 전의 축소 표시된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은, 조작해도 기기 제어 지시의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즉, 기능적으로는 버튼이 아니라 아이콘으로서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탭 스위치 (54) 의 조작에 의해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이 확대 표시되는 경우라도, 탭 스위치 (54) 를 조작하기 전에는,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이 축소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패널 (28) 상의 스페이스는 작아도 되어, 터치 패널 (28) 의 표시 내용의 번잡화가 억제된다. 따라서, 터치 패널 (28) 에 의해 기기를 제어 가능하게 한 것에서 기인하는, 차속 제어 버튼 (50) 및 알림 버튼 (52) 을 포함하는 화면의 조작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탭 스위치 (54) 가 조작됨으로써 표시되는 기기 제어 버튼군 (64) 과는 별도로, 차속 제어 버튼 (50) 및 알림 버튼 (52) (및 탭 스위치 (54)) 과 동일 화면 상에, 자동 운전 차량 (10) 이 갖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설 기기 제어 버튼 (70) 이 표시되어도 된다. 상설 기기 제어 버튼 (70) 은, 기기 제어 버튼군 (64) 에 의해 제어되는 기기와는 상이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설 기기 제어 버튼 (70) 으로서, 헤드라이트·테일라이트의 제어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라이트 버튼이 표시된다.
차속 제어 버튼 (50) 및 알림 버튼 (52) 과 동일 화면 상에 상설 기기 제어 버튼 (70) 이 표시됨으로써, 차속 제어 버튼 (50) 또는 알림 버튼 (52) 과, 상설 기기 제어 버튼 (70) 사이에서, 조작의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특히, 탭 스위치 (54) 가 조작되고 있지 않고 기기 제어 윈도우 (66) 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상설 기기 제어 버튼 (70) 은 기기 제어 버튼 (64a)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운전 차량 (10) 이 갖는 기기 중, 비교적 제어하는 빈도가 높은 기기, 신속히 제어할 필요가 있는 기기, 혹은 제어를 위한 버튼의 수가 적은 기기를 상설 기기 제어 버튼 (70) 에 대응시키고, 그 이외의 기기에, 탭 스위치 (54) 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을 대응시키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설 기기 제어 버튼 (70) 으로서 라이트 버튼이 표시되어 있지만, 상설 기기 제어 버튼 (70) 으로는, 와이퍼를 제어하기 위한 와이퍼 버튼이어도 된다.
이상, 본 개시에 관련된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에 관련된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조작 장치로서,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이 정차 중일 때에는 자동 운전 모드에 의한 주행을 개시시키는 발진 버튼 (50a) 이 표시되고,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이 자동 운전 모드 중에서 주행 중일 때에는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 버튼 (50b) 이,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고,
    상기 발진 버튼 또는 상기 감속 버튼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의 외부를 향한 알림을 실행하기 위한 알림 버튼 (52), 및,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이 갖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을 표시 또는 확대시키기 위한 탭 스위치 (54) 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된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스위치는,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이 갖는 기기에 대응하고 있고,
    상기 탭 스위치가 조작될 때, 당해 탭 스위치에 대응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기기 제어 버튼군이 표시 또는 확대되는,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스위치는, 화면의 상하 좌우 중 어느 단부에 표시되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화면 중앙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됨으로써, 상기 기기 제어 버튼군이 표시 또는 확대되는,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의 상태가 상기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는,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 버튼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표지 (62) 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중첩되도록 표시 또는 확대되는,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 버튼군이 표시 또는 확대된 상태에서, 상기 발진 버튼 및 상기 감속 버튼의 적어도 일방, 또는, 상기 알림 버튼이 조작 가능한,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탭 스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탭 스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기 제어 버튼군은, 동시에 표시 또는 확대 가능한,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탭 스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기와는 상이한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이 갖는 상설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설 기기 제어 버튼 (70) 이 상기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는,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9. 자동 운전 차량 (10) 의 조작 장치로서,
    자동 운전 가능한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의 자동 운전 모드에 의한 주행을 개시시키는 발진 버튼 (50a) 및 자동 운전 모드 중에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 버튼 (50b) 의 적어도 일방,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의 외부을 향한 알림을 실행하기 위한 알림 버튼 (52), 그리고, 상기 자동 운전 차량이 갖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기기 제어 버튼군 (64) 을 표시 또는 확대시키기 위한 탭 스위치 (54) 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터치 패널 (28) 을 구비하고,
    상기 탭 스위치는, 상기 발진 버튼 또는 상기 감속 버튼 또는 상기 알림 버튼보다 상측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1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탭 스위치와 상기 발진 버튼 또는 상기 감속 버튼의 사이에, 상기 알림 버튼이 표시되는,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KR1020210154748A 2019-06-28 2021-11-11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KR202101379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1410 2019-06-28
JP2019121410A JP7279543B2 (ja) 2019-06-28 2019-06-28 自動運転車両の操作装置
KR1020200071669A KR102363488B1 (ko) 2019-06-28 2020-06-12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669A Division KR102363488B1 (ko) 2019-06-28 2020-06-12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967A true KR20210137967A (ko) 2021-11-18

Family

ID=737472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669A KR102363488B1 (ko) 2019-06-28 2020-06-12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KR1020210154748A KR20210137967A (ko) 2019-06-28 2021-11-11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669A KR102363488B1 (ko) 2019-06-28 2020-06-12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08083B2 (ko)
JP (1) JP7279543B2 (ko)
KR (2) KR102363488B1 (ko)
CN (1) CN112140883A (ko)
DE (1) DE102020115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9595B2 (ja) 2019-06-28 2023-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車両の操作装置
JP7439781B2 (ja) * 2021-03-02 2024-02-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車両、乗合車両及び車両乗換システム
US20220340145A1 (en) * 2021-04-21 2022-10-27 Here Global B.V. Automatic recommendation of control in a simultaneous mix mode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2726U (ja) 1982-03-15 1983-09-26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ホ−ンスイツチを備えたギアシフトレバ−
KR20010090365A (ko) * 2000-03-25 2001-10-18 김민석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KR20030043083A (ko) * 2001-11-26 2003-06-02 윤재웅 이동통신단말기, 차량제어장치 및 이동통신단말기를이용한 차량원격제어시스템
CN101405177A (zh) * 2006-03-22 2009-04-08 大众汽车有限公司 交互式操纵装置和用于运行所述交互式操纵装置的方法
JP2007268086A (ja) 2006-03-31 2007-10-18 Sanyo Electric Co Ltd 乗用型ゴルフカート
US20090198414A1 (en) 2008-01-31 2009-08-06 Caterpillar Inc. Operato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vehicle
US8430192B2 (en) 2010-01-04 2013-04-30 Carla R. Gillett Robotic omniwheel vehicle
CN103135885B (zh) * 2012-07-31 2016-11-23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管理标签的方法及装置
JP6060592B2 (ja) * 2012-09-27 2017-01-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載機器類の遠隔操作システム
KR101776709B1 (ko) * 2013-08-13 2017-09-08 한화지상방산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25671B1 (ko) * 2013-09-09 2019-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범용 차량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FR3010377B1 (fr) 2013-09-09 2016-12-30 Valeo Securite Habitacle Procede de securisation d'une commande a distance d'un vehicule automobile par un terminal mobile
CN106103231B (zh) 2014-03-18 2020-08-04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操作装置
JP6265839B2 (ja) 2014-06-09 2018-01-2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入力表示装置、電子機器、アイコン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2016030457A (ja) 2014-07-25 2016-03-07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
US10579055B2 (en) 2014-12-29 2020-03-03 Robert Bosch Gmbh Drive state indicator for an autonomous vehicle
EP3072710B1 (en) 2015-03-24 2018-03-28 LG Electronics Inc. Vehicl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802638B1 (en) 2015-06-19 2017-10-31 Waymo Llc Removable manual controls for an autonomous vehicle
JP6451537B2 (ja) 2015-07-21 2019-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運転支援制御装置
US10106170B2 (en) 2015-08-31 2018-10-23 Vantage Mobility International, Llc Vehicle ramp control system
US10222941B2 (en) * 2015-10-27 2019-03-05 Cnh Industrial America Llc Bottom bar display area for an agricultural system
JP6815724B2 (ja) 2015-11-04 2021-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システム
US9644857B1 (en) * 2015-12-01 2017-05-09 Nasser Ashgriz Virtual thermostat for a zonal temperature control
JP6678311B2 (ja) 2015-12-24 2020-04-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運転支援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運転支援装置、情報提示装置、車両
US9586579B1 (en) * 2016-02-29 2017-03-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attery degradation
JP2018000156A (ja) 2016-07-07 2018-01-11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GB2552703B (en) 2016-08-04 2018-11-14 Ford Global Tech Llc A holographic display system
US10272003B2 (en) 2016-08-08 2019-04-30 The Braun Corporation Rear entry latch assembly
US10303339B2 (en) * 2016-08-26 2019-05-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ulti-information display software switch strategy
US20180095608A1 (en) 2016-10-05 2018-04-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EP4180928A1 (en) * 2016-11-22 2023-05-1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for industrial vehicle
JP6895634B2 (ja) 2016-12-16 2021-06-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261513B2 (en) 2016-12-19 2019-04-16 drive.ai Inc. Methods for communicating state, intent, and context of an autonomous vehicle
JP2018108764A (ja) 2016-12-28 2018-07-12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および作業車両操作システム
JP6735685B2 (ja) 2017-01-20 2020-08-05 株式会社クボタ 走行制御装置
JP6621032B2 (ja) 2017-01-30 2019-1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方法、運転支援プログラム及び自動運転車両
US10753763B2 (en) * 2017-04-10 2020-08-25 Chian Chiu Li Autonomous driving under user instructions
US11244252B2 (en) 2017-06-21 2022-02-08 Chian Chiu Li Autonomous driving under user instructions and hailing methods
JP6912952B2 (ja) 2017-06-26 2021-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操作装置
CN107562354A (zh) * 2017-08-02 2018-01-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功能按钮界面打开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9103422A (ja) 2017-12-11 2019-06-27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US11740622B2 (en) 2019-06-12 2023-08-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te trailer maneuver-assist
JP7259595B2 (ja) 2019-06-28 2023-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車両の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08143A (ja) 2021-01-28
JP7279543B2 (ja) 2023-05-23
KR102363488B1 (ko) 2022-02-16
CN112140883A (zh) 2020-12-29
KR20210002334A (ko) 2021-01-08
US11708083B2 (en) 2023-07-25
DE102020115952A1 (de) 2020-12-31
US20200406915A1 (en)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4598B2 (en) Operation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
KR102363488B1 (ko) 자동 운전 차량의 조작 장치
JP7238640B2 (ja) 自動運転車両の操作装置
CN112141133B (zh) 车辆控制装置
US20200406935A1 (en) In-car display device of automatic driving vehicle
US11731510B2 (en) Autonomous vehicle operation device
JP7211320B2 (ja) 自動運転制御システム
EP3756929B1 (en) Autonomous vehicle speed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25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203

Effective date: 2023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