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716A - 접이식 슬리브 박스 - Google Patents

접이식 슬리브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716A
KR20210137716A KR1020200055931A KR20200055931A KR20210137716A KR 20210137716 A KR20210137716 A KR 20210137716A KR 1020200055931 A KR1020200055931 A KR 1020200055931A KR 20200055931 A KR20200055931 A KR 20200055931A KR 20210137716 A KR20210137716 A KR 20210137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plate
unit wall
sidewall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재
Original Assignee
박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재 filed Critical 박용재
Priority to KR102020005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7716A/ko
Priority to PCT/KR2021/005736 priority patent/WO2021230578A1/ko
Publication of KR2021013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 B65D2519/0091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 B65D2519/0091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ne or more side walls being foldable along a media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슬리브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슬리브 박스는 복수 마련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측벽; 상기 제1측벽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2측벽; 및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수용공간의 하부를 마감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벽은 제1단위벽부와 제2단위벽부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단위벽부와 제2단위벽부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단위벽부와 제2단위벽부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1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바닥부는 일측 제1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슬리브 박스{Foldable sleeve box}
본 발명은 접이식 슬리브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을 수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하면서도 내구성을 증대시켜 반복 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슬리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용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슬리브 박스'라고도 함)은 박스의 하부가 팔레트으로 결합되어 지게차 등에 의해 운반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인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은 박스와 팔레트이 일체로 되거나 박스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부피가 커서 보관하거나 반송 등과 같이 이동할 경우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관하거나 반송 등과 같이 이동할 경우에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이 사용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 제20-0417505호에는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 등록 제20-0417505호에 개시된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은 슬리브(1), 팔레트(2) 및 뚜껑(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1)는 접철부(1a,1b)에서 접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1)는 그 하부 개구가 막히게 상기 팔레트(2)의 상부에 놓여 상기 팔레트(2)와 결합되고, 상부 개구를 막도록 상기 박스(1)의 상부에 뚜껑(3)이 놓인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은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틈을 형성하기 위해 팔레트(2)의 하부에 돌출부(2a)가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은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미사용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는 있으나, 슬리브와 팔레트가 분리 구성되어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팔레트 자체가 중량체이므로 전체 중량을 경량화하는데 제한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 제20-041750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을 수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하면서도 내구성을 증대시켜 반복 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슬리브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 마련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측벽; 상기 제1측벽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2측벽; 및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수용공간의 하부를 마감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벽은 제1단위벽부와 제2단위벽부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단위벽부와 제2단위벽부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단위벽부와 제2단위벽부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1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바닥부는 일측 제1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슬리브 박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을 수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하면서도 내구성을 증대시켜 반복 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슬리브 박스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접이식 슬리브 박스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접이식 슬리브 박스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접이식 슬리브 박스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2의 'a'부분 작용을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2의 'b'부분 작용을 나타낸 확대도,
도 9는 도 2의 'c'부분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d'부분 작용을 나타낸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 접이식 슬리브 박스를 접는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
도 12는 도 2의 'e'부분 작용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슬리브 박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접이식 슬리브 박스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접이식 슬리브 박스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접이식 슬리브 박스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2의 'a'부분 작용을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2의 'b'부분 작용을 나타낸 확대도, 도 9는 도 2의 'c'부분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d'부분 작용을 나타낸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 접이식 슬리브 박스를 접는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이고, 도 12는 도 2의 'e'부분 작용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접이식 슬리브 박스는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의 측면을 감싸는 제1측벽(110) 및 제2측벽(120),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를 마감하는 바닥부(150)를 포함하며, 접이식으로 이루어지고, 물품을 수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힌 상태로 보관됨에 따라 공간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측벽(110)과 제2측벽(120)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제1측벽(110)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한 쌍의 제2측벽(120)은 상기 한 쌍의 제1측벽(110)의 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2측벽(120)은 중앙부분이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교차하는 제3방향으로 분리된 제1단위벽부(120a)와 제2단위벽부(120b)로 분할 구성된다.
상기 제1측벽(110)과 제2측벽(120)의 연결부분은 제1피봇부(1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단위벽부(120a)와 제2단위벽부(120b)는 제2피봇부(14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피봇부(130)는 상기 제1측벽(110)의 단부를 고정하는 제1-1연결부(131), 상기 제2측벽(120)의 단부를 고정하는 제1-2연결부(132) 및 상기 제1-1연결부(131)와 제1-2연결부(132)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회동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1연결부(131)는 제1측벽(110)의 단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연장부(131a)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장부(131a)에 의해 상기 제2측벽(120)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110)과 제1단위벽부(120a) 사이에 접힌 상태의 바닥부(15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부(131a)의 제2방향 연장길이는 접힌 상태의 바닥부(150)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회동부(133)는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1연결부(131)와 제1-2연결부(132)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밀착하여 추가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피봇부(140)는 상기 제2측벽(120)의 제1단위벽부(120a)를 고정하는 제2-1연결부(141), 상기 제2측벽(120)의 제2단위벽부(120b)를 고정하는 제2-2연결부(142) 및 상기 제2-1연결부(141)와 제2-2연결부(142)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회동부(1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회동부(143)는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1연결부(141)와 제2-2연결부(142)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밀착하여 추가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측벽(110)과 제2측벽(120)은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의 측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제1측벽(110)과 제2측벽(120)의 내벽면 하단에는 바닥부(150)가 지지될 수 있는 지지턱부(111,121)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1측벽(110)과 제2측벽(120)의 하단에는 지게차 포크와 같은 이송기구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홀(112,1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150)는 중앙부분이 제1방향으로 분리된 제1플레이트(150a)와 제2플레이트(150b)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150a)는 제3피봇부(160)에 의해 일측의 제1측벽(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150a)와 제2플레이트(150b)는 제4피봇부(17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150a)와 제2플레이트(150b)의 저면에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리브(151)가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리브(151)는 제1플레이트(150a)와 제2플레이트(150b)가 접혀 제1플레이트(150a)와 제2플레이트(150b)의 저면이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피봇부(160)는 일측에 위치한 제1측벽(110)의 내벽면 하부의 지지턱(111)부 상에 배치되는 제3-1연결부(161), 상기 제1플레이트(150a)의 단부를 고정하는 제3-2연결부(162) 및 상기 제3-1연결부(161)와 제3-2연결부(162)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회동부(163)를 포함하며, 상기 제3회동부(163)는 제3-1연결부(161)와 제3-2연결부(162)를 관통하는 피봇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피봇부(170)는 상기 바닥부(150)의 제1플레이트(150a)를 고정하는 제4-1연결부(171), 상기 바닥부(150)의 제2플레이트(150b)를 고정하는 제4-2연결부(172) 및 상기 제4-1연결부(171)와 제4-2연결부(172)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회동부(17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회동부(173)는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4-1연결부(171)와 제4-2연결부(172)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밀착하여 추가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측벽(110), 제2측벽(120) 및 바닥부(150)는 각각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중량을 경량화하면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함으로써 반복사용이 가능하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접이식 슬리브 박스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제1측벽(110), 제2측벽(120) 및 바닥부(15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제1측벽(110)과 제2측벽(120)이 수용공간의 측면을 둘러싸고, 바닥부(150)가 수용공간의 저면을 마감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물품을 수용할 수 있으며, 제1측벽(110) 및 제2측벽(120) 하단에 마련된 수용홀(112,122)에 지게차 포크 등의 이송기구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중량물을 수용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슬리브 박스는 접이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물품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의 접이식 슬리브 박스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측벽(110)과 제2측벽(120)의 연결부분이 제1피봇부(1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측벽(120)이 제1단위벽부(120a)와 제2단위벽부(120b)로 분할되고 제2피봇부(140)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바닥부(150)가 제1플레이트(150a)와 제2플레이트(150b)로 분할되고, 제1플레이트(150a)가 제3피봇부(160)에 의해 일측 제1측벽(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플레이트(150a)와 제2플레이트(150b)가 제4피봇부(17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피봇부(130)는 도 7과 같이 제1-1연결부(131)가 제1측벽(110)의 단부에 고정되고, 제1-2연결부(132)가 제2측벽(120)의 단부에 고정되며, 제1회동부(133)에 의해 제1-1연결부(131)와 제1-2연결부(132)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제1측벽(110)에 대하여 제2측벽(120)의 제1단위벽부(120a)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피봇부(130)에 의해 제1측벽(110)과 제1단위벽부(120a)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 7의 (a)와 같이 펼쳐지거나 도 7의 (b)와 같이 접힐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피봇부(130)는 90도의 회동범위를 가지며, 도 7의 (a)와 같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1-1연결부(131)와 제1-2연결부(132)가 서로 밀착하여 추가회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제2측벽(120)의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1연결부(131)의 연장부(131a)는 제1측벽(110)의 단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절곡 연장됨에 따라,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피봇부(140)가 접힌 상태에서 제1측벽(110)과 제1단위벽부(120a) 사이에 접힌 상태의 바닥부(15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피봇부(140)는 도 8과 같이 제2-1연결부(141)가 제1단위벽부(120a)에 고정되고, 제2-2연결부(142)가 제2단위벽부(120b)에 고정되며, 제2회동부(143)에 의해 제2-1연결부(141)와 제2-2연결부(142)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 8의 (a)와 같이 제2측벽(120)을 구성하는 제1단위벽부(120a)와 제2단위벽부(120b)는 펼쳐진 상태로 수용공간의 측벽을 구성하거나, 도 8의 (b)와 같이 서로 밀착하여 접힐 수 있다. 이러한 제2피봇부(140)는 180도의 회동범위를 가지며, 도 8의 (a)와 같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2-1연결부(141)와 제2-2연결부(142)가 서로 밀착하여 추가회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제1단위벽부(120a)와 제2단위벽부(120b)의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3피봇부(160)는 도 9와 같이 제3-1연결부(161)가 제1측벽(110)의 내벽면 하부에 위치한 지지턱(111)부 상에 배치되고, 제3-2연결부(162)가 제1플레이트(150a)의 단부에 고정되며, 제3회동부(163)가 상기 제3-1연결부(161)와 제3-2연결부(162)를 관통하여 제3-1연결부(161)와 제3-2연결부(162)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1플레이트(150a)가 제1측벽(110)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할 수 있으며, 도 9의 (a)와 같이 하부로 회동하여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1플레이트(150a)의 저면이 제2측벽(120)의 지지턱부(121)에 지지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물품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도 9의 (b)와 같이 상부로 회동하여 접힌 상태에서는 제1플레이트(150a)가 제1측벽(1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피봇부(170)는 도 10과 같이 제4-1연결부(171)가 제1플레이트(150a)에 고정되고, 제4-2연결부(172)가 제2플레이트(150b)에 고정되며, 제4회동부(173)에 의해 제4-1연결부(171)와 제4-2연결부(172)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 10의 (a)와 같이 제1플레이트(150a)와 제2플레이트(150b)는 펼쳐진 상태에서 수용공간의 바닥을 구성하거나, 도 10의 (b)와 같이 서로 밀착한 상태로 접힐 수 있다. 이러한 제4피봇부(170)는 180도의 회동범위를 가지며, 도 10의 (a)와 같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4-1연결부(171)와 제4-2연결부(172)가 서로 밀착하여 추가회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제1플레이트(150a)와 제2플레이트(150b)의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접이식 슬리브 박스는 도 11의 (a)와 같이, 바닥부(150)를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150a)가 제3피봇부(160)에 의해 일측 제1측벽(1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플레이트(150a)와 제2플레이트(150b)가 제4피봇부(17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 11의 (b) 및 (c)와 같이 바닥부(150)의 제1플레이트(150a)는 제3피봇부(160)에 의해 접혀 일측 제1측벽(1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플레이트(150b)는 제4피봇부(170)에 의해 접혀 제2플레이트(150b)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부(150)를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150a)와 제2플레이트(150b)가 접힌 상태로 일측 제1측벽(110)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측벽(120)을 구성하는 제1단위벽부(120a)와 제2단위벽부(120b)는 제2피봇부(14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단위벽부(120a)와 제2단위벽부(120b)는 각각 제1피봇부(130)에 의해 제1측벽(1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 11의 (c) 및 (d)와 같이 제1단위벽부(120a)와 제2단위벽부(120b)는 각각 제1피봇부(130)에 의해 접혀 제1측벽(1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제1단위벽부(120a)와 제2단위벽부(120b)는 제2피봇부(140)에 의해 접혀 서로 밀착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슬리브 박스는 도 11의 (d)와 같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바닥부(150)가 접혀 제1측벽(110)과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2측벽(120)이 접혀 상기와 같이 접힌 상태의 바닥부(1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측벽(110)과 나란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물품을 수용하지 않는 미사용 상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 접이식 슬리브 박스에 따른 잠금부(180)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2측벽(120)과 바닥부(15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타측 제1측벽(110)에 마련된 잠금부(180)가 펼쳐진 상태의 바닥부(15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바닥부(150)가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a)와 같이 잠금블록(181)을 잠금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잠금블록(181)에 마련된 후크(182)가 바닥부(150)의 제2플레이트(150b)에 마련된 고정홈(152)과 맞물리면서 바닥부(150)를 제1측벽(110)에 구속하므로, 바닥부(150)가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와 같이 잠금블록(181)을 잠금 해제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잠금블록(181)의 후크(182)가 제2플레이트(150b)의 고정홈(152)으로부터 이탈하면서 바닥부(150)의 구속을 해제하므로, 바닥부(150)의 접힘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제1측벽, 120:제2측벽, 120a:제1단위벽부,
120b:제2단위벽부, 111,121:지지턱부, 112,122:수용홀,
130:제1피봇부, 131:제1-1연결부, 131a:연장부,
132:제1-2연결부, 133:제1회동부, 140:제2피봇부,
141:제2-1연결부, 142:제2-2연결부, 143:제2회동부,
150:바닥부, 150a:제1플레이트, 150b:제2플레이트,
151:보강리브, 152:고정홈, 160:제3피봇부,
161:제3-1연결부, 162:제3-2연결부, 163:제3회동부,
170:제4피봇부, 171:제4-1연결부, 172:제4-2연결부,
173:제4회동부, 180:잠금부, 181:잠금블록,
182:후크

Claims (1)

  1. 복수 마련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측벽;
    상기 제1측벽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2측벽; 및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수용공간의 하부를 마감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벽은 제1단위벽부와 제2단위벽부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단위벽부와 제2단위벽부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단위벽부와 제2단위벽부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1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바닥부는 일측 제1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슬리브 박스.
KR1020200055931A 2020-05-11 2020-05-11 접이식 슬리브 박스 KR20210137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31A KR20210137716A (ko) 2020-05-11 2020-05-11 접이식 슬리브 박스
PCT/KR2021/005736 WO2021230578A1 (ko) 2020-05-11 2021-05-07 접이식 슬리브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31A KR20210137716A (ko) 2020-05-11 2020-05-11 접이식 슬리브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16A true KR20210137716A (ko) 2021-11-18

Family

ID=7852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931A KR20210137716A (ko) 2020-05-11 2020-05-11 접이식 슬리브 박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37716A (ko)
WO (1) WO202123057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505Y1 (ko) 2006-03-11 2006-05-30 이석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088U (ko) * 1994-05-12 1995-12-16 박병기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육면체 상자
JP3921554B2 (ja) * 1997-01-20 2007-05-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コンテナ
JPH10324332A (ja) * 1997-05-23 1998-12-08 Nikko Chem Kk 折り畳み式コンテナー
JP2004131160A (ja) * 2002-10-15 2004-04-30 Yamato Industry Co Ltd 折畳箱
CN2853642Y (zh) * 2005-12-05 2007-01-03 陈关宝 一种免安装折叠式木箱
JP5352346B2 (ja) * 2009-05-28 2013-11-27 株式会社ニフコ 折り畳み式収納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505Y1 (ko) 2006-03-11 2006-05-30 이석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578A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30719B2 (en) Container assemblies
US6443481B1 (en) Collapsible movable cart
KR200399805Y1 (ko)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US2732967A (en) metcalf
KR20210137716A (ko) 접이식 슬리브 박스
KR101962159B1 (ko) 운송박스의 본체
JP2000255563A (ja)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JP2014118179A (ja) 折畳み容器
JP3903253B2 (ja) 輸送用折畳コンテナ
JP5681927B2 (ja) 運搬用容器
KR102417237B1 (ko) 내측면의 자체적인 복원력을 가지는 접이식 폴딩박스
KR20090007636U (ko)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접철식 바구니
KR102622955B1 (ko) 견고한 체결구조와 우수한 내구성 및 사용편의성을갖는 접철식 경량 보관상자
JP5711053B2 (ja) 箱型容器
KR102627355B1 (ko) 운반용 대차
JP7195527B2 (ja) 台車
JP4779607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JP4575090B2 (ja) 折り畳み容器
JP4705235B2 (ja)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KR100906328B1 (ko) 접이식 컨테이너
KR200395620Y1 (ko) 포장상자
JPH0739789Y2 (ja) 折りたたみコンテナー
JPH08258842A (ja) コンテナ
KR20230126426A (ko) 접철식 상자
JP2023025591A (ja) 運搬用容器及び嵩上げフレー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