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520A -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 - Google Patents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520A
KR20210136520A KR1020200054873A KR20200054873A KR20210136520A KR 20210136520 A KR20210136520 A KR 20210136520A KR 1020200054873 A KR1020200054873 A KR 1020200054873A KR 20200054873 A KR20200054873 A KR 20200054873A KR 20210136520 A KR20210136520 A KR 20210136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ubator
light blocking
fixed
light
newb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7888B1 (ko
Inventor
정미림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4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88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1/00Baby-incubators; Couve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1/00Baby-incubators; Couveuses
    • A61G11/005Baby-incubators; Couveuses with movable walls, e.g. for accessing the inside, removabl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10Type of patient
    • A61G2200/14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3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intensive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인큐베이터에 장착되며, 개방된 상태로 상기 인큐베이터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인큐베이터를 커버하여 인큐베이터 내부의 조도를 낮추는 차광수단과; 상기 차광수단을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는, 신생아가 누워 있는 케이스를 커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필요시 케이스를 완전히 감싸 빛을 차단함으로써, 신생아에게, 자궁 내 환경과 유사한 조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생아에 대한 처치 필요 시, 발로 스위치를 밟아 개방할 수 있으므로 차광장치의 취급을 위해 손으로 차광장치를 만지지 않아도 되므로 반복된 손소독의 불편이 없다.

Description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Shading device for newborn baby incubator}
본 발명은 신생아용 인큐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기가 누워있는 인큐베이터 본체를 선택적으로 차광시켜, 낮은 조도에서 보육할 수 있게 하는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숙아나, 출생 때 이상이 있는 신생아를 넣어서 보육하는 인큐베이터는, 기본적으로, 온도, 습도, 산소 공급이 자동 조절되고, 또한 투명한 케이스를 통해 처치 중의 아기를 관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인큐베이터에는 개방식과 폐쇄식의 두 종류가 있다. 개방식 인큐베이터는, 뚜껑을 개방하는 방식으로서, 뚜껑을 개방할 때 투명 케이스 내부 온도가 불안정해지고, 이에 따라 신생아의 체온이 변화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따라 폐쇄식 인큐베이터가 주로 사용된다. 폐쇄식 인큐베이터는 강제 환기식으로서, 처치 시, 케이스 측부에 마련되어 있는 통로를 통해 손을 넣을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내부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인큐베이터 관련 종래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14188호를 통해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보육기는, 상부에 아기가 뉘여지도록 바닥판이 구비된 몸체와; 하부가 몸체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프레임과; 일측이 승강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되, 승강프레임을 따라 승하강하며, 몸체 상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후드와; 승강프레임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몸체를 향해 열을 가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히터 일측에 걸림부재가 돌출 연결되어 있고, 후드 일측에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도어 상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승강프레임을 따라 후드가 상승시 걸림돌기가 걸림부재에 걸려 개폐도어가 회전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14188호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67908호 (지능형 인큐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신생아가 누워 있는 케이스를 커버하여 자궁 내 환경과 유사한 조도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차광장치의 취급을 위해 손으로 차광장치를 만지지 않아도 되므로 반복된 손소독의 불편이 없는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는, 인큐베이터에 장착되며, 개방된 상태로 상기 인큐베이터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인큐베이터를 커버하여 인큐베이터 내부의 조도를 낮추는 차광수단과; 상기 차광수단을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인큐베이터의 양측부에 고정되며 수직 상부로 연장된 수직연장부와, 상기 수직연장부의 상단부에 결합하고 인큐베이터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고정된 수평연결부를 갖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과 결합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수직연장부와 평행을 이루는 회전아암, 상기 회전아암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수평연결부와 평행한 연결로드를 구비한 가동프레임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동프레임에 결합하며, 상기 가동프레임을 하향 회전시킬 때 펼쳐져 인큐베이터를 커버하고, 가동프레임을 상향 회전시킬 때 걷어져 인큐베이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차광주름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근접스위치와, 상기 수평연장부에 장착되며 근접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점등되어 인큐베이터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램프와, 상기 가동프레임의 회전 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가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인큐베이터의 양측부에 고정되며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에 의해 작동하는 한 쌍의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각각 고정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각 구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워엄과, 상기 워엄과 치합하여 워엄의 회전력을 전발받아 회전하고, 회전중심부에 상기 회전축을 갖는 워엄휠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신호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기와 유선 연결되며, 지면에 놓인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밟혀 신호를 출력하는 풋스위치인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는, 신생아가 누워 있는 케이스를 커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필요시 케이스를 완전히 감싸 빛을 차단함으로써, 신생아에게, 자궁 내 환경과 유사한 조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생아에 대한 처치 필요 시, 발로 스위치를 밟아 개방할 수 있으므로 차광장치의 취급을 위해 손으로 차광장치를 만지지 않아도 되므로 반복된 손소독의 불편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를 인큐베이터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광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동부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동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20)를 인큐베이터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광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광장치(20)는, 인큐베이터(12)의 상부에 장착되며, 인큐베이터(12)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덮어 내부 조도를 낮추거나, 도 6처럼 걷어 올려져 인큐베이터(1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다.
인큐베이터(12) 내부의 조도를 낮추는 이유는, 인큐베이터의 내부를 어둡게 하여, 신생아에게 자궁 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신생아에 대한 관찰이나 진찰을 하지 않는 동안에는, 차광장치(20)를 이용하여 인큐베이터(12)를 어둡게 유지한다. 또한 인큐베이터(12)를 노출시키는 것은, 신생아에 필요한 진찰이나 조치를 위하기 위함이다.
인큐베이터(12)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된 케이스로서 측부에 도어(12a)를 갖는다. 도어(12a)를 통해 손을 넣어 신생아에 대한 적절한 진찰이나 치료를 수행한다. 또한, 인큐베이터(12)의 하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장치(14)가 배치된다. 컨트롤장치(14)는 인큐베이터(12) 내부의 온도나 습도는 물론 산소농도 등의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광장치(20)는, 차광수단, 구동부(30),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차광수단은, 인큐베이터(12)의 상측에 장착되며, 개방된 상태로 인큐베이터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인큐베이터를 커버하여 인큐베이터 내부의 조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차광수단은, 고정프레임(41), 두 개의 가동프레임(43), 차광주름시트(47)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41)은, 후술할 하우징(31)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 상부로 연장된 수직연장부(41a)와, 수직연장부(41a)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수평연결부(41b)로 구성된다. 수평연결부(41b)는 인큐베이터(12)의 중앙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태로 차광주름시트(47)의 일단부를 고정한다. 고정프레임(41)은 중공형태의 사각봉을 직각으로 용접한 것으로서 내부에 배선공간(41d)을 갖는다.
아울러 수평연결부(41b)의 저면에는 다수의 조명램프(48)가 배치된다. 조명램프(48)는 신생아의 진찰 시 사용 될 수 있는 엘이디램프로서, 가령,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주름시트(47)를 걷어 올린 상태에서 점등되어, 신생아를 보다 밝게 비춘다.
또한 수직연장부(41a)에는 근접스위치(49)와 음향출력부(42)가 배치된다. 근접스위치(49)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에 따라 온오프신호를 출력하여 조명램프(48)를 구동한다. 근접스위치(49)의 감도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대략 10cm 내지 20cm 정도 떨어진 지점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정도의 감도를 갖는다.
음향출력부(42)는 가동프레임(43)의 작동 시 제어기(32)에 의해 제어되어 음향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가동프레임(43)이 화살표 a방향으로 하향 회전하거나 반대방향으로 상향 회전할 때 동작하는 것이다. 출력음향은 가령 신생아가 많이 들었던 태교음악(胎敎音樂) 일 수 있다. 신생아는 태교음악을 들으면서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가동프레임(43)은 고정프레임(41)과 마찬가지의 형태를 취하며, 하단부가 후술할 회전축(38)에 고정된 상태로, 구동부(30)에 의해 상하 회전운동 한다. 이러한 가동프레임(43)은 고정프레임(41)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대응 배치되며, 풋스위치(45)를 통해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가동프레임(43)은, 회전축(38)과 결합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두 개의 회전아암(43a)과, 회전아암(43a)의 자유단부에 고정되는 연결로드(43b)를 갖는다. 연결로드(43b)는 회전아암(43a)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수평연결부(41b)와 평행을 이룬다. 아울러 회전아암(43a)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수직연장부(41a)와 평행을 이룬다.
차광주름시트(47)는 빛이 통과하지 못하는 원단으로 제작된 주름형 빛 가리개로서, 일단부가 고정프레임(41)에, 타단부가 가동프레임(43)에 결합한다. 차광주름시트(47)는, 가동프레임(43)을 화살표 a방향으로 하향 회전시킬 때 펼쳐져 인큐베이터(12)를 커버하고, 가동프레임(43)을 상향 회전시킬 때 접히며 걷어져 인큐베이터(12)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한편, 구동부(30)는, 차광수단을 동작시켜 차광주름시트(47)를 펼치거나 걷어 올리는 것으로서, 인큐베이터(12)의 양측부에서 컨트롤장치(14) 외측면에 고정된다.
도 3은 구동부(30)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동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30)는, 하우징(31), 제어기(32), 모터(33), 구동기어(34), 중간기어(35), 워엄(36), 워엄휠(37), 회전축(38)을 구비한다.
하우징(31)은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공간(31b)을 제공한다. 하우징(31)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장치(14)의 측부에 고정되고 고정프레임(41)을 지지한다. 하우징(31)의 측면에는 회전축(38)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멍(31a)이 마련되어 있다.
제어기(32)는 후술할 스위치부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모터(33)를 구동한다. 모터(33)는 두 개가 대칭으로 배치되는데, 제어기(32)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한다. 모터(33)는 제어기(32)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회전토크를 출력하며 구동기어(34)를 회전시킨다.
중간기어(35)는 워엄(36)과, 하나의 전동샤프트(36a)를 공유한다. 전동샤프트(36a)는 양단부가 베어링(36b)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수평의 축으로서, 중간기어(35) 및 워엄(36)과 결합한다. 모터(33)로부터 중간기어(35)로 전달된 회전력은 전동샤프트(36a)를 거쳐 워엄(36)으로 전달된다.
워엄휠(37)은 워엄(36)과 치합한 상태로 워엄(36)의 회전에 종동하여 시계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워엄휠(37)의 회전방향이 제어기(32)에 의해 결정됨은 물론이다.
또한 워엄휠(37)의 중앙부에는 회전축(38)이 구비된다. 회전축(38)은 워엄휠(37)의 회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축으로서 가동프레임(43)의 회전아암(43a)에 결합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38)의 외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아암(43a)의 하단부에는 톱니형 축고정구멍(43d)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38)을 축고정구멍(43d)에 삽입함으로써 회전축(38)에 대한 가동프레임(43)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스위치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제어기(32)에 작동신호를 보내는 것으로서, 신호케이블(46)을 통해 제어기(32)와 유선 연결되는 풋스위치(45)를 포함한다. 풋스위치(45)는 발로 밟는 방식의 스위치로서 지면에 놓인다, 사용자가 풋스위치(45)의 버튼(45a)을 밟으면 해당 풋스위치(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터(33)가 동작한다.
두 개의 풋스위치(45) 중 일측 풋스위치는 한쪽 가동프레임(43)을, 타측 풋스위치는 반대편 가동프레임(43)을 동작시킨다. 아울러 풋스위치(45)를 한 번 밟으면 차광주름시트(47)가 열리고, 발을 떼면 멈추며, 다시 한 번 밟으면 닫힌다. 또한 이 상태에서 다시 발을 떼면 멈추고 또 다시 밟으면 열린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2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양측 차광주름시트(47)가 완전히 펼쳐져 인큐베이터(12)를 커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큐베이터(12)의 내부공간은 차광주름시트(47)에 의해 차광되어 어두운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신생아에 대한 진찰이나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할 경우, 의사나 간호사는 풋스위치(45)의 버튼(45a)을 발로 밟는다. 버튼(45a)을 밟음에 따라 모터(33)가 작동하여 가동프레임(43)이 상향 회동하고 차광주름시트(47)가 상부로 걷어 올려진다. 또한 음향출력부(42)를 통해 음향이 출력된다.
인큐베이터(12)를 반만 노출시키려면 한쪽 풋스위치(45)만 밟고, 완전히 노출 시키려면 양측 풋스위치(45)를 모두 누른다. 또한, 신생아에 대한 관찰만 잠깐 할 것이라면, 가동프레임(43)의 상향 회전 각도를 최소화 하여 들여다 볼 수 있다. 또한 내부 조명이 필요하다면, 근접스위치(49) 전방으로 손을 한번 움직여 조명램프(48)를 점등한다.
진찰이나 처치가 완료되었다면, 근접스위치(49)를 이용해 조명램프(48)를 소등하고, 풋스위치(45)를 밟아 차광주름시트(47)를 완전히 펼쳐 신생아가 어두운 분위기속에서 수면을 취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2:인큐베이터 12a:도어 14:컨트롤장치
20:차광장치 30:구동부 31:하우징
31a:관통구멍 31b:내부공간 32:제어기
33:모터 34:구동기어 35:중간기어
36:워엄 36a:전동샤프트 36b:베어링
37:워엄휠 38:회전축 41:고정프레임
41a:수직연장부 41b:수평연결부 42:음향출력부
43:가동프레임 43a:회전아암 43b:연결로드
43d:축고정구멍 45:풋스위치 45a:버튼
46:신호케이블 47:차광주름시트 48:조명램프
49:근접스위치

Claims (4)

  1. 인큐베이터에 장착되며, 개방된 상태로 상기 인큐베이터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인큐베이터를 커버하여 인큐베이터 내부의 조도를 낮추는 차광수단과;
    상기 차광수단을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부가 포함된,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인큐베이터의 양측부에 고정되며 수직 상부로 연장된 수직연장부와, 상기 수직연장부의 상단부에 결합하고 인큐베이터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고정된 수평연결부를 갖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과 결합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수직연장부와 평행을 이루는 회전아암, 상기 회전아암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수평연결부와 평행한 연결로드를 구비한 가동프레임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동프레임에 결합하며, 상기 가동프레임을 하향 회전시킬 때 펼쳐져 인큐베이터를 커버하고, 가동프레임을 상향 회전시킬 때 걷어져 인큐베이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차광주름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근접스위치와,
    상기 수평연장부에 장착되며 근접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점등되어 인큐베이터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램프와,
    상기 가동프레임의 회전 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가 포함된,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인큐베이터의 양측부에 고정되며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에 의해 작동하는 한 쌍의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각각 고정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각 구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워엄과,
    상기 워엄과 치합하여 워엄의 회전력을 전발받아 회전하고, 회전중심부에 상기 회전축을 갖는 워엄휠을 갖는,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신호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기와 유선 연결되며, 지면에 놓인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밟혀 신호를 출력하는 풋스위치인,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

KR1020200054873A 2020-05-08 2020-05-08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 KR102347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873A KR102347888B1 (ko) 2020-05-08 2020-05-08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873A KR102347888B1 (ko) 2020-05-08 2020-05-08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520A true KR20210136520A (ko) 2021-11-17
KR102347888B1 KR102347888B1 (ko) 2022-01-05

Family

ID=7870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873A KR102347888B1 (ko) 2020-05-08 2020-05-08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19751A (zh) * 2023-03-02 2023-10-24 南方医科大学南方医院 一种带保护屏障的多功能外出检查车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487A (ja) * 1997-02-14 1998-08-25 Atom Medical Kk 保育器のフード用カバー
KR100367908B1 (ko) 2000-06-01 2003-01-14 주식회사 피앤엠 지능형 인큐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3528656A (ja) * 1999-12-10 2003-09-30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乳児管理装置用可動覆い
JP3159341U (ja) * 2010-01-21 2010-05-20 株式会社アイソテック 患者用簡易隔離フード
JP2011183024A (ja) * 2010-03-10 2011-09-22 Tohoku Univ 光制御シート
KR101314188B1 (ko) 2013-03-20 2013-10-02 제이더블유중외메디칼 주식회사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341B2 (ja) * 1993-01-29 2001-04-23 ソニー株式会社 シャッタ部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487A (ja) * 1997-02-14 1998-08-25 Atom Medical Kk 保育器のフード用カバー
JP2003528656A (ja) * 1999-12-10 2003-09-30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乳児管理装置用可動覆い
KR100367908B1 (ko) 2000-06-01 2003-01-14 주식회사 피앤엠 지능형 인큐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159341U (ja) * 2010-01-21 2010-05-20 株式会社アイソテック 患者用簡易隔離フード
JP2011183024A (ja) * 2010-03-10 2011-09-22 Tohoku Univ 光制御シート
KR101314188B1 (ko) 2013-03-20 2013-10-02 제이더블유중외메디칼 주식회사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19751A (zh) * 2023-03-02 2023-10-24 南方医科大学南方医院 一种带保护屏障的多功能外出检查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888B1 (ko)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888B1 (ko)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
US7588532B2 (en) Lifting apparatus for patient support surface
US3776217A (en) Nursing box for babies or similar purposes
CN109224310B (zh) 儿科临床医生用儿科黄疸治疗装置
EP2716272B1 (en) Incubator/reanimation trans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said system
US9486378B2 (en) Heat therapy device
CN205494220U (zh) 一种自动更换尿布的护理床
CN110251328A (zh) 一种多功能护理床
JP5469885B2 (ja) 保育器
KR101314188B1 (ko)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CN213608438U (zh) 一种带uv消毒杀菌功能的面板灯
JP2017093486A (ja) 新生児用の照明装置を備えた保育器
JP5956243B2 (ja) 保育器
JP5469886B2 (ja) 保育器
CN216318620U (zh) 一种育儿暖箱可调遮光罩及育儿暖箱
CN114469571A (zh) 一种人工智能多功能护理床
KR100394324B1 (ko) 창호 개폐 장치
KR20080101507A (ko) 환자용 침대
CN205286999U (zh) 一种医用360度旋转式紫外线杀菌装置
CN117323577A (zh) 一种具有自动检测功能的黄疸蓝光治疗仪
CN215938072U (zh) 一种新生儿护理设备
CN2676908Y (zh) 被子消毒烘干器
JPH1156926A (ja) 浴槽・トイレ付きベッド装置
JP2014018223A (ja) 保育器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12402647B (zh) 杀菌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