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188B1 -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 Google Patents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188B1
KR101314188B1 KR1020130029954A KR20130029954A KR101314188B1 KR 101314188 B1 KR101314188 B1 KR 101314188B1 KR 1020130029954 A KR1020130029954 A KR 1020130029954A KR 20130029954 A KR20130029954 A KR 20130029954A KR 101314188 B1 KR101314188 B1 KR 101314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ood
opening
lifting fram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형
김효준
홍순민
Original Assignee
제이더블유중외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더블유중외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더블유중외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188B1/ko
Priority to PCT/KR2014/001935 priority patent/WO20141487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1/00Baby-incubators; Couve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1/00Baby-incubators; Couveuses
    • A61G11/005Baby-incubators; Couveuses with movable walls, e.g. for accessing the inside, removable walls
    • A61G11/007Baby-incubators; Couveuses with movable walls, e.g. for accessing the inside, removable walls by trans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1/00Baby-incubators; Couveuses
    • A61G11/001Baby-incubators; Couveuses with height-adjustable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는, 상부에 아기가 뉘여지도록 바닥판(11)이 구비된 몸체(10)와; 하부가 상기 몸체(10)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프레임(20)과;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되, 승강프레임(20)을 따라 승하강하며, 상기 몸체(10) 상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후드(30)와; 상기 승강프레임(20)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몸체(10)를 향해 열을 가하는 히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40)는 하측이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하측으로 걸림홈(41a)이 형성되도록 된 "┓" 형상의 걸림부재(41)가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후드(30)는 상기 바닥판(11)과 평행한 천장부(31)와, 상단이 상기 천장부(31)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측벽부(32)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승강프레임(20)을 향한 측벽부(32)는 개구부(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천장부(31)에 힌지 결합된 개폐도어(33)가 상기 개구부(32a)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되, 개폐도어(33) 상부에 "┏" 형상의 걸림돌기(3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33a)는 후드(3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걸림홈(41a)에 삽입되어 걸림부재(41)에 걸려 개폐도어(33)를 후드(30) 내측으로 회전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승강프레임을 구비하여 후드가 승강프레임을 따라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오픈 케어와 클로즈드 케어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되, 후드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게 되면 승강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히터에 일측이 걸리면서 후드 일측이 개방되면서 히터의 열이 후드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클로즈드 케어에서 오픈 케어로 변환 시 히터에 의한 복사열 및 대류열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히터와 개구부가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 개폐도어를 개방시킨 히터가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위치하도록 하여 열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히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미숙아에게 강한 열을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고, 미숙아 간호를 위한 간호사나 의사의 접근이 용이해지고, 후드의 측벽부 하측으로 하부측벽부가 연장 형성되고, 하부측벽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보조측벽부를 구비함으로써 후드의 높이를 높인 상태에서 오픈 케어에서 클로즈드 케어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되며, 개구부 하부의 측벽부 상단과 히터 하단에 한 쌍의 접점 스위치가 구비되어 두 접점 스위치가 접하게 되면 히터가 자동으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스위치 조작 없이 간편하게 열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HOOD LIFTING TYPE BABY-INCUBATOR WITH FIXED HEATER}
본 발명은 보육기에 관한 것으로, 승강프레임 상부에 히터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후드는 승강프레임을 승강하도록 되어 있되, 후드 일측 개폐도어가 구비되어 히터가 개폐도어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개폐도어 일측의 걸림돌기가 걸림부재에 걸려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히터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후드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한,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숙아 간호를 위한 보육기(인큐베이터)는 외부 환경과의 접근 여부에 따라 클로즈드 케어(closed care)와 오픈 케어(open care)로 분류된다.
클로즈드 케어는 일반적으로 보육기라 칭하며, 미숙아 주위에 후드를 설치하여 미숙아에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제공하도록 한다.
오픈 케어는 일반적으로 워머라 칭하며 보육기와 같은 후드 없이 미숙아 상부에 히터를 설치하고, 그 히터의 복사열로 미숙아에게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보육기에 관한 종래 기술로, 본 출원인이 출원한 "가습기가 구비된 인큐베이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3421호, 특허문헌 1)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인큐베이터에 초음파 방식으로 가습하는 가습부가 마련되고, 가습된 수분이 인큐베이터를 순환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경로를 설정하여 미숙아에게 일정한 습도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또, "인큐베이터"(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29601호, 특허문헌 2)에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하였다.
한편, 종래에는 보육기와 워머가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워머의 경우 보육기와 같은 후드가 없음으로 인해 미숙아 주위의 대류 조건에 의해서 열손실이 발행하는 단점이 있으며, 주위 환경에 의해 감염에 노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 클로즈드 케어에서 오픈 케어로 바꾸고자 할 경우 워머로 별도로 미숙아를 이동시켜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
이에 클로즈드 케어와 오픈 케어를 병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히터를 통한 온도 유지가 용이한 보육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20-0293421 (2002.10.15) KR 10-1999-0029601 (1999.04.26)
본 발명의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프레임을 구비하여 후드가 승강프레임을 따라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오픈 케어와 클로즈드 케어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되, 후드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게 되면 승강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히터에 일측이 걸리면서 후드 일측이 개방되면서 히터의 열이 후드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클로즈드 케어에서 오픈 케어로 변환 시 히터에 의한 복사열 및 대류열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히터와 개구부가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 개폐도어를 개방시킨 히터가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위치하도록 하여 열원 손실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히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미숙아에게 강한 열을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고, 미숙아 간호를 위한 간호사나 의사의 접근이 용이케 하려는 것이다.
또한, 후드의 측벽부 하측으로 하부측벽부가 연장 형성되고, 하부측벽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보조측벽부를 구비함으로써 후드의 높이를 높인 상태에서 오픈 케어에서 클로즈드 케어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개구부 하부의 측벽부 상단과 히터 하단에 한 쌍의 접점 스위치가 구비되어 두 접점 스위치가 접하게 되면 히터가 자동으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스위치 조작 없이 간편하게 열을 공급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에 아기가 뉘여지도록 바닥판(11)이 구비된 몸체(10)와; 하부가 상기 몸체(10)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프레임(20)과;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되, 승강프레임(20)을 따라 승하강하며, 상기 몸체(10) 상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후드(30)와; 상기 승강프레임(20)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몸체(10)를 향해 열을 가하는 히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40)는 하측이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하측으로 걸림홈(41a)이 형성되도록 된 "┓" 형상의 걸림부재(41)가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후드(30)는 상기 바닥판(11)과 평행한 천장부(31)와, 상단이 상기 천장부(31)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측벽부(32)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승강프레임(20)을 향한 측벽부(32)는 개구부(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천장부(31)에 힌지 결합된 개폐도어(33)가 상기 개구부(32a)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되, 개폐도어(33) 상부에 "┏" 형상의 걸림돌기(3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33a)는 후드(3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걸림홈(41a)에 삽입되어 걸림부재(41)에 걸려 개폐도어(33)를 후드(30) 내측으로 회전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구부(32a)와 히터(40)는 바닥판(11)을 기준으로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히터(40)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프레임(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 이동부재(4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4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4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32)의 하부에는 바닥판(11)과 수직한 방향의 하부측벽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측벽부(34)에는 보조측벽부(35)가 레일 또는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어 하부측벽부(34)의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개구부(32a) 하부의 측벽부(32) 상단과 히터(40) 하단에 한 쌍의 접점 스위치(44)가 구비되어 두 접점 스위치(44)가 접하게 되면 히터(40)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승강프레임을 구비하여 후드가 승강프레임을 따라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오픈 케어와 클로즈드 케어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되, 후드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게 되면 승강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히터에 일측이 걸리면서 후드 일측이 개방되면서 히터의 열이 후드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클로즈드 케어에서 오픈 케어로 변환 시 히터에 의한 복사열 및 대류열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히터와 개구부가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 개폐도어를 개방시킨 히터가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위치하도록 하여 열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히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미숙아에게 강한 열을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고, 미숙아 간호를 위한 간호사나 의사의 접근이 용이해진다.
또한, 후드의 측벽부 하측으로 하부측벽부가 연장 형성되고, 하부측벽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보조측벽부를 구비함으로써 후드의 높이를 높인 상태에서 오픈 케어에서 클로즈드 케어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구부 하부의 측벽부 상단과 히터 하단에 한 쌍의 접점 스위치가 구비되어 두 접점 스위치가 접하게 되면 히터가 자동으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스위치 조작 없이 간편하게 열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후드의 승강에 따른 개구부가 개폐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하부측벽부 및 보조측벽부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보조측벽부가 내려온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는 크게 몸체(10), 승강프레임(20), 후드(30) 및 히터(40)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가 뉘여지는 바닥판(11)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몸체(10)의 내부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보육기와 마찬가지로 가습장치 및 허드가 덮여져 있는 상태에서 대류열을 제공하기 위한 난방장치가 구비된다.
아울러, 각종 시술도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함이나 미숙아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진단장치들이 구비된다.
승강프레임(20)은 하부 일측이 상기 몸체(10)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부는 몸체(10)의 옆에 위치하여 상향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승강프레임(20)은 안정성을 갖추기 위하여 두 개가 서로 이격된 채 나란히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후드(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되, 승강프레임(20)을 따라 승하강하며, 상기 몸체(10) 상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후드(30)는 클로즈드 케어를 위해서는 승강프레임(20)을 따라 하향 이동하여 상기 몸체(10) 상부를 덮게 되고, 오픈 케어를 위해서는 승강프레임(20)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 된다.
이를 위해 후드(30)의 일측에는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되기 위한 브라켓과 같은 연결구가 구비되고, 이 연결구의 일측은 승강프레임(20)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승강프레임(20) 외측으로 감싸 레일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후드(30) 일측에 관 형상의 클램프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클램프가 승강프레임(20)을 감싸 승강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클램프에는 가압핀 등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후드(3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후드(30)의 이동 방식은 기본적으로 수동식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되어 있는 각종 실린더, 모터를 이용한 체인 방식 등으로 구성하여 전원 공급에 따라 승하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히터(40)는 상기 승강프레임(20)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몸체(10)를 향해 열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히터(40)는 일반 원적외선 방출 전기식 히터를 적용하여 몸체(10)를 향해 복사열을 가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히터(40)의 하측이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하측으로 걸림홈(41a)이 형성되도록 된 "┓" 형상의 걸림부재(41)가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후드(30)는 바닥판(11)과 평행한 천장부(31)와, 상단이 상기 천장부(31)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측벽부(32)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승강프레임(20)을 향한 측벽부(32)는 개구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일측이 천장부(31)에 힌지 결합된 개폐도어(33)가 상기 개구부(32a)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개폐도어(33) 상부에는 "┏" 형상의 걸림돌기(3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33a)는 후드(3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41)의 걸림홈(41a)에 삽입되고, 걸림부재(41)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어 개폐도어(33)를 후드(30) 내측으로 회전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에는 이러한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후드(30)가 상승하여 걸림돌기(33a)가 걸림부재(41) 내측의 걸림홈(41a)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개폐도어(33)가 개방되지 않는다.
후드(30)가 더 상승하게 되면 걸림돌기(33a)가 걸림부재(41)에 눌리면서 힌지축을 기준으로 개폐도어(33)를 밀어내게 되어 개폐도어(33)가 후드(30) 내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히터(40)와 개구부(32a)가 측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게 되면 개구부(32a)를 히터(40)가 막아주게 되어 개구부(32a)의 틈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와 같이 개구부(32a) 하단이 히터(40)의 하단에 접하게 되고, 상부측은 걸림부재(41) 및 걸림돌기(33a), 개폐도어(33)가 서로 맞닿아 있는 관계가 되어 내부 열의 손실 발생이 적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도시된 걸림부재(41)와 걸림돌기(33a)는 측면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승강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는 히터(40)의 위치를 변화시켜 히터(40)와 몸체(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히터(40)의 일측에 상기 승강프레임(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 이동부재(4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4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4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부재(42) 및 고정장치(43)는 후드(30)가 승강프레임(20)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동부재(42)를 관체 형상으로 형성하여 승강프레임(20)을 감싼 채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고, 고정장치(43)는 볼트나 핀 등을 이동부재(42)를 관통시켜, 승강프레임(20)에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히터(40)의 승강 역시 후드(30)와 마찬가지로 실린더, 모터 및 체인 등의 전기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히터(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 특히, 히터(40)를 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오픈 케어에서 클로즈드 케어로 전환해야 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32)의 하부에는 바닥판(11)과 수직한 방향의 하부측벽부(34)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측벽부(34)에는 보조측벽부(35)가 레일 또는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어 하부측벽부(34)의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왼쪽은 힌지 방식으로 보조측벽부(35)가 구성된 예이며, 오른쪽은 레일 방식으로 체결된 예이다.
힌지 방식의 경우 후드(30) 내측에 걸쇠(36)를 구비하여 접힌 상태에서 보조측벽부(35) 상단이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히터(40)의 높이가 높은 상태에서 클로즈드 케어 환경을 제공하게 되면 의사나 간호사의 접근 및 작업이 용이해지고, 독립된 공간이 증가되어 환경의 변화가 적어 안정적인 케어가 가능해진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보조측벽부(35)에는 통기홀(35a)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클로즈드 케어는 아니지만, 통기는 이루어지면서 외부에서의 세균 등의 접근은 비교적 차단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히터(40)의 작동을 위해 별도의 스위치(44) 조작을 하는 것보다 후드(30)가 상승하게 되면 자동으로 히터(40)가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를 위해 도시된 것처럼 개구부(32a) 하부의 측벽부(32) 상단과 히터(40) 하단에 한 쌍의 접점 스위치(44)가 구비되어 두 접점 스위치(44)가 접하게 되면 히터(4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후드(30)를 상승 이동시키다 개구부(32a)에 히터(40) 하단이 접하게 되어 외기의 접근이 차단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히터(40)가 작동되게 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히터(40)의 전원을 켜고 끄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게 된다.
10 : 몸체 11 : 바닥판
20 : 승강프레임 30 : 후드
31 : 천장부 32 : 측벽부
32a : 개구부 33 : 개폐도어
33a : 걸림돌기 34 : 하부측벽부
35 : 보조측벽부 35a : 통기홀
36 : 걸쇠 40 : 히터
41 : 걸림부재 41a : 걸림홈
42 : 이동부재 43 : 고정장치
44 : 스위치

Claims (6)

  1. 보육기에 있어서,
    상부에 아기가 뉘여지도록 바닥판(11)이 구비된 몸체(10)와;
    하부가 상기 몸체(10)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프레임(20)과;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되, 승강프레임(20)을 따라 승하강하며, 상기 몸체(10) 상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후드(30)와;
    상기 승강프레임(20)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몸체(10)를 향해 열을 가하는 히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히터(40) 일측에 걸림부재(41)가 돌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후드(30) 일측에 개폐도어(3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도어(33) 상부에 걸림돌기(33a)가 형성되어 있어 승강프레임(20)을 따라 후드(30)가 상승시 걸림돌기(33a)가 걸림부재(41)에 걸려 개폐도어(33)가 회전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2. 보육기에 있어서,
    상부에 아기가 뉘여지도록 바닥판(11)이 구비된 몸체(10)와;
    하부가 상기 몸체(10)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프레임(20)과;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되, 승강프레임(20)을 따라 승하강하며, 상기 몸체(10) 상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후드(30)와;
    상기 승강프레임(20)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몸체(10)를 향해 열을 가하는 히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40)는 하측이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프레임(20)에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하측으로 걸림홈(41a)이 형성되도록 된 "┓" 형상의 걸림부재(41)가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후드(30)는 상기 바닥판(11)과 평행한 천장부(31)와, 상단이 상기 천장부(31)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측벽부(32)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승강프레임(20)을 향한 측벽부(32)는 개구부(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천장부(31)에 힌지 결합된 개폐도어(33)가 상기 개구부(32a)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되, 개폐도어(33) 상부에 "┏" 형상의 걸림돌기(3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33a)는 후드(3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걸림홈(41a)에 삽입되어 걸림부재(41)에 걸려 개폐도어(33)를 후드(30) 내측으로 회전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2a)와 히터(40)는 바닥판(11)을 기준으로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40)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프레임(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 이동부재(4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4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4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32)의 하부에는 바닥판(11)과 수직한 방향의 하부측벽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측벽부(34)에는 보조측벽부(35)가 레일 또는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어 하부측벽부(34)의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2a) 하부의 측벽부(32) 상단과 히터(40) 하단에 한 쌍의 접점 스위치(44)가 구비되어 두 접점 스위치(44)가 접하게 되면 히터(40)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KR1020130029954A 2013-03-20 2013-03-20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KR101314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954A KR101314188B1 (ko) 2013-03-20 2013-03-20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PCT/KR2014/001935 WO2014148756A1 (ko) 2013-03-20 2014-03-10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954A KR101314188B1 (ko) 2013-03-20 2013-03-20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188B1 true KR101314188B1 (ko) 2013-10-02

Family

ID=4963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954A KR101314188B1 (ko) 2013-03-20 2013-03-20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4188B1 (ko)
WO (1) WO20141487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264A1 (ko) * 2020-03-25 2021-09-30 제이더블유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보육기
KR20210136520A (ko) 2020-05-08 2021-11-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1739A (zh) * 2018-01-30 2018-08-28 李江鸿 一种儿科护理用智能保温箱
CN110584869A (zh) * 2019-09-12 2019-12-20 彭飞 热疗箱体结构及氢气热疗装置
CN113633491B (zh) * 2021-07-12 2022-08-09 洛阳职业技术学院 一种新生儿科临床医学用防感染隔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3262A (ja) 2003-09-26 2005-04-21 Datex Ohmeda Inc 固定オーバーヘッド式加熱器をもつ乳児ケア装置
JP2010259651A (ja) 2009-05-08 2010-11-18 Atom Medical Corp 児ケア用装置
JP2011200696A (ja) 1999-05-21 2011-10-13 Datex-Ohmeda Inc 幼児ケア器械を安全に作動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12000511A (ja) 1999-05-21 2012-01-05 Datex-Ohmeda Inc 幼児ケア器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016294A (pt) * 1999-12-10 2003-07-15 Hill Rom Services Inc Unidade para atendimento de bebês, combinação de incubadora e aquecedor para bebês, aparelho para suporte de bebês, e, método para ter acesso a um bebê em uma unidade para atendimento de bebês
US6447442B1 (en) * 1999-12-11 2002-09-10 Datex-Ohmeda, Inc. Infant care apparatus canopy force limi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0696A (ja) 1999-05-21 2011-10-13 Datex-Ohmeda Inc 幼児ケア器械を安全に作動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12000511A (ja) 1999-05-21 2012-01-05 Datex-Ohmeda Inc 幼児ケア器械
JP2005103262A (ja) 2003-09-26 2005-04-21 Datex Ohmeda Inc 固定オーバーヘッド式加熱器をもつ乳児ケア装置
JP2010259651A (ja) 2009-05-08 2010-11-18 Atom Medical Corp 児ケア用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264A1 (ko) * 2020-03-25 2021-09-30 제이더블유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보육기
CN115335021A (zh) * 2020-03-25 2022-11-11 Jw生物科学股份有限公司 恒温箱
CN115335021B (zh) * 2020-03-25 2023-10-03 Jw制药公司 恒温箱
KR20210136520A (ko) 2020-05-08 2021-11-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생아 인큐베이터용 차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8756A1 (ko)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188B1 (ko) 고정식 히터를 구비한 후드 승강 방식의 보육기
US6213935B1 (en) Infant warming apparatus
JP5232281B2 (ja) 幼児ケア器械
JP5283477B2 (ja) 保育器
US7282022B2 (en) Infant care apparatus with fixed overhead heater
US6506147B2 (en) Movable canopy warmer for an infant care unit
JP2000354615A (ja) 幼児ケア器械を安全に作動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5912792B2 (ja) 保育器
US6611978B1 (en) Patient-support apparatus
US9095485B2 (en) Infant incubator
CA2326089A1 (en) Infant care apparatus with bidirectional sliding drawer
JP5960527B2 (ja) 保育器
KR101314189B1 (ko) 후드 및 히터 승강 방식의 보육기
CN105395357A (zh) 温控艾灸盒及自动控温方法
US6893390B1 (en) Movable canopy for infant care apparatus
US9125780B2 (en) Infant incubator
US20220296447A1 (en) Patient care device with retractable heater element
US20120191165A1 (en) Thermotheraphy device
CN209713497U (zh) 一种新生儿用暖箱
US20150164723A1 (en) Thermotherapy device
BRPI1106266A2 (pt) equipamento hospitalar, que opera como incubadora ou berÇo aquecido, dotado de um sistema de posicionamento de aquece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