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015A - 폴리머 수분산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머 수분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015A
KR20210136015A KR1020217028478A KR20217028478A KR20210136015A KR 20210136015 A KR20210136015 A KR 20210136015A KR 1020217028478 A KR1020217028478 A KR 1020217028478A KR 20217028478 A KR20217028478 A KR 20217028478A KR 20210136015 A KR20210136015 A KR 20210136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arts
acrylic acid
meth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스케 무라카미
히로후미 야마구치
치아키 우에즈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01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08F2/30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non-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from polymer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2Exothermic; Self-heating; Heating s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00/0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 C08F2800/2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as weight or mass percent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를 비교적 고농도로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핸들링성이 상실되어 있지 않은 수분산 조성물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존재하에서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로서, (1) 이하의 (ⅰ) 및 (ⅱ)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2) 이하의 (ⅰ)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3) 이하의 (ⅰ), (ⅱ)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4~8질량% 함유하는 수분산 조성물이 제공된다. (ⅰ)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 (ⅱ)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 0.001~1질량부, (ⅲ) 알킬기의 탄소수가 10~3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0.5~5질량부

Description

폴리머 수분산 조성물
본 개시는 폴리머(특히,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가 물에 분산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는 화장품 등의 증점제, 파프제(cataplasm) 등의 보습제, 유화제나 현탁물 등의 현탁 안정제, 전지 등의 겔화 기제 등으로서 여러 가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14/021434호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는 증점 작용을 가지고 있고, 물 등에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점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해당 증점 작용은 해당 공중합체량을 늘리면 비약적으로 향상되기 때문에 물에 다량의 해당 공중합체를 함유시키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거나, 또는 대략 고형상으로 되는 등, 핸들링성이 현저히 저하해 버린다. 이 때문에, 통상은 1~1.5질량%, 많아도 2질량% 정도의 농도의 수분산 조성물을 조제하고나서, 그 후의 제품(예를 들면, 화장품)의 제조에 이용한다.
한편, 해당 공중합체가 물에 분산한 수분산 조성물은 가능한 한 고농도인 편이 화장품 등의 제품의 제조에서 효율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해당 공중합체가 고농도임에도 불구하고, 핸들링성이 상실되어 있지 않은 수분산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으면 유리하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존재하에서 특정한 성분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이면, 비교적 고농도를 물에 분산시켜도 핸들링성이 유지된 수분산 조성물이 얻어질 가능성을 발견하고, 더욱 개량을 거듭했다.
본 개시는 예를 들면, 이하의 항에 기재된 주제를 포함한다.
항 1.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존재하에서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로서, (1) 이하의 (ⅰ) 및 (ⅱ)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2) 이하의 (ⅰ)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3) 이하의 (ⅰ), (ⅱ)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4~8질량% 함유하는 수분산 조성물.
(ⅰ)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
(ⅱ)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 0.001~1질량부
(ⅲ) 알킬기의 탄소수가 10~3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0.5~5질량부
항 2.
상기 공중합체가, (ⅰ)의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0.5~10질량부 존재하는 존재하에서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인 항 1에 기재된 수분산 조성물.
항 3.
점도가 60000mPa·s 이하인 항 1 또는 2에 기재된 수분산 조성물.
항 4.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히드록시 지방산과 에틸렌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분산 조성물.
항 5.
(1) 이하의 (ⅰ) 및 (ⅱ)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2) 이하의 (ⅰ)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3) 이하의 (ⅰ), (ⅱ)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4~8질량% 함유하고, 점도가 60000mPa·s 이하인 수분산 조성물.
(ⅰ)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
(ⅱ)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 0.001~1질량부
(ⅲ) 알킬기의 탄소수가 10~3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0.5~5질량부
항 6.
(ⅲ)의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알킬기의 탄소수가 18~24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인 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분산 조성물.
항 7.
(ⅱ)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이 펜타에리스리톨알릴에테르, 테트라알릴옥시에탄, 인산트리알릴 및 폴리알릴수크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분산 조성물.
비교적 고농도를 물에 분산시켜도 핸들링성이 유지된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의 수분산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개시에 포함되는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는 점성 조성물(특히, 핸들링성이 유지된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의 수분산 조성물) 및 해당 점성 조성물의 조제 방법 등을 바람직하게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셈은 아니고,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당업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전부를 포함한다.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존재하에서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로서, (1) 이하의 (ⅰ) 및 (ⅱ)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2) 이하의 (ⅰ)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3) 이하의 (ⅰ), (ⅱ)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4~8질량% 함유하는 수분산 조성물은 본 개시에 포함된다.
(ⅰ)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
(ⅱ)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 0.001~1질량부
(ⅲ) 알킬기의 탄소수가 10~3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0.5~5질량부
또한, (1) 상기의 (ⅰ) 및 (ⅱ)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2) 상기의 (ⅰ)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3) 상기의 (ⅰ), (ⅱ)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4~8질량% 함유하고, 점도가 60000mPa·s 이하인 수분산 조성물도 본 개시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개시에 포함되는 해당 폴리머 수분산 조성물을 "본 개시의 수분산 조성물"이라 하는 일이 있다. 또한, 본 개시에 포함되는 상기 (1), (2) 및 (3)의 공중합체를 각각 공중합체(1), 공중합체(2) 및 공중합체(3)이라 하는 일이 있다. 또한, 공중합체(1)~(3)을 종합하여 "본 개시의 공중합체"라 하는 일이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본 개시의 공중합체로서는, (1) 또는 (3)이 보다 바람직하고, (3)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3)은 상기와 같이,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 0.001~1질량부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10~3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0.5~5질량부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메타)아크릴산으로서,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중 어느 한쪽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이들의 양쪽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0~30(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또는 3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란, (메타)아크릴산과, 알킬기의 탄소수가 10~30인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다. 해당 알킬기의 탄소수는 예를 들면, 12~30, 14~28, 16~26, 또는 18~2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과 스테아릴알코올의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과 에이코사놀의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과 베헤닐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메타)아크릴산과 테트라코사놀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스테아릴, 메타크릴산에이코사닐, 메타크릴산베헤닐 및 메타크릴산테트라코사닐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은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유지 주식회사제의 상품명 블렘머VMA70 등의 시판품을 이용해도 좋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사용량은,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0.5~5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5~4질량부 또는 1~4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질량부이다.
또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등의 폴리올의 2치환 이상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류; 상기 폴리올의 2치환 이상의 알릴에테르류; 프탈산디알릴, 인산트리알릴, 메타크릴산알릴,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아디프산디비닐, 크로톤산비닐, 1, 5-헥사디엔, 디비닐벤젠, 폴리알릴수크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 중에서도, 얻어지는 알킬 변성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점성 조성물을 조제했을 때, 소량의 사용으로 높은 증점성의 부여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유화물, 현탁물 등에 높은 현탁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펜타에리스리톨알릴에테르(그 중에서도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알릴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가 바람직하다), 테트라알릴옥시에탄, 인산트리알릴 및 폴리알릴수크로오스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질량부이다. 해당 범위의 하한은 예를 들면, 0.005, 0.01, 0.015, 0.02, 0.025, 0.03, 0.035, 또는 0.04이어도 좋다. 또한, 해당 범위의 상한은 예를 들면, 0.95, 0.9, 0.85, 0.8, 0.75, 0.7, 0.65, 또는 0.6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해당 사용량은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0.8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2~0.7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공중합체의 제조에 있어서, (ⅰ)과 (ⅱ), 또는 (ⅰ)과 (ⅲ), 또는 (ⅰ)과 (ⅱ)와 (ⅲ)을 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들을 래디컬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 중합 용매 중에서 중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래디컬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α, α'-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 2'-아조비스-2, 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 2'-아조비스메틸이소부티레이트, 과산화벤조일, 라우로일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제3급 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래디컬 중합 개시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상기 래디컬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0.45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1~0.3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래디컬 중합 개시제를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함으로써 중합 반응 속도를 보다 적절히 제어할 수 있어서, 알킬 변성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를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중합체(1)에 대해서의 설명과 공중합체(3)에 대해서의 설명은 중합 시의 상기 (ⅲ)의 유무 이외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공통된다. 또한, 공중합체(2)에 대해서의 설명과 공중합체(3)에 대해서의 설명은 중합 시의 상기 (ⅱ)의 유무 이외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공통된다 공중합체(3)에 대해서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ⅲ)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공중합체(1)에 대해서의 설명에 해당되고, 공중합체(3)에 대해서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ⅱ)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공중합체(2)에 대해서의 설명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공중합체(1)~(3)의 어느 쪽도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존재하에서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고농도(예를 들면, 4~8질량% 정도)를 물에 분산시킨 경우이어도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아서 핸들링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상기 공중합체의 원료에 추가하여, 해당 계면 활성을 중합 용매 중에 배합하여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공중합체(1)~(3), 즉, 상기 (ⅰ) 및 (ⅱ)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상기 (ⅰ)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또는 상기 (ⅰ), (ⅱ)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이어도,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키고 있지 않은 것은 고농도(예를 들면, 4~8질량% 정도)를 물에 분산시킬 때, 핸들링성이 유지되지 않는다.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히드록시 지방산과 에틸렌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와 다가 알코올 지방산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다가 알코올 지방산으로서는, 탄소수 14~24(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또는 24)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다가(특히, 2가) 알코올 지방산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소팔미트산,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올레산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와 다가 알코올 지방산의 에스테르 화합물에서의 폴리옥시에틸렌의 산화에틸렌 평균 부가 몰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20~100 정도, 또는 30~70 정도를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와 다가 알코올 지방산의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로서는, 산화에틸렌의 부가 몰수가 2~10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고, 2~5 정도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히드록시 지방산과 에틸렌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란, 바꾸어 말하면, 폴리히드록시 지방산과 폴리옥시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라고도 할 수 있다. 폴리히드록시 지방산의 지방산으로서는, 탄소수 14~22 정도의 지방산이 바람직하고,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히드록시 지방산으로서는, 히드록시미리스트산, 히드록시팔미트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특히, 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시스테아르산으로서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히드록시 지방산으로서는, 폴리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히드록시 지방산과 에틸렌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과 에틸렌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사용량은 (ⅰ)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0.5~10질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해당 질량부 범위의 하한은 예를 들면, 0.75, 1.0, 1.25, 또는 1.5 정도이어도 좋고, 또한, 해당 질량부 범위의 상한은 예를 들면, 9.5, 9, 8.5, 8, 7.5, 7, 6.5, 6, 또는 5.5 정도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1~7.5질량부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합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타)아크릴산, 상기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을 용해하고, 또한 얻어지는 알킬 변성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를 용해하지 않는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중합 용매의 구체예로서는, 노르말펜탄, 노르말헥산, 노르말헵탄, 노르말옥탄, 이소옥탄, 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벤젠, 에틸렌디클로라이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에틸메틸케톤, 이소부틸메틸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중합 용매 중에서도 품질이 안정되어 있고, 입수가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클로라이드, 노르말헥산, 노르말헵탄, 아세트산에틸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중합 용매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상기 중합 용매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200~10,0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300~2,0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용매를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함으로써 중합 반응이 진행되어도 알킬 변성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가 응집되는 것을 억제하여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또한 중합 반응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합 반응을 실시할 때의 분위기에 대해서는, 중합 반응이 가능한 것을 한도로 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을 실시할 때의 반응 온도는 중합 반응이 가능한 것을 한도로 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90℃가 바람직하고, 55~75℃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반응 온도로 중합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반응 용액의 점도 상승을 억제하여 반응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얻어지는 알킬 변성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의 부피 밀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을 실시할 때의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통상, 2~10시간이다.
반응 종료 후에는 예를 들면, 반응 용액을 80~130℃로 가열하고, 중합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백색 미분말의 알킬 변성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를 단리(單離)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수분산 조성물에 있어서, 본 개시의 공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본 개시의 수분산 조성물에 있어서, 본 개시의 공중합체는 4~8질량% 정도 함유된다. 해당 범위의 하한은 예를 들면, 4.5 또는 5질량%이어도 좋다. 또한, 해당 범위의 상한은 7.5 또는 7질량%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4.5~7.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점성 조성물은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60000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00m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00mPa·s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mPa·s 이상이다. 해당 점도는 상온(25℃)에 있어서, BrookField사제의 점도계(형번: DV1MRVTJO)를 이용하고, 회전 속도를 매분 20회전으로 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한, 측정에 사용하는 로터는 2000mPa·s 미만인 경우에는 로터No.3, 2000mPa·s 이상 5000mPa·s 미만인 경우에는 로터No.4, 5000mPa·s 이상 15000mPa·s 미만인 경우에는 로터No.5, 15000mPa·s 이상 40000mPa·s 미만인 경우에는 로터No.6, 40000mPa·s 이상인 경우에는 로터No.7이다.
본 개시의 수분산 조성물은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공중합체를 소량씩 서서히 물에 추가하면서 교반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수분산 조성물은 본 개시의 공중합체 및 물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고, 본 개시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용도에 따라서 다른 첨가제나 유효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수분산 조성물을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습제, 산화 방지제,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살균제, 피부 부활제, 소취제, 계면 활성제, 향료, 색소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특히, 본 개시의 수분산 조성물을 화장료 조제용(예를 들면, 농축액)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대한 끈적임을 없애어서, 깔끔한 양호한 사용감을 더한층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 락트산나트륨, 2-피롤리돈-5-카르복실산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아세틸화 히알루론산나트륨 등의 보습제를 배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분산 조성물에 다른 첨가제나 유효 성분을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공중합체를 상기와 같이 하여 물에 추가할 때에 이들의 첨가제나 유효 성분도 아울러서 첨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수분산 조성물은 상기 점도를 구비하고 있고, 점성이 있는 액상, 유동성이 있는 겔상, 크림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이유에서, 비교적 고농도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를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핸들링성이 우수해 있다.
본 개시의 수분산 조성물은 예를 들면, 화장료, 의약(특히, 피부 외용제), 토일레트리(toiletry) 제품, 하우스홀드 제품, 수용성 도료 등의 분야에서 사용된다. 특히, 이들 제품의 전구체(예를 들면, 농축액)로서, 또는 이들 제품에 이용하는 증점액의 농축액 등으로서 이용된다.
본 개시의 수분산 조성물 또는 이를 엷게 한 것을 화장료로 하는 경우, 그 제제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화장수, 유액, 미용액, 크림, 크림 팩, 마사지 크림, 헤어 세팅 젤, 선크림, 스타일링 젤,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립스틱, 파운데이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수분산 조성물 또는 이를 엷게 한 것을 토일레트리 제품으로 하는 경우, 그 제제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클렌징 크림, 클렌징 젤, 세안 폼, 헤어 워시, 보디 워시, 린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이란,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과, "로 이루어지는"도 포함한다(The term "comprising" includes "consisting essentially of" and "consisting od."). 또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설명한 구성 요건의 임의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본 개시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 각종 특성(성질, 구조, 기능 등)은 본 개시에 포함되는 주제를 특정하는 데 있어서 어떻게 조합되어도 좋다. 즉, 본 개시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조합 가능한 각 특성의 모든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주제가 전부 포함된다.
(실시예)
이하, 본 개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하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방법]
하기하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얻어진 점성 조성물에 대하여, 점도를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 샘플(각 점성 조성물)을 25℃로 조정한 항온 수조에 60분 이상 적신 후에, BrookField사제의 점도계(형번: DV1MRVTJO)를 이용하여 회전 속도를 매분 20회전으로 해서 1분 후의 25℃에서의 점도를 측정했다. 측정에 사용한 로터는 2000mPa·s 미만인 경우에는 로터No.3, 2000mPa·s 이상 5000mPa·s 미만인 경우에는 로터No.4, 5000mPa·s 이상 15000mPa·s 미만인 경우에는 로터No.5, 15000mPa·s 이상 40000mPa·s 미만인 경우에는 로터No.6, 40000mPa·s 이상인 경우에는 No.7로 했다. 또한,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60000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00mPa·s 이하의 시료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지 않아서, 핸들링성에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제조예 1]
교반기, 온도계, 질소 불어넣음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mL(밀리미터) 용적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0g,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22g, 2, 2'-아조비스(이소부틸산메틸) 0.116g 및 노르말헥산 230.9g을 넣었다. 용액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 용기(4구 플라스크)의 상부 공간, 원료 및 반응 용매 중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 가스를 불어넣었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하, 60~65℃까지 가열했다. 그 후, 3시간 60~65℃로 유지했다. 60~65℃로 1시간 정도 유지한 시점에서 노르말헥산 2.0g에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과 폴리옥시에틸렌의 블록 공중합체(크로다제, Hypermer B246) 2.0g을 용해시킨 것을 반응 용기에 투입했다. 그 후, 생성한 슬러리를 100℃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 제거하고, 또한 115℃, 10mmHg의 조건으로 8시간 감압 건조함으로써 백색 미분말상의 카르복시비닐폴리머 38g을 얻었다. 이하, 해당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제조예 1 폴리머로 표기하는 일이 있다.
[제조예 2]
교반기, 온도계, 질소 불어넣음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mL(밀리미터) 용적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0g, 블렘머VMA-70(니치유 주식회사제, 메타크릴산스테아릴이 10~20질량부, 메타크릴산에이코사닐이 10~20질량부, 메타크릴산베헤닐이 59~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테트라코사닐의 함유율이 1질량% 이하인 혼합물) 0.4g,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19g, 2, 2'-아조비스(이소부틸산메틸) 0.116g 및 노르말헥산 230.9g을 넣었다. 용액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 용기(4구 플라스크)의 상부 공간, 원료 및 반응 용매 중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 가스를 불어넣었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하, 60~65℃까지 가열했다. 그 후, 3시간 60~65℃로 유지했다. 60~65℃로 1시간 정도 유지한 시점에서 노르말헥산 2.0g에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과 폴리옥시에틸렌의 블록 공중합체(크로다제, Hypermer B246) 1.6g을 용해시킨 것을 반응 용기에 투입했다. 그 후, 생성한 슬러리를 100℃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 제거하고, 또한 115℃, 10mmHg의 조건으로 8시간 감압 건조함으로써 백색 미분말의 알킬 변성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 39g을 얻었다. 이하, 해당 공중합체를 제조예 2 폴리머로 표기하는 일이 있다.
[제조예 3]
교반기, 온도계, 질소 불어넣음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mL(밀리미터) 용적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0g, 블렘머VMA-70(니치유 주식회사제, 메타크릴산스테아릴이 10~20질량부, 메타크릴산에이코사닐이 10~20질량부, 메타크릴산베헤닐이 59~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테트라코사닐의 함유율이 1질량% 이하인 혼합물) 0.4g,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22g, 2, 2'-아조비스(이소부틸산메틸) 0.116g 및 노르말헥산 230.9g을 넣었다. 용액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 용기(4구 플라스크)의 상부 공간, 원료 및 반응 용매 중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 가스를 불어넣었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하, 60~65℃까지 가열했다. 그 후, 3시간 60~65℃로 유지했다. 60~65℃로 1시간 정도 유지한 시점에서 노르말헥산 2.0g에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과 폴리옥시에틸렌의 블록 공중합체(크로다제, Hypermer B246) 1.6g을 용해시킨 것을 반응 용기에 투입했다. 그 후, 생성한 슬러리를 100℃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 제거하고, 또한 115℃, 10mmHg의 조건으로 8시간 감압 건조함으로써 백색 미분말의 알킬 변성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 39g을 얻었다. 이하, 해당 공중합체를 제조예 3 폴리머로 표기하는 일이 있다.
[제조예 4]
교반기, 온도계, 질소 불어넣음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mL(밀리미터) 용적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0g,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22g, 2, 2'-아조비스(이소부틸산메틸) 0.116g 및 노르말헥산 230.9g을 넣었다. 용액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 용기(4구 플라스크)의 상부 공간, 원료 및 반응 용매 중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 가스를 불어넣었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하, 60~65℃까지 가열했다. 그 후, 3시간 60~65℃로 유지했다. 60~65℃로 1시간 정도 유지한 시점에서 노르말헥산 2.0g에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닛코 케미컬(주)제, 상품명: CO-3, 에틸렌옥시드 3몰 부가물) 0.16g과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니혼 에멀션(주)제, 상품명: RWIS-350, 에틸렌옥시드 50몰 부가물) 0.60g을 용해시킨 것을 반응 용기에 투입했다. 그 후, 생성한 슬러리를 100℃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 제거하고, 또한 115℃, 10mmHg의 조건으로 8시간 감압 건조함으로써 백색 미분말의 카르복시비닐폴리머 37g을 얻었다. 이하, 해당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제조예 4 폴리머로 표기하는 일이 있다.
[제조예 5]
교반기, 온도계, 질소 불어넣음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mL(밀리미터) 용적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0g, 블렘머VMA-70(니치유 주식회사제, 메타크릴산스테아릴이 10~20질량부, 메타크릴산에이코사닐이 10~20질량부, 메타크릴산베헤닐이 59~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테트라코사닐의 함유율이 1질량% 이하인 혼합물) 0.88g,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22g, 2, 2'-아조비스(이소부틸산메틸) 0.116g 및 노르말헥산 230.9g을 넣었다. 용액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 용기(4구 플라스크)의 상부 공간, 원료 및 반응 용매 중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 가스를 불어넣었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하, 60~65℃까지 가열했다. 그 후, 3시간 60~65℃로 유지했다. 60~65℃로 1시간 정도 유지한 시점에서 노르말헥산 2.0g에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닛코 케미컬(주)제, 상품명: CO-3, 에틸렌옥시드 3몰 부가물) 0.26G과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니혼 에멀션(주)제, 상품명: RWIS-350, 에틸렌옥시드 50몰 부가물) 0.98g을 용해시킨 것을 반응 용기에 투입했다. 그 후, 생성한 슬러리를 100℃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 제거하고, 또한 115℃, 10mmHg의 조건으로 8시간 감압 건조함으로써 백색 미분말의 알킬 변성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 38g을 얻었다. 이하, 해당 공중합체를 제조예 5 폴리머로 표기하는 일이 있다.
[제조예 6]
교반기, 온도계, 질소 불어넣음관 및 냉각관을 부착한 500mL 용적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5g(0.625몰),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135g, n-헥산 150g 및 2, 2'-아조비스메틸이소부티레이트 0.081g(0.00035몰)을 넣고, 반응액을 조제했다. 용액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 용기의 상부 공간, 원료 및 용매 중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 가스를 불어넣었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하, 반응액을 60~65℃로 유지하여 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생성한 슬러리를 90℃로 가열하여 n-헥산을 증류 제거하고, 또한 110℃, 10mmHg로 8시간 감압 건조함으로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42g을 얻었다. 이하, 해당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제조예 6 폴리머로 표기하는 일이 있다.
[제조예 7]
교반기, 온도계, 질소 불어넣음관 및 냉각관을 부착한 500mL 용적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5g(0.625몰),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27g, n-헥산 150g 및 2, 2'-아조비스메틸이소부티레이트 0.081g(0.00035몰)을 넣고, 반응액을 조제했다. 용액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 용기의 상부 공간, 원료 및 용매 중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 가스를 불어넣었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하, 반응액을 60~65℃로 유지하여 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생성한 슬러리를 90℃로 가열하여 n-헥산을 증류 제거하고, 또한 110℃, 10mmHg로 8시간 감압 건조함으로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42g을 얻었다. 이하, 해당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제조예 7 폴리머로 표기하는 일이 있다.
[제조예 8]
교반기, 온도계, 질소 불어넣음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mL 용적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5g(0.625몰), 블렘머VMA70(일본 유지 주식회사제, 메타크릴산스테아릴이 10~20질량부, 메타크릴산에이코사닐이 10~20질량부, 메타크릴산베헤닐이 59~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테트라코사닐의 함유량이 1질량부 이하인 혼합물) 1.35g,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02g, 노르말헥산 150g 및 2, 2'-아조비스메틸이소부티레이트 0.081g(0.00035몰)을 넣었다. 용액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 용기(4구 플라스크)의 상부 공간, 원료 및 반응 용매 중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 가스를 불어넣었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하, 60~65℃로 유지하여 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생성한 슬러리를 90℃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 제거하고, 또한 110℃, 10mmHg로 8시간 감압 건조함으로써 백색 미분말의 알킬 변성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 43g을 얻었다. 이하, 해당 공중합체를 제조예 8 폴리머로 표기하는 일이 있다.
[폴리머 3% 수분산체의 조제]
직경 4㎝, 높이 1㎝의 디스퍼를 구비한 500㎖ 용적의 플라스틱 비커에 이온 교환수 291g을 재고, 1,000rpm으로 교반하면서 각 제조예의 폴리머 9g을 각각 서서히 첨가했다. 폴리머 투입 개시에서 수중에 분산시킬 때까지 걸린 시간을 "폴리머 투입 시간"으로서 기록했다. 첨가 후, 교반 속도를 2,500rpm으로 하고, 1시간 교반을 계속함으로써 폴리머 3%(질량%) 수분산체를 얻었다.
또한, 물로의 친밀감이 빠른 폴리머일수록 "폴리머 투입 시간"은 단시간으로 된다. 폴리머 투입 시간이 단시간인 편이, 수분산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제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폴리머 5% 수분산체의 조제 방법]
직경 7.5㎝, 높이 1.5㎝의 4매 패들 날개를 구비한 500㎖ 용적의 플라스틱 비커에 이온 교환수 285g을 재고, 250rpm으로 교반하면서 각 제조예의 폴리머 15g을 주걱으로 0.5~0.6g씩 서서히 첨가했다. 첨가 속도에 대해서는, 주걱으로 투입한 폴리머가 수면 상에 보이지 않게 되어, 수중에 분산된 것을 확인한 후에 다음의 0.5~0.6g을 추가했다. 또한, 폴리머 투입 개시에서 수중에 분산시킬 때까지 걸린 시간을 "폴리머 투입 시간"으로서 기록했다. 폴리머 투입 후, 교반 속도를 760rpm으로 하고, 1시간 교반을 계속함으로써 폴리머 5% 수분산체를 얻었다.
[폴리머 6% 수분산체의 조제 방법]
이온 교환수의 양을 282g으로, 폴리머의 양을 18g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폴리머 5% 수분산체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머 7% 수분산체를 얻었다.
[폴리머 7% 수분산체의 조제 방법]
이온 교환수의 양을 279g으로, 폴리머의 양을 21g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폴리머 5% 수분산체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머 6% 수분산체를 얻었다.
실시예 1~11, 비교예 1~3 및 참고예 1
상기의 각 제조예 폴리머를 각 농도로 함유하는 수분산체를,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기초하여, 상기의 수분산체의 조제 방법에 따라서 조제했다. 표 1에 있어서, 폴리머 원료 조성 및 첨가제 조성의 각 수치는, 이용한 각 성분의 질량부비의 값을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폴리머 수분산체 조성의 각 수치는 해당 분산체에서의 질량%를 나타낸다. 또한, 표 1에는, 각 폴리머 수분산체의 점도 및 조제 시의 폴리머 투입 시간도 아울러서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응용예 1
실시예 1의 5% 수분산체를 이용한 핫 마사지 젤을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했다.
직경 5㎝, 폭 1.5㎝의 4매 패들 날개를 구비한 300㎖ 용적의 플라스틱 비커에 글리세린(간토 화학사제 시약 특급) 89.49g, 1, 3-부탄디올(간토 화학사제 시약 특급), 페녹시에탄올(간토 화학사제 시약 특급) 0.4g을 재고, 실온에서 균일해질 때가지 교반했다. 그곳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폴리머 5% 수분산체 4.0g을 첨가하고, 750rpm으로 30분간 교반했다. 그 후, 수산화나트륨 6% 수용액 1.11g 첨가하고, 1,000rpm으로 30분간 교반하여 글리세린 젤을 얻었다. 또한, 모든 공정은 실온에서 실시했다.
해당 처방은 물을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주로 폴리머를 물에 고농도로 분산시키고, 글리세린과 혼합하거나, 글리세린에 폴리머를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글리세린에 폴리머를 분산시키는 경우에는, 장시간의 교반이 필요하여, 실용적이지 않다. 한편, 본 소용례와 같이, 폴리머를 물에 고농도(구체적으로는 5중량%)로 분산시킨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폴리머 수분산체와 글리세린의 혼합은 신속히 실시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시간이 짧아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고농도 폴리머 수분산액을 조제하면, 저농도의 폴리머 수분산액을 조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조제액용의 탱크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서, 보존 비용이나 설비면에서도 경제적이다.
얻어진 글리세린 젤의 점도는 26,000mPa·s로, 흘러내리지 않고 용이하게 피부에 도포할 수 있고, 또한 투과율 98.5%T로 투명성이 높고, 보기에도 좋았다. 또한, 피부에 도포하면, 피부 상의 수분과 글리세린의 수화열에 의해 온감이 느껴져서, 마사지용에 적합해 있었다.

Claims (7)

  1.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존재하에서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로서,
    (1) 이하의 (ⅰ) 및 (ⅱ)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2) 이하의 (ⅰ)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3) 이하의 (ⅰ), (ⅱ)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4~8질량% 함유하는
    수분산 조성물.
    (ⅰ)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
    (ⅱ)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 0.001~1질량부
    (ⅲ) 알킬기의 탄소수가 10~3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0.5~5질량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ⅰ)의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0.5~10질량부 존재하는 존재하에서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인
    수분산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도가 60000mPa·s 이하인
    수분산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히드록시 지방산과 에틸렌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수분산 조성물.
  5. (1) 이하의 (ⅰ) 및 (ⅱ)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2) 이하의 (ⅰ)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3) 이하의 (ⅰ), (ⅱ) 및 (ⅲ)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4~8질량% 함유하고,
    점도가 60000mPa·s 이하인
    수분산 조성물.
    (ⅰ) (메타)아크릴산 100질량부
    (ⅱ)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 0.001~1질량부
    (ⅲ) 알킬기의 탄소수가 10~3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0.5~5질량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ⅲ)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알킬기의 탄소수가 18~24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인
    수분산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ⅱ)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이 펜타에리스리톨알릴에테르, 테트라알릴옥시에탄, 인산트리알릴 및 폴리알릴수크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수분산 조성물.
KR1020217028478A 2019-03-01 2020-02-27 폴리머 수분산 조성물 KR202101360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7991 2019-03-01
JPJP-P-2019-037991 2019-03-01
PCT/JP2020/007970 WO2020179602A1 (ja) 2019-03-01 2020-02-27 ポリマー水分散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015A true KR20210136015A (ko) 2021-11-16

Family

ID=7233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478A KR20210136015A (ko) 2019-03-01 2020-02-27 폴리머 수분산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54391A1 (ko)
EP (1) EP3932962A4 (ko)
JP (1) JPWO2020179602A1 (ko)
KR (1) KR20210136015A (ko)
CN (1) CN113508145A (ko)
WO (1) WO20201796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4718A1 (ja) * 2021-10-27 2023-05-04 住友精化株式会社 α,β-不飽和カルボン酸化合物の架橋重合体及びその用途
WO2023127738A1 (ja) * 2021-12-27 2023-07-06 住友精化株式会社 カルボキシル基含有水溶性共重合体及びその用途
WO2024004982A1 (ja) * 2022-06-28 2024-01-04 住友精化株式会社 アルコール含有粘性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1434A (ja) 2012-07-23 2014-02-03 Nikon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614A (ja) * 1999-06-15 2000-12-26 Sumitomo Seika Chem Co Ltd カルボキシル基含有重合体組成物
EP2181123A1 (de) * 2007-08-21 2010-05-05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netzten acrylsäure-polymeren
US20140142269A1 (en) * 2011-07-08 2014-05-22 Sumitomo Seika Chemicals Co.,,Ltd. Carboxyl group-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
KR102042880B1 (ko) * 2012-08-03 2019-11-08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점성 조성물
WO2015000970A1 (de) * 2013-07-03 2015-01-08 Basf Se Feste polymerzusammensetzung, erhalten durch polymerisation eines säuregruppenhaltigen monomers in gegenwart einer polyetherverbindung
US9896528B2 (en) * 2014-10-10 2018-02-20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Carboxyl-group-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
EP3438194A4 (en) * 2016-03-30 2019-11-27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CARBOXYL GROUPS
WO2019044680A1 (ja) * 2017-08-30 2019-03-07 住友精化株式会社 カルボキシル基含有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244951A1 (ja) * 2018-06-20 2019-12-26 住友精化株式会社 漂白剤成分を含む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1434A (ja) 2012-07-23 2014-02-03 Nikon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2962A4 (en) 2022-11-30
EP3932962A1 (en) 2022-01-05
US20220054391A1 (en) 2022-02-24
JPWO2020179602A1 (ja) 2021-12-23
CN113508145A (zh) 2021-10-15
WO2020179602A1 (ja)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6015A (ko) 폴리머 수분산 조성물
JP5221958B2 (ja) アルキル変性カルボキシル基含有水溶性共重合体
JP4920810B2 (ja) 増粘された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5528118B2 (ja) (メタ)アクリル酸/(メタ)アクリル酸アルキルエステル共重合体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CN101312996B (zh) 具有烷基改性羧基的水溶性共聚物
AU2008226319B2 (en) Dispersion, gel and emulsification system
KR102042880B1 (ko) 점성 조성물
CN104379123A (zh) 用于个人护理的耐水性聚合物
KR102500596B1 (ko) 카르복시기 함유 중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33111A (ko) 안정한 역상 에멀젼
CN113508158B (zh) 粘性组合物
JP6005148B2 (ja) エマルション重合によるポリアクリレートの調製
CA2806827C (en) Process for producing carboxyl-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 and carboxyl-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
US8846769B2 (en) Composition made of polyalkoxylated derivatives of trimethylolpropane and fatty alcohols, method for preparing said composition, and use thereof as a reverser in self-reversible reverse latexes
KR102510227B1 (ko) 유중 수형 에멀젼 중합 조성물 및 유중 수형 에멀젼 중합 조성물 제조방법
KR20180035623A (ko) 증점제 및 안정화제의 기능을 하는 분말 형태의 새로운 반 상호 침투성 격자형 중합체
KR20210134908A (ko) 점성 조성물
EP3352732B1 (en) Water-in-oil polymeric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in-oil polymeric emulsion composition
JP6641068B1 (ja) 粘性組成物
JP7198209B2 (ja) アルキル変性カルボキシル基含有共重合体、当該共重合体を含む増粘剤、及び当該共重合体の製造方法
CN114080216A (zh) 粘性组合物
KR101249687B1 (ko)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