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767A -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 - Google Patents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767A
KR20210134767A KR1020217032331A KR20217032331A KR20210134767A KR 20210134767 A KR20210134767 A KR 20210134767A KR 1020217032331 A KR1020217032331 A KR 1020217032331A KR 20217032331 A KR20217032331 A KR 20217032331A KR 20210134767 A KR20210134767 A KR 20210134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plate portion
insulator
opposing plate
opp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모리
야스유키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니치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4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6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10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72Semiconductive ceramic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4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2Woun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8Multiple capacitors, i.e. structural combinations of fix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8Structural combinations, e.g. assembly or connection, of hybrid or EDL capacitors with other electric components, at least one hybrid or EDL capacitor being the main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4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chas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0Metal-oxide dielectrics
    • H01G4/105Glass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18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H01G4/1227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tita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36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zirconium oxides or zirconates
    • H01G4/1245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zirconium oxides or zirconates containing also titan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절연체는 한쪽의 버스바에 대해서만 일체화되어 있다. 일체화는, 버스바에서의 한쪽의 대향판부를 인서트 부품으로 하는 인서트 성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체는,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의 이면측에 위치하여 다른쪽의 대향판부와의 사이에 개재된 절연 실효 부분과, 상기 다른쪽의 대향판부의 표면측에 위치하는 보강 부분과, 상기 절연 실효 부분과 상기 보강 부분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체에 있어서 측면판부의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으로 돌아 들어가는 부분이자 상기 절연 실효 부분, 상기 보강 부분 및 상기 연결 부분의 하단 근방 영역은 상기 측면판부를 덮는 몰드 수지에 매립된다.

Description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
본 발명은, 콘덴서 소자와, 기단부에서 콘덴서 소자에 접속되는 판형의 제1 및 제2 버스바와, 이들 양 버스바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체와, 상기 콘덴서 소자의 전체와 상기 기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한쌍의 버스바의 일부를 덮는 몰드 수지를 가지며, 양 버스바가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대향판부 사이에 상기 절연체가 개재된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에 관한 것이다.
P극(양극)과 N극(음극)의 한쌍의 버스바는 도전성 금속의 박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저인덕턴스화 및 소형화의 관점에서 최근에는 한쌍의 버스바의 대향판부끼리 근접하여 배치되는 경향이 있다. 양 대향판부의 여유 단부측의 P극·N극 한쌍의 외부 접속 단자부는 외부의 전기 기기로부터의 케이블 접속 단자에 대하여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합되지만, 이들 대향판부끼리는 확실하게 절연되어 있어 야 하다. 따라서, 한쌍의 대향판부 사이에 절연 부재를 끼워 넣지만, 절연 파괴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연면 거리를 충분히 확보해 놓을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케이블 접속 단자에 접합되는 외부 접속 단자부는 버스바의 몰드 수지에 대한 매립 베이스부의 위치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어, 접합 작업시 등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받는 모멘트가 크다. 더구나, 버스바는 상당히 얇은 판형체이다.
그 때문에, 도전성 금속의 박판으로 이루어진 버스바는, 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휘어져 굴곡 등의 변형을 받기 쉽다.
종래, 한쌍의 버스바 및 절연판과의 사이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해, 절연판의 표리 양면에 마련한 볼록부(돌기부)를 한쌍의 대향판부의 구멍부의 각각에 삽입하여, 이들 3부품을 위치 결정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절연 부재로서 절연지나 절연 시트를 이용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이들 특허문헌 1, 2에는, 한쌍의 버스바 중 어느 한쪽의 극성을 담당하는 버스바에 절연지를 감은 버스바 사이의 절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8-288242호 공보(일본특허 제4946618호) 특허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10-225970호 공보(일본특허 제5239989호)
그러나, 절연지나 절연 시트는 매우 얇고 부드러워 형태가 변하기 쉬운 것이기 때문에 취급이 매우 어렵다. 절연지(절연 시트)를 대향판부의 외주를 따라 접착하는 작업은 작업원의 손끝 작업에 의하지만,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에서 접착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것이다. 접착 작업에 있어서는, 절연지(절연 시트)에 주름이 잡히거나, 늘어지거나, 굴곡이 생기거나, 틀어지거나, 평행성이 어긋나거나, 소정의 포인트로부터 어긋나거나 하는 등 취급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그 결과, 상대 위치 정밀도나 치수 정밀도가 나쁘면, 한쌍의 대향판부 사이에 소정의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없어, 절연 파괴의 우려를 초래하거나, 원하는 저인덕턴스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높은 위치 정밀도, 치수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숙련자에 의한 신중한 작업이 요구되지만, 거기에는 작업 효율이나 생산 비용상의 문제가 생긴다.
게다가, 절연지(절연 시트)는 얇고 부드러워 보형성이 떨어져, 한쌍의 대향판부로 이루어진 근접부의 내응력 강도의 증강에는 거의 기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계속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근접부에 변형·열화가 발생하여, 콘덴서의 고장을 초래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작한 것으로, 저인덕턴스화의 요건으로서, 대향판부와 절연체의 상대 위치 관계, 위치 정밀도, 치수 정밀도를 정밀화하여 근접부의 내응력 강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생산성의 향상과 생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수단을 강구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는,
축방향 양단에 이극 한쌍의 전극을 갖는 콘덴서 소자와,
상기 콘덴서 소자의 상기 각 전극에 접속되는 기단부를 연장시켜 상기 콘덴서 소자의 상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측면판부, 상기 측면판부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연장된 대향판부, 및 상기 대향판부로부터 연장된 외부 접속 단자부를 각각 갖는 판형의 제1 및 제2 버스바와,
상기 양 버스바에서의 한쌍의 대향판부끼리 서로 근접하여 대향하는 상태에서, 양 대향판부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체와,
상기 콘덴서 소자의 전체와 상기 한쌍의 버스바에서의 기단부 및 측면판부를 덮는 몰드 수지를 갖는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한쌍의 버스바 중 한쪽의 버스바에 대해서만 일체화되어 있고, 그 일체화는, 상기 한쪽의 버스바에서의 대향판부를 인서트 부품으로 하여 상기 절연체의 원료가 되는 수지 재료를 충전하는 인서트 성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서트 성형의 수지 재료가,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의 다른쪽의 버스바의 대향판부에 면하지 않은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돌아 들어가는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둘러싸고,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부는 상기 절연체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한쌍의 버스바 중 다른쪽의 버스바에서의 대향판부는 한쪽의 대향판부에 면하는 대향면이 상기 절연체의 상기 이면측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이 발휘된다.
몰드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체는 절연지나 절연 시트에 비교하여 충분히 강한 경도를 가지며, 양호한 보형성이 있어 변형되기 어려운 것이다. 절연체를 한쪽의 버스바에서의 대향판부에 일체화하는 데에 있어서, 수작업을 할 필요는 없고 인서트 성형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향판부와 절연체의 상대 위치 관계, 위치 정밀도, 치수 정밀도는 기대한 바와 같이 정확한 것이 된다.
절연체에 다른쪽의 대향판부의 한쪽의 대향판부에 면하는 대향면을 접촉시키는 구성은, 엘리멘트의 조립시에 그 접촉의 전단계에서 절연체에 절연 불량의 원인이 되는 충전 수지의 보이드나 결손이 존재하지 않는지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지 재료를 기원으로 하는 절연체는 보형성이 높기 때문에, 그 절연체와 한쪽의 대향판부가 일체가 된 엘리멘트에 관해 취급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원의 손끝 작업에 비교하여 생산성이 매우 뛰어나고, 생산 비용의 억제에 유리하다. 물론, 절연지(절연 시트)의 경우와 같은 주름, 늘어짐, 굴곡, 틀어짐, 어긋남 등의 지장에 관해서는, 이들이 생기지 않게 하면 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바람직한 양태 내지 변화·변형의 양태가 있다.
〔1〕상기 절연체는,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의 이면측에 위치하여 상기 다른쪽의 대향판부와의 사이에 개재된 절연 실효 부분과,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의 표면측에 위치하는 보강 부분과, 상기 절연 실효 부분과 상기 보강 부분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연체에 있어서 상기 절연 실효 부분, 보강 부분 및 연결 부분의 하단 근방 영역은, 상기 몰드 수지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쪽의 대향판부의 이면측에 오는 절연 실효 부분에 대하여 대향판부의 표면측의 보강 부분이 연결 부분을 통해 일련으로 일체로 이어져 있고, 더구나, 연결 부분의 일부는 절연 실효 부분과 보강 부분을 연결하고 있다. 이에 더해, 한쌍의 버스바에서의 기단부 및 측면판부를 덮는 몰드 수지에 대하여, 절연 실효 부분, 보강 부분 및 연결 부분의 하단 근방 영역을 매립시키고 있다. 따라서, 양 대향판부끼리의 위치 결정뿐만 아니라 각 대향판부와 절연체의 위치 결정도 기대한 바와 같이 정밀하게 실현할 수 있고, 더구나 양 대향판부의 근원부에 대한 부착의 고정 강도를 충분히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근접부의 내응력 강도를 향상시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계속 사용하더라도 근접부의 변형·열화, 나아가서는 콘덴서의 고장을 방지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성이 크게 발휘된다.
〔2〕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의 상측방의 엣지부, 좌우 양측방의 엣지부 및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로부터 측면판부에 연속하는 굴곡부를 덮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절연 실효 부분, 보강 부분 및 연결 부분으로 이루어진 절연체의 전체적인 강도를 충분히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3〕상기 연결 부분은, 그 저면이 상기 콘덴서 소자의 상측면에 접촉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절연체에서의 연결 부분을 콘덴서 소자의 상측면에 지지시키는 것에 의해, 양 대향판부의 자세 안정성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4〕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다른쪽의 버스바에서의 측면판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수평 지지부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다른쪽의 버스바의 자세 안정성에 관해서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5〕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다른쪽의 대향판부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고정부를 갖고 있는 것. 이 경우도, 다른쪽의 버스바의 자세 안정성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인덕턴스화에 있어서 중요한 요건으로서, 절연체에서의 결손(보이드 등)의 체크를 용이하게 하고, 대향판부와 절연체의 상대 위치 관계, 위치 정밀도, 치수 정밀도에 관해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근접부의 내응력 강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생산성의 향상과 생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콘덴서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콘덴서 소자와 제2 버스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절연체를 부착한 제1 버스바의 측면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절연체를 부착한 제1 버스바의 정면시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절연체를 부착한 제2 버스바의 정면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어셈블리(부품 집합체)의 측면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콘덴서의 측면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콘덴서의 측면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2 대향판부와 절연체를 부착한 제1 대향판부를 도시하는 요부의 사시도.
이하,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에 관해, 그 실시형태를 구체적인 실시예의 레벨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도 6에서, 1은 콘덴서 소자, 1a, 1b는 콘덴서 소자(1)에서의 이극 한쌍의 전극, 2는 제1 버스바, 3은 제2 버스바, 2b, 3b는 양 버스바(2, 3)에서의 측면판부, 2a, 3a는 접속용 소돌출편, 2c, 3c는 대향판부, 2d, 3d는 외부 접속 단자부, 4는 절연체, 4a는 절연체(4)에서의 절연 실효 부분, 4b는 보강 부분, 4c는 연결 부분, 5는 몰드 수지, 6은 외장 케이스이다.
금속화 필름을 주요소로 하는 콘덴서 소자(1)는, 그 축방향 양단에 이극 한쌍의 전극(1a, 1b)을 갖고 있다. 콘덴서 소자(1)에는 얇은 판형의 도전체로 구성된 제1 및 제2 양 버스바(2, 3)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버스바(2)는 접속용 소돌출편(2a), 측면판부(2b), 대향판부(2c) 및 외부 접속 단자부(2d)를 갖고 있다. 제2 버스바(3)는 접속용 소돌출편(3a), 측면판부(3b), 대향판부(3c) 및 외부 접속 단자부(3d)를 갖고 있다. 제1 및 제2 양 버스바(2, 3)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판부(2b, 3b)는 콘덴서 소자(1)의 상측면(1c)을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다. 측면판부(2b, 3b)는 콘덴서 소자(1)의 상측면(1c)에 평행(수평 방향)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판부(2b, 3b)의 시단(始端)측의 엣지부로부터 수직 방향 하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접속용 소돌출편(2a, 3a)이 콘덴서 소자(1)의 이극 한쌍의 각 전극(1a, 1b)에 납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양 버스바(2, 3)에 있어서, 측면판부(2b, 3b)로부터 수직 방향 상향으로 절곡되어 세워진 상태에서 각각 대향판부(2c, 3c)가 연장되고, 또한 대향판부(2c, 3c) 각각의 상측방의 엣지부(2c1, 3c1)로부터 외부 접속 단자부(2d, 3d)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버스바(2)와 제2 버스바(3)는, 외부 접속 단자부(2d, 3d)의 위치를 제외하고 대칭적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서로 접근하는 상태에서 콘덴서 소자(1)의 상측면(1c)을 따라 배치된 측면판부(2b, 3b)는, 콘덴서 소자(1)의 축방향 중앙 개소로부터 상측을 향해 절곡되어 한쌍의 대향판부(2c, 3c)를 형성하고 있다. 양 대향판부(2c, 3c)는 서로 근접하여 평행한 자세로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양 대향판부(2c, 3c) 사이의 간극에 절연체(4)에서의 절연 실효 부분(4a)이 개재되어 있다.
절연체(4)는, 그 절연 실효 부분(4a) 외에 보강 부분(4b)과 연결 부분(4c)을 일련으로 일체의 상태로 구비하고 있고, 이들 3개의 부분의 협동에 의해 제1 버스바(2)(제1 대향판부(2c)의 부분)에 대하여 절연체(4)가 일체화되어 있다.
제1 버스바(2)에 대한 절연체(4)의 일체화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제1 버스바(2)에서의 대향판부(2c)를 인서트 부품으로 하여 절연체(4)의 원료가 되는 수지 재료를 충전하여 인서트 성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절연체(4)가 구성되지만,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사출 성형 장치의 금형의 캐비티 내에 제1 버스바(2)에서의 대향판부(2c)를 셋팅하고, 형을 체결한 후에 캐비티 내에 수지 재료를 주입 충전하고, 인서트 부품인 대향판부(2c)의 주위를 수지 재료로 둘러싼다. 수지 재료는 대향판부(2c)의 표면측(제2 버스바(3)에서의 대향판부(3c)에 대향하지 않는 면)으로부터 이면측으로 돌아 들어가고, 또한, 그 대향판부(2c)에 이어지는 측면판부(2b)의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으로 돌아 들어가는 상태로, 대향판부(2c)를 전체적으로 감싼다.
이러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체(4)는, 제1 대향판부(2c)의 이면측에 위치하여 제2 대향판부(3c)와의 사이에 개재되어야 하는 절연 실효 부분(4a)과, 제1 대향판부(2c)의 표면측에 위치하는 보강 부분(4b)과, 절연 실효 부분(4a)과 보강 부분(4b)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분(4c)으로 구성되게 된다. 연결 부분(4c)은 제1 대향판부(2c)의 엣지부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는 것이 된다.
절연체(4)에서의 절연 실효 부분(4a)은 대향판부(2c)의 이면에 밀착되고, 보강 부분(4b)은 대향판부(2c)의 표면에 밀착되고, 절연 실효 부분(4a)과 보강 부분(4b)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4c)은 대향판부(2c)의 상측방의 엣지부(2c1), 좌우 양측방의 엣지부(2c2, 2c3) 및 대향판부(2c)로부터 측면판부(2b)에 연속하는 부분의 굴곡부(2e)를 덮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버스바(2)에서의 대향판부(2c)에 있어서, 외부 접속 단자부(2d)의 기부측 부분 및 측면판부(2b)와의 연접 일부분을 포함해서 대향판부(2c)의 거의 전체를, 절연 실효 부분(4a), 보강 부분(4b) 및 연결 부분(4c)으로 이루어진 절연체(4)에 의해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인서트 성형에서 충전 수지가 경화한 후의 절연체(4)는, 종래예의 경우의 절연지나 절연 시트와 비교하여,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높은 강도, 보형성을 충분히 갖고 있다. 절연체(4)는 강한 결합력으로 대향판부(2c)의 전체 외주면에 밀착되고, 강력한 접합력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또, 제1 대향판부(2c)의 상측방의 엣지부(2c1)로부터 연장된 외부 접속 단자부(2d)는 절연체(4)의 상측면(4d)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쌍의 버스바(2, 3) 중 제2 버스바(3)에서의 대향판부(3c)는 그 측면(판면)이 절연체(4)의 절연 실효 부분(4a)의 측면(판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1 버스바(2)에 절연체(4)가 상기와 같이 일체화된 엘리멘트와 절연체를 부설하지 않은 제2 버스바(3)와 콘덴서 소자(1)를 조립할 때, 절연체(4)를 부착한 제1 버스바(2)의 측면판부(2b)를 콘덴서 소자(1)의 상측면(1c)에 배치하고, 접속용 소돌출편(2a)을 콘덴서 소자(1)의 전극(1a)에 납땜한다. 이어서, 제2 버스바(3)의 측면판부(2b)를 콘덴서 소자(1)의 상측면(1c)에 배치하면서, 그 대향판부(3c)의 대향면(판면)을 제1 대향판부(2c)와 일체의 절연 실효 부분(4a)의 대향면(판면)에 밀착시킨다. 이 밀착 작업시에는, 절연 실효 부분(4a)에 절연 불량의 원인이 되는 충전 수지의 보이드나 결손이 존재하지 않거나,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용 소돌출편(3a)을 콘덴서 소자(1)의 전극(1b)에 납땜한다.
이어서, 절연체(4)를 부착한 제1 버스바(2)와 제2 버스바(3)와 콘덴서 소자(1)의 3개의 엘리멘트가 조립된 어셈블리(부품 집합체)를 외장 케이스(6)의 내부에 수용하고, 몰드 수지(5)에 의해 몰드 성형한다. 이 경우에, 몰드 수지(5)는 콘덴서 소자(1)의 전체, 양 버스바(2, 3)에서의 접속용 소돌출편(2a, 3a) 및 측면판부(2b, 3b)의 전체를 피복하는 상태로 한다. 제1 버스바(2)에 일체화된 절연체(4)에 관해, 측면판부(2b)의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으로 돌아 들어가는 부분이자 절연 실효 부분(4a), 보강 부분(4b) 및 연결 부분(4c)의 콘덴서 소자(1)에 가까운 하단 근방 영역은 몰드 수지(5)의 내부에 매립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에서는, 절연 실효 부분(4a), 보강 부분(4b) 및 연결 부분(4c)의 서로 일련으로 일체화된 3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입체 구조를 갖고 있는 절연체(4)는, 제1 버스바(2)에서의 대향판부(2c)의 외주면에 대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 포위하고 있다. 연결 부분(4c)은, 제1 대향판부(2c)의 상측방의 엣지부(2c1), 좌우 양측방의 엣지부(2c2, 2c3) 및 제1 대향판부(2c)로부터 측면판부(2b)에 연속하는 부분의 굴곡부(2e)를 덮고 있다. 연결 부분(4c)의 일부는 측면판부(2b)의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으로 돌아 들어가는 상태로 절연 실효 부분(4a)과 보강 부분(4b)을 연결하고 있고, 절연체(4)의 전체적인 강도를 충분히 높은 것으로 하고 있다.
연결 부분(4c)은, 그 저면이 콘덴서 소자(1)의 상측면(1c)에 접촉하여 지지되어 있어, 양 대향판부(2c, 3c)의 자세 안정성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에 더해, 절연 실효 부분(4a), 보강 부분(4b) 및 연결 부분(4c)의 콘덴서 소자(1)에 가까운 하단 근방 영역은, 한쌍의 버스바(2, 3)에서의 측면판부(2b, 3b)를 덮는 몰드 수지(5)에 매립되어 있다.
이들 구조의 상승의 결과, 양 대향판부(2c, 3c)끼리의 위치 결정뿐만 아니라 각 대향판부(2c, 3c)와 절연체(4)의 위치 결정도 기대한 바와 같이 정밀하게 실현할 수 있다. 더불어, 콘덴서 소자(1)의 전체를 덮는 몰드 수지(5)에 대하여 양 대향판부(2c, 3c)의 근원부의 부착의 고정 강도를 충분히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외부 접속 단자부(2d, 3d) 및 대향판부(2c, 3c)로 이루어진 근접부의 내응력 강도를 향상시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계속 사용하더라도 근접부의 변형·열화, 나아가서는 콘덴서의 고장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엘리멘트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 절연체(4)는 몰드 수지의 경화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예의 경우의 절연지나 절연 시트에 비교하여 충분히 강한 강도, 양호한 보형성을 가지며, 주름, 늘어짐, 굴곡, 틀어짐, 어긋남 등은 그 발생이 방지된다.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절연체(4)를 제1 버스바(2)에서의 대향판부(2c)에 일체화하기 위해서는, 인서트 성형에 의하면 되는 것이며, 종래예와 같이 수작업을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대향판부(2c)와 절연체(4)의 상대 위치 관계, 위치 정밀도, 치수 정밀도는 기대한 바와 같이 정확한 것이 된다. 또한, 생산성이 매우 뛰어나고 생산 비용의 억제에 유리하다.
도 7에 도시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연체(4)에서의 연결 부분(4c)에, 제2 버스바(3)에서의 측면판부(3b)의 하면의 전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4e)를 연접하고 있고, 제2 버스바(3)의 자세 안정성에 관해서도 보다 확실한 것이 되었다.
도 8에 도시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연체(4)에서의 연결 부분(4c)에, 제2 대향판부(3c)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고정부(4f)를 연접하고 있다. 고정부(4f)는, 제2 버스바(3)에서의 대향판부(3c)의 좌우의 엣지부(3c2, 3c3)를 결합하여, 판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한쌍의 레일부(4f1, 4f1)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버스바(3)의 자세 안정성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저인덕턴스화의 요건으로서, 대향판부와 절연체의 상대 위치 관계, 위치 정밀도, 치수 정밀도를 정밀화하여 근접부의 내응력 강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생산성의 향상과 생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기술로서 유용하다.
1 : 콘덴서 소자
1a, 1b : 전극
1c : 콘덴서 소자의 상측면
2 : 제1 버스바
3 : 제2 버스바
2a, 3a : 접속용 소돌출편(기단부)
2b, 3b : 측면판부
2c, 3c : 대향판부
2c1 : 대향판부의 상측방의 엣지부
2d, 3d : 외부 접속 단자부
2e : 굴곡부
4 : 절연체
4a : 절연 실효 부분
4b : 보강 부분
4c : 연결 부분
4d : 상측면
4e : 측면 지지부
4f : 고정부
5 : 몰드 수지

Claims (6)

  1. 축방향 양단에 이극 한쌍의 전극을 갖는 콘덴서 소자와,
    상기 콘덴서 소자의 상기 각 전극에 접속되는 기단부를 연장시켜 상기 콘덴서 소자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측면판부, 상기 측면판부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연장된 대향판부, 및 상기 대향판부로부터 연장된 외부 접속 단자부를 각각 갖는 판형의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와,
    상기 양 버스바에서의 한쌍의 대향판부끼리 서로 근접하여 대향하는 상태에서, 양 대향판부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체와,
    상기 콘덴서 소자의 전체와 상기 한쌍의 버스바에서의 기단부 및 측면판부를 덮는 몰드 수지
    를 갖는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한쌍의 버스바 중 한쪽의 버스바에 대해서만 일체화되어 있고, 그 일체화는, 상기 한쪽의 버스바에서의 대향판부를 인서트 부품으로 하여 상기 절연체의 원료가 되는 수지 재료를 충전하는 인서트 성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서트 성형의 수지 재료는,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의, 다른쪽의 버스바의 대향판부에 면하지 않은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돌아 들어가는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둘러싸고,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부는 상기 절연체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한쌍의 버스바 중 다른쪽의 버스바에서의 대향판부는 한쪽의 버스바에 면하는 대향면이 상기 절연체의 상기 이면측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의 이면측에 위치하여 상기 다른쪽의 대향판부와의 사이에 개재된 절연 실효 부분과,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의 표면측에 위치하는 보강 부분과, 상기 절연 실효 부분과 상기 보강 부분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연체에 있어서 상기 절연 실효 부분, 상기 보강 부분 및 상기 연결 부분의 상기 콘덴서 소자에 가까운 하단 근방 영역은, 상기 몰드 수지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의 상측방의 엣지부, 좌우 양측방의 엣지부 및 상기 한쪽의 대향판부로부터 측면판부에 연속하는 굴곡부를 덮고 있는 것인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은, 그 저면이 상기 콘덴서 소자의 상측면에 접촉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인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다른쪽의 버스바에서의 측면판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수평 지지부를 갖고 있는 것인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다른쪽의 대향판부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고정부를 갖고 있는 것인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
KR1020217032331A 2020-03-24 2021-03-11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 KR202101347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52977 2020-03-24
JP2020052977A JP7365948B2 (ja) 2020-03-24 2020-03-24 コンデンサのバスバー構造
PCT/JP2021/009807 WO2021193105A1 (ja) 2020-03-24 2021-03-11 コンデンサのバスバー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767A true KR20210134767A (ko) 2021-11-10

Family

ID=7788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331A KR20210134767A (ko) 2020-03-24 2021-03-11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01129B2 (ko)
EP (1) EP4113551A4 (ko)
JP (1) JP7365948B2 (ko)
KR (1) KR20210134767A (ko)
CN (1) CN113748474B (ko)
CA (1) CA3162854C (ko)
WO (1) WO202119310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8242A (ja) 2007-05-15 2008-11-27 Panasonic Corp ケース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
JP2010225970A (ja) 2009-03-25 2010-10-07 Panasonic Corp ケース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0497B2 (ja) 2004-09-17 2010-03-10 ニチコン株式会社 半導体モジュール
JP5391797B2 (ja) 2009-04-13 2014-01-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ケース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
US20110149472A1 (en) 2009-12-21 2011-06-23 Nuintek Co., Ltd. Method of connecting busbars with capacitor and product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JP2012134338A (ja) * 2010-12-22 2012-07-12 Panasonic Corp ケース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
CN106537533B (zh) 2014-08-21 2018-10-1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薄膜电容器
JP6425024B2 (ja) * 2015-02-16 2018-11-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ンデンサおよびインバータ
WO2017081853A1 (ja) * 2015-11-10 2017-05-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6655456B2 (ja) 2016-04-20 2020-02-26 株式会社指月電機製作所 外部端子構造及び樹脂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
US10388460B2 (en) * 2016-05-23 2019-08-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w inductance capacitor
DE102017203106A1 (de) * 2017-02-27 2018-08-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ondensator mit mehreren Kondensatoreinheit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8242A (ja) 2007-05-15 2008-11-27 Panasonic Corp ケース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
JP2010225970A (ja) 2009-03-25 2010-10-07 Panasonic Corp ケース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13551A4 (en) 2023-08-02
US11901129B2 (en) 2024-02-13
US20230005668A1 (en) 2023-01-05
CN113748474A (zh) 2021-12-03
EP4113551A1 (en) 2023-01-04
CN113748474B (zh) 2022-12-30
CA3162854C (en) 2023-10-17
WO2021193105A1 (ja) 2021-09-30
CA3162854A1 (en) 2021-09-30
JP2021153120A (ja) 2021-09-30
JP7365948B2 (ja)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9792B2 (en) Film capacitor
KR100623824B1 (ko) 독특한 형태의 단자를 가지는 칩-타입 고체 전해질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JP4432913B2 (ja) 積層型ブスバーアセンブリ及びそのモールド装置
US943752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ions in a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semiconductor device
EP2372733B1 (en)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JP6575869B2 (ja) フィルムコンデンサ
US6535375B1 (en) Solid state electrolytic capacitor and lead frame therefor
KR20210134767A (ko) 콘덴서의 버스바 구조
JP6679400B2 (ja) ケースレスフィルムコンデンサ
KR101761941B1 (ko) 탄탈륨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077904A1 (en)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424716B1 (ko) 전자 패키지 모듈
JP2011035277A (ja) ブスバー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998767B (zh) 电容器
JP2003100556A (ja) チップ型固体電解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リードフレーム
JP6355099B2 (ja) コンデンサーモジュール
CN212485337U (zh) 一种稳定型薄片三极管结构
WO2022059530A1 (ja) コンデンサ
CN215770993U (zh) 一种微型热保护器的组装结构
JP2024027772A (ja) 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3590443B2 (ja) 多極モータ
JP3013234U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CN112542353A (zh) 一种高压直流继电器
JP2021144964A (ja) コンデンサのバスバー構造
CN101441940B (zh) 固体电解电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