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249A -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 Google Patents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249A
KR20210134249A KR1020210056373A KR20210056373A KR20210134249A KR 20210134249 A KR20210134249 A KR 20210134249A KR 1020210056373 A KR1020210056373 A KR 1020210056373A KR 20210056373 A KR20210056373 A KR 20210056373A KR 20210134249 A KR20210134249 A KR 20210134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ar
hydraulic
joint structure
type reinforcement
body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미치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네지로
가부시키가이샤 네지로 엠오 아이피 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네지로, 가부시키가이샤 네지로 엠오 아이피 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네지로
Publication of KR2021013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과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소망한 축 방향 위치에 용이하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를 위치 결정 및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고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끼리의 연결성이 향상되고 또한 인발 강도 및 압입 강도를 향상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축 방향을 따라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삽통 가능한 삽통공을 갖고, 내주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리브에 걸어 맞춰서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접속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로서, 상기 내주에는, 상기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브에 걸어 맞출 수 있는 계합 철부와, 축 방향을 향해 상기 계합 철부에 교대로, 상기 리브를 끼워맞춤 가능하게 오목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요상부와, 상기 계합 철부 및 상기 요상부에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리브와 비계합의 대경면을 갖고, 상기 요상부에 상기 리브를 끼워맞추고,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축 방향의 변위를 규제한다.

Description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HYDRAULIC SOLIDIFIED BODY EMBEDDED TYPE REINFORCEMENT STEEL ROD JOINT STRUCTURE}
본 발명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繼手)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경성(水硬性) 고화체(固化體) 제(制)의 구조물을 구축할 때, 수경성 고화체에 매설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길게 할 필요가 생기지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길이는 수송상의 제약 등으로 제한이 있어, 길게 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접합하고 있었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접합에는 조인트(繼手)가 이용되고, 조인트의 양단 개구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삽입하는 것으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연결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덧붙여,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들 수 있고, 단면 대략 원형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외주면의 일부에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한 돌조(突條)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등간격으로 다수, 나란하게 설치한 것 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등이 이용된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 2018-178365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허 1227542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소 56-135658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인트는, 강봉을 유동 가능하게 삽입(遊嵌)되고 있는 강봉 수용부의 내부에 경화성 충전재의 충전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공사 현장에서의 경화성 충전재 운반이나 혼련 등의 작업이 발생하여 작업 부담이 커져 버린다. 또한, 강봉 수용부에 강봉을 유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조인트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된 주입공으로부터 경화성 충전재의 충전을 실시하고 있지만, 충전시에 조인트의 길이 방향의 양단의 개구로부터 경화성 충전재가 누출되어 만충시킬 수 없으므로, 조인트의 양단에는 너트를 조여 조인트의 양단 개구를 막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것들에서 소요 부품수나 작업의 시간이 증가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나, 조인트에 삽입되는 양 강봉끼리의 축심을 정렬하는 데 시간이 걸려 버리는 것 등, 많은 과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이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것 등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시에 있어서 수경성 고화체의 부착성에 어려움이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의 열심 연구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간이한 구조에 의해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소망한 축 방향 위치에 용이하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를 위치 결정 고정 가능하고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끼리의 연결성이 향상되고 또한 수경성 고화체에 대한 매설 상태에서의 인발 강도를 향상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축 방향을 따라서 삽통 가능한 삽통공을 갖고, 내주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리브에 걸어 맞춰서(係合)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접속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로서, 상기 내주에는, 상기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브에 걸어 맞출 수 있는 계합 철부(係合凸部)와, 축 방향을 향해 상기 계합 철부에 교대(交番)로 상기 리브를 끼워맞춤(嵌合) 가능하게 오목하게 설치(凹設)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요상부(凹狀部)와, 상기 계합 철부 및 상기 요상부에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리브와 비계합의 대경면을 갖고, 상기 요상부에 상기 리브를 끼워맞춰서,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축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요상부가 비나선 형상을 이루고, 상기 비나선 형상은, 지름 방향에서 보면 축 방향을 대칭축으로서 대칭 형상, 비대칭 형상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비나선 형상이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대칭 형상 및 비대칭 형상을 이루고, 대칭 형상과 비대칭 형상의 배열이 혼성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대칭 형상이 둘레 방향의 양단이 폐색단(閉塞端)이고,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본체는, 내부 공간을 확장 가능하게 하는 확장부를 갖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리브를 상기 내주에 수용하고 있는 상태와, 상기 삽통공을 확장시키고 상기 내주에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과정 상태 사이에서 천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확장부가 탄성변형 기구 및/또는 지름 방향의 분리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비대칭 형상의 상기 요상부가 둘레 방향의 일단이 개방단이고, 상기 개방단측으로부터 상기 리브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비대칭 형상의 상기 요상부가 둘레 방향의 타단이 폐색단(閉塞端)이고, 상기 폐색단에 의해서 상기 리브의 둘레 방향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요상부가 나선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계합 철부의 지름 방향 단부가 면형(面狀), 철곡면형(凸曲面狀) 또는 예각형(銳角狀)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나선 형상을 이루는 상기 요상부가 가상적으로 설정된 나선 경로를 따라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나선 형상을 이루는 요상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중도 부분에 걸쳐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요상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삽통공이 축 방향에서 보면,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축 방향에서 본 외형에 대략 상사 또는 근사의 홀 형상(孔形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삽통공이 축 방향에서 보면, 대략 긴 원(長圓) 형상 또는 대략 타원(楕圓) 형상의 홀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삽통공이 이면폭부(二面幅部)를 갖고, 대향하는 2면폭부가 대립되는 양단간이 소정의 곡률 반경의 볼록한 모양(凸狀)을 이루는 호에 의해서 이어진(繫) 내주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삽통공이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중도 부분에서의 제1 범위와, 축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중도 부분에서의 제2 범위에서 단면적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중도 부분까지의 상기 요상부를 나선 형상으로 하고, 타단으로부터 상기 중도 부분까지의 상기 요상부를 비나선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적어도 축 방향의 일단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과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상대 회전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적어도 축 방향의 일단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과의 축 방향에 대한 상대 변위를 방지하는 상대 변위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축 방향 단부에 리지드 연결(剛結) 구조를 설치하고, 상기 리지드 연결 구조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과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상대 회전 방지 부재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에 대한 상대 변위를 방지하는 상대 변위 방지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상대 회전 방지 부재가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둘러싸고(圍繞) 또한 계합공(係合孔)에 내삽(內揷)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상대 회전 방지 부재가 계합공의 내주에 걸어 맞춰지는 계합면(係合面)과, 축 방향에서 보면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외형에 대략 상당하는 비원형상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삽통공을 갖고,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삽통공에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이 상대 회전 불가 상태로 끼워질 수 있고, 상기 계합면이 상기 계합공의 내주에 걸어 맞춰지는(係合)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상대 변위 방지 부재가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리브에 걸어 맞춰져서, 축 방향의 변위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상대 변위 방지 부재가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이 삽통할 수 있고, 내주면에 나선홈(螺旋溝)을 가지는 홀부(孔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상대 회전 방지 부재와 상기 상대 변위 방지 부재의 당접부(當接部)에는, 상기 상대 회전 방지 부재와 상기 상대 변위 방지 부재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상대 회전 방지 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본체의 길이 방향에서의 적당의 중간 위치에는,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삽입 깊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내외로 관통하는 확인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확인공이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나타내는 중앙 위치 시사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확인공이, 홀 형상이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상당하는 개소를 잘록하게 하여 축소부를 갖고, 상기 축소부가 상기 중앙 위치 시사 수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상기 확인공이 광투과성을 가지는 부재에 의해서 막히는(閉塞)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이한 구조에 의해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소망한 축 방향 위치에 용이하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를 위치 결정 고정 가능하고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끼리의 연결성이 향상되고 또한 수경성 고화체에 대한 매설 상태에서의 인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본 실시 형태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본 실시 형태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리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리브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내고,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단면도이다.
[도 5] 본 실시 형태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6]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리브의 요상부에의 진입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a)는 요상부로의 진입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요상부에 끼워맞춰졌을 때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선단부의 형상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다른 내주 형상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리브의 요상부로의 진입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a)는 진입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요상부에 끼워맞춰졌을 때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회전 방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b)의 A-A 단면도이다.
[도 13] 박육부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폭을 넓힌 슬릿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슬릿이 넓어질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일부를 이루는 부분체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연결부측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부분체에 의해서 구성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에 의한 2개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비나선 형상의 요상부, 나선 형상의 요상부를 가지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b)의 A-A 단면도이다.
[도 21]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에 걸어 맞춰지는 상대 회전 방지 부재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 (c)는 단면도이다.
[도 22] 상대 변위 방지 부재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 (c)는 단면도이다.
[도 23]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상대 회전 방지 부재와 상대 변위 방지 부재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상대 회전 방지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통상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통상 부재를 연결시켜서 이루어지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리브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끼리를 접속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전체로는 통상 부재를 이루는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으로서, 단부에 삽입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과 접속되는 것이고, 양단부에 각각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삽입함으로써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끼리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에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과 걸어 맞추기(係合) 위한 구조 등을 가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A-A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리브(4)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은, 장척상(長尺狀)을 이루는 강제(鋼製)의 부재이고, 수경성 고화체를 보강하는 목적으로 하여 수경성 고화체에 매설되는 것이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은,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립되는 소정의 2 영역에 존재하는 축경면(縮徑面)(2)과,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지름 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리브(4)와, 축 방향을 향해 리브(4)에 교대(交番)로 오목하게 설치되는 요경면(凹徑面)(6)을 가진다. 덧붙여,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은 강재 등, 적당 재료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축경면(2)은, 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고, 상기 영역의 둘레 방향 중앙부를 향해 축으로부터의 반경이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축경면(2)은, 예를 들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형성되는 2면폭 등이 있다.
요경면(6)은,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축경면(2)에서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의 범위 내가 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요경면(6)은, 축경면(2)의 둘레 방향 중앙부 또는 양단부 등에서의 반경에 상당하는 거리가 되도록, 축심으로부터의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리브(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 방향 단부에 선단부(10)를 가진다. 선단부(10)를 이루는 능선(12)은, 축직각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에 따른 양단이 축경면(2)을 향해 연장하여 설치된다. 또한, 리브(4)는, 서로 다른 법선 방향을 향하는 4개의 면(14a~14d)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4개의 면(14a~14d)은, 각각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축심 주위에 상정되는 가상의 나선면에 따른 것으로 설치된다.
4개의 면(14a~14d)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외주면을 가상의 평면으로 전개(전개 상태) 했을 때에 대략 사각뿔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4개의 면(14a~14d) 중, 도 2에 나타내는 방향에서의 좌상(左上)을 면 14a, 좌하(左下)를 면 14b, 우상(右上)을 면 14c, 우하(右下)를 면 14d로 한다.
면 14a와 면 14b 사이, 및 면 14c와 면 14d 사이의 경계가 되는 능선(12)은, 축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축경면(2)을 향하고 있다. 또한, 면(14a~14d)은, 축경면(2)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 단부를 향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축 방향으로 축소된 형상, 즉 폭이 축소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리브(4)는, 둘레 방향 단부가 선예한 선단부(10)를 이루고 있다.
덧붙여, 선단부(10)는, 단면 형상이 대략 예각형 또는 대략 둔각형 혹은, 대략 원호형을 이루는 것이라도 좋고 혹은 미소 평탄면형이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미소 원호형이라면 제조하기 쉽고, 손상이 어렵게 되어 좋은 데다, 후술하듯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와의 끼워맞춤성(嵌合性)을 향상시키는 것이 되어 좋다.
또한, 리브(4) 및 요경면(6)은,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립되는 2 영역에 설치되고 있고, 각 영역에서 리브(4)끼리 및 요경면(6)끼리의 축 방향 위치가 단차이(段違)가 되게 설정된다. 즉, 축심을 사이에 두고 일방의 영역의 리브(4)의 위치에는, 타방의 영역의 요경면(6)이 배치된다. 또 일방의 영역의 요경면(6)의 위치에는, 타방의 영역의 리브(4)가 배치된다. 물론, 리브(4) 및 요경면(6)끼리의 축 방향 위치가 일치하도록 설정해도 좋다.
또한, 리브(4)는, 중앙부에서 가장 지름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고, 둘레 방향 단부를 향해 지름 방향의 돌출 길이가 점차 축소된다. 즉, 도 1의 (b)에 나타내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축심으로부터 리브(4)의 돌출 길이가 최장의 점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가상원(C)보다 내측에 리브(4)의 능선(12)이 배치된다. 또한, 리브(4)는, 둘레 방향 단부가 축경면(2)에 접속하고, 축경면(2)과 대략 동일면(面一)의 단면(4a)을 가진다.
리브(4)의 축경면(2)과의 접속은,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4)의 둘레 방향 단부에 곡선(13a) 형상으로 능선(12)을 설정하여 접속시켜도 좋고,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4)의 둘레 방향 단부에 직선(13b) 형상으로 능선(12)을 설정하여 접속시켜도 좋다.
또한, 도 4는, 리브(4)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고,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a)의 B-B 단면도이고, 리브(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 단부에서 지름 방향의 돌출 길이가 대략 영(0)이 되도록 설정해도 좋다. 이 때, 리브(4)는 대략 일정한 비율로 돌출 길이가 점차 감소하도록 설정된다.
물론, 리브(4)의 돌출 길이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중앙부로부터 둘레 방향 단부에 걸쳐 소정 영역에서 대략 일정한 형상이라도 좋지만, 둘레 방향 단부에서 능선(12)을 상기 곡선(13a) 혹은 직선(13b) 형으로 설정하여 축경면(2)에 접속시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리브(4)의 선단부는, 둘레 방향의 양단 부분이고, 4개의 면(14a~14d)을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을 향해 각각 연장해서 이루어지는 가상 연장면에 둘러싸이고 만곡한 가는(細身) 삼각뿔 공간 영역보다 작게 각각 설정되는, 3차 곡면형 표면을 가지는 대략 삼각뿔 형상을 이루어도 좋다. 즉, 리브(4)의 둘레 방향의 양단 부분은, 면(14a)~면(14d)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축직교 방향의 돌출 길이가 점차 축소되는 3차 곡면형 표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이 3차 곡면형 표면은, 대략 삼각뿔 형상을 이룰 수 있지만, 물론, 만곡면형도 이룰 수 있다. 또한, 리브(4)는, 양단 부분이 축경면(2)에 접속하지 않는 형상, 즉 축경면(2)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이간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라도 좋다.
여기서 도 28은, 리브(4)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이다. 축직교 방향의 돌출 높이가 점차 축소되는 삼차 곡면형 표면을 가지는 리브(4)는, 도 28에 나타내는 둘레 방향에 대해서 중앙 부분의 리브 계지부(150)와, 선단부(152) 사이에 경계 부분(151)을 가지는 것이 있다. 또한, 리브(4)는,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높이가 중앙부에서 가장 높아서 선단부(152)를 향해 점차 축소되고 축경면(2)에 가장 가까운 개소에서 대략 영(0)에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리브(4)는, 리브 계지부(150)의 중앙부에서 선단부(152)를 향해 돌출 높이가 점차 축소되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서 대략 산형(山形)으로 경사하고 있는 형상을 갖고, 경계 부분(151)보다 선단부(152)측의 경사가 리브 계지부(150)에서의 경사보다 급구배(急句配)가 된다. 또한, 리브 계지부(150)는, 후술하는 요상부(26)에 축 방향으로 걸어 맞추고, 리브(4)의 전단 강도의 유지를 위해서 돌출 높이의 축소가 선단부(152)와 비교하여 완만하게 설정된다.
상술한 것처럼,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이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것 등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시에 있어서 수경성 고화체의 부착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의하면, 상기 리브(4)와 같이 4개의 면(14a~14d)을 가지는 형상이나, 도 28에 나타내는 리브 계지부(150) 및 선단부(152)를 가지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수경성 고화체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후술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에 대해 리브(4)를 용이하게 나합시킬 수 있다.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시에서의 인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리브(4)의 돌출 높이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리브(4)의 돌출 높이를 크게 하면 축경면(2)까지 리브(4)가 연재할 수 있는 것 외, 축경면(2)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리브(4)가 축경면(2)보다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축경면(2)을 형성하기 위해, 리브(4)를 절삭하는 등의 가공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도 28에 나타내는 형상의 리브(4)에서는, 경계 부분(151) 사이의 리브 계지부(150)와 선단부(152)에서, 경사의 구배를 다르게 한 것으로, 인발 강도를 유지하면서,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리브 계지부(150) 및 선단부(152)를 구비하는 리브(4)를 가지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서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양산할 때에 의도한 형상을, 고정밀도로 계속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리브(4)는 선단부(10)(152)를 가지는 것으로, 후술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요상부(26)에 끼워맞춤(嵌合)이 쉬워져 접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에 대해 설명한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는, 2개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연결시키는 조인트이고, 축 방향으로 관통한 삽통공에 의해서 양단이 개구하고,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둘러쌀 수 있는 내주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이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둘러싸는 내주면을 가진다. 내주면에는,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립되는 위치에 배치된 대경면(22), 대경면(22)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계합 철부(係合凸部)(24) 및 요상부(26)가 배치된다.
대경면(22)은,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등거리이고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둘러쌌을 때에, 리브(4)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즉, 리브(4)에 대략 비접촉 상태가 되도록, 리브(4)보다 대경의 반경이 설정된다. 덧붙여, 대경면(22)은,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등거리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어도 리브(4)에 비접촉 상태라면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바뀌도록 설정해도 좋다.
계합 철부(24)는, 대경면(22)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고, 축 방향으로 복수 나란하게 설치된다. 또한, 계합 철부(24)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둘러쌌을 때에, 축경면(2)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설정된다.
요상부(26)는, 계합 철부(2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오목 형상을 갖는 패임이고, 축 방향을 향해 계합 철부(24)에 교대(交番)로 배치된다. 요상부(26)는, 소정의 상대 위치에서 저부가 적어도 리브(4)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도록 깊이가 설정된다. 즉, 요상부(26)는,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등거리가 되도록 깊이를 설정해도 좋고, 또한 대경면(22)과 대략 연속면을 이루도록 연설시킬 수 있다. 물론, 요상부(26)는, 대경면(22)보다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깊이를 설정해도 좋다.
또한, 요상부(26)는, 지름 방향에서 보면, 축 방향으로 평행한 대칭축에 대해서 비대칭 형상을 가진다. 즉, 둘레 방향 일단(도 5의 (b)에서의 좌단)이 폭이 확대(擴幅)된 개방단(28)이 되고, 타단(도 5의 (b)에서의 우단)을 향해 서서히 폭이 축소(縮幅)함과 동시에, 타단이 리브(4)의 둘레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폐색단이 된다. 여기에서는 타단측에 요상부(26)의 저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벽형(壁狀)의 스토퍼(29)를 배설함으로써 폐색단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스토퍼(29)는, 적어도, 리브(4)의 둘레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지름 방향의 돌출 길이가 설정된다.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리브(4) 및 요경면(6)에 대응하도록, 계합 철부(24) 및 요상부(26)는,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립되는 2 영역에 배설되고 있고, 일 영역의 계합 철부(24)와 타 영역의 계합 철부(24)는 서로 축 방향 위치가 단차이가 되도록 설정된다. 물론, 이 계합 철부(24) 및 요상부(26)는, 서로 축 방향 위치가 단차이가 되지 않게 계합 철부(24)의 대향 위치에 계합 철부(24)를, 요상부(26)의 대향 위치에 요상부(26)를 설치하고, 리브(4)끼리가 축 방향에서의 동 위치에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설정에 대응시켜도 좋다.
여기서, 도 6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지름 방향에서 상대 이간하여 대향하는 2 영역의 계합 철부(24)와 요상부(26)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영역의 계합 철부(24)에 대해, 우측에 위치하는 타방의 영역에는 요상부(26)가 배설되고, 일방의 영역의 요상부(26)에 대해서, 타방의 영역에는 계합 철부(24)가 배설된다.
따라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리브(4) 및 요경면(6)과 동일하게, 계합 철부(24) 및 요상부(26)를 단차이(段違)가 되게 함으로써 각 요상부(26)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리브(4)가 끼워맞춰질 수 있다. 덧붙여,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이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립되는 2 영역에서 리브(4) 및 요경면(6)끼리의 축 방향 위치를 일치시킨 형상의 경우는, 계합 철부(24) 및 요상부(26)의 축 방향 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를 접속시키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삽통공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삽입한다. 그 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축경면(2)을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계합 철부(24) 및 요상부(26)에 대향한 위치에 맞춘다. 이 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에 접촉하지 않고 축 방향을 따라서 삽입할 수 있다. 즉, 축경면(2)은, 계합 철부(24)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리브(4)는 대경면(22)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로의 접촉을 피해 삽입할 수 있어 축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삽입한 후,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고정한다. 여기서 도 7은, 리브(4)의 요상부(26)로의 진입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a)는 요상부(26)로의 진입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요상부(26)에 끼워맞췄을 때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덧붙여, 도 7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내주면을 정면측에 나타내고, 리브(4)의 면(14a~14d)이 요상부(26)에 대향하는 것으로부터, 미도시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이 지면 앞쪽측에 위치하고, 리브(4)의 능선(12) 등을 점선으로 도시하고, 면(14a~14d)이 지면 안쪽측을 향해 요상부(26)에 대향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리브(4)가 개방단(28)으로부터 요상부(26) 내에 진입하도록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상대 회전한다. 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리브(4)가 요상부(26)에 끼워지고 또한 리브(4)의 진행 방향 선단부가 요상부(26)의 폐색단에 맞닿는(當接) 위치까지 상대 회전된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는, 계합 철부(24) 사이에 리브(4)가 진입했을 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한 축 방향의 변위가 규제된다. 즉,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에 대해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인발하는 방향 및 압입하는 방향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상대 변위가 규제된다.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는, 폐색단에 리브(4)가 맞닿았을 때,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한 소정의 회전 방향에 따른 둘레 방향의 변위가 규제된다. 따라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에 대해서 접속되어 고정된다.
덧붙여,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리브(4)는 선단부(10)가 선예 형상(先銳形狀)을 이루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요상부(26)의 개방단(28)을 폭이 확대된 형상으로 했으므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를 회전시켰을 때에 계합 철부(24)가 리브(4)에 걸려(引掛) 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요상부(26)에 리브(4)를 끼워맞추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리브(4)의 선단부(10)를 도 4에 나타내듯이 더 선예화시키면, 보다 걸리지 않고 리브(4)를 요상부(26)에 끼워맞추기 쉬워서 바람직하다. 또한, 계합 철부(24)가 둘레 방향 단부에 면을 가지고 있는 한, 선단부(10)를 선예형(先銳狀)으로 해도, 리브(4)와 계합 철부(24)가 접촉하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한 상대 회전이 규제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단(28)을 더 크게 폭이 확대, 즉 축 방향으로 크게 개구가 확대(擴開)된 유입 형상으로 하고, 또한 계합 철부(24)의 둘레 방향 단부를 선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10) 및 계합 철부(24)의 둘레 방향 단부를 각각 선예 형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단부끼리가 접촉하지 않게 되어, 더 리브(4)가 요상부(26)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안내되므로 끼워맞추기 쉬워지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덧붙여,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는 것으로 접속을 실시하지만, 요상부(26)에 개방단(28)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가 역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있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가 역회전한 경우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접속이 해제되어 버린다.
거기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 사이에 역회전 방지 구조를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리브(4)에 대한 요상부의 형상을 바꾸는 것으로 역회전 방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다른 내주 형상예를 나타내는 지름 방향에서의 도면이고, 예를 들면, 요상부(30)의 축 방향 길이(폭)를 개방단(32)측에서 축소, 즉, 요상부(30)의 개방단(32)을, 중도 부분보다 협폭으로 하고, 역회전 방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에, 개방단(32)의 폭을 리브(4)의 최대폭(둘레 방향 중앙부의 폭)보다 작게 설정한다. 덧붙여, 개방단(32)의 폭과 리브(4)의 최대폭의 차이는, 리브(4) 및/또는 계합 철부(24)를 탄성변형시켜 리브(4)가 요상부(30)에 진입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한다.
도 10은 리브(4)의 요상부(30)로의 진입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요상부(30)로의 진입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요상부(30)에 끼워맞췄을 때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지면 안쪽측에 존재하는 면(14a, 14b)의 대략의 위치를 점선과 대응하는 부합에 의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4)의 면(14a, 14b)이 요상부(30)의 개방단(32)측에서 계합 철부(24)에 맞닿지만, 그 저항에 저항하여 밀어 넣는 것으로 면(14a, 14b) 및/또는 계합 철부(24)를 탄성변형시키고,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상부(30)에 리브(4)를 진입시킨다.
이와 같이 요상부(30)에 리브(4)를 끼워맞추는 것으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해서 접속 때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의 토크 등이 작용해도, 리브(4)가 요상부(30)로부터 빗나가기 위해서는 면(14c, 14d) 및/또는 계합 철부(24)를 탄성변형시키는 정도의 크기의 토크를 더할 필요가 있어, 결과, 역회전 방지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역회전 방지 구조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 및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와는 별체의 부재에 의해서 이루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에 고정했을 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축경면(2)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대경면(22)에 대향하고, 축경면(2)과 대경면(22)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거기서 도 11에 나타내는, 천공(穴穿)의 이형의 외형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고, 구멍(穴)(44)의 주위에 플레이트면에 대략 직교 방향으로 입설되는 스페이서부(42)를 구비하는 회전 방지 부재(40)에 의해서 축경면(2)과 대경면(22)의 간극을 매립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스페이서부(42)의 선단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구멍(44)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삽통시켜 회전 방지 부재(40)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단면에 접촉 혹은 접근시켜 스페이서부(42)를 축경면(2)과 대경면(22) 사이에 삽입하고 틈새를 매립한다. 이로 인해서, 리브(4)가 요상부(30)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상대 변위할 수 있도록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를 회전 시키려고 해도, 스페이서부(42)에 의해서 리브(4)의 상대 변위를 규제, 즉,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덧붙여, 회전 방지 부재(40)를 배설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회전 방지 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너트를 나합시켜 스페이서부(42)의 이탈을 방지해도 좋다. 또한, 스페이서부(42)는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두께를 얇아지게(薄厚化) 한 소위 쐐기형으로 하거나 입설면의 외표면을 요철상으로 하여 걸어 맞춤성(係合性)을 향상시켜도 좋다. 이 경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대경면에도, 대응하는 요철 형상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러한 회전 방지 부재는, 종래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이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를 나합시켰을 때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사이에 축 방향으로 간극이 생기는 것에 대해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 방지 부재(40)는, 그 이형으로 설정된 외형부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축 방향 단부에 설치된 이형에 수용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함으로써 회전 방지 부재(40)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에 대한 상대 회전을 보다 한층 강하게 방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는, 리브(4)가 둘레 방향으로 변위하고 요상부(26)에 진입하도록 요상부(26)가 개방단(28)을 가지는 형상으로 했지만, 리브(4)가 지름 방향으로부터 요상부(26) 내에 끼워지도록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형상을 설정해도 좋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b)의 A-A 단면도이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의 요상부(56)는, 지름 방향에서 보면 대략 타원 형상, 대략 긴 원 형상(長圓形狀), 대략 입술 형상(脣形狀), 대략 럭비 볼 형상, 대략 계란 형상(卵形狀), 대략 마름모 형상(菱形狀) 등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대칭축에 대해서 대칭인 형상을 가진다. 즉, 둘레 방향 양단이 막힌 폐색단을 이루고, 또한 리브(4)의 지름 방향에서 본 형상과 상사 또는 근사 형상을 가진다. 물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에서, 내주면 중, 대경면(22) 및 요상부(56)를 제외한 부분에는 리브(4)가 맞닿는 것이다.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는, 슬릿(52), 박육부(54), 확인공(58)을 가진다. 슬릿(52)은, 요상부(56)에 대해서 90° 위상이 어긋난 개소(대경면(22)을 배치한 개소)에서 축 방향으로 연재한다. 박육부(54)는, 축심을 사이에 두고 슬릿(52)에 대향하고, 대경면(22)의 일부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슬릿(52) 및 박육부(54)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의 내주면에 의해 확정되는 내부 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확인공(58)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의 내외로 관통하여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한다. 또 확인공(58)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의 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를 중심으로 적어도 축 방향을 따르는 소정 범위 내의 시인에 필요한 크기로 개구된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는, 박육부(54)가 탄성변형하고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삽통시킨 상태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해서 상대 회전시켜 리브(4)가 대경면(22)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변위했을 때, 내주면이 리브(4)에 간섭하여 상대 회전이 규제될 수 있다. 이 때, 도 13에 나타내는 화살표를 따라서 슬릿(52)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박육부(54)를 휘게 하여 탄성변형시키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의 삽통공을 지름을 확대(擴徑)시킬 수 있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리브(4)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의 계합 철부의 축 방향에서의 간섭이 완화된다. 따라서, 내주면과 리브(4)가 비간섭 상태가 되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해서 상대 회전할 수 있으므로, 요상부(56)에 리브(4)가 끼워맞춰진다.
덧붙여, 상기 슬릿(52)은, 적어도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의 둘레 방향 일부를 절개한 것이면 좋고, 적당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미 홈 형상의 슬릿(52)을 설치해도 좋다. 개미 홈 형상의 슬릿(52)의 경우, 슬릿(52)의 넓어질 수 있는 범위를 규제할 수 있다. 즉,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미 홈 형상의 요부(凹部)(100)에 철부(凸部)(102)를 유동 가능하게 삽입시키는 것으로,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부(100)에 꽂는 철부(102)가 둘레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위치하고, 슬릿(52)이 넓어지는 범위를 규제할 수 있다. 이 슬릿(52)의 확대 범위의 규제로서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의 내주에 대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리브(4)의 수용 과정에서의 상호의 맞닿음이 해제되고, 또한, 리브(4)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의 계합 철부의 축 방향으로 얻어지는 간섭이 잔존하여 완전하게 해제되지 않는 정도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면서도 서로를 인발하는 것은 불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박후부(薄厚部)(54)의 굽힘으로 슬릿(52)이 넓어지고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삽통공의 단면적을 크게 하고, 내부 공간을 확장시켰지만, 내부 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구성은, 적당 설정할 수 있고, 지름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복수의 부분체를 확장부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단, 부분체끼리를 대략 일체적으로 지지하고, 또한 지름 방향 및/또는 둘레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별도의 부재나 기구 등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도 16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일부를 이루는 부분체(60)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연결부측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분체(60)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를 지름 방향으로 반분할(半割)한 대략 반통 형상이고, 한 쌍의 부분체(60)에 의해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다.
부분체(60)는, 둘레 방향 단면이 개미 홈 형상을 이루는 요부(62a), 철부(62b)를 축 방향으로 복수 나란하게 설치한 연결부(62)를 가진다. 또한, 부분체(60)는, 내주면측에 요상부(56)를 가진다. 즉, 연결부(62)측의 부분체(60)의 내주면은, 대경면(22)의 일부를 이루는 면이 된다.
도 17은, 부분체에 의해서 구성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부분체(60a, 60b)는, 서로의 연결부(62)를 연결, 즉 일방의 철부를 타방의 요부에, 또 일방의 요부를 타방의 철부에 끼워맞추는 것으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는, 상기 한 것처럼, 개미 홈 형상의 철부에 철부를 유동가능하게 삽입시키는 것으로, 지름 방향의 변위량을 설정할 수 있다. 결과, 부분체(60a, 60b)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50)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하면서 지름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어 내부 공간의 크기, 혹은 내부 공간의 직경 등을 가변으로 하여, 확장시킬 수 있다.
덧붙여,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2개의 부분체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셋 이상의 부분체에 의해서 구성해도 좋다. 또 부분체끼리는, 연결부를 설치하는 것 외에, 별체의 탄성 부재에 의해서 연결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부분체를 조인트 형상으로 늘어놓아 C링이나 코일 용수철 등과 같은 탄성 부재로 부분체를 둘러싸도록 해도 좋다. 혹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내부 공간을 확대시키는 확장부로서는, 둘레 방향에서의 적당의 2개소 이상에서, 둘레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고 축 방향을 따르는 탄성부를 설치하고, 지름을 확대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부분체끼리를 지름 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요상부를 대칭 형상으로 하는 것도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접속할 수 있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소망한 축 방향 위치에 용이하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를 위치 결정 고정 가능하고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끼리의 연결성이 향상되고 또한 고체화전의 수경성 고화체에 수용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고체화 한 수경성 고화체에 대한 매설 상태에서의 인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요상부가 대칭 형상이면, 요상부에 리브를 끼워맞춘 후,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에 대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상대 회전이 규제되어 요상부로부터 리브가 빗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접속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덧붙여,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외형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에 대해서 상대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를 인가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2면폭을 가지는 형상으로 하면 좋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육각통형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 등,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별형(星形) 등을 포함하여 다각 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것이라도 좋다. 물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원통 형상으로, 축 방향의 일부가 2면폭을 가지는 형상이라도 좋고, 또 축 방향의 일부만이 다각 형상이 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확인공(58)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시사(示唆)하는 중앙 위치 시사 수단을 가져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상당하는 개소의 개구를 협폭으로 하여 축소부분(58a)을 설치한다. 이로 인해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양단 각각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삽통시켰을 때에, 각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위치를 시인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축 방향 중앙부에 대한 각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위치의 파악을 동시에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9를 참조하여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에 의한 2개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 1b)의 연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9의 (a)에 나타내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측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을 삽입하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측으로 변위시킨다. 이 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내주면에서, 대경면(22)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의 리브(4)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축 방향에서의 타단면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의 축 방향에서의 단면과 대략 동일면 내지 상기 단면이 다소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에 대한 축 방향 위치가 설정된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는, 도 19의 (b)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시계회전으로 소각(小角)만 회전, 즉, 요상부(26)에 리브(4)가 다소 끼워맞춰지도록,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에 대해서 상대 회전되어 가고정 된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b)의 축심의 위치 맞춤이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에 가고정 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b)끼리의 리브의 위상 맞춤(位相合) 등을 실시한다.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타단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b)의 단면을 인접시켜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에 대한 가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즉,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에 대해서 반시계회전으로 회전시켜 축 방향으로 상대 변위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어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를, 축 방향에서의 타단부측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b)이 삽통하도록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킨다. 즉,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타단부측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b)이 삽입되도록,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b)측을 향하여 변위시킨다. 결과, 도 1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b)을,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을 삽입한 것과 역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키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에 대해서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도 1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의 외주에는, 확인공(58)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확인공(58)을 통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 1b)의 단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 확인공(58)에 축소부분(58a)에 의해서 축 방향 중앙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 내에서의, 각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 1b)의 축 방향 위치를 대략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9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 1b)에 대해서 시계회전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20)를 통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 1b)을 연결할 수 있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요상부가 비대칭 형상 또는 대칭 형상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물론, 비대칭 형상의 요상부와 대칭 형상의 요상부를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시켜도 좋고, 그 때의 요상부의 배열은, 비대칭 형상의 것과 대칭 형상의 것을 교대로 늘어놓아도 좋고, 복수의 비대칭 형상 중에서 몇 개 걸러서 대칭 형상의 요상부를 배치하는 등, 적당의 조합으로 하는 혼성 구조라고 해도 좋다.
물론, 요상부는, 비대칭 형상 및 대칭 형상과 같은 비나선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나선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나선 형상은, 연속적으로 연재하는 것이라도 좋고, 가상적인 나선 경로를 따라서 단속적으로 대략 나선 형상의 요상부를 배치한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나선 형상의 요상부에 리브를 끼워맞춰서 나선의 방향을 따라서 리브를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의 나선 형상은, 요상부의 내주면이 리브(4)의 면(14a, 14d)에 슬라이딩 접촉(摺接)할 수 있는 것으로, 리브(4)의 변위의 방향을 안내하는, 소위 우나선형의 나선홈으로 설정된다. 물론, 요상부의 내주면이 면(14b, 14c)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리브(4)의 변위의 방향을 안내하는, 소위 좌나선형의 나선홈으로 설정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결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덧붙여, 요상부가 나선 형상의 경우에서, 계합 철부의 지름 방향 단부의 형상은 적당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면형, 철곡면형, 예각형, 선예형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나선 형상을 이루는 요상부는, 홈의 폭 형상을,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중도 부분에 걸쳐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좁아지도록 구성하는 등, 나선을 이루는 홈 형상을 적당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비나선 형상의 요상부와 나선 형상의 요상부의 양쪽 모두를 가져도 좋다. 도 20은 비나선 형상의 요상부, 나선 형상의 요상부를 가지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b)의 A-A 단면도이다.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는, 축 방향의 중도 부분을 경계로, 일단측에는 비나선 형상의 요상부(72a)를 배치하고, 타단측에는 나선 형상의 요상부(72b)를 배치한다.
물론, 이러한 요상부의 혼성 구조에서는, 비나선 형상의 영역과 나선 형상의 영역의 경계 부분은 직접 이어진(繫) 구조의 외, 적당한 간격을 갖는 구조라고 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는, 양단부에 계합공(係合孔)(74)을 가진다. 계합공(74)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의 삽통공의 단부에 위치하고, 내주면이 개구를 향해서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또 계합공(74)의 내주면에는, 축 방향을 따르는 라인형(平目, line type) 널링(knurling)이 형성된다. 덧붙여, 계합공(74)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과의 사이에 후술하는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가 개재될 수 있도록,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의 삽통공보다 지름이 확대(擴徑)된 홀 형상으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여기서의 계합공(74)은, 테이퍼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테이퍼 형상일 필요는 없고, 스트레이트형이나 만곡형(彎曲狀)이나 곡선형(曲線狀)을 이루는 것이라도 좋지만, 치수 오차 등의 흡수를 도모하는 경우에는, 테이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에 걸어 맞추는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 (c)는 단면도이다.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는, 대략 링형을 이루는 본체부(82)와 플랜지부(84)를 가진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플랜지부(84)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둘러싸는 내주면(86)을 가진다.
본체부(82)는, 계합공(74)에 걸어 맞출 수 있는 외형 형상을 가진다. 즉, 본체부(82)의 외주면은, 계합공(74)의 내주면에 대응시킨, 플랜지부(84)측으로부터 서서히 지름이 축소(縮徑)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체부(82)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을 따르는 라인형(平目, line type) 널링(knurling)이 형성된다. 상, 본체부(82)의 외주 형상은, 테이퍼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스트레이트 형상이나 만곡 형상, 곡선형 등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계합공(74)에 대응한 형상으로 한다.
또한, 축 방향을 따르는 라인형(平目, line type) 널링(knurling)은, 반드시 라인 형상(平目狀)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계합공(74)에 설치한 회전 방지를 위한 수단에 대해서 걸어 맞춰서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적당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플랜지부(84)는, 본체부(82)보다 외경이 크게 설정되고, 축 방향에서의 단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요철(84a)이 형성된다. 이 요철(84a)은, 바람직하게는 톱니 형상을 이루고, 요철(84a)이 연장되는 방향, 즉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이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의 반경 방향을 따르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 플랜지부(84)의 단면의 요철(84a)은, 축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내주면(86)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축경면(2)에 비접촉으로 리브(4)에 간섭할 수 있는 한 쌍의 간섭면(86a)과, 리브(4)에 대해서 간격을 비워 대향하는 한 쌍의 비접촉면(86b)에 의해 구성된다. 즉, 내주면(86)의 간섭면(86a)과 비접촉면(86b)은, 둘레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치된다. 즉, 내주면(86)에 확정되는 홀은, 축 방향에서의 형상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축 방향의 외형에 대략 상당시킨 비원형상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삽통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 사이에 개재했을 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해서 상대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배치한다. 이 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삽통공에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이 상대 회전 불가 상태로 끼워진다.
이어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의 양단측으로부터 각각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삽통시킴과 동시에, 요상부(72a, 72b)에 리브(4)를 끼워맞춘다.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는, 축 방향을 따라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측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계합공(74)에 내삽(內揷)된다. 그리고 본체부(82)의 라인형(平目, line type) 널링(knurling)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의 계합공(74)의 라인형(平目, line type) 널링(knurling)이 둘레 방향으로 걸어 맞춰진다. 즉, 서로의 라인형(平目, line type) 널링(knurling)의 요철끼리를 맞추어 둘레 방향으로 걸어 맞춘다.
이로 인해,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으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의 각각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걸어 맞춘다. 즉, 본체부(82)의 외주의 라인형(平目, line type) 널링(knurling)이, 계합공(74)의 라인형(平目, line type) 널링(knurling)에 둘레 방향으로 걸어 맞춰진다. 일방에서 내주면(86)의 간섭면(86a)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축경면(2)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변위할 경우에, 리브(4)에 간섭하기 때문에, 결과, 내주면(86)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걸어 맞춰진다.
이어서, 도 22는, 상대 변위 방지 부재(90)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 (c)는 단면도이다. 상대 변위 방지 부재(90)는, 외형이 대략 육각 형상을 이루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을 둘러쌀 수 있는 홀(孔)(90a)이 관통한 중공 부재로, 내주면에 연속한 나선홈부(92)를 가진다. 또한, 상대 변위 방지 부재(90)는, 플랜지형의 일단부를 갖고, 축 방향에서의 일단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요철부(94)가 형성된다. 요철부(94)는, 상기의 플랜지부(84)의 요철(84a)에 걸어 맞출 수 있는 적당의 형상으로 기복하여 구성되지만, 여기에서는 톱니(鋸刃) 형상을 이루고 또한 축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와 상대 변위 방지 부재(90)가 맞닿는 개소에서는, 요철(84a)와 요철부(94)가 양 부재(80, 90)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상대 회전 방지 기구로서 기능한다.
나선홈부(92)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리브(4)를 끼워맞출 수 있도록 나선의 방향 등이 설정된다. 물론, 나선의 방향은 적당 설정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나선홈부(92)의 나선의 방향을 요상부(72b)의 나선과 역방향의 좌나선형으로 설정한다. 나선홈부(92)에 리브(4)를 끼워맞추는 것으로 리브(4)에 걸어 맞춰서 축 방향 변위를 규제하지만, 상대 변위 방지 부재(90) 자체를 회전시켰을 때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상술한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 상대 변위 방지 부재(90)를 조합한 리지드 연결(剛結) 구조에 의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연결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에는, 2개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 1b)이 삽통되고, 일방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의 리브(4)가 요상부(72a)에 끼워맞춰지고, 타방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b)의 리브(4)가 우나선의 요상부(72b)에 끼워맞춰진다.
이 경우, 먼저, 타방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b)의 접속부터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b)을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의 타단(도 23에서의 상단)의 개구에 위치시켜서 요상부(72b)를 리브(4)에 끼워맞출 수 있도록 위치 맞춤을 실시한다. 이어서, 도 2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b)에 대해서 오른쪽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켰을 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b)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 내부를 향해서 상대 변위한다. 즉,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의 회전에 의해, 요상부(72b)에 끼워맞춰지고 있는 리브(4)가 나선의 방향으로 안내되고, 결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b)이 나선에 따른 방향으로 상대 변위하고, 요상부(72b)에 따른 가장 안쪽부(最奧部)로 이동한다.
이어서 일방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의 접속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부측으로부터 삽통공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을 꽂고, 확인공(58)에 의해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의 깊이 위치를 확인하면서 삽입한다. 이 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의 축경면(2)을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의 요상부(72a)에 대향시켜 위치를 맞춘다. 그리고, 도 2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에 대해서 반시계 회전으로 소정 각도, 여기에서는 약 90°만 상대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요상부(72a) 내에 리브(4)가 진입, 끼워맞춰지고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이 축 방향으로 걸어 맞춰진다.
이어서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의 설치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1b)에 끼워 설치된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1b)을 둘러싼 상태인 채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측으로 슬라이드시켜서 계합공(74)에 내삽된다.
또한,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에 앞서 미리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1b)에 왼쪽 방향에 나설된 상대 변위 방지 부재(90)를,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측으로 진행하는 방향, 즉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a)(1b)에 대해서 왼쪽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서 플랜지부(84) 단면의 요철(84a)과 요철부(94)가 근접, 맞닿아서 서로의 요철끼리가 걸어 맞춰진다.
이와 같이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 상대 변위 방지 부재(90)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 보다 강고하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를 접속할 수 있다. 즉,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는, 내주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걸어 맞춰지고, 외주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므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 및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 중, 일방이 타방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할 경우에,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에 의해서 회전을 규제한다. 따라서 리브(4)가 요상부(72a, 72b)에 끼워맞춰진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대 변위 방지 부재(90)를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보다 축 방향의 외측에 배치했으므로,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가 계합공(74)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뽑히는(脫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대 변위 방지 부재(90)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위할 수 있지만, 플랜지부(84)와 요철부(94)가 둘레 방향으로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대 변위 방지 부재(90)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로부터 이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와 상대 변위 방지 부재(90)가 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70),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 상대 변위 방지 부재(90)가 대략 일체화하여 매우 강고하게 접속되는 것이 가능해져, 종래 필수로 여겨진 유동성의 경화성 충전재 등의 주입을 불요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상술한 확인공은, 적어도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내부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시인 가능하면, 예를 들면 투명한 필름이나, 투명한 수지재 등의 광투과성을 가지는 부재에 의해서 막혀 있어도 좋다.
덧붙여,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는, 본체부를 통 형상으로 했지만, 지름 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는 형상이라고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82)에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슬릿부(87)를 형성해도 좋다. 슬릿부(87)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형성하거나, 도 2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접촉면(86b)의 일부를 축 방향을 따라서 절개(切欠)하도록 형성하거나 해도 좋다. 또 슬릿부(87)는, 도 2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82)를 둘레 방향으로 넓게 형성해도 좋은 등, 크기나 수는 적당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슬릿부(87)를 형성함으로써 본체부(82)는 내측으로 휘도록 탄성변형 및 또는 소성변형할 수 있고, 보다 강고하게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밀착시킬 수 있다. 즉, 본체부(82)가 슬릿부(87)에 의해, 외주면이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나뉘는 것으로, 각각이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하기 쉬워진다. 또 본체부(82)가 지름 방향 내향으로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한 경우, 본체부(82)의 내주면이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외주면에 밀접하여 지름 방향 내향으로 눌린다(押壓). 결과, 상대 회전 방지 부재(80)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대해서 보다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82)의 외주면은, 계합공(74)의 내주면에 대응시킨 테이퍼 형상으로 했지만, 계합공(74)의 테이퍼 형상과 다른 테이퍼 형상 등으로 함으로써 계합공(74)의 내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향으로 눌리도록 형상을 설정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계합공(74)의 테이퍼각보다 조금 완만한 테이퍼각이고 또한 본체부(82)의 축 방향 선단의 외경이 계합공(74)의 가장 안쪽부(最奧部)의 내경을 초과하는 형상이라고 하면, 본체부(82)가 계합공(74) 내로의 진입에 수반하여 서서히 계합공(74)의 내주면으로부터 눌리기 때문에, 확실히 지름 방향 내향으로 탄성변형하여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에 강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축 방향에서의 일단부와 양단부가 다른 지름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삽통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즉,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가 직경이 다른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끼리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라도 좋고, 그 경우는 축 방향의 일단부측으로부터 중도 부분에 이르는 제1 범위의 단면적이나 지름과 축 방향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중도 부분에 이르는 제2 범위의 단면적이나 지름이 다르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는, 1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복수 부재에 의해서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통상 부재(110, 120)에 의해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130)를 구성해도 좋다.
통상 부재(110)는, 축 방향에서의 일단부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이 삽통할 수 있는 개구를 갖고,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선홈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결부(112)가 배치된다. 또 도 2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110)의 내주면에는,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립되는 위치에 배치된 대경면(22), 대경면(22)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계합 철부(24) 및 요상부(26)가 배치된다.
통상 부재(120)는, 축 방향에서의 일단부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이 삽통할 수 있는 개구를 갖고, 타단부에 위요부(122)를 가진다. 위요부(122)는, 내주면에 의해서 연결부(112)를 둘러쌀 수 있도록 대경 형상을 이루고, 또한 연결부(112)의 나선홈에 끼워지는 나선형으로 연재하는 나선 철부가 내주면에 설치되고 있다.
또 통상 부재(110)의 내주면에는,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립되는 위치에 배치된 대경면(22), 대경면(22)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계합 철부(24) 및 요상부(26)가 배치된다.
통상 부재(110, 120)는, 연결부(112)를 위요부(122)에 나사 접속되는 것으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130)를 구성하는 것이다(도 27 참조). 물론, 통상 부재(110, 120)를 연결하는 구조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들 통상 부재(110, 120)가 상대 회전 가능 또한 축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도록 연결되고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제3 부재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구성이라고 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130)를 구성하면, 축 방향에서의 양단 각각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 1)을 삽통할 때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 1)끼리의 위상 엇갈림에 의한 접속의 미비를 흡수할 수 있다. 즉,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 1)끼리에서 리브(4)의 위치가 다른 경우, 일방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리브(4)에 요상부(26)를 끼워맞춰도, 타방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리브(4)를 요상부(26)에 끼워맞춰지지 않을 우려가 있지만, 이것을 흡수하여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부재(110, 120)의 어느 일방을 적어도 예각(小角)(90° 미만) 회동시키면, 확실히 통상 부재(110, 120)가 모두, 삽입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1)의 리브(4)를 요상부(26)에 끼워맞출 수 있다.
1…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2…축경면 4…리브 4a…단면 6…요경면 10…선단부 12…능선 14a~14d…면 20…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22…대경면 24…계합 철부 26…요상부 28, 32…개방단 29…스토퍼 40…회전 방지 부재 42…스페이서부 44…구멍(穴) 52…슬릿 58…확인공(確認孔) 60…부분체 74…계합공 80…상대 회전 방지 부재 82…본체부 84…플랜지부 90…상대 변위 방지 부재 92…나선홈부 94…요철부.

Claims (27)

  1.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축 방향을 따라서 삽통 가능한 삽통공을 갖고, 내주를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리브에 걸어 맞춰서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접속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로서,
    상기 내주에는, 상기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브에 걸어 맞출 수 있는 계합 철부와,
    축 방향을 향해 상기 계합 철부에 교대로 상기 리브를 끼워맞춤 가능하게 오목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요상부와,
    상기 계합 철부 및 상기 요상부에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리브와 비계합의 대경면을 갖고,
    상기 요상부에 상기 리브를 끼워맞춰서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축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상부는, 비나선 형상을 이루고,
    상기 비나선 형상은, 지름 방향에서 보면 축 방향을 대칭축으로서 대칭 형상, 비대칭 형상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나선 형상은,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대칭 형상 및 비대칭 형상을 이루고, 대칭 형상과 비대칭 형상의 배열이 혼성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 형상은, 둘레 방향의 양단이 폐색단이고,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의 본체는, 내부 공간을 확장 가능하게 하는 확장부를 갖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리브를 상기 내주에 수용하고 있는 상태와, 상기 삽통공을 확장시켜 상기 내주에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과정 상태 사이에서 천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탄성변형 기구 및 지름 방향의 분리 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형상의 상기 요상부는, 둘레 방향의 일단이 개방단이고, 상기 개방단측으로부터 상기 리브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형상의 상기 요상부는, 둘레 방향의 타단이 폐색단이고, 상기 폐색단에 의해서 상기 리브의 둘레 방향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상부는, 나선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계합 철부의 지름 방향 단부가 면형, 철곡면형 또는 예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나선 형상을 이루는 상기 요상부는, 가상적으로 설정된 나선 경로를 따라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나선 형상을 이루는 상기 요상부는,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중도 부분에 걸쳐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요상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공은, 축 방향에서 보면,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축 방향에서의 외형에 상사 또는 근사의 홀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공은, 축 방향에서 보면, 긴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의 홀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공은, 2면폭부를 갖고, 대향하는 2면폭부의 대립되는 양단간이 소정의 곡률 반경의 볼록한 모양을 이루는 호에 의해서 이어진 내주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공은,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중도 부분에서의 제1 범위와, 축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중도 부분에서의 제2 범위에서 단면적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15. 제1항에 있어서,
    축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중도 부분까지의 상기 요상부를 나선 형상으로 하고, 타단으로부터 상기 중도 부분까지의 상기 요상부를 비나선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축 방향의 일단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과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상대 회전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축 방향의 일단에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과의 축 방향에 대한 상대 변위를 방지하는 상대 변위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 방향 단부에 리지드 연결 구조를 설치하고,
    상기 리지드 연결 구조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과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상대 회전 방지 부재와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에 대한 상대 변위를 방지하는 상대 변위 방지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19.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회전 방지 부재는,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을 둘러싸고 또한 계합공에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20. 제16항,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회전 방지 부재는, 계합공의 내주에 걸어 맞춰지는 계합면과,
    축 방향에서 보면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외형에 상당하는 비원형상의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삽통공을 갖고,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삽통공에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이 상대 회전 불가 상태로 끼워질 수 있고, 상기 계합면이 상기 계합공의 내주에 걸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21.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변위 방지 부재는,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리브에 걸어 맞춰져서, 축 방향의 변위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22. 제17항, 제18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변위 방지 부재는,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이 삽통할 수 있고, 내주면에 나선홈을 갖는 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회전 방지 부재와 상기 상대 변위 방지 부재의 당접부에는, 상기 상대 회전 방지 부재와 상기 상대 변위 방지 부재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상대 회전 방지 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는, 상기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의 삽입 깊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내외로 관통하는 확인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공은,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나타내는 중앙 위치 시사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공은, 홀 형상이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상당하는 개소를 잘록하게 한 축소부를 갖고, 상기 축소부가 상기 중앙 위치 시사 수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공은, 광투과성을 가지는 부재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KR1020210056373A 2020-04-30 2021-04-30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KR20210134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80213 2020-04-30
JP2020080213 2020-04-30
JPJP-P-2021-023181 2021-02-17
JPJP-P-2021-023192 2021-02-17
JP2021023192A JP2021177062A (ja) 2020-04-30 2021-02-17 水硬性固化体埋設型補強用鋼棒継手構造
JP2021023181A JP2021177061A (ja) 2020-04-30 2021-02-17 継手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249A true KR20210134249A (ko) 2021-11-09

Family

ID=7840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373A KR20210134249A (ko) 2020-04-30 2021-04-30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2021177062A (ko)
KR (1) KR20210134249A (ko)
TW (1) TW20214674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5658A (en) 1980-03-25 1981-10-23 Masaaki Hasegawa Reinforcing bar
JPH01227542A (ja) 1988-03-07 1989-09-11 Fujitsu Ltd 監視信号制御方式
JP2018178365A (ja) 2017-04-03 2018-11-15 株式会社安藤・間 鉄筋継手カプラ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5658A (en) 1980-03-25 1981-10-23 Masaaki Hasegawa Reinforcing bar
JPH01227542A (ja) 1988-03-07 1989-09-11 Fujitsu Ltd 監視信号制御方式
JP2018178365A (ja) 2017-04-03 2018-11-15 株式会社安藤・間 鉄筋継手カプ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46745A (zh) 2021-12-16
JP2021177062A (ja) 2021-11-11
JP2021177061A (ja)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05735B2 (en) An anchor device of wooden or metal structures to a wall
US9664225B2 (en) Fastening means for pre-assembly of a pin-shaped joining means in a through-hole of a structural element
EP2816175B1 (de) Schalungsankeraufnahme, Schalungsanker sowie Schalungselement zur Aufnahme dieser
EP1982082B1 (de) Schraubenmutter mit mindestens zwei teilen
EP2810855B1 (de) Dichtstopfen
RU2550489C2 (ru)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BR112014021861B1 (pt) dispositivo de conexão, acoplador de extremidade,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m corpo tubular de porca
CN103415345A (zh) 通用的封闭装置
US20030180123A1 (en) System for connecting elements
KR20210134249A (ko)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조인트 구조
EP1912530B1 (de) Cremetiegel
JPH1143937A (ja) 杭の継手部構造
KR20210098389A (ko) 수경성 고화체 매설형 보강용 강봉 및 고정용 통상체
EP1730409B1 (de) Spreizdübel
EP3757315A1 (de) Schalungseinlage
EP0187617A2 (de) Kunststoff-Spreizdübel
WO2011107288A1 (de) Rohrverbindungssystem zum verbinden von rohren mittels einer verbindungsmuffe
DE4231313C2 (de) Spreizdübel
EP2612040B1 (de) Spreizdübel
EP2265831B1 (de) Schraubteil für eine befestigung einer felge eines kraftfahrzeugs
KR102558056B1 (ko) 토크를 플라스틱제 케이스로 유도하기 위한 금속제 고정 부재
EP3543431A1 (de) Verankerungssystem für betonbauwerke
US10893889B2 (en) Pedicle screw system comprising a locking screw with threaded chamfer
JP2021177060A (ja) 水硬性固化体埋設型補強用鋼棒及び固定用筒状体
JP2009132411A (ja) 締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